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443B1 -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443B1
KR100989443B1 KR1020100069226A KR20100069226A KR100989443B1 KR 100989443 B1 KR100989443 B1 KR 100989443B1 KR 1020100069226 A KR1020100069226 A KR 1020100069226A KR 20100069226 A KR20100069226 A KR 20100069226A KR 100989443 B1 KR100989443 B1 KR 100989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afety device
branch
terminal
l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2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호
남학균
Original Assignee
(주)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혜광 filed Critical (주)혜광
Priority to KR10201000692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4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Landscapes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가정이나 산업체로 주전력선의 전력을 분기하기 위해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의 활선분기고리를 보호하기 위한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면서 좌·우 보호 부재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좌·우 보호 부재의 상부 내면에는 결합과 분리를 위해 보호 부재 결합홈과 보호 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 보호 부재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과 간격유지홈들이 형성되는 보호 부재와, 좌·우로 분리형성되고, 상부에는 회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간격유지홈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간격유지홈들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 내측면과 반대 측 끝단 내측면에는 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결합홈과 케이스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양단 외측면에는 케이스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간격유지홈과 케이스 간격유지홈에 일부가 각각 지지되면서 상기 보호 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간격유지봉들과, 상기 케이스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케이스 위치고정홈에 돌출형성되는 커버 결합돌기들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간격을 두고 외부와 연통하는 커버 통로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 및 산업체에 주전력선으로부터 안정되게 전기를 공급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transformer live wire in electric pole for supply of electric power}
본 발명은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정 및 산업체에 주전력선으로부터 안정되게 전기를 공급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산업체 등에 단상 또는 3상 전력의 공급하기 위해서는 배전선로의 전력선에서 주상변압기의 분기선을 분기한다. 이 경우 대부분 분기슬리브를 이용하게 되어 있는데, 종래 이와 같은 분기슬리브는 활선분기고리를 이용하여 분기선을 전력선에서 분기시키도록 되어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분기슬리브는 전주 상부의 전력선에 결합된 분기슬리브에는 활선분기고리가 결합설치되고, 상기 활선분기고리와 컷아웃스위치에는 각각 1차 리드선이 연결되며, 상기 컷아웃스위치와 주상변압기에는 각각 2차 리드선이 연결되어, 상기 주상변압기로부터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전주의 전력선에 분기슬리브가 반드시 설치되는바, 상기 분기슬리브는 전력의 공급뿐만 아니라 건축물의 신, 증축 또는 철거 등으로 인하여 주상변압기를 제거하여 전력의 공급을 차단한 상태에서도 고압의 전원이 흐르는 상태로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분기슬리브에 설치된 활선분기고리는 상기 분기슬리브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물질 적층으로 인한 오작동 및 감전과 같은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정 및 산업체에 주전력선으로부터 안정되게 전기를 공급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구성을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은 줄이며, 작업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정이나 산업체로 주전력선의 전력을 분기하기 위해 설치되는 분기슬리브의 활선분기고리를 보호하기 위한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에 있어서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면서 좌·우 보호 부재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좌·우 보호 부재의 상부 내면에는 결합과 분리를 위해 보호 부재 결합홈과 보호 부재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 보호 부재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과 간격유지홈들이 형성되는 보호 부재와, 좌·우로 분리형성되고, 상부에는 회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가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간격유지홈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간격유지홈들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 내측면과 반대 측 끝단 내측면에는 케이스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결합홈과 케이스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양단 외측면에는 케이스 위치고정홈이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간격유지홈과 케이스 간격유지홈에 일부가 각각 지지되면서 상기 보호 부재와 케이스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간격유지봉들과, 상기 케이스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케이스 위치고정홈에 돌출형성되는 커버 결합돌기들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공간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간격을 두고 외부와 연통하는 커버 통로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정 및 산업체에 주전력선으로부터 안정되게 전기를 공급하고 외부에서 전달되는 열이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구성을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하여 결합 또는 분리가 용이하고, 작업시간은 줄이며, 작업효율은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보호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구성하는 보호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20)는 분기슬리브(10)의 외면에 장착되는 보호 부재(30)와, 회동작동하고 상기 보호 부재(30)를 감싸는 케이스(40)와, 상기 보호 부재(30)와 케이스(40) 사이에 장착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간격유지봉(50)과, 상기 케이스(40)의 양단에 각각 장착되는 커버(60) 등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기슬리브(10)는 하부에 활선분기고리(12)가 장착되고, 상기 활선분기고리(12)에는 전력의 공급과 차단이 용이하도록 단자고정구(72)와, 단자(74) 및 단자고정커버(76)가 장착되되, 상기 단자고정구(72), 단자(74), 단자고정커버(76)는 끼움 결합을 위해 일측이 절개형성된다.
즉, 상기 활선분기고리(12)에 간격을 두고 고무재질로 형성되면서 일측이 절개되는 단자고정구(72)를 장착한 후, 상기 단자고정구(72)와 단자고정구(72)의 사이에 위치한 활선분기고리(12)에 상부 일부가 절개되는 단자(74)를 끼움 장착한 다음, 상기 단자(74)의 외면에 하부가 개방되는 단자고정커버(76)를 끼움 고정한 것이다.
상기 분기슬리브(10)의 외면에 장착되는 보호 부재(30)는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면서 좌·우 보호 부재(31a,31b)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좌·우 보호 부재(31a,31b)의 상부 내면에는 결합과 분리를 위해 보호 부재 결합홈(32)과 보호 부재 결합돌기(33)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 보호 부재(31a,31b)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34)과 간격유지홈(35)들이 형성된다.
즉, 상기 보호 부재(30)는 관통공(34)들과 간격유지홈(35)들이 구비된 일측 보호 부재의 보호 부재 결합홈(32)에 관통공(34)들과 간격유지홈(35)들이 구비된 반대 측 보호 부재의 보호 부재 결합돌기(33)를 끼움 결합하여 고정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 보호 부재(31a,31b)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공(34)은 내부에서 발산하는 열과 외부를 통해서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좌·우 보호 부재(31a,31b)의 둘레에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간격유지홈(35)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간격유지봉(50)의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보호 부재(30)를 감싸는 케이스(40)는 좌, 우로 분리형성되고, 상부 연결부분에는 회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41)가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간격유지홈(35)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간격유지홈(42)들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 내측면과 반대 측 끝단 내측면에는 케이스(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결합홈(43)과 케이스 결합돌기(44)가 형성되며, 양단 외측면에는 케이스 위치고정홈(4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스(40)는 일측을 회동작동하여 케이스(41)의 내부에 보호 부재(30)가 위치되도록 한 후, 회동한 부분을 하부로 회동하여 보호 부재(30)를 감싸도록 한 다음, 케이스 결합홈(43)에 케이스 결합돌기(44)를 끼움 결합하여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40)의 양단 외측면에는 상기 커버(60)와 결합을 위한 케이스 위치고정홈(45)이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40)는 상기와 별도로 외부 케이스(46a)와 내부 케이스(46b)의 이중구조를 가지고 형성되어 열이 배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40)는 간격을 두고 외부 케이스(46a)와 내부 케이스(46b)를 형성한 후, 상기 외부 케이스(46a)의 내면 상부 중앙과 내부 케이스(46b)의 외면 상부 중앙에 케이스 연결바(47)를 연결결합하여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케이스 연결바(47)를 중심으로 외부 케이스(46a)의 내면과 내부 케이스(46b)의 외면에 열이 배출될 수 있는 내부통로(48)를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내부 케이스(46b)의 내면에는 상기 간격유지홈(35)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간격유지홈(42)들이 형성되고 양단 외측면에는 케이스 위치고정홈(45)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유지홈(35)과 케이스 간격유지홈(42)에 각각 지지되는 간격유지봉(50)들은 상기 보호 부재(30)의 간격유지홈(35)과 케이스(40)의 케이스 간격유지홈(42)에 일부가 지지되도록 구성하면서 공간(S)을 형성하여 내부에서 발산하는 열과 외부를 통해 전달되는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케이스(4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케이스 위치고정홈(45)에 끼움 결합되는 커버(60)는 상기 케이스 위치고정홈(45)과 대응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커버 결합돌기(61)들의 끼움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S)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간격을 두고 외부와 연통하는 커버 통로(62)가 형성되어 내부에서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하면서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하부에 활선분기고리(12)가 구비되는 분기슬리브(10)를 형성한 후, 상기 활선분기고리(12)에 간격을 두고 일측이 절개되는 단자고정구(72)를 장착한 다음, 상기 단자고정구(72)와 단자고정구(72)의 사이에 상부 일부가 절개되는 단자(74)를 끼움 장착한 후, 상기 단자(74)의 외면에 하부가 개방되는 단자고정커버(76)를 장착하여 분기슬리브(10)에 단자(74)를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분기슬리브(10)에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면서 좌·우 보호 부재(31a,31b)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좌·우 보호 부재(31a,31b)의 상부 내면에는 결합과 분리를 위해 보호 부재 결합홈(32)과 보호 부재 결합돌기(33)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 보호 부재(31a,31b)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34)과 간격유지홈(35)들이 형성되는 보호 부재(30)를 장착한다.
다음으로 상기 보호 부재(30)의 외면에 두 개로 분리형성되고, 상부에는 회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41)가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간격유지홈(35)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간격유지홈(42)들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 내측면과 반대 측 끝단 내측면에는 케이스(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결합홈(43)과 케이스 결합돌기(44)가 형성되며, 양단 외측면에는 케이스 위치고정홈(45)이 형성되는 케이스(4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홈(35)과 케이스 간격유지홈(42)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간격유지봉(50)들을 각각 고정장착하여 상기 보호 부재(30)와 케이스(40)에 공간(S)을 형성한 후, 상기 케이스(4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케이스 위치고정홈(45)에 커버(60)의 커버 결합돌기(61)들이 끼움 결합하면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10)의 조립은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의 조립 순서는 상기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20)는 보호 부재(30), 케이스(40), 커버(60)의 결합을 통해 분기슬리브(20)와 활선분기고리(12)을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관통공(34), 공간(S), 커버 통로(62)를 통해 내부에서 발산하는 열과 외부를 통해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활선분기고리(12)에 장착되는 단자(74)와 단자고정커버(76)를 통해 주전력선(80)과 안전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작업도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20)는 모든 구성이 장비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간단하게 수작업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작업시간과 함께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20)는 별도의 결합 및 분해장비가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시간은 줄고 작업효율은 증대될 뿐만 아니라 부품의 교체시에도 해당되는 부품만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분기슬리브, 20 :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30 : 보호 부재, 31a,31b : 좌·우 보호 부재,
32 : 보호 부재 결합홈, 33 : 보호 부재 결합돌기,
34 : 관통공, 35 : 간격유지홈,
40 : 케이스, 41 : 힌지부,
42 : 케이스 간격유지홈, 43 : 케이스 결합홈,
44 : 케이스 결합돌기, 45 : 케이스 위치고정홈,
50 : 간격유지봉, 60 : 커버,
72 : 단자고정구, 74 : 단자,
76 : 단자고정커버.

Claims (3)

  1. 가정이나 산업체로 주전력선(80)의 전력을 분기하기 위해 설치되는 분기슬리브(10)의 활선분기고리(12)를 보호하기 위한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20)에 있어서,
    고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면서 좌·우 보호 부재(31a,31b)로 분할형성되고, 상기 좌·우 보호 부재(31a,31b)의 상부 내면에는 결합과 분리를 위해 보호 부재 결합홈(32)과 보호 부재 결합돌기(33)가 형성되며, 상기 좌·우 보호 부재(31a,31b)의 둘레에는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공(34)과 간격유지홈(35)들이 형성되는 보호 부재(30)와,
    좌·우로 분리형성되고, 상부에는 회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힌지부(41)가 형성되며, 내면에는 상기 간격유지홈(35)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간격유지홈(42)들이 형성되고, 하부 끝단 내측면과 반대 측 끝단 내측면에는 케이스(40)를 고정할 수 있도록 케이스 결합홈(43)과 케이스 결합돌기(44)가 형성되며, 양단 외측면에는 케이스 위치고정홈(45)이 형성되는 케이스(40)와,
    상기 간격유지홈(35)과 케이스 간격유지홈(42)에 일부가 각각 지지되면서 상기 보호 부재(30)와 케이스(40) 사이에 공간(S)이 형성되는 간격유지봉(50)들과,
    상기 케이스(40)의 양측 끝단에 형성되는 케이스 위치고정홈(45)에 돌출형성되는 커버 결합돌기(61)들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공간(S)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간격을 두고 외부와 연통하는 커버 통로(62)가 형성되는 커버(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40)는 외부 케이스(46a)와 내부 케이스(46b)의 이중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케이스(46b)의 내면과 양단 외측면에는 상기 간격유지홈(35)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케이스 간격유지홈(42)들과 케이스 위치고정홈(45)이 형성되며, 상기 외부 케이스(46a)의 내면 상부 중앙과 내부 케이스(46b)의 외면 상부 중앙에는 케이스 연결바(47)가 연결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연결바(47)를 중심으로 외부 케이스(46a)의 내면과 내부 케이스(46b)의 외면에 내부통로(4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선분기고리(12)에 고무재질로 형성되면서 일측이 절개되는 단자고정구(72)가 간격을 두고 장착되고, 상기 단자고정구(72)와 단자고정구(72)의 사이에는 상부 일부가 절개되어 활선분기고리(12)에 끼움 삽입장착되는 단자(74)가 장착되며, 상기 단자(74)의 외면에는 탄성을 가지며 하부가 개방되는 단자고정커버(76)가 끼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20100069226A 2010-07-16 2010-07-16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989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226A KR100989443B1 (ko) 2010-07-16 2010-07-16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226A KR100989443B1 (ko) 2010-07-16 2010-07-16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9443B1 true KR100989443B1 (ko) 2010-10-26

Family

ID=4313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226A KR100989443B1 (ko) 2010-07-16 2010-07-16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944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35B1 (ko) 2011-02-23 2011-05-11 (주)광일 배전용 주상변압기의 활선분기고리용 안전장치
KR101080971B1 (ko) 2011-08-12 2011-11-09 (주)청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777115B1 (ko) 2017-03-31 2017-09-11 (주)광진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66B1 (ko) 2006-09-15 2006-12-11 주식회사 세종전력기술단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성분기 고리용 안전장치
KR100825228B1 (ko) 2008-02-04 2008-04-25 견금자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0444024Y1 (ko) 2009-01-16 2009-04-03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963319B1 (ko) 2010-01-08 2010-06-11 김동조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266B1 (ko) 2006-09-15 2006-12-11 주식회사 세종전력기술단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성분기 고리용 안전장치
KR100825228B1 (ko) 2008-02-04 2008-04-25 견금자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0444024Y1 (ko) 2009-01-16 2009-04-03 주식회사 세홍이엔씨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963319B1 (ko) 2010-01-08 2010-06-11 김동조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3535B1 (ko) 2011-02-23 2011-05-11 (주)광일 배전용 주상변압기의 활선분기고리용 안전장치
KR101080971B1 (ko) 2011-08-12 2011-11-09 (주)청운엔지니어링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777115B1 (ko) 2017-03-31 2017-09-11 (주)광진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3319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160677B1 (ko) 배전선로 활선 작업용 절연 커버
KR100677649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KR100989443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19366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986307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2020819B1 (ko) 개폐 체결구조를 갖는 절연커버
KR100722290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80971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1467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60974B1 (ko) 주상 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457154B1 (ko) 지중매설용 고압선지지대
KR100835577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170006498A (ko) 컷아웃 스위치
KR101178177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200444024Y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CN110911137A (zh) 一种可带电作业的电压互感器防护罩及绝缘夹具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KR100825228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781116B1 (ko) 피뢰기 장착 컷 아웃 스위치
KR100865495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분기 고리 안전장치
KR101150438B1 (ko)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815933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보호장치
KR101618802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20180033023A (ko)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