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3634A -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3634A
KR20130133634A KR1020120097621A KR20120097621A KR20130133634A KR 20130133634 A KR20130133634 A KR 20130133634A KR 1020120097621 A KR1020120097621 A KR 1020120097621A KR 20120097621 A KR20120097621 A KR 20120097621A KR 20130133634 A KR20130133634 A KR 20130133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insulation cover
fastening
bus bar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최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수 filed Critical 최영수
Publication of KR20130133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6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4Cable jun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H01R11/15Hook in the form of a screw cla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joining or terminating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01R4/34Conductive members located under head of scre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공급 모선(power bus bar)과 모선, 또는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접속(接續)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독립적으로 감싸거나, 또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접속부위를 감싸 절연(絶緣)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는,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 또는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접속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감싸 절연하도록 상단부가 막힌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
볼트 머리부 또는 너트를 수용하도록 이들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부와, 제1수용부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며 볼트 나사부를 수용하도록 원형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수용부와, 제1수용부의 개구부에 콘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원공급 모선 또는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에 절연커버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흡착부를 구비하여 절연커버를 형성하되,
절연커버는 설정온도로 발열시 색상이 가변되며 열이 제거되는 경우 초기 색상으로 복원되도록 카멜레온 도료를 혼합시켜 성형하여, 전원공급 모선 또는 전원케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절연커버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사이의 접속부위에 접속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an insulation cover of fasten member for wiring}
본 발명은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공급 모선(power bus bar)과 모선, 또는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접속(接續)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와 너트를 독립적으로 감싸거나, 또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접속부위를 감싸 절연(絶緣)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의 공급 및 제어를 위해 설치되는 수,배전반 및 제어반의 전원공급 및 분배를 위한 배선으로서, 동으로 제작되는 모선을 적용하고 있다. 모선은 가요성이 없어 가공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나, 전원케이블보다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고, 기계적 강도가 큰 장점이 있다.
도 8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부재는,
절연커버(1)는 분전반의 전원공급 모선(2)과 전원케이블(3)의 접속단자(4)가 서로 접속되는 접속부위를 감싸 절연시킨다. 접속부위는 전원공급 모선(2)과 전원케이블(3)의 접속단자(4)간의 접속부위를 일 예로서 설명하지만, 전원공급 모선(2)과 모선(2)간의 접속부위를 비롯하여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접속부위를 의미한다.
전원케이블(3)은 통상적인 설비 등에 설치되어 인출된 배선으로서, 그 단부에는 압착된 접속단자(4)가 도통되는 상태로 연결되며, 접속단자(4)의 터미널(9)에는 복수개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전원케이블(3)과 접속단자(4)의 연결부위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캡(5)이 결합된다. 전원공급 모선(2)에는 터미널의 체결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분전반의 전원공급 모선(2)과 전원케이블(3)의 접속단자(4)의 터미널은, 이들의 체결공에 체결되는 볼트(6)와 너트(7)에 의해 전원공급 모선(2)과 접속단자(4)를 접속된 상태로 연결하게 된다.
전술한 전원공급 모선(2)과 접속단자(4)의 접속부위에는 절연을 위한 절연커버(1)가 설치되어, 전원공급 모선(2)과 접속단자(4)의 터미널(9) 접속부위를 감싸 절연시키게 된다. 즉 절연커버(1)는 전원공급 모선(2)과 접속단자(4)의 터미널(9) 접속부위 바닥면측을 감싸는 하부커버(1a)와, 하부커버(1a)에 일체로 연장형성되어 접속부위의 상면측을 감싸는 상부커버(1b)로 구성되고, 상부커버(1b)와 하부커버(1a)는 결합핀(8)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전술한 전원공급 모선(2)과 전원케이블(3)의 접속단자(4)용 터미널(9) 접속부위가 절연커버(1)에 의해 외부와 절연됨에 따라, 이물질 등의 접촉에 의한 단락 등을 미연에 방지하고, 분전반 보수 등의 작업 시 작업자 실수에 의한 접속부위 접촉을 미연에 차단시킴에 따라, 감전 및 화재 등의 전기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분전반의 전원공급 모선(2)과 전원케이블(3)의 접속단자(4)용 터미널(9)을 접속시키는 볼트(6)와 너트(7)는 기계진동, 발열, 유지보수 등에 의해 이완될 수 있다. 이경우 전원공급 모선(2)과 접속단자(4)사이의 접속부위 접촉불량으로 인해 접촉면이 감소되어 저항이 증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항 증가에 의한 주울열, 즉 과부하로 인한 국부 과열이 발생하게 되고, 접촉면 감소로 인해 전원공급 모선(2)을 통과하는 전류 흐름이 일부분에 집중된다. 이로 인해 볼트(6) 주위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며, 심한 경우에는 화재 또는 폭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전원공급 모선(2)과 접속단자(4)의 터미널(9) 접속부위를 감싸는 절연커버(1)는 불투명하기 때문에, 전원공급 모선(2)과 접속단자(4)의 접촉상태, 즉 볼트(6)와 너트(7)의 이완 등으로 인한 접촉불량으로 접속부위에 접속저항 발생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공급 모선 또는 전원케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절연커버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사이의 접속부위에 접속불량을 육안으로 판단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 또는 모선과 전원케이블 접속단자간을 접속시키는 볼트와 너트를 독립적으로 감싸거나, 또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이들의 접속부위를 감싸 절연시키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는,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 또는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접속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감싸 절연하도록 상단부가 막힌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
볼트 머리부 또는 너트를 수용하도록 이들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부와, 제1수용부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며 볼트 나사부를 수용하도록 원형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수용부와, 제1수용부의 개구부에 콘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원공급 모선 또는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에 절연커버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흡착부를 구비하여 절연커버를 형성하되,
절연커버는 설정온도로 발열시 색상이 가변되며 열이 제거되는 경우 초기 색상으로 복원되도록 카멜레온 도료를 혼합시켜 성형하여, 전원공급 모선 또는 전원케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절연커버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사이의 접속부위에 접속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는,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을 접속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감싸 절연하는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
전원공급 제1,2모선이 각각 끼워지는 통과홈 및 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와, 제1체결부의 안쪽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시켜 연장 형성하되, 전원공급 제1,2모선 끝단부에 체결되어 이들을 접속시키는 연결바, 전원공급 제1,2모선과 연결바를 접속시키도록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 전원공급 제1,2모선 접속부위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로서 이뤄지는 몸체와,
제1체결부에 이와 대칭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전원공급 제1,2모선이 각각 끼워지는 통과홈 및 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와, 제2체결부의 안쪽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시켜 연장 형성하되, 제1수용부에 수용되는 연결바, 볼트와 너트를 감싸도록 덮개되는 제2수용부로서 이뤄지는 뚜껑을 형성하되, 몸체 및 뚜껑의 체결공에 각각 끼워지는 결합핀에 의해 몸체와 뚜껑의 제1,2체결부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몸체와 뚜껑으로 이뤄지는 절연커버는 설정온도로 발열시 색상이 가변되며 열이 제거되는 경우 초기 색상으로 복원되도록 카멜레온 도료를 혼합시켜 성형하여, 전원공급 제1,2모선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절연커버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제1,2모선의 접속부위에 접속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절연커버는 무색의 연질 염화비닐 65∼95중량%와, 적색, 청색, 황색, 백색, 노랑색, 녹색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카멜레온 도료 5∼35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전원공급 모선 또는 전원케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절연커버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사이의 접속부위에 접속저항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하여, 접속부위 접촉으로 인한 작업자 감전사고를 방지하고, 과열된 전원케이블의 회로를 차단하여 기기 손상 또는 화재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 또는 모선과 전원케이블 접속단자간을 접속시키는 볼트와 너트를 독립적으로 감싸거나, 또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이들의 접속부위를 통째로 감싸 절연시키므로 안전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a,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커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 뚜껑이 분리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뚜껑이 결합된 상태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부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1(a,b)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는,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 또는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접속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감싸 절연하도록 상단부가 막힌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
볼트 머리부(10) 또는 너트(11)를 수용하도록 이들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형 (일 예로서,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을 말함)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부(12)와, 제1수용부(12)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며 볼트 나사부(13)를 수용하도록 원형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수용부(14)와, 제1수용부(12)의 개구부에 콘형상으로 형성되어 전원공급 모선(15) 또는 전원케이블(16)의 접속단자(16a)의 터미널(16b)에 절연커버(17)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흡착부(18)를 구비하여 절연커버(17)(일 예로서, 절연성 및 난연성의 연질 염화비닐재가 사용될 수 있음)을 형성하되,
절연버커(17)는 설정온도(일 예로서, 30∼60℃를 말함)로 발열시 색상이 가변(일 예로서, 무색으로 변환됨을 말함)되며, 열이 제거되는 경우 초기 색상(일 예로서, 사람들의 눈에 쉽게 띄도록 적색, 청색, 황색 등을 말함)으로 복원되도록 카멜레온 도료(소위, "thermo-color"를 말함)를 혼합시켜 성형하여, 전원공급 모선(15) 또는 전원케이블(16)의 발열(일 예로서, 볼트와 너트의 이완에 의한 접촉불량으로 인해 발열될 수 있음)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절연커버(17)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모선(15)과 전원케이블(16)사이의 접속부위에 접속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절연커버(17)는 무색의 연질 염화비닐 65∼95중량%와, 적색, 청색, 황색, 백색, 노랑색, 녹색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카멜레온 도료 5∼35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 성형될 수 있다. 즉 연질 염화비닐과 카멜레온 도료의 혼합물로서 성형되는 절연커버(17)의 초기 고유색상은 첨가되는 카멜레온 도료로서 결정된다.
한편, 발열되어 설정온도로 상승시 색상이 가변되도록 연질 염화비닐에 카멜레온 도료를 첨가하여 절연커버(17)를 성형하는 구성은,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b)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전술한 전원공급 모선(15)과 전원케이블(16)의 접속단자(16a)의 터미널(16b)을 도통가능하게 접속시키도록, 전원공급 모선(15)과 접속단자(16a)의 터미널(16b)에 관통형성된 체결공에 볼트 및 너트를 체결한다. 볼트 머리부(10) 또는 너트(11)에 절연을 위해 절연커버(17)를 씌운다. 이때 절연커버(17)의 제1수용부(12)의 개구부에 형성된 콘형상의 흡착부(18)에 의해 절연커버(17)를 전원공급 모선(15) 또는 접속단자(16a)의 터미널(16b)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외부로부터 볼트 또는 너트에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단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 모선(15)과 전원케이블(16)의 접속단자(16a)를 도통시키도록 체결한 상태에서, 분전반이 설치되는 기기진동 등에 의해 볼트 및 너트의 이완으로 인해 전원공급 모선(15)과 전원케이블(16)의 접속단자(16a)간의 상호 접촉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즉 볼트 및 너트의 이완시 전원공급 모선(15)과 전원케이블(16)의 접속단자(16a)간의 접속부위의 접촉면적 감소로 인해 접속부위에 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증가되어 발열되는 것임).
즉 전원공급 모선(15) 또는 전원케이블(16)의 발열시 전달되는 열로 인해 절연커버(17)가 변색(일 예로서, 적색에서 무색으로 변색됨을 말함)된다. 이로 인해 배전반 또는 분전반 등을 관리하는 작업자는, 절연커버(17)의 가변된 색상에 따라 전원공급 모선(15)과 전원케이블(16)의 접속단자(16a)간에 접속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된 상태를 신속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볼트 및 너트로부터 절연커버(17)를 분리시킨 후, 과열된 전원케이블(16)의 전기회로를 차단하는 등의 신속한 조치를 취함에 따라, 전원공급 모선(15) 또는 전원케이블(16)의 발열에 따른 화재 또는 폭발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 모선(15) 또는 전원케이블(16)을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에 따라 절연커버(17)에 전달된 열이 상온으로 내려가게 된다. 이때 절연커버(17)가 본래의 색상으로 복원되어 변색된다(일 예로서, 무색에서 적색으로 변색됨을 말함). 이와 같이 전원공급 모선(15) 또는 전원케이블(16)에 발생되는 열로 인해 색상이 가변되는 절연커버(17)를 반복하여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 모선(15) 또는 전원케이블(16)의 접속단자(16a)의 터미널(16b)을 도통시키도록 접속시킨 볼트 및 너트에 씌워지는 절연커버(17)가고유 색상을 유지하는 경우에 이들의 접속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에 절연커버(17)가 무색으로 변색된 경우에는 전원공급 모선(15)과 전원케이블(16)의 접속단자(16a)간의 접속상태를 접촉불량으로 판단하게 된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는,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을 접속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감싸 절연하는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이 각각 끼워지는 통과홈(52) 및 수개의 체결공(53)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54)와, 제1체결부(54)의 안쪽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시켜 연장 형성하되, 전원공급 제1,2모선(50,51) 끝단부에 체결되어 이들을 접속시키는 연결바(55), 전원공급 제1,2모선(50,51)과 연결바(55)를 접속시키도록 체결하는 볼트(56)와 너트(57), 전원공급 제1,2모선(50,51) 접속부위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58)로서 이뤄지는 몸체(59)와,
제1체결부(54)에 이와 대칭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이 각각 끼워지는 통과홈(60) 및 수개의 체결공(61)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62)와, 제2체결부(62)의 안쪽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시켜 연장 형성하되, 제1수용부(58)에 수용되는 연결바(55), 볼트(56)와 너트(57)를 감싸도록 덮개되는 제2수용부(63)로서 이뤄지는 뚜껑(64)을 형성하되, 몸체(59) 및 뚜껑(64)의 체결공(53,61)에 각각 끼워지는 결합핀(65)에 의해 몸체(59)와 뚜껑(64)의 제1,2체결부(54,62)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절연커버(66)를 구비하여,
몸체(59)와 뚜껑(64)으로 이뤄지는 절연커버(66)는 설정온도로 발열시 색상이 가변되며 열이 제거되는 경우 초기 색상으로 복원되도록 카멜레온 도료를 혼합시켜 성형하여,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절연커버(66)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의 접속부위에 접속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전원공급 제1,2모선(50,51)과 연결바(55)를 체결하는 볼트(56)와 너트(57)의 이완으로 인해 이들의 접속부위 접촉불량으로 인해 발열시 변색되는 절연커버(66)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술한 몸체(59)의 제1체결부(54)에 형성된 통과홈(52)에 끼워지는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의 접속부위를 제1수용부(58)의 안쪽으로 끼워넣고,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에 연결바(55)를 접속시키도록 전원공급 제1,2모선(50,51)과 연결바(55)를 볼트(56) 및 너트(57)에 의해 체결한다. 몸체(59)의 제1체결부(54)와 이와 대칭되도록 연장 형성된 뚜껑(64)의 제2체결부(62)를 밀착시킨 후, 제1,2체결부(54,62)에 형성된 체결공(53,61)에 결합되는 결합핀(65)에 의해 이들을 로킹시킨다.
이로 인해 몸체(59)의 제1수용부(58)에 수용되는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의 접속부위와, 연결바(55)와, 볼트(56)와 너트(57)를 뚜껑(64)의 제2수용부(63)에 의해 덥개되므로,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의 접속부위에 외부로부터 먼지, 빗물 등의 이물질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을 접속시키도록 체결한 볼트(56)와 너트(57)의 이완으로 인해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의 접속부위에 발열되는 경우 절연커버(66)가 열로 인해 변색된다. 따라서 배전반 등을 관리하는 작업자(또는 관리자를 말함)는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의 접속부위에 접촉불량 발생으로 판단하여, 몸체(59)에 뚜껑(64)을 고정시킨 결합핀(65)을 언로킹시켜 절연커버(66)를 개방시킨 후, 전원공급 제1,2모선(50,51)의 체결상태를 확인하여 소정의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10; 볼트 머리부
11; 너트
12; 제1수용부
13; 볼트 나사부
14; 제2수용부
15; 전원공급 모선(power bus bar)
16; 전원케이블
17; 절연커버
18; 흡착부

Claims (3)

  1.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 또는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를 접속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감싸 절연하도록 상단부가 막힌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
    상기 볼트 머리부 또는 너트를 수용하도록 이들 형상과 대응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에 일체형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볼트 나사부를 수용하도록 원형의 튜브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수용부와, 상기 제1수용부의 개구부에 콘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 모선 또는 전원케이블의 접속단자에 절연커버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흡착부를 구비하여 절연커버를 형성하되,
    상기 절연커버는 설정온도로 발열시 색상이 가변되며 열이 제거되는 경우 초기 색상으로 복원되도록 카멜레온 도료를 혼합시켜 성형하여, 상기 전원공급 모선 또는 전원케이블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상기 절연커버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모선과 전원케이블사이의 접속부위에 접속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2. 전원공급 모선과 모선을 접속시키도록 체결되는 볼트 또는 너트를 감싸 절연하는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에 있어서:
    전원공급 제1,2모선이 각각 끼워지는 통과홈 및 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체결부의 안쪽 가장자리에 하방으로 돌출시켜 연장 형성하되, 상기 전원공급 제1,2모선 끝단부에 체결되어 이들을 접속시키는 연결바, 상기 전원공급 제1,2모선과 연결바를 접속시키도록 체결하는 볼트와 너트, 상기 전원공급 제1,2모선 접속부위를 수용하는 제1수용부로서 이뤄지는 몸체와,
    상기 제1체결부에 이와 대칭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 제1,2모선이 각각 끼워지는 통과홈 및 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되는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의 안쪽 가장자리에 상방으로 돌출시켜 연장 형성하되, 상기 제1수용부에 수용되는 연결바, 상기 볼트와 너트를 감싸도록 덮개되는 제2수용부로서 이뤄지는 뚜껑을 형성하되, 상기 몸체 및 뚜껑의 체결공에 각각 끼워지는 결합핀에 의해 몸체와 뚜껑의 제1,2체결부를 밀착상태로 고정하는 절연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몸체와 뚜껑으로 이뤄지는 절연커버는 설정온도로 발열시 색상이 가변되며 열이 제거되는 경우 초기 색상으로 복원되도록 카멜레온 도료를 혼합시켜 성형하여, 상기 전원공급 제1,2모선의 발열에 따른 온도 변화에 의해 상기 절연커버가 변색되는 경우 전원공급 제1,2모선의 접속부위에 접속저항이 설정값 이상으로 발생됨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는 무색의 연질 염화비닐 65∼95중량%와, 적색, 청색, 황색, 백색, 노랑색, 녹색중 어느 하나의 색상을 유지하도록 카멜레온 도료 5∼35중량%의 조성비로 혼합되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KR1020120097621A 2012-05-29 2012-09-04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KR2013013363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677 2012-05-29
KR20120056677 2012-05-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634A true KR20130133634A (ko) 2013-12-09

Family

ID=49981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621A KR20130133634A (ko) 2012-05-29 2012-09-04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3363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023A (ko) * 2016-09-23 2018-04-02 송택환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KR20180044563A (ko) * 2016-10-24 2018-05-0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US10439303B2 (en) 2015-07-16 2019-10-08 Safran Electrical & Power Insulator for a pivotable electrical connection
KR102215919B1 (ko) * 2020-05-12 2021-02-15 김수빈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KR200493246Y1 (ko) * 2020-05-12 2021-02-25 김수빈 전기박스 절연설치용 모듈
EP4024632A1 (en) * 2020-12-29 2022-07-06 Schneider Electric USA, Inc. Electrically insulated boots preventing unintended contact with live electrical conductor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9303B2 (en) 2015-07-16 2019-10-08 Safran Electrical & Power Insulator for a pivotable electrical connection
KR20180033023A (ko) * 2016-09-23 2018-04-02 송택환 부스바들 간의 연결부위에 씌워지는 부스바 절연커버
KR20180044563A (ko) * 2016-10-24 2018-05-03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KR102215919B1 (ko) * 2020-05-12 2021-02-15 김수빈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KR200493246Y1 (ko) * 2020-05-12 2021-02-25 김수빈 전기박스 절연설치용 모듈
KR20210138475A (ko) * 2020-05-12 2021-11-19 김수빈 누전 경고 기능이 탑재되는 볼트 절연 모듈
EP4024632A1 (en) * 2020-12-29 2022-07-06 Schneider Electric USA, Inc. Electrically insulated boots preventing unintended contact with live electrical conduc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3634A (ko)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JP3065299U (ja) 過熱・過電流の保護機能を具えた安全ソケット
CN101796700B (zh) 配电板
KR101411958B1 (ko) 소화기가 구비된 분전반
KR20110042777A (ko) 배선용 접속부의 절연커버
KR100908681B1 (ko) 배전용 인입전선 연결단자
US2259053A (en) Limiter
KR100689983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 슬리브
CN109411648A (zh) 一种安全快速接线式电池接线盒及连线方法
CN205646517U (zh) 工地配电箱
KR100869222B1 (ko) 배전반용 절연 부스바 다용도 단자
CN101599399B (zh) 熔丝保持器
KR20050109051A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KR101205337B1 (ko) 공동주택의 절연형 분전함
KR102242239B1 (ko) 발향 기능이 구비된 전력시설 이상상태 감지장치
CN209312819U (zh) 一种安全快速接线式电池接线盒
KR200379736Y1 (ko)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KR101114516B1 (ko) 전선연결 단자
KR102310037B1 (ko) 분전반용 부스바연결장치
CN105098527B (zh) 无飞线插线板
KR20120017372A (ko) 멀티 퓨즈
CN205789850U (zh) 低压熔断器
CN214589484U (zh) 一种安全可靠的高压大电流接线盒
KR20240039282A (ko) 화재 확산 방지용 절연캡
CN202142818U (zh) 底盘配电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