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077A - 전기 버스웨이 플랜지 단부 스터브 - Google Patents

전기 버스웨이 플랜지 단부 스터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077A
KR20100031077A KR1020090085154A KR20090085154A KR20100031077A KR 20100031077 A KR20100031077 A KR 20100031077A KR 1020090085154 A KR1020090085154 A KR 1020090085154A KR 20090085154 A KR20090085154 A KR 20090085154A KR 20100031077 A KR20100031077 A KR 20100031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joint side
side plate
tab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쿨딥 쿠마 바티자
제퍼리 린 콕스
스티븐 잉글리시 리차드
Original Assignee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filed Critical 제너럴 일렉트릭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00031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6Rails or bus-bar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rete connecting locations for counter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10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Bus-Ba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전기 버스웨이 시스템(20)용 플랜지 단부 스터브(32)가 제공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32)는 제 1 표면(42)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1 탭(48) 및 제 2 탭(82)을 갖는 플랜지 플레이트(36)를 포함한다. 한 쌍의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는 제 1 탭(48) 및 제 2 탭(72)에 결합되며, 하나 이상의 도체(38)는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 중간의 플랜지 플레이트(36)를 통과하여 연장한다. 제 1 브래킷(80) 및 제 2 브래킷(82)은 도체(38)의 어느 한 측면 상의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 중간에서 결합된다. 커버(88, 90)는 제 1 브래킷(80) 및 제 2 브래킷(82)에 장착되고, 도체(38) 및 부착된 임의의 조인트 조립체(30) 위로 연장한다. 커버(88, 90) 및 브래킷(80, 82)은 협력하여 진입 보호(ingress protection)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기 버스웨이 플랜지 단부 스터브{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본 발명은 전기 버스웨이 시스템(electrical busway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stub connector)를 사용하여 전기 버스웨이를 장비에 결합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다란 전기 분배 버스웨이로도 알려진 전기 버스웨이는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전기 버스웨이 하우징 시스템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전기 절연된 전도성 버스바아(busbar)가 하우징에 고정된 상태로 단부 대 단부로 연결된 다수개의 관(tract)으로 구성되고, 시스템은 버스 바아를 통해 단부 대 단부로 전기를 전도할 수 있다. 버스바아는 또한 버스바아의 길이를 따르는 임의의 지점에서 전력 탭-오프(tap-off)를 가능하게 하도록 적용된다. 그러한 버스바아는 종종 머리 위에 제공되며, 벽 또는 바닥을 따라 제공될 수 있으며, 다양한 테이크-오프(take-off) 장치를 통해 전기를 장비, 기구, 조명 물품 또는 작동하기 위해 전기 에너지원을 필요로 하는 다른 물품에 분배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집 또는 사무실 환경에 설치될 때, 버스바아는 조명 및/또는 전기 소켓이 전기 버스웨이를 따라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공장 또는 다른 산업 응용에 설치될 때, 전기 소켓, 조명 또는 다른 산업 장치는 버스웨이로부터 전류를 얻기 위해 버스웨이 상에, 버스웨이 근처에 또는 버스웨이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버스웨이 관의 섹션은 함께 결합되어 전력 분배용의 긴 도관(run)을 형성할 수 있으며, 그러한 섹션은 임의의 길이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각각 대략 2 내지 20피트 길이이다. 두 개의 20피트 섹션의 서로에 대한 결합은 예를 들어 40피트의 전기 버스바아를 제공하고, 공정은 상당한 길이의 전기 버스웨이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반복될 수 있다.
버스웨이는 또한 예를 들어 배전반 또는 개폐기와 같은 장비에 접속된다. 이 접속은 보통 플랜지 단부 스터브(flange end stub)로 불리는 중간 결합을 사용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는 버스바아가 여러 가지의 상이한 장비에 접속되게 하도록 설계된다. 이 접속은 전형적으로 하우징을 플랜지에 고정하기 위해 플랜지를 통과하는 외부 볼트를 사용하는 압출된 알루미늄 하우징을 사용한다. 알루미늄 하우징은 제 1 버스웨이에 접속하는 조인트 조립체를 일 단부에, 플랜지에 결합되는 볼트 연결부를 대향 단부에 갖는다. 불행하게도, 압출된 알루미늄 하우징은 비싸고 부스러기 재료의 양의 증가로 귀착된다.
따라서, 현재의 버스웨이 접속 시스템은 의도된 목적에 적합하지만, 당업계에는 더 가격 효율적인 방식으로 버스웨이를 결합하는 시스템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전기 버스웨이 결합용 플랜지 단부 스터브가 제공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는 평면상(planar) 부분 및 평면상 부분에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1 탭을 갖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전기 도체는 플랜지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장한다.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는 제 1 쌍의 패스너(fastener)에 의해 제 1 탭에 결합된다. 제 1 브래킷은 도체에 인접해서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에 결합된다. 제 1 절연성 커버가 제 1 브래킷에 결합된다.
전기 버스웨이 결합용의 다른 플랜지 단부 스터브가 또한 제공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는 제 1 표면 및 제 1 표면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1 탭을 갖는 제 1 플랜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 2 표면 및 제 2 표면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2 탭을 갖는 제 2 플랜지 플레이트는 제 1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에 배열된다.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는 제 1 탭에 결합된다.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는 제 2 탭에 결합된다. 도체는 제 1 플랜지 플레이트와 제 2 플랜지 플레이트 사이에서 연장한다. 패스너는 제 1 탭,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 도체,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 및 제 2 탭을 결합한다.
버스바아가 내부에 배치된 하우징을 갖는 버스웨이 시스템이 제공된다. 스플라이스 플레이트(splice plate)를 갖는 조인트 조립체는 버스바아에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스터브 단부 커넥터 조립체는 조인트 조립체에 결합된다. 스터브 단부 커넥터 조립체는 버스웨이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배열된 평면상 부분을 갖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평면상 부분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1 탭 및 제 2 탭을 포함한다. 도체는 평면상 부분을 통과하여 연장하고, 도체는 스플라이스 플레이트에 직접 결합된다.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는 제 1 탭에 결합된다.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는 제 2 탭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특징, 실시형태 및 이점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더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며, 도면 전체에 걸쳐서 유사한 부호는 유사한 부품을 나타낸다.
버스웨이 시스템(busway system)(20)은 전기 분배 시스템 내에서 전력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버스웨이(20)는 전형적으로 압출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하우징(22)을 포함하지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목적에 적합한 다른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하우징(22)은 제 1 반부(half)(24)를 제 2 반부(26)와 맞물리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하우징(22)은 복수의 버스바아(busbar)(28)를 포함하고, 버스바아(28) 각각은 별개의 전기 상(phase)을 운반한다. 개별 버스바아(28) 각각은 다른 버스바아(28)로부터 절연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버스바아(20)는 예를 들어 20 피트와 같은 표준 길이로 형성되고, 조인트 조립체(30)에 의해 다른 버스웨이와 상호연결될 수 있다. 버스웨이(20)는 전기 분배 시스템 내에서의 버스웨이(20)의 루팅(routing)을 허용하기 위해 다른 형상의 부재와 추가로 연결될 수 있다. 버스바아(28)는 전형적으로 구리로 제조되지만,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구리-피복 알루미늄과 같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목적에 적합한 임의의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전기 분배 시스템 내의 소정 위치에서, 버스웨이(20)를 예를 들어 개폐기 또는 배전반과 같은 전기 분배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분배 장비는 버스웨이(20)로부터 전력을 사용하는 하류측 부하 또는 다른 서브회로로의 전력의 이송을 허용한다. 버스웨이(20)를 분배 장비에 적용시키기 위해,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가 사용된다.
조인트 조립체(30)는 버스웨이(20)의 버스바아(28)를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 조립체(32)의 스터브 도체(34)에 전기적으로 결합한다. 조인트 조립체(30)는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플레이트(splice plate)(35)를 사용하여 버스바아(28) 및 스터브 도체(34)에 결합된다. 스터브 도체(34)는 플랜지 플레이트(36)를 통과하여 연장하고 커넥터 부분(38)에서 종지(終止)된다. 커넥터 부분(38)은 스터브 단부 커넥터를 원하는 분배 장비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편리한 결합 위치를 제공한다. 버스바아(28)와 유사하게, 개별 스터브 도체(34)는 서로로부터 그리고 다른 전기 전도성 구성요소로부터 개별 상(phase)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 커버링(40)을 포함한다.
플랜지 플레이트(36)는 버스웨이(20)의 종방향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평면상(planar) 표면(42)을 포함한다. 플랜지 플레이트(36)는 제 1 부분(44) 및 제 2 부분(46)으로 형성된다. 각 부분(44, 46)은 탭(48, 50) 및 평면상 표면(42, 43)을 각각 갖는다. 탭(48, 50)은 평면상 표면(42, 43)으로부터 연장하고, 평면상 표면(42, 43)에 실질적으로 직각이다. 플랜지 플레이트(36)는 또한 플랜지 플레이트(36)를 분배 장비에 부착하는 것을 돕는 장착 구멍(52)과 같은 다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브 도체(34)의 대향측들 상에 배열된 한 쌍의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는 탭(48, 50)에 각각 결합된다.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되는 바와 같이,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는 스터브 도체(34)를 통과하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열 에너지를 빨아들이는 히트 싱크(heat sink)로서 작동한다. 제 1 쌍의 이중 절연 볼트(62)는 탭(48)의 구멍(66) 및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의 구멍(68)을 통과하고, 그 다음에 스터브 도체(34)의 대응 구멍(70) 및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의 구멍(72)을 통과하여 연장한다. 절연 볼트(62)는 그 다음에 절연 볼트(62)가 패스너에 의해 유지되는 탭(50)의 구멍을 통과하여 연장한다. 유사하게, 제 2 쌍의 이중 절연 볼트(64)는 제 2 세트의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의 구멍(74), 스터브 도체(34)의 구멍(76) 및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의 구멍(78)을 통과하여 연장한다. 볼트(62)와 유사하게, 볼트(64)는 패스너에 의해 유지된다. 볼트(62, 64)는 스터브 도체(34)를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에 기계적으로 고정한다.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는 각각 평면상 표면(42)과 접촉하고 탭(48, 50)의 어느 한 측면 상에 배열된 한 쌍의 돌출부(58, 60)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들 돌출부는 볼트(62, 64)가 조여지는 동안 플랜지(36)와 도체(38)의 조립을 돕는 위치 특징부를 제공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는 또한 조인트 측면(54, 56)들 중간에 배열된 브래킷(80, 82)을 포함한다. 볼트(94)는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를 통과하여 연장하여 브래킷(80, 82)을 유지한다. 브래킷(80, 82)은, 볼트(92)를 받아들이고 커버(88, 90)를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에 결합하는 패스너(86)(도 3)를 수용하는 한 쌍의 돌출부(84, 85)를 포함한다. 브래킷(80, 82)은 또한 커버(88, 90)와 플랜지 플레이트(36) 사이의 갭(96)(도 2)에 있어서의 스터브 도체(34)로의 접근을 보호하는 추가 기능을 제공한다. 이것은 IEC 60529에 규정된 진입 보호(ingress protection, IP) 표준을 충족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
커버(88, 90)는 추가의 진입 보호를 제공하고, 스터브 단부 커넥터(32), 조인트 조립체(30) 및 버스웨이(20)의 단부 상의 브래킷(96)에 걸친다. 브래킷(80, 82)에 유지되는 것에 추가하여, 커버(88, 90)는 볼트(98)에 의해 버스웨이 하우징(22)에 고정된다. 일단 설치되면, 커버(88, 90) 및 브래킷(80, 82)의 조합은 IP40과 같은 진입 보호 표준을 충족시키거나 초과하기에 충분하게 조립체 내의 전기가 통하고 있는 도체로의 직접 접근을 차단한다.
적용되어 사용될 때,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는 예를 들어 개폐기와 같은 원하는 장비(도시되지 않음)에 결합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는 전형적으로 조립 상태로 설치를 위해 수용되고, 이것은 플랜지 플레이트(36), 조인 트 측면 플레이트(54, 56), 브래킷(80, 82) 및 스터브 도체(34)가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로서 함께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스터브 도체(34)는 원하는 장비 내의 대응 도체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관통 구멍(52)과 같은 추가의 패스너가 플랜지 플레이트(36)를 장비에 결합할 수 있다.
조인트 조립체(30)는 플랜지 단부 스터브 도체(34) 위로 활주되고, 버스바아(28)는 조인트 조립체(30) 안으로 활주된다. 이것은 버스바아(28)와 스터브 도체(34) 사이에 전기 접속을 형성한다. 설치 요원은 그 다음에 당업계에 알려진 바와 같이 조인트 조립체(30) 상의 볼트(100)를 조여 버스웨이(20) 및 스터브 도체(34)를 스플라이스 플레이트(35)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커버(88, 90)는 브래킷(80, 82) 및 버스웨이 하우징(22)에 고정되어 진입 보호를 제공한다.
작동 동안, 전력이 스터브 단부 커넥터 조립체(32)를 경유하여 버스웨이(20)로부터 하류측 장비로 이송된다. 전력의 이송은 본질적으로 도체의 저항으로 인해 열 에너지의 발생으로 귀착된다. 스터브 단부 커넥터 조립체(32)는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가 스터브 도체(34)에 의해 발생된 열을 흡수하도록 열적으로 결합되도록 배열된다. 이 열 에너지는 그 다음에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56)에 의해 주위로 이송되어 스터브 도체(34)를 UL(Underwriters Laboratories) 표준 857에 의해 규정된 것과 같은 바람직한 온도 범위 내로 유지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는 제조 및 조립의 이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는 비표준 압출에 대한 필요를 제거할 수 있고, 이것은 재료의 부스러기 및 비효율적인 사용을 회피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 내부에 사용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순차이송형 다이 스탬핑(progressive die stamping)과 같이 잘 알려지고 비용 효율적인 기술에 의해 제조된다.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32)는, 예를 들어 커버(88, 90) 및 절연 볼트(62, 64)와 같은 통상적인 부품을 사용하면서 상이한 장비를 수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추가의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이 행해질 수 있고 동등물이 요소를 대체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질적인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특정 상황 및 재료를 본 발명의 교시에 적용시키기 위해 많은 변경이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고려된 최상의 모드 또는 유일한 모드로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의 범위의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개시되며, 비록 특수 용어가 사용될 수 있지만, 이 특수 용어는 다르게 진술되지 않는 한 일반적이고 기술(記述)적인 의미로만 사용되고 한정의 목적이 아니며,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용어 제 1, 제 2 등의 사용은 순서나 중요도를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용어 제 1, 제 2 등은 하나의 요소를 다른 하나의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단수 용어의 사용은 양의 한정을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적어도 하나의 언급된 아이템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의 전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커버가 제거된 도 2의 플랜지 단부 스터브 커넥터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버스웨이 시스템 22 : 버스웨이 하우징
24 : 하우징 제 1 반부(half) 26 : 하우징 제 2 반부
28 : 버스바아 30 : 조인트 조립체
32 : 스터브 단부 커넥터 조립체 34 : 스터브 도체
35 : 스플라이스 플레이트 36 : 플랜지 플레이트
38 : 커넥터 부분 40 : 절연 커버링
42, 43 : 평면상 표면 44 : 플랜지 플레이트 제 1 부분
46 : 플랜지 플레이트 제 2 부분 48, 50 : 탭
52 : 장착 구멍 54, 56 :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
58, 60 : 돌출부 62, 64 : 이중 절연 볼트의 쌍
66 : 구멍[탭(48)] 68 : 구멍[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70 : 구멍[스터브 도체(34)] 72 : 구멍[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
74 : 구멍[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76 : 구멍[스터브 도체(34)] 78 : 구멍[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80, 82 : 브래킷 84, 85 : 돌출부
86 : 패스너 88, 90 : 커버
92 : 볼트(커버 대 브래킷)
94 : 볼트(조인트 측면 플레이트 대 브래킷)
96 : 버스웨이의 단부 브래킷
98 : 볼트(커버 대 버스웨이 하우징)
100 : 볼트(조인트 조립체)

Claims (10)

  1. 플랜지 단부 스터브(flange end stub)(32)에 있어서,
    평면상 부분(42) 및 상기 평면상 부분(42)에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1 탭(48)을 갖는 플랜지(36)와,
    상기 플랜지(36)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도체(34)와,
    제 1 쌍의 패스너(fastener)(62)에 의해 상기 제 1 탭(48)에 결합된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와,
    상기 도체(34)에 인접해서 상기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에 결합된 제 1 브래킷(80)과,
    상기 제 1 브래킷(80)에 결합된 제 1 커버(88)를 포함하는
    플랜지 단부 스터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36)는 상기 평면상 부분(42)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2 탭(50)을 갖고, 상기 제 2 탭(50)은 상기 제 1 탭(48)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플랜지 단부 스터브.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쌍의 패스너(62)에 의해 상기 제 2 탭(50)에 결합된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와,
    상기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와 상기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 사이에 결합된 제 2 브래킷(82)과,
    상기 제 2 브래킷(82)에 결합된 제 2 커버(90)와,
    제 1 돌출부(84)와,
    상기 제 1 브래킷(80)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하는 제 2 돌출부(8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돌출부(84) 및 상기 제 2 돌출부(85)는 상기 플랜지의 평면상 부분(42)에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돌출부(84) 및 상기 제 2 돌출부(85)는 상기 제 1 커버(88)에 결합된
    플랜지 단부 스터브.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래킷(82)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플랜지의 평면상 부분(42)에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2 커버(90)에 결합된 제 3 돌출부(84) 및 제 4 돌출부(85)와,
    상기 제 1 브래킷(80)을 상기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및 상기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에 결합하는 제 2 쌍의 패스너(94)와,
    상기 제 2 브래킷(82)을 상기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및 상기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에 결합하는 제 3 쌍의 패스너(94)를 더 포함하는
    플랜지 단부 스터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쌍의 패스너(62)는 절연 볼트인
    플랜지 단부 스터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상기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 및 상기 도체(34)를 결합하는 제 4 쌍의 패스너(64)를 더 포함하는
    플랜지 단부 스터브.
  7. 플랜지 단부 스터브에 있어서,
    제 1 표면(42) 및 상기 제 1 표면(42)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1 탭(48)을 갖는 제 1 플랜지 플레이트(44)와,
    제 2 표면(43) 및 상기 제 2 표면(43)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는 제 2 탭(50)을 갖는 제 2 플랜지 플레이트(46)로서, 상기 제 2 표면(43)은 상기 제 1 표면(42)과 실질적으로 동일 평면에 배열된, 상기 제 2 플랜지 플레이트(46)와,
    상기 제 1 탭(48)에 결합된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와,
    상기 제 2 탭(50)에 결합된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와,
    상기 제 1 플랜지 플레이트(44)와 상기 제 2 플랜지 플레이트(46) 사이에서 연장하는 도체(34)와,
    상기 제 1 탭(48), 상기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 상기 도체(34), 상기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 및 상기 제 2 탭(50)을 결합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는
    플랜지 단부 스터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와 상기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 사이에 결합된 제 1 브래킷(80)과,
    상기 제 1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4)와 상기 제 2 조인트 측면 플레이트(56) 사이에 결합된 제 2 브래킷(82)을 더 포함하는
    플랜지 단부 스터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80)은 상기 제 1 표면(42) 및 상기 제 2 표면(43)과 접촉하고,
    상기 제 2 브래킷(82)은 상기 제 1 표면(42) 및 상기 제 2 표면(43)과 접촉하는
    플랜지 단부 스터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브래킷(80)에 결합된 제 1 커버(88)와,
    상기 제 2 브래킷(82)에 결합된 제 2 커버(90)를 더 포함하는
    플랜지 단부 스터브.
KR1020090085154A 2008-09-11 2009-09-10 전기 버스웨이 플랜지 단부 스터브 KR201000310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8,680 2008-09-11
US12/208,680 US8163998B2 (en) 2008-09-11 2008-09-11 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077A true KR20100031077A (ko) 2010-03-19

Family

ID=4179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154A KR20100031077A (ko) 2008-09-11 2009-09-10 전기 버스웨이 플랜지 단부 스터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163998B2 (ko)
KR (1) KR20100031077A (ko)
CN (1) CN101673884B (ko)
CA (1) CA26775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0648B2 (en) * 2009-01-12 2010-11-09 Eaton Corporation Tap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an electrical busway and switchgea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US8177569B1 (en) * 2010-12-21 2012-05-15 Schneider Electric USA, Inc. Heat sink for a thermally efficient busway joint pack
FR2972289B1 (fr) 2011-03-01 2013-03-01 Schneider Electric Ind Sas Conducteur de courant
US8847088B2 (en) 2011-09-22 2014-09-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ver mounted handle operating mechanism with integrated interlock assembly for a busplug enclosure
KR101275333B1 (ko) 2012-03-30 2013-06-17 대한시스템즈 주식회사 입상조립에 따른 부스덕트의 수직 하중 지지장치
ITBS20120070A1 (it) * 2012-04-24 2013-10-25 Mattia Regosa Elemento conduttore per un condotto elettrico prefabbricato e metodo di adattamento della lunghezza di detto elemento conduttore
US8550830B1 (en) * 2012-06-01 2013-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three busway at its three ends
US20130327570A1 (en) * 2012-06-06 2013-12-12 Kuldeep Kumar Bhathija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different size busway sections
US8926351B2 (en) * 2012-11-20 2015-01-06 Schneider Electric USA, Inc. Busway joint pack with heat sink insert
EP2999073B1 (en) * 2014-09-18 2017-04-19 CBW S.r.l. Spacer for a junction block for busbars and junction block comprising said spacer
US9646738B2 (en) * 2015-10-02 2017-05-09 Rockwell Automation Technologies, Inc.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folded insulated sheets
US10741313B1 (en) 2019-02-06 2020-08-11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Bus bar assembly with integrated surge arrestor
US11824336B2 (en) * 2021-10-21 2023-11-21 Siemens Industry, Inc. Outdoor busway system having protected conductor s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5537A (en) * 1966-08-05 1968-01-23 Gen Electric Waterproof thru-bolt joint for joining adjacent sections of an electric power busway
US3609215A (en) * 1969-05-07 1971-09-28 Gen Electric Electric power busway with thermal expansion absorbing joints
US3647937A (en) * 1970-10-02 1972-03-07 Square D Co Weatherproof bus duct joint structure having selectively removable parts
US3639676A (en) * 1970-11-27 1972-02-01 Cutler Hammer Inc Feeder bus duct with improved housing structure
US4008365A (en) * 1975-03-03 1977-02-15 Broadhill Development Corporation Bus tray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4213003A (en) * 1978-02-15 1980-07-15 Carlson Elmer T Bus conduit electrical distribution system
US4950841A (en) * 1989-05-30 1990-08-21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ly efficient splice joint for electrical distribution busway
US5401906A (en) * 1993-05-17 1995-03-28 Square D Company Water resistant supplementary joint cover for an electrical busway
US6329598B1 (en) * 1999-08-27 2001-12-11 General Electric Company Water-resistant busway with water drainage duct
US7830648B2 (en) * 2009-01-12 2010-11-09 Eaton Corporation Tap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an electrical busway and switchgear, and system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73884A (zh) 2010-03-17
CN101673884B (zh) 2013-11-13
CA2677541A1 (en) 2010-03-11
US20100059276A1 (en) 2010-03-11
US8163998B2 (en) 2012-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63998B2 (en) Electrical busway flange end stub
US8547684B2 (en) Panelboard having a parallel feeder bars distribution
EP3010093B1 (en) Joint assembly for a busduct
US7819681B1 (en) Thermally efficient busway joint pack
US8339772B2 (en) Heat dissipation means for increasing power density in enclosed equipment
US8926351B2 (en) Busway joint pack with heat sink insert
JP5977499B2 (ja) バスバーからの熱伝達が高められた電気デバイス、バスバーからの熱伝達が高められた回路遮断器アセンブリ、及び、その回路遮断器アセンブリを組み上げるための方法
US7909663B1 (en) Modular optimized plug-in jaw
US20140185194A1 (en) Plug-in composite power distribution assembly and system including same
US20100012375A1 (en) Electrical busway and offset coupling assembly therefor
US20200194977A1 (en) Conductor for a power distribution system
US6265666B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busway having a two-piece housing
WO2005107031A1 (en) Busbar connector
US6399882B1 (en) Dual-hinged door for a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busway
US6146169A (en) Water resistant outdoor busway system
WO2021187037A1 (ja) コネクタ
US2013032757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upling different size busway sections
KR200331163Y1 (ko) 배전반
US10522991B2 (en) Compact busway for low and medium voltage
KR20110054540A (ko) 반금속 가스켓을 이용한 부스 덕트 접속부
KR100752235B1 (ko) 부스바의 적층식 절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CN112736601A (zh) 用于配电系统的导体组件
US9444230B2 (en) Power distribution assembly and header assembly therefor
KR200233194Y1 (ko) 판형 전력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