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3023A -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3023A
KR20180033023A KR1020160122514A KR20160122514A KR20180033023A KR 20180033023 A KR20180033023 A KR 20180033023A KR 1020160122514 A KR1020160122514 A KR 1020160122514A KR 20160122514 A KR20160122514 A KR 20160122514A KR 20180033023 A KR20180033023 A KR 20180033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s
main body
bus bar
bus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택환
Original Assignee
송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택환 filed Critical 송택환
Priority to KR1020160122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3023A/ko
Publication of KR20180033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02G5/08Connection boxe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2Open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Abstract

고압 전류가 통전되는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가 개시된다. 절연커버는,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를 덮는 본체부, 본체부의 각 일측에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들이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개구를 구비하며 제1개구의 크기가 상기 부스바들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 입구부, 및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부스바들의 단면의 모양에 대응되는 모양의 제2개구를 구비하여 제2개구를 관통하는 부스바를 실링하는 보조커버부를 구비한다. 다양한 크기의 부스바에 대해 적용 가능한 절연커버를 제작함으로써 모델별 제작에 따른 제작비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Description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Insulation Cover for enclosing area that Bus Bar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본 발명은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 실 내의 각종 설비들에 전력을 분배하는 수배전반 등과 같은 전기설비에 채용되는 부스바들간의 연결 부위에 아크 방전 등을 차단하기 위해 설치되는 부스바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공장이나 큰 건물 등에는 외부의 한전 선로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전류를 공급받나 실 내의 각종 설비에 분배하여 공급하기 위한 수배전반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배전반 주변에 흐르는 전류는 수천 볼트 정도의 고전압으로서, 두께 수 밀리미터, 폭 수 센티미터의 강철 바아 형상으로 제조되는 부스바(Bus Bar)를 통해 통전되어 원하는 지점으로 전송된다. 부스바를 통해 필요한 부위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부스바를 상호 연결하여 방향을 전환하거나 전류공급 선로를 연장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수천 볼트의 고전압을 공급하는 부스바들 간의 연결 부위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
부스바의 연결 부위는 통상적으로 볼트와 너트로 체결되어 강하게 결합되나, 오랜 시간 사용됨에 따라 체결 부위의 체결도 변형 등의 원인으로 인해 체결 부위에서 스파크가 발생하거나 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외부 설비 및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부스바의 연결부위에는 통상적으로 절연커버가 씌워진다.
도 1 은 종래의 부스바 및 그 절연커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 는 도 1 에서 절연커버가 부스바 연결부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띠 형상의 제1부스바(11)와 제2부스바(12)는 그 단부가 일정 길이로 중첩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13)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상호 연결되며, 이 연결 부위에는 절연커버(20)가 씌워진다. 절연커버(20)는 하나의 금형에 의해 단일의 부재로 제조되며 그 중앙 부위에 부스바들(11, 12)의 연결부위를 감싸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그 양 단부에는 부스바(11, 12)가 각각 관통하는 개구(21, 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연커버(20)는 부스바들(11, 12)의 연결 부위를 감싼 후 감싼 상태로 체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24)이 체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절연커버(2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절연커버(20)에 형성된 개구(21, 22)는 부스바(11, 12)의 단면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만약 개구(21, 22)의 크기가 부스바(11, 12)의 크기보다 작다면 부스바(11, 12)를 감싸는 절연커버(20)로 사용할 수가 없다. 반면에 개구(21, 22)의 크기가 부스바(11, 12)의 크기보다 큰 경우 절연커버(20)는 부스바(11, 12)를 기밀적으로 밀폐하지 못하게 되며, 이에 따라 부스바(11, 12)들간의 연결 부위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경우 스파크가 개구(21, 22)를 통해 외부로 누설될 수가 있다. 스파크가 외부로 누설되면 외부 설비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에 위해를 가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개구(21, 22)의 모양은 체결될 부스바(11, 12)의 단면의 모양과 일치되도록 제작되어야 하는데, 이는 다양한 폭이나 두께로 제작되는 부스바(11, 12)의 각 모델별로 각기 다른 모델의 절연커버(20)가 제작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기존의 절연커버는 PVC 소재를 이용하여 디핑(dipping) 방식(금형을 예열한 뒤 액상 PVC 배합물에 담궜다가 빼면 금형 외면에 PVC 가 코팅되고, 이를 숙성 후 냉각시키고 절단 및 트리밍 과정을 거치는 방식)을 통해 제작되었는데, 최근에는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는 방식이 시도되고 있다. 실리콘 재질의 절연커버는 PVC에 비하여 난연성이 우수하고 절연성이 좋다는 장점이 있어 차세대 절연커버 재질로 주목받고 있다. 그런데 절연커버를 실리콘으로 제작할 경우 프레스 금형을 통해 사출하여야 하는데, 이는 기존의 디핑 방식에 비해 그 제작비가 고가임을 의미한다. 즉, 기존의 PVC 소재로 디핑 방식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모델의 절연커버(20)를 제작하는 데에 추가의 제작비의 증가가 크지 않으나, 프레스 금형으로 실리콘 재질로 제작할 경우에는 모델별로 절연커버용 프레스 금형을 제작하는 것은 상당한 제작비의 증가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제작비 증가를 최소화하면서도 다양한 모델의 부스바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크기의 부스바에 대해 적용 가능한 절연커버를 제작함으로써 모델별 제작에 따른 제작비의 증가가 최소화되는 부스바용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절연커버는, 고압 전류가 통전되는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며,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를 덮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각 일측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들이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개구의 크기가 상기 부스바들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 입구부; 및 상기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부스바들의 상기 단면의 모양에 대응되는 모양의 제2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2개구를 관통하는 상기 부스바를 실링하는 보조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조커버부와 상기 본체부간의 결합 상태에서 상호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이 추가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보조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요부와 다른 하나에 형성된 철부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크기의 부스바에 대해 적용 가능한 절연커버를 제작함으로써 모델별 제작에 따른 제작비의 증가가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 은 종래의 부스바 및 그 절연커버를 도시한 도면.
도 2 는 도 1 에서 절연커버가 부스바 연결부위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절연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 는 도 3 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부스바 절연커버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 는 도 3 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고압 전류가 통전되는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용 절연커버의 구조를 제시하며, 절연커버(30)는 본체부(36), 입구부(31, 32, 33), 및 보조커버(61, 62, 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36)는 부스바들(91, 92) 간의 연결부위를 덮는 부분으로서, 그 중앙 부위가 두 개의 부스바(91, 92)가 덧대어진 상태에서 볼트 등에 의해 체결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공간을 그 내부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체부(36)에 의해 부스바들(91, 92)의 체결 부위가 절연체에 의해 씌워져 보호된다.
본체부(36)에는 세 개의 입구부(31, 32, 33)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부(31, 32, 33)는 본체부(36)의 각 일측에 본체부(36)와 일체로 형성되며, 부스바(91, 92)들이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개구(51, 52, 53)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제1개구(51, 52, 53)의 크기는 부스바들(91, 92)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부스바가 T자 형으로 접속되는 데에 사용되는 절연커버(30)를 예시하며, 따라서 하나의 긴 부스바(91)가 두 입구부(31, 32)를 관통하여 본체부(36)를 지나가고, 다른 하나의 부스바(92)가 다른 입구부(33)를 관통하여 본체부(36) 내로 인입되어 그 단부가 두 입구부(31, 32) 사이 지점에서 긴 부스바(91)에 체결되어 T자 형태로 연결된다.
세 개의 보조커버(61, 62, 63)는 각각 세 개의 입구부(31, 32, 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조커버(61, 62, 63)가 각 입구부(31, 32, 33)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호 분리가 방지될 수 있도록, 입구부(31, 32, 33)의 외주면에는 리브 형태의 철부(41, 42, 43)가 형성되어 있고 보조커버(61, 62, 63)의 내주면에는 철부(41, 42, 43)에 대응되는 요부(71, 72, 7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반대로, 입구부의 외주면에 요부가 형성되고 보조커버의 내주면에 철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보조커버(61, 62, 63)가 입구부(31, 32, 33)에 삽입 결합되면 요부(71, 72, 73)와 철부(41, 42, 43)가 상호 결합되어 입구부(31, 32, 33)에 보조커버(61, 62, 63)가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며,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외력을 가하면 이 둘이 분리된다.
보조커버(61, 62, 63)는 부스바들(91, 92)의 단면의 모양에 대응되는 모양의 제2개구(81, 82, 83)를 구비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제2개구(81, 82)는 부스바(91)의 단면에 대응되는 모양을 구비하며, 1개의 제2개구(83)는 부스바(92)의 단면에 대응되는 모양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2개구(83)는 도 4 와 같은 상태에서 부스바(91, 92)의 판면에 밀착되어 기밀적으로 본체부(36)의 내부와 외부 공간을 구획하여 밀폐한다. 따라서, 부스바들(91, 92) 사이의 체결 부위에서 발생하는 스파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부스바들(91, 92)을 기밀적으로 실링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본체부(36)와 보조커버(61, 62, 63)가 별도의 부재로 제작되어 결합되므로,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부스바들에 모두 부합되도록 본체부(36)를 다양하게 제작할 필요가 없고 보조커버(61, 62, 63)만을 다양한 모델로 만들면 된다. 따라서 본체부(36)를 포함하는 전체 절연커버에 대해 모든 모델별로 제작할 필요가 없고, 본체부(36)는 부스바들의 연결 상태에 따라 1자형, L자형, T자형 등과 같이 몇 가지 모델로 제작하기만 하면 된다. 보조커버(61, 62, 63) 또한 부스바의 크기별로 몇 개의 금형만 제작하면 되고, 이러한 몇 가지 모델의 본체부(36)와 몇 가지 모델의 보조커버(61, 62, 63)의 조합에 의해 매우 다양한 상황에 대해 적용 가능한 절연커버로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PVC 가 아닌 실리콘 재질로 제작할 경우 금형의 개수 증가가 제작비의 현저한 증가를 수반하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금형의 개수 증가에 따른 제작비의 증가가 최소화된다.
나아가, PVC 로 제작되는 도 1 및 2 의 종래기술에서는 디핑 방식으로 절연커버가 제작되므로 절연커버를 부스바들의 연결 부위에 고정시키기 위해 별도의 핀이 필요하였지만, 실리콘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핀을 별도 부재로 제작하지 않더라도 본체부(36) 자체의 사출 성형시 핀 부분을 본체부(36)와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가능함을 고려할 때, PVC 로 제작하는 방식에 비해 핀 제작용 금형의 불필요로 인해 실질적으로는 제작비 증가가 거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난연성과 절연성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로 사출 성형하는 방식을 채용하면서도 기존의 PVC 디핑 방식에 비해 제작비 증가가 거의 없어 낮은 가격의 고성능 절연커버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

  1. 고압 전류가 통전되는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로서,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를 덮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각 일측에 상기 본체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부스바들이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개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1개구의 크기가 상기 부스바들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도록 형성된 입구부; 및
    상기 입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부스바들의 상기 단면의 모양에 대응되는 모양의 제2개구를 구비하여 상기 제2개구를 관통하는 상기 부스바를 실링하는 보조커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절연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부와 상기 본체부간의 결합 상태에서 상호 분리를 방지하도록 상호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절연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본체부와 상기 보조커버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요부와 다른 하나에 형성된 철부의 결합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절연 커버.
KR1020160122514A 2016-09-23 2016-09-23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KR201800330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514A KR20180033023A (ko) 2016-09-23 2016-09-23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514A KR20180033023A (ko) 2016-09-23 2016-09-23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023A true KR20180033023A (ko) 2018-04-02

Family

ID=61976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514A KR20180033023A (ko) 2016-09-23 2016-09-23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302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85A (ko)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버스바 노출 방지캡 및 그것을 적용한 버스바
KR20230152502A (ko)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모듈형 부스바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395Y1 (ko) * 2002-10-31 2003-02-06 한국전력공사 인입선보호용 보호커버
KR20030026523A (ko) * 2001-09-26 2003-04-03 주성곤 배전반의 모선 연결부 절연커버
KR20040021973A (ko) * 2002-09-06 2004-03-11 주식회사 제씨콤 슬리브 커버
KR20130133634A (ko) * 2012-05-29 2013-12-09 최영수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523A (ko) * 2001-09-26 2003-04-03 주성곤 배전반의 모선 연결부 절연커버
KR20040021973A (ko) * 2002-09-06 2004-03-11 주식회사 제씨콤 슬리브 커버
KR200303395Y1 (ko) * 2002-10-31 2003-02-06 한국전력공사 인입선보호용 보호커버
KR20130133634A (ko) * 2012-05-29 2013-12-09 최영수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4585A (ko) 2019-02-27 2020-09-04 에이치엘그린파워 주식회사 버스바 노출 방지캡 및 그것을 적용한 버스바
KR20230152502A (ko) 2022-04-27 2023-11-03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모듈형 부스바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04276A (en) Through-bolt joint for bus duct
KR20100031077A (ko) 전기 버스웨이 플랜지 단부 스터브
KR20180033023A (ko)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US2356006A (en) Bus bar supporting clamp
JPWO2004055954A1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KR20170029877A (ko) 부스바용 도어형 절연블록
KR101794232B1 (ko) 확장형 조립 부스바
US9667041B2 (e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KR200331163Y1 (ko) 배전반
KR101752301B1 (ko) 차단기의 절연 배리어 조립 구조
KR100888541B1 (ko)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용 개폐기 및 차단기의개폐차단부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US2934660A (en) Bus bar mounting arrangement
KR102165636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KR101729688B1 (ko)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US2267006A (en) Multiple cable connection
US20170125992A1 (en) Power Terminal Enclosure for Power Conductors
KR100752235B1 (ko) 부스바의 적층식 절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100989443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036147B1 (ko) 개폐차단기의 개폐차단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개폐차단기
KR100759291B1 (ko) 배전용 주상변압기 활선 분기고리
KR100857253B1 (ko)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KR101014205B1 (ko) 진공차단기의 크래들
US2246904A (en) Insulator including clamping means for supporting high potential conductors
US2795766A (en) Terminal construction for circuit br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