KR101457154B1 -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 Google Patents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7154B1
KR101457154B1 KR1020140081155A KR20140081155A KR101457154B1 KR 101457154 B1 KR101457154 B1 KR 101457154B1 KR 1020140081155 A KR1020140081155 A KR 1020140081155A KR 20140081155 A KR20140081155 A KR 20140081155A KR 101457154 B1 KR101457154 B1 KR 10145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detachable
coupling
protective ca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조
Original Assignee
김동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조 filed Critical 김동조
Priority to KR1020140081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7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7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11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or the detection or protection of pipes in the groun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상층부(11)와, 상기 제1상층부(1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저면에 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중앙부(12)와, 상기 제1중앙부(12)의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단에 결합돌기(16)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하층부(15)로 이루어지며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고압선 지주(9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10); 상기 제1중앙부(12)의 결합돌기(13)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상층부(21)와, 제2상층부(2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중앙부(12)의 관통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층부(15)의 결합돌기(16)가 삽입되는 삽입홈(25)이 형성되는 제2중앙부(23)와, 상기 제2중앙부(23)의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하층부(26)로 이루어지며,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고압선 지주(9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20); 상기 제1중앙부(12)와 제2중앙부(23)의 관통홀(14,24)에 관통설치되고 지상 및 지중의 케이블(C)을 보호하는 보호관(30); 내부에 상기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제2중앙부(23)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턱(41)이 돌출형성되고,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대향결합되는 보호 케이싱(40); 상기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와 보호 케이싱(40)의 사이 및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와 고압선 지주(90)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50); 두 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호 케이싱(40)을 착탈시키는 제1착탈부(100); 및 상기 보호 케이싱(40)에 설치되어 지중으로 매설되는 앙카볼트(70)를 상기 보호 케이싱(40)에 착탈시키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SUPPORT FOR HIGH PRESSURE CABLE OF ELECTRIC POLE}
본 발명은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고압선 지주의 손상 및 고압선의 손상이나 누전, 감전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지에 설치되는 고압선은 외부로 노출되는데 따른 위험과 미관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하는 지중화 작업으로 전환되고 있다.
고압선의 지중화 작업을 위해서는 고압선지주로부터 지하로 배선되는 고압선 특히, 사람의 접근할 수 있는 높이에 이르기까지 고압선을 보호하도록 된 별도의 지상관체로 감싸게 되고, 지중에 매설되는 고압선 역시 별도의 지중관체로 감싸주어 고압선이 쉽게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에는 고압선을 보호하는 지상관체와 지중관체들이 서로 만나는 연결부를 연결할 수 있는 전용수단이 제공되지 않아 이들 연결부가 보호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고압선 연결부가 보호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하였을 경우에는 작은 외압에도 쉽게 손상을 주게 됨은 물론 쥐 등과 같은 동물의 접근이 용이하여 누전(漏電), 단락(short)의 위험성이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실용신안 20-245365호에서는 '┛' 형상 밴드의 양측에 삽지부를 형성하여 지중관체와 지상관체의 말단부를 삽지부에 서로 연결하여 굽힘되는 부분의 고압선 보호를 꾀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상기 구성은 지상관체와 지중관체가 절곡되는 연결부위를 '┛' 형상인 밴드로 연결한 것으로 지상관체나 지중관체가 특정 구조물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를 잡아당기는 조그만 외력에도 쉽게 분리,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지상관체는 띠 모양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압선지주에 고정되는 반면에 지중관체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단으로 매설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또한, 지상관체와 지중관체 등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공구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교체 또는 파손 시에는 전체를 다 교체해야함으로써 경비가 증가하고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52128호(2010년 4월 8일 공고, 발명의 명칭 :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에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고압선 지지대는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지지대 설치작업 중에 감전사고를 당할 수 있는 위험이 있으며,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설치작업을 행하므로 고압선 지지대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고압선 지주의 손상 및 고압선의 손상이나 누전, 감전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상층부(11)와, 상기 제1상층부(1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저면에 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중앙부(12)와, 상기 제1중앙부(12)의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단에 결합돌기(16)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하층부(15)로 이루어지며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고압선 지주(9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10); 상기 제1중앙부(12)의 결합돌기(13)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상층부(21)와, 제2상층부(2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중앙부(12)의 관통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층부(15)의 결합돌기(16)가 삽입되는 삽입홈(25)이 형성되는 제2중앙부(23)와, 상기 제2중앙부(23)의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하층부(26)로 이루어지며,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고압선 지주(9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20); 상기 제1중앙부(12)와 제2중앙부(23)의 관통홀(14,24)에 관통설치되고 지상 및 지중의 케이블(C)을 보호하는 보호관(30); 내부에 상기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제2중앙부(23)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턱(41)이 돌출형성되고,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대향결합되는 보호 케이싱(40); 상기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와 보호 케이싱(40)의 사이 및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와 고압선 지주(90)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50); 두 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호 케이싱(40)을 착탈시키는 제1착탈부(100); 및 상기 보호 케이싱(40)에 설치되어 지중으로 매설되는 앙카볼트(70)를 상기 보호 케이싱(40)에 착탈시키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착탈부(100)는, 두 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호 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결합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기 보호 케이싱의 결합날개 측으로 돌출되고 제1구속홈부 및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착탈돌기(130); 상기 착탈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호 케이싱의 결합날개에 설치되고 제1착탈홈부, 제1작동홀부 및 제1걸림턱부가 구비되는 하우징(110); 상기 제1작동홀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부에 대향되는 제1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제1구속돌기(150); 및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턱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착탈부(200)는, 상기 앙카볼트에 구비되는 제2구속홈부(70a); 상기 앙카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호 케이싱에 형성되고 제2작동홀부 및 제2걸림턱부가 구비되는 제2착탈홈부(212); 상기 제2걸림턱부에 걸리도록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착탈홈부를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구속돌기(250); 및 상기 제2걸림턱부와 상기 제2구속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2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는, 별도의 도구 없이 지지대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게 하고, 고압선 지주의 손상 및 고압선의 손상이나 누전, 감전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는, 제1착탈부에 의한 작동에 의해 보호 케이싱을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지지대 설치작업 중에 작업자가 지주 또는 고압선 근처에 위치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어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재는, 제2착탈부에 의해 앙카볼트의 결합 또는 분리를 원터치 방식으로 행할 수 있으므로 지지대의 설치 또는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지중전력케이블 매설용 [0013] 고압선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지중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지중전력케이블 매설용 [0013] 고압선 지지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변전, 배전, 지중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는, 상부 결합부(10)와, 하부 결합부(20)와, 보호관(30)과, 보호 케이싱(40)과, 완충부재(50), 제1착탈부(100) 및 제2착탈부(200)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는 고압선 지주(90)의 형상과 대응되는 반원형 형상 또는 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결합부(10)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상층부(11)와, 제1상층부(1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저면에 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중앙부(12)와, 제1중앙부(12)의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단에 결합돌기(16)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하층부(15)로 이루어져 구성되며, 상기한 상부 결합부(10)는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고압선 지주(9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하부 결합부(20)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상층부(21)와, 제2상층부(2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제1중앙부(12)의 관통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4)이 형성되는 제2중앙부(23)와, 제2중앙부(23)의 일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2하층부(26)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그리고 제2상층부(21)에는 삽입홈(22)이 형성되어 제1중앙부(12)의 결합돌기(13)가 삽입고정되며, 제2중앙부(23)에도 삽입홈(25)이 형성되어 제1하층부(15)의 결합돌기(16)가 삽입고정되어 하부 결합부(20)에 상부 결합부(10)를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한 하부 결합부(20)는 상부 결합부(10)와 동일하게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고압선 지주(9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보호관(30)은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중앙부(12)와 제 2중앙부(23)의 관통홀(24)에 관통설치되며, 내부에 수용되는 지상 및 지중의 케이블(C)을 안정적으로 보호한다.
보호 케이싱(40)은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대향결합되는 것으로, 보호 케이싱(40)의 양측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결합날개(42)가 더 연장형성되고, 한 쌍의 결합날개(42) 사이에는 제1착탈부(100)가 설치된다.
보호 케이싱(40)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에는 지지턱(41)이 돌출형성되어 상부 결합부(10)와 하부 결합부(20)를 결합하여 보호 케이싱(40)의 내부에 수용하게 되면 지지턱(41)이 제2중앙부(23)의 저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정한다.
또한, 보호 케이싱(40)의 외면에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저면을 향해 개방된 나선홈(61)이 간격을 두고 형성된 결합패널(60)이 더 결합되고, 나선홈(61)에는 앙카볼트(70)가 더 삽입고정된다.
여기서, 앙카볼트(70)는 제2착탈부(200)에 의해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며, 앙카볼트(70)의 수직방향으로 정착부(80)가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더 결합된다.
상기한 정착부(80)는 지중에서 토압이나 지반변형에 대해 강성을 갖게 되어 보호 케이싱(40)이 상,하로 유동되지 않도록 하여 고압선 지주(90)를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완충부재(50)는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와 보호 케이싱([0027] 40)의 사이 및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와 고압선 지주(90)의 사이에 개재되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시켜 보호관(30)의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C)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에 따라 케이블(C)의 파손을 방지하며, 상기한 완충부재(50)는 고무재질 또는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
제1착탈부(100)는, 두 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보호 케이싱(40) 중 어느 하나의 결합날개(42)로부터 다른 하나의 보호 케이싱(40)의 결합날개(42) 측으로 돌출되고 제1구속홈부(132) 및 제1경사면(134)이 구비되는 착탈돌기(130)와, 착탈돌기(130)가 삽입되도록 보호 케이싱(40)의 결합날개(42)에 설치되고 제1착탈홈부(112), 제1작동홀부(114) 및 제1걸림턱부(116)가 구비되는 하우징(110)과, 제1작동홀부(114)를 따라 하우징(110)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경사면(134)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152)이 형성되며 제1걸림턱부(116)에 대향되는 제1걸림돌기(154)가 구비되는 제1구속돌기(150)와, 제1걸림돌기(154)와 제1걸림턱부(116)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56)를 포함한다.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날개(42) 중 어느 하나의 결합날개(42)에는 전방으로 돌출되는 착탈돌기(130)가 형성되고, 착탈돌기(130)의 단부에는 제1경사면(134)이 형성되고, 착탈돌기(130)의 둘레면에는 제1구속홈부(132)가 형성된다.
착탈돌기(130)가 삽입되는 결합날개(42)에는 제1착탈홈부(112)가 형성되는 하우징(110)이 설치되고, 하우징(110)의 일측면에는 제1구속돌기(150)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작동홀부(114)가 형성된다.
제1작동홀부(114)의 내벽에는 입구와 비교하여 지름이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제1구속돌기(150)의 제1걸림돌기(154)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하고, 제1구속돌기(150)의 단부에는 제1경사면(134)에 대향되는 제2경사면(152)이 형성된다.
또한, 제1걸림턱부(116)와 제1걸림돌기(154)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156)가 개재되므로 제1탄성부재(156)의 탄성력에 의해 제1구속돌기(150)가 제1착탈홈부(112) 중앙부 측으로 가압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한 조의 보호 케이싱(40)을 결합시키면 착탈돌기(130)가 제1착탈홈부(112)에 삽입되면서 제1경사면(134)과 제2경사면(152)이 밀착되면서 제1탄성부재(156)를 압축시키면서 제1구속돌기(150)를 하우징(110)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착탈돌기(13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1탄성부재(156)의 복원력에 의해 제1구속돌기(150)가 하우징(110)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제1구속돌기(150)의 단부가 제1구속홈부(132)에 삽입되어 착탈돌기(130)가 제1착탈홈부(112) 외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한 조의 보호 케이싱(40)은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다수 개의 착탈돌기(130)가 각각 제1착탈홈부(112)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원터치 방식으로 보호 케이싱(40)의 결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하나의 하우징(110)에 서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는 다수 개의 제1구속돌기(150)는 수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연결대(170)에 의해 서로 연결되므로 작업자가 하나의 연결대(170)를 하우징(110) 외측으로 당기면 다수 개의 제1걸림돌기(154)가 착탈돌기(130)로부터 분리되면서 보호 케이싱(40)의 분리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제2착탈부(200)는, 앙카볼트(70)에 구비되는 제2구속홈부(70a)와, 앙카볼트(70)가 삽입되도록 보호 케이싱(40)에 형성되고 제2작동홀부(214) 및 제2걸림턱부(216)가 구비되는 제2착탈홈부(212)와, 제2걸림턱부(216)에 걸리도록 제2걸림돌기(254)가 형성되고 제2착탈홈부(212)를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구속돌기(250)와, 제2걸림턱부(216)와 제2구속돌기(250)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256)를 포함한다.
앙카볼트(70)를 보호 케이싱(40)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해 앙카볼트(70)를 제2착탈홈부(212)에 삽입하면, 제3경사면(70b)과 제4경사면(252)이 밀착되면서 제2구속돌기(250)를 보호 케이싱(40) 외측으로 이동시키므로 제2탄성부재(256)가 압축된다.
이후에, 앙카볼트(70)의 삽입이 완료되면 제2탄성부재(256)의 복원력에 의해 제2걸림돌기(254)가 제2작동홀부(214)를 따라 제2착탈홈부(212)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하므로 제2구속돌기(250)의 단부가 제2구속홈부(70a)에 삽입되면서 앙카볼트(70)의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를 원터치 방식으로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고압선 지주의 손상 및 고압선의 손상이나 누전, 감전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지지대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상부 결합부 11 : 제 1상층부
12 : 제 1중앙부 13, 16 : 결합돌기
14, 24, 43 : 관통홀 15 : 제 1하층부
20 : 하부 결합부 21 : 제 2상층부
22, 25 : 삽입홈 23 : 제 2중앙부
26 : 제 2하층부 30 : 보호관
40 : 보호 케이싱 41 : 지지턱
42 : 결합날개 50 : 완충부재
60 : 결합패널 61 : 나선홈
70 : 앙카볼트 80 : 정착부
90 : 고압선 지주 100 : 제1착탈부
200 : 제2착탈부

Claims (3)

  1.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1상층부(11)와, 상기 제1상층부(1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저면에 결합돌기(13)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관통홀(14)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중앙부(12)와, 상기 제1중앙부(12)의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하단에 결합돌기(16)가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제1하층부(15)로 이루어지며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고압선 지주(9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상부 결합부(10);
    상기 제1중앙부(12)의 결합돌기(13)가 삽입되는 삽입홈(22)이 형성되며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제2상층부(21)와, 제2상층부(21)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중앙부(12)의 관통홀(14)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2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하층부(15)의 결합돌기(16)가 삽입되는 삽입홈(25)이 형성되는 제2중앙부(23)와, 상기 제2중앙부(23)의 일단부에서 하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제 2하층부(26)로 이루어지며,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고압선 지주(90)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하부 결합부(20);
    상기 제1중앙부(12)와 제2중앙부(23)의 관통홀(14,24)에 관통설치되고 지상 및 지중의 케이블(C)을 보호하는 보호관(30);
    내부에 상기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제2중앙부(23)의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턱(41)이 돌출형성되고, 두개가 한조를 이루어 대향결합되는 보호 케이싱(40);
    상기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와 보호 케이싱(40)의 사이 및 상부 결합부(10) 및 하부 결합부(20)와 고압선 지주(90)의 사이에 개재되는 완충부재(50);
    두 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호 케이싱(40)을 착탈시키는 제1착탈부(100); 및
    상기 보호 케이싱(40)에 설치되어 지중으로 매설되는 앙카볼트(70)를 상기 보호 케이싱(40)에 착탈시키는 제2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착탈부(100)는,
    두 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호 케이싱 중 어느 하나의 결합날개로부터 다른 하나의 상기 보호 케이싱의 결합날개 측으로 돌출되고 제1구속홈부 및 제1경사면이 구비되는 착탈돌기(130);
    상기 착탈돌기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호 케이싱의 결합날개에 설치되고 제1착탈홈부, 제1작동홀부 및 제1걸림턱부가 구비되는 하우징(110);
    상기 제1작동홀부를 따라 상기 하우징 내측 또는 외측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제2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걸림턱부에 대향되는 제1걸림돌기가 구비되는 제1구속돌기(150); 및
    상기 제1걸림돌기와 상기 제1걸림턱부 사이에 개재되는 제1탄성부재(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착탈부(200)는,
    상기 앙카볼트에 구비되는 제2구속홈부(70a);
    상기 앙카볼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보호 케이싱에 형성되고 제2작동홀부 및 제2걸림턱부가 구비되는 제2착탈홈부(212);
    상기 제2걸림턱부에 걸리도록 제2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착탈홈부를 따라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구속돌기(250); 및
    상기 제2걸림턱부와 상기 제2구속돌기 사이에 개재되는 제2탄성부재(2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20140081155A 2014-06-30 2014-06-30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145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55A KR101457154B1 (ko) 2014-06-30 2014-06-30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55A KR101457154B1 (ko) 2014-06-30 2014-06-30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7154B1 true KR101457154B1 (ko) 2014-11-04

Family

ID=5228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155A KR101457154B1 (ko) 2014-06-30 2014-06-30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7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25B1 (ko) 2017-12-14 2018-06-05 (주)용광기술단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CN111224369A (zh) * 2020-03-17 2020-06-02 无锡原旭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电缆用安装防护装置
KR102292207B1 (ko) * 2021-06-22 2021-08-23 (주)대경기전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94B1 (ko) * 1999-12-21 2002-05-22 안승현 지주 연결장치
KR100880719B1 (ko) * 2008-10-16 2009-02-04 주식회사 세종전력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구조
KR101016056B1 (ko) * 2010-11-11 2011-02-23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송전, 변전, 배전 지중 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WO2011147479A1 (en) * 2010-05-25 2011-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install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7694B1 (ko) * 1999-12-21 2002-05-22 안승현 지주 연결장치
KR100880719B1 (ko) * 2008-10-16 2009-02-04 주식회사 세종전력 기둥과 기둥을 지지하는 기초의 구조
WO2011147479A1 (en) * 2010-05-25 2011-12-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 foundation for a wind turbine installation
KR101016056B1 (ko) * 2010-11-11 2011-02-23 주식회사 한국코아엔지니어링 송전, 변전, 배전 지중 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725B1 (ko) 2017-12-14 2018-06-05 (주)용광기술단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CN111224369A (zh) * 2020-03-17 2020-06-02 无锡原旭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电缆用安装防护装置
KR102292207B1 (ko) * 2021-06-22 2021-08-23 (주)대경기전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677B1 (ko)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101457154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1083416B1 (ko) 지중배전선 보호절연 커넥터
KR101522011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JP2014135864A (ja) アースピンとボディの容易な導通と高い防水性を有したコネクタ構造
KR100963319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19366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697643B1 (ko) 지중 매설용 전기 고압선 지지대
KR200469152Y1 (ko) 케이블 그랜드의 씰링장치
KR101713272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1448176B1 (ko) 가공 배전선로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절연장치
KR100986307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591981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989443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708745B1 (ko) 분기슬리브 커버
KR100860974B1 (ko) 주상 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178177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733390B1 (ko) 지중 매설용 전주 지지대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KR102093601B1 (ko) 방호관 연결 장치
KR100650064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1016056B1 (ko) 송전, 변전, 배전 지중 전력케이블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786565B1 (ko) 지중 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KR100961551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 지지대
TWI672869B (zh) 連接器之保護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