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232B1 - 확장형 조립 부스바 - Google Patents

확장형 조립 부스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232B1
KR101794232B1 KR1020170109954A KR20170109954A KR101794232B1 KR 101794232 B1 KR101794232 B1 KR 101794232B1 KR 1020170109954 A KR1020170109954 A KR 1020170109954A KR 20170109954 A KR20170109954 A KR 20170109954A KR 101794232 B1 KR101794232 B1 KR 101794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bar module
insulating body
module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찬
김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엠티
Priority to KR102017010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2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232B1/ko
Priority to PCT/KR2018/000196 priority patent/WO201904519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절연몸체(12), 제1절연몸체(1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1부스바(14), 제1절연몸체(12)의 좌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1입력단(13), 제1절연몸제(12)의 우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1출력단(15), 제1절연몸체(12)의 하측 부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연결단(16)이 구비되는 제1부스바모듈(10); 제2절연몸체(22), 제2절연몸체(22)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2부스바(24), 제2절연몸체(22)의 상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단(23), 제2절연몸체(22)의 하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2출력단(25)이 구비되어, 제2입력단(23) 부위가 제1연결바(1)에 의해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연결단(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부스바모듈(20); 제2절연몸체(32), 제3절연몸체(3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3부스바(34), 제3절연몸체(32)의 상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3입력단(33), 제3절연몸제(32)의 하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3출력단(35), 제3절연몸체(32)의 측면 부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연결단(36)이 구비되어, 제3입력단(33) 부위가 제2연결바(2)에 의해 제2부스바모듈(20)의 제2출력단(25) 부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부스바모듈(30);을 포함하는 확장형 조립 부스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확장형 조립 부스바{Expandable busbar assembly}
본 발명은 부스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부스바에 대한 완전한 절연이 가능하여 감전이나 단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간단한 조립으로 인해 임의 확장이 가능하며, 설치가 완료된 이후 그 유지 관리가 매우 용이한 조립 부스바에 관한 것이다.
수배전반은 발전소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거나 개폐하는 장치로서, 이에는 다양한 차단기들을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복수 개의 부스바(bus-bar)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부스바는 송전에 따른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순동을 사용하여 소정규격으로 압출 성형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순동으로 제작되는 부스바는 전기 전도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절연물질로 피복되지 않은 부스바의 표면이 그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면, 수배전반을 보수하거나 점검하는 작업자에게 매우 치명적인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부스바의 설치시 부스바에 대한 적절한 절연 작업은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하지만, 전기적인 연결이 필요한 부스바의 양단 부위는 절연 작업 자체를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고전압 또는 불안정한 전력공급으로 인한 강한 스파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해당 부스바에는 강한 충격이 전달되어 부스바가 파손되거나 단락이 발생하는 문제가 종종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방편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33720호와 같이 단자가 절연체에 의해 밀폐되어 부스바와 연결할 수 있는 커넥터 결합형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넥터들은 부스바 단부와의 연결을 위한 별도의 부품으로 기능할 뿐 부스바 자체의 절연 여부와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어 부스바 설비의 운용에 따른 안전사고 위험성은 여전히 존재한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7-00337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58725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93239호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전이나 단락에 의한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전혀 없을 뿐 아니라 확장성이 뛰어나고 시공이나 보수가 매우 용이하며, 별도의 추가적인 지지 절연체 없이도 시공이 가능한 부스바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좌측 및 우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는 제1절연몸체(12), 제1절연몸체(1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1부스바(14), 제1절연몸체(12)의 좌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1입력단(13), 제1절연몸제(12)의 우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1출력단(15), 제1절연몸체(12)의 하측 부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연결단(16)이 구비되는 제1부스바모듈(10);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 및 하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는 제2절연몸체(22), 제2절연몸체(22)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2부스바(24), 제2절연몸체(22)의 상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단(23), 제2절연몸체(22)의 하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2출력단(25)이 구비되어, 제2입력단(23) 부위가 제1연결바(1)에 의해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연결단(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부스바모듈(20);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 및 하측 부위 그리고 측면 부위가 개구되는 제3절연몸체(32), 제3절연몸체(3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3부스바(34), 제3절연몸체(32)의 상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3입력단(33), 제3절연몸제(32)의 하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3출력단(35), 제3절연몸체(32)의 측면 부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연결단(36)이 구비되어, 제3입력단(33) 부위가 제2연결바(2)에 의해 제2부스바모듈(20)의 제2출력단(25) 부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부스바모듈(30);을 포함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부스바모듈(1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제1부스바모듈(10) 사이에는 좌측 및 우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는 제4절연몸체(42)와 제4절연몸체(42)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4부스바(44)와 제4절연몸체(42)의 좌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4입력단(43)과 제4절연몸제(42)의 우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4출력단(45)이 구비되는 제4부스바모듈(40)이 매개되되, 제4부스바모듈(4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입력단(15)과 제4부스바모듈(4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입력단(13) 각각은 제3연결바(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부스바모듈(20)의 제2절연몸체(22)는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부스바(24)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절연몸체(2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절연몸체(12) 상측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단(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2, 3, 4절연몸체(12, 22, 32, 42)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 3, 4입력단(13, 23, 33, 43) 및 제1 2, 3, 4출력단(15, 25, 35, 45), 그리고 제1절연몸체(12) 및 제3절연몸체(32)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연결단(16, 18) 및 제3연결단(3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안전캡(11)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스바의 양단 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절연몸체에 내장된 단위 부스바모듈을 구성하되 이들 상호 간을 절연이 유지된 상태로 조립하여 확장할 수 있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현장 상황에 따라 용량의 임의 확장이 가능할 뿐 아니라 부스바에 대한 별도의 지지 절연체가 없이도 시공이 가능하며, 설치 과정이나 설치가 완료된 이후 운용 중에 감전이나 단락에 의한 안전사고 발생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바에 의해 복수 개의 부스바모듈이 다단으로 조립되어 확장되는 구성이기 때문에, 설비 운용 중에 배전반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고 조립된 복수 개의 부스바모듈 중에서 문제가 있는 모듈만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조립 부스바로 이루어지는 수배전반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부스바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
도 3a 및 도 3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부스바에 있어 제1부스바모듈의 개략적인 외관 및 분해 구성도.
도 4a 내지 도 4c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부스바에 있어 제2부스바모듈의 개략적인 외관 및 평면, 전면 구성도.
도 5a 및 도 5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부스바에 있어 제3부스바모듈의개략적인 외관 및 분해 구성도.
도 6a 및 도 6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부스바에 있어 제4부스바모듈의개략적인 외관 및 측면 구성도.
도 7a 및 도 7b 각각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부스바에 있어 연장모듈의 개략적인 외관 구성도.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조립 부스바로 이루어지는 수배전반의 개략적인 일부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 부스바의 개략적인 결합구성도이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수배전반을 이루는 부스바로서, 제1, 2, 3부스바모듈(10, 20, 30) 각각의 조립으로 이루어져 임의로 확장 가능한 부스바를 제안함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 이들 각각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제1부스바모듈(10)은 전력을 공급받아 분배하는 수단으로 본 발명에 있어 메인부스바모듈로 기능하며, 도 3a 및 도 3b 각각과 같이 제1절연몸체(12), 제1부스바(14), 제1입력단(13) 및 제1출력단(15), 그리고 제1연결단(1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절연몸체(12)는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좌측 및 우측 부위 각각이 개구된다. 제1절연몸체(12)는 도면과 같이 좌우 한 쌍으로 분리된 상태로 체결볼트(124)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좌측 및 우측은 상대적인 개념이다.
도면부호 122는 제1절연몸체(12)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관통홈이며, 도면부호 126은 제1절연몸체(12) 밀폐캡이다. 체결볼트(124)의 헤드 부분이 밀폐캡(126)에 의해 제1절연몸체(12)의 표면으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체결볼트를 통한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밀폐캡은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치나 점검의 용이함을 위해 각 라인 별로 별도의 색상을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부스바(14)는 제1절연몸체(1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된다. 이때, 제1부스바(14)의 양단 부위는 도면과 같이 제1절연몸체(12) 양측 부위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점검이나 교체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면부호 144는 체결볼트(124)와의 결합을 위한 홀이다.
제1입력단(13)은 제1절연몸체(12)의 좌측 개구부에 마련되며, 제1출력단(15)은 제1절연몸제(12)의 우측 개구부에 마련된다. 여기에서 제1입, 출력단(13, 15) 각각은 제1절연몸체(12)에 내장되는 제1부스바(14)의 좌측 및 우측 부위 각각을 통해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다는 의미이다.
제1연결단(16)은 제1절연몸체(12)의 하측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며, 본 발명은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절연몸체(12) 상측 부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단(18)이 마련되는 경우도 배제하지 않는다. 제1, 2연결단(16) 각각은 출력단으로 기능하며, 제2연결단 역시 후술할 별도의 연결바에 매개되어 제2, 3부스바모듈(20, 30) 각각과 연결될 수 있다.
제2부스바모듈(20)은 제1부스바모듈(10)을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도 4a 내지 도 4c 각각과 같이 제1부스바모듈(10)과 유사하게 제2절연몸체(22) 및 제2부스바(24)로 이루어진다. 제2절연몸체(22)는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 및 하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며, 제2부스바(24)는 제2절연몸체(22)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된다. 제2부스바(24)의 고정 방법은 제1부스바(14)와 대동소이하다.
제2부스바(24)의 양단 부위 역시 제2절연몸체(22) 양측 부위를 통해 노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절연몸체(22)의 상측 개구부에는 제2입력단(23)이 마련되고, 제2절연몸체(22)의 하측 개구부에는 제2출력단(25)이 마련된다. 도면부호 224 및 226 각각은 체결볼트 및 밀폐캡이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부스바(24)에도 체결볼트(124)와의 결합을 위한 홀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제1부스바모듈(10)과 제2부스바모듈(20) 상호 간은 도 2와 같이 제1연결바(1)에 매개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연결바(1)의 일단 부위를 제2부스바모듈(20)의 제2입력단(23)에 삽입하여 제2부스바(24)와 연결하고, 제1연결바(1)의 타단 부위를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연결단(16)에 삽입하여 제1부스바(14)와 연결한다. 도면부호 6은 체결볼트(124, 224) 각각과의 결합을 위해 제1연결바(1)에 형성되는 홀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제2부스바모듈(20)이 도면과 같이 수직으로 절곡되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럴 경우, 제2절연몸체(22)가 수직으로 절곡되며, 제2부스바(24) 역시 수직으로 절곡되어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통되어 있는 제2절연몸체(2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된다. 제2부스바모듈이 수직으로 절곡되면, 도 1과 같이 한정된 공간 내에서 보다 많은 부스바모듈들이 층을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제3부스바모듈(30)은 제2부스바모듈(20)을 통해 전달되는 전력을 분배하거나 다시 전달하는 수단으로, 도 5a 내지 도 5b 각각과 같이 제3절연몸체(32) 및 제3부스바(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3절연몸체(32)는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 및 하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며, 제3부스바(34)는 제3절연몸체(32)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된다. 제3부스바(34)의 고정 방법은 제1부스바(14)와 대동소이하다.
제3부스바(34)의 양단 부위도 제3절연몸체(32) 상측 및 하측 부위 각각을 통해 노출되지 않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절연몸체(32)의 상측 개구부에는 제3입력단(33)이 마련되고, 제3절연몸체(32)의 하측 개구부에는 제3출력단(35)이 마련된다. 도면부호 322, 324, 326 각각은 관통홈, 체결볼트, 밀폐캡이다. 또한, 도면부호 344는 체결볼트(324)와의 결합을 위한 홀이며,
제2부스바모듈(20)과 제3부스바모듈(30) 상호 간은 도 2와 같이 제2연결바(2)에 매개되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연결바(2)의 일단 부위를 제2부스바모듈(20)의 제2출력단(25)에 삽입하여 제2부스바(24)와 연결하고, 제2연결바(2)의 타단 부위를 제3부스바모듈(30)의 제3입력단(33)에 삽입하여 제3부스바(34)와 연결한다.
한편, 제3부스바모듈(30)에 있어 제3절연몸체(32)는 상측 및 하측 부위 뿐 아니라 그 측면 부위도 개구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제3절연몸체(32)의 측면 부위에는 제3연결단(36)이 마련된다. 도면에는 제3연결단이 좌우 측면 각각에 동시에 형성되는 경우가 개시되어 있으나(도면부호 36, 37), 이와 달리 좌측면 또는 우측면 중 어느 하나에 제3연결단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연결단(36)은 제3출력단(35)과 유사하게 출력단으로 기능하며, 도 2와 같이 제2부스바모듈(20)과 연결되지 않은 별도의 제3부스바모듈(30)이 별도 연결바(4)에 매개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부스바모듈 상호 간은 제2, 3부스바모듈 상호 간의 연결 방식과 대동소이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도면과 달리 수평 방향으로 연속 확장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도면부호 20′은 제2부스바모듈의 변형예이며, 도면부호 5는 연결바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부스바를 절연몸체에 내장하되 부스바의 양단 부위가 절연몸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감전이나 단락에 의한 사고 발생의 위험성이 전혀 없으며, 절연몸체에 내장되는 연결바를 이용하여 확장 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와 달리 부스바 설치시 부스바를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절연체가 필요하지 않다. 또한, 별도의 연결바를 통해 연속적으로 확장이 가능할 뿐 아니라 문제가 있는 모듈만을 교체하거나 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시공 및 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에는 도 1과 같이 제1부스바모듈(10)이 복수 개 중첩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인접하는 제1부스바모듈(10) 상호 간이 도 6a 및 도 6b 각각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제4부스바모듈(40)에 의해 연결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4부스바모듈(40)은, 좌측 및 우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는 제4절연몸체(42)와, 제4절연몸체(42)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4부스바(44)와, 제4절연몸체(42)의 좌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4입력단(43)과, 제4절연몸제(42)의 우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4출력단(45)을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즉, 제4부스바모듈(40)은 제3연결단(36)이 형성되지 않은 제3부스바모듈(30)과 대동소이한 구성이다.
제4부스바모듈(40)을 이용하여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위치하는 제1부스바모듈(10) 상호 간의 전기적 연결은 도 2와 같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3연결바(3) 일단 부위를 제4부스바모듈(4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출력단(15)에 삽입하여 제1부스바(14)와 연결하고, 제3연결바(3)의 타단 부위를 제4부스바모듈(40)의 제4입력단(43)에 삽입하여 제4부스바(44)와 연결한다.
그리고, 별도의 제3연결바(3)를 준비하고, 준비된 제3연결바(3) 일단 부위를 제4부스바모듈(4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입력단(13)에 삽입하여 제1부스바(14)와 연결하고, 제3연결바(3)의 타단 부위를 제4부스바모듈(40)의 제4출력단(45)에 삽입하여 제4부스바(44)와 연결한다. 이 작업이 완료되면, 제4부스바모듈(4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위치하는 제1부스바모듈(10) 상호 간은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00은 제1부스바모듈(10)의 고정스트립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2, 3, 4절연몸체(12, 22, 32, 42)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 3, 4입력단(13, 23, 33, 43) 및 제1 2, 3, 4출력단(15, 25, 35, 45), 그리고 제1절연몸체(12) 및 제3절연몸체(32)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연결단(16, 18) 및 제3연결단(3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안전캡(11)에 의해 밀폐되는 구성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있어 제1, 2, 3, 4입력단(13, 23, 33, 43) 및 제1 2, 3, 4출력단(15, 25, 35, 45), 그리고 제1, 2연결단(16, 18) 및 제3연결단(36) 각각은 부스바모듈 상호 간의 결합을 위한 부분으로, 이들 각각에는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스바가 위치한다. 때문에 현장 상황에 따라 전기적 연결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이를 안전캡으로 밀폐함으로써 안전사고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안전캡은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부호 50 및 60 각각은 연장모듈로서, 연장모듈(50, 60) 각각은 도 7a 및 도 7b 각각에 개시된 것과 같이 상하(또는 좌우) 각각이 개구된 절연몸체(52, 62)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각 부스바모듈과 달리 연장모듈(50, 60) 그 내부에 부스바가 마련되지 않으며, 도 2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 3연결바(1, 3) 각각을 감싸 부스바모듈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바 자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연장모듈을 사용하게 되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연결바를 이용하여 부스바모듈 상호 간을 결합함에 있어, 일정 간격 이상으로 각 부스바모듈을 배치해야 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부스바모듈을 층을 달리하며 설치해야 하는 경우에, 각 부스바모듈의 설치 위치를 바람직하게 조절하면서, 부스바모듈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바의 노출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 20, 30 : 제1, 2, 3부스바모듈 12, 22, 32 : 제1, 2, 3절연몸체
13, 23, 33 : 제1, 2, 3입력단 14, 24, 34 : 제1, 2, 3부스바
15, 25, 35 : 제1, 2, 3출력단 16, 18 : 제1, 2연결단
36, 37 : 제3연결단 40 : 제4부스바모듈
42 : 제4절연몸체 43 : 제4입력단
44 : 제4부스바 45 : 제4출력단

Claims (5)

  1.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좌측 및 우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는 제1절연몸체(12), 제1절연몸체(1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1부스바(14), 제1절연몸체(12)의 좌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1입력단(13), 제1절연몸제(12)의 우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1출력단(15), 제1절연몸체(12)의 하측 부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연결단(16)이 구비되는 제1부스바모듈(10);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 및 하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는 제2절연몸체(22), 제2절연몸체(22)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2부스바(24), 제2절연몸체(22)의 상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2입력단(23), 제2절연몸체(22)의 하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2출력단(25)이 구비되어, 제2입력단(23) 부위가 제1연결바(1)에 의해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연결단(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부스바모듈(20);
    내부에 일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마련되며 상측 및 하측 부위 그리고 측면 부위가 개구되는 제3절연몸체(32), 제3절연몸체(3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3부스바(34), 제3절연몸체(32)의 상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3입력단(33), 제3절연몸제(32)의 하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3출력단(35), 제3절연몸체(32)의 측면 부위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3연결단(36)이 구비되어, 제3입력단(33) 부위가 제2연결바(2)에 의해 제2부스바모듈(20)의 제2출력단(25) 부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부스바모듈(30);을
    포함하는 확장형 조립 부스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스바모듈(10)은 복수 개로 이루어지며, 인접하는 제1부스바모듈(10) 사이에는 좌측 및 우측 부위 각각이 개구되는 제4절연몸체(42)와 제4절연몸체(42)의 내부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제4부스바(44)와 제4절연몸체(42)의 좌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4입력단(43)과 제4절연몸제(42)의 우측 개구부에 마련되는 제4출력단(45)이 구비되는 제4부스바모듈(40)이 매개되되, 제4부스바모듈(40)의 좌측에 위치하는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입력단(15)과 제4부스바모듈(40)의 우측에 위치하는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입력단(13) 각각은 제3연결바(3)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 부스바.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스바모듈(20)의 제2절연몸체(22)는 수직으로 절곡되며, 상기 제2부스바(24)는 수직으로 절곡되어 제2절연몸체(22)의 내부 수용공간에 안치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 부스바.
  4.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스바모듈(10)의 제1절연몸체(12) 상측 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연결단(18)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 부스바.
  5.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4절연몸체(12, 22, 32, 42)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 3, 4입력단(13, 23, 33, 43) 및 제1 2, 3, 4출력단(15, 25, 35, 45), 그리고 제1절연몸체(12) 및 제3절연몸체(32) 각각에 마련되는 제1, 2연결단(16, 18) 및 제3연결단(36)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안전캡(11)에 의해 밀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형 조립 부스바.
KR1020170109954A 2017-08-30 2017-08-30 확장형 조립 부스바 KR101794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54A KR101794232B1 (ko) 2017-08-30 2017-08-30 확장형 조립 부스바
PCT/KR2018/000196 WO2019045197A1 (ko) 2017-08-30 2018-01-04 확장형 조립 부스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9954A KR101794232B1 (ko) 2017-08-30 2017-08-30 확장형 조립 부스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4232B1 true KR101794232B1 (ko) 2017-11-06

Family

ID=60384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9954A KR101794232B1 (ko) 2017-08-30 2017-08-30 확장형 조립 부스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94232B1 (ko)
WO (1) WO20190451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956B1 (ko) * 2021-03-22 2021-09-01 주식회사 비엠티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73885B (zh) * 2018-08-16 2020-04-2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可用于带电更换的端子箱
CN109903888A (zh) * 2019-04-16 2019-06-18 江苏金奕达铜业股份有限公司 一种u型铜排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1069B2 (ja) 2006-02-10 2012-07-18 アレヴァ・エンセ 大電流および高周波数で電気を輸送するため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2921Y1 (ko) * 2006-04-11 2006-08-02 한양전공주식회사 버스바 연결용 커넥터
KR100814932B1 (ko) * 2006-09-12 2008-03-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버스바조립체
KR101077714B1 (ko) * 2009-10-26 2011-10-27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버스바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21697A (ko) * 2015-08-18 2017-02-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용 버스바조립체
KR20170033720A (ko) * 2015-09-17 2017-03-27 주식회사 피닉스 부스바용 포크형 커넥터 및 이와 결합된 절연결합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1069B2 (ja) 2006-02-10 2012-07-18 アレヴァ・エンセ 大電流および高周波数で電気を輸送するための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5956B1 (ko) * 2021-03-22 2021-09-01 주식회사 비엠티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45197A1 (ko)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4232B1 (ko) 확장형 조립 부스바
EP0065634B1 (en)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JP4971267B2 (ja) スイッチギアの母線接続装置
KR101293956B1 (ko) 차량용 고전압 조인트 박스
EP0180959B1 (en) Metalclad switchgear
US10177549B2 (en) Interconnection and insulation module for busbars
CN101142650A (zh) 带熔断器的可切换配电块
JPWO2004055954A1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CN112701651B (zh) 一种电气设备及其电缆连接端子排
KR20200120455A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설비
CN104934916A (zh) 一种连接导体、母线连接结构及用于gis设备中的可拆卸母线
CA1053302A (en) Enclosed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fuse assembly
US4677525A (en) Gas-insulated switchgear
US20180287317A1 (en) Power Bus Connection System with Fusible Conductive Material
KR101013587B1 (ko) 절연단자소켓 및 절연단자소켓을 구비한 배전반
CN203942236U (zh) 电气接线箱
CN103311707A (zh) 一种低压密集型母线槽接头插接结构
EP2495833A1 (en) Solid insulated busbar arrangement, especially for medium voltage switchgear
KR20170107688A (ko) 에너지 저장 모듈용 연결 구조체
KR101013585B1 (ko) 절연모선 및 절연모선을 구비한 배전반
KR100857253B1 (ko)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US10553739B1 (en) Photovoltaic in line fuse connector assembly having an integral fuse
KR20180033023A (ko)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KR100763001B1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KR101036147B1 (ko) 개폐차단기의 개폐차단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개폐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