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44563A -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44563A
KR20180044563A KR1020160138215A KR20160138215A KR20180044563A KR 20180044563 A KR20180044563 A KR 20180044563A KR 1020160138215 A KR1020160138215 A KR 1020160138215A KR 20160138215 A KR20160138215 A KR 20160138215A KR 20180044563 A KR20180044563 A KR 20180044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bar
connection
insulated switchgear
gas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8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65636B1 (ko
Inventor
임상혁
신량범
박정홍
변정무
배종헌
Original Assignee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filed Critical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60138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5636B1/ko
Publication of KR20180044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4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5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5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8Connections to in or out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류가 다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연결하는 데에 이용되는 연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은 종류가 다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유닛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인 제1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과 연결되는 연결 모선, 및 상기 연결 모선과 상기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인 제2 모선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CONNECTING UNIT FOR GAS-INSULATED SWITCH GEARS}
본 발명은 종류가 다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연결하는 데에 이용되는 연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배전반 동향은 고용량 소형화 그리고 친환경 제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SF6를 사용하는 기존의 가스절연개폐장치(C-GIS) 대신에 친환경 가스(예컨대, Dry Air)를 사용하며 절연 및 냉각 효율이 우수한 가스절연개폐장치(예컨대, 친환경 배전반)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배전반은 주로 SF6를 이용하는 C-GIS(가스절연개폐장치)가 운용되고 있다. 따라서, 새로운 친환경 가스절연개폐장치(E-GIS)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현재 운용중인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C-GIS)에 친환경 가스절연개폐장치(E-GIS)를 연결하여 부분적으로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C-GIS)를 친환경 가스절연개폐장치(E-GIS)을 교체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그러나 친환경 가스절연개폐장치(E-GIS)는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C-GIS)와 주 모선의 절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종래의 가스절연개폐장치(C-GIS)에 친환경 가스절연개폐장치(E-GIS)를 연결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종류가 다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연결 유닛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은 종류가 다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유닛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인 제1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과 연결되는 연결 모선, 및 상기 연결 모선과 상기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인 제2 모선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 공간이 상기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이용되는 가스와 동일한 가스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선은, 납작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피복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연결 모선과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도전성 재질을 갖는 몸체의 일면에 결합 홈이 형성된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모선, 상기 제2 모선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고정 결합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모선과 상기 제2 모선은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선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의 곡률은 상기 제2 모선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선과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편은, 상기 연결 모선과 접촉하는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과 접촉하는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편은, 상기 타면의 곡률이 상기 결합 홈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선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2 고정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편은,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모선과 접촉하는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편은, 상기 타면의 곡률이 상기 제2 모선의 내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도전성 재질을 갖는 몸체의 일면이 볼록하게 돌출된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모선, 상기 제2 모선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고정 결합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 모선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돌출된 일면은 상기 제2 모선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2 모선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돌출된 일면의 곡률이 상기 제2 모선 내주면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은, 서로 상이한 가스를 이용하는 두 개의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면적으로 주 모선들과 면접촉하며 주 모선들을 상호 연결하므로, 전류의 통전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배전반의 일부를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더하여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배전반의 일부를 제거하고 도시한 사시도로, 연결 유닛의 케이스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일부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또한 도 3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 부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연결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배전반(1)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10), 적어도 하나의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 그리고 제1,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10, 2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30)을 포함한다.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10)는 친환경 가스(예컨대, Dry Air)를 이용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E-GIS)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는 SF6를 이용하는 C-GIS를 포함한다.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10)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는 절연을 위해 사용하는 가스가 상이하다. 따라서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10)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스들이 서로 섞이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연결 유닛(30)을 포함한다.
연결 유닛(30)은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10)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10)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 사이의 공간을 밀폐하면서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10)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연결 유닛(30)은 케이스(38)와 커넥터(32), 및 연결 모선(35)을 포함한다.
케이스(38)는 연결 유닛(30)의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한다. 케이스(38)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 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또한 내부에 채워지는 가스를 밀폐시킬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직육면체 형태로 케이스(38)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으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케이스(38)의 내부 공간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의 내부 공간과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스(38)의 내부에는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에 이용되는 가스(예컨대, SF6)와 동일한 가스가 배치된다.
커넥터(32)는 케이스(38)의 외부에 배치되며, 케이스(38)의 일면(예컨대 상면)에서 체결된다. 커넥터(32)는 필요에 따라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커넥터(32)는 도전성 부재와, 도전성 부재를 피복하는 절연 부재(예컨대 실리콘)를 포함한다.
커넥터(32)는 제1 장치의 주 모선(15, 이하 제1 모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커넥터(32)는 제1 모선(15)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 유닛(30)의 커넥터(32)로는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들(10)을 열반하는 데에 이용되는 종래의 커넥터가 이용될 수 있다.
커넥터(32)의 도전성 부재는 케이스(38)의 내부로 연장되어 연결 모선(35)과 연결된다.
연결 모선(35)은 일단이 케이스(38)의 외부로 인출되어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의 주 모선(25, 이하 제2 모선)과 연결된다.
연결 모선(35)은 납작한 막대 형태로 형성된다. 제2 모선(25)은 원형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 모선(35)과 제2 모선(25)은 상호 간에 연결이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연결 부재(40)를 구비한다.
연결 부재(40)는 상기한 연결 모선(35)과 제2 모선(25)을 전기적, 물리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부재(40)는 연결 브라켓(41), 제1 고정편(45), 제2 고정편(48), 및 고정 부재(50)을 포함한다.
연결 브라켓(41)은 볼트(bolt)와 같은 고정 부재(50)를 통해 연결 모선(35)과 제2 모선(25)에 동시에 체결된다. 따라서 연결 브라켓(41)은 연결 모선(35)과 제2 모선(25)을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하는 통로로 기능한다.
연결 브라켓(41)은 전체적으로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사각 형상의 체결부(42), 그리고 체결부(42)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의 본체(도 1의 2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장부(44)를 포함한다.
체결부(42)의 일면에는 호 형의 결합 홈(43)이 형성된다.
결합 홈(43)의 전체적인 곡률은 파이프 형태인 제2 모선(25)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모선(25)은 체결부(42)의 결합 홈(43)에 면 접촉하며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체결부(42)의 타면은 편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체결부(42)의 내부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42a)이 배치된다 관통 구멍(42a)은 고정 부재(50)가 삽입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고정 부재(50)로 볼트나 나사가 이용되는 경우, 관통 구멍(42a)의 내부에는 고정 부재(5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고정편(45)은 체결부(42)와 연결 모선(35) 사이에 배치되어 연결 모선(35)을 지지한다. 체결부(42)의 일면에 결합 홈(43)이 형성됨에 따라, 막대 형태로 형성되는 연결 모선(35)은 체결부(42)의 일면에 안정적으로 결합되기 어렵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40)는 체결부(42)와 연결 모선(35) 사이에 제1 고정편(45)이 개재된다.
제1 고정편(45)은 연결 모선(35)과 접촉하는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체결부(42)의 결합 홈(43)과 접촉하는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편(45)의 타면은 체결부(42) 결합 홈(43)의 곡률(또는 파이프 형태인 제2 모선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1 고정편(45)은 체결부(42)의 결합 홈(43)에 면 접촉하며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연결 모선(35)과 제1 고정편(45), 그리고 체결부(42)는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50)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연결 모선(35)과 제1 고정편(45)에는 고정 부재(5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제1 고정편(45)의 일면 중 양 측면에는 가이드 돌기(45a)가 돌출된다. 가이드 돌기(45a)는 제1 고정편(45)의 일면에 결합되는 연결 모선(35)의 결합 위치를 규정한다. 따라서, 연결 모선(35)은 2개의 가이드 돌기(45a) 사이에 배치되며, 결합 과정에서 가이드 돌기(45a)에 의해 면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가이드 돌기(45a)에 의해, 제1 고정편(45)은 연결 모선(35)의 일면과 양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연결 모선(35)에 결합된다.
제2 고정편(48)은 제2 모선(25)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 부재(50)는 제2 고정편(48), 제2 모선(25)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후 체결부(42)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모선(25)은 제2 고정편(48)과 체결부(42)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연결 부재(40)에 결합된다.
제2 고정편(48)은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제2 모선(25)과 접촉하는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편(48)의 타면은 파이프 형태인 제2 모선(25)의 내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고정편(48)은 제2 모선(25)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며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제2 고정편(48)의 내부에는 고정 부재(50)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제2 고정편(48)을 구비함에 따라, 제2 모선(25)의 외주면은 체결부(42)와 면 접촉하고, 제2 모선(25)의 내주면은 제2 고정편(48)과 면 접촉하며 연결 부재(40)에 결합된다. 따라서 매우 안정적으로 연결 부재(4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40)는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 내에 배치된다. 이는 연결 브라켓(41)이 연결 모선(35)과 제2 모선(25)을 연결함과 동시에, 제2 모선(25)과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20)의 본체(21)를 연결하는 기능도 수행하기 때문에 도출된 구성이다.
따라서, 연결 브라켓(41)을 연결 모선(35)과 제2 모선(25)을 연결하는 데에만 이용하도록 구성하는 경우, 연결 부재(40)는 연결 유닛(30)의 케이스(38)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유닛(30)은 서로 상이한 가스를 이용하는 두 개의 가스절연개폐장치(10, 20)를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면적으로 모선들(35, 25)과 면접촉하며 모선들(35, 25)을 상호 연결하므로, 전류의 통전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더하여, 볼트와 같은 고정 부재(50)로부터 모선(35, 20)에 가해지는 힘을 제1, 제2 고정편(45, 48)을 통해 분산시키므로, 결합 과정에서 모선(35, 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60)는 고정편을 포함하지 않으며 연결 브라켓(61)의 체결부(62)가 직접 연결 모선(35)과 제2 모선(25)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62)는 연결 모선(35)이 결합되는 제1 결합부(62a)와, 제2 모선(25)이 결합되는 제2 결합부(62b)를 포함한다.
제1 결합부(62a)는 전술한 제1 고정편(도 5의 45)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 결합부(62b)는 전술한 제2 고정편(도 5의 48)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결합부(62a)는 연결 모선(35)과 접촉하는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납작한 막대 형태인 연결 모선(35)은 제1 결합부(62a)의 일면과 면 접촉하며 안정적으로 제1 결합부(62a)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62b)는 제1 결합부(62a)를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제2 모선(25)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2 모선(25)의 내주면에 결합된다.
제2 결합부(62b)는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제2 모선(25)과 접촉하는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결합부(62b)의 타면은 파이프 형태인 제2 모선(25)의 내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결합부(62b)는 제2 모선(25)의 내주면에 면 접촉하며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제1, 제2 결합부(62a, 62b)의 내부에는 각각 고정 부재(50)가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60)는 체결부(62)만으로 넓은 접촉 면적을 확보하며 모선들(35, 25)과 결합된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의 고정편들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 및 조립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배전반
10: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
15: 제1 모선
20: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
25: 제2 모선
30: 연결 유닛
35: 연결 모선
40, 60: 연결 부재
50: 고정 부재

Claims (15)

  1. 종류가 다른 가스절연개폐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유닛으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배치되며,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인 제1 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커넥터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과 연결되는 연결 모선; 및
    상기 연결 모선과 상기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주 모선인 제2 모선을 연결하는 연결 부재;
    를 포함하는 연결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내부 공간이 상기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가스절연개폐장치에 이용되는 가스와 동일한 가스가 배치되는 연결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선은,
    납작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도전성 부재와 상기 도전성 부재를 피복하는 절연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도전성 부재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연결 모선과 연결되는 연결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2 가스절연개폐장치 내에 배치되는 연결 유닛.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도전성 재질을 갖는 몸체의 일면에 결합 홈이 형성된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모선, 상기 제2 모선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고정 결합하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모선과 상기 제2 모선은 상기 결합 홈에 결합되는 연결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선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 홈의 곡률은 상기 제2 모선의 외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 유닛.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모선과 상기 연결 브라켓 사이에 개재되는 제1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연결 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편은,
    상기 연결 모선과 접촉하는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결합 홈과 접촉하는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연결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편은,
    상기 타면의 곡률이 상기 결합 홈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 유닛.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선의 내주면에 결합되는 제2 고정편을 더 포함하는 연결 유닛.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편은,
    일면이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모선과 접촉하는 타면은 볼록하게 형성되는 연결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편은,
    상기 타면의 곡률이 상기 제2 모선의 내주면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 유닛.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도전성 재질을 갖는 몸체의 일면이 볼록하게 돌출된 연결 브라켓; 및
    상기 연결 모선, 상기 제2 모선과 상기 연결 브라켓을 고정 결합하는 고정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 브라켓은,
    원형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제2 모선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 브라켓의 돌출된 일면은 상기 제2 모선의 내주면에 접촉하며 상기 제2 모선에 결합되는 연결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브라켓은,
    상기 돌출된 일면의 곡률이 상기 제2 모선 내주면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 유닛.
KR1020160138215A 2016-10-24 2016-10-24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KR102165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15A KR102165636B1 (ko) 2016-10-24 2016-10-24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8215A KR102165636B1 (ko) 2016-10-24 2016-10-24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4563A true KR20180044563A (ko) 2018-05-03
KR102165636B1 KR102165636B1 (ko) 2020-10-14

Family

ID=6224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8215A KR102165636B1 (ko) 2016-10-24 2016-10-24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56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27U (ko) * 2018-05-18 2019-11-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연결부
CN112117663A (zh) * 2019-06-20 2020-12-22 河南平芝高压开关有限公司 Gis母线装置及gis套管的相间导流排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9891A2 (de) * 1985-04-29 1986-11-05 Felten & Guilleaume Energietechnik AG Verbindungsvorrichtung zur Kopplung gasisolierter Schaltanlagen
KR930018731U (ko) * 1992-01-07 1993-08-21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
JP2000308220A (ja) * 1999-04-16 2000-11-02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130133634A (ko) * 2012-05-29 2013-12-09 최영수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99891A2 (de) * 1985-04-29 1986-11-05 Felten & Guilleaume Energietechnik AG Verbindungsvorrichtung zur Kopplung gasisolierter Schaltanlagen
KR930018731U (ko) * 1992-01-07 1993-08-21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가스절연개폐장치
JP2000308220A (ja) * 1999-04-16 2000-11-02 Nissin Electric Co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KR20130133634A (ko) * 2012-05-29 2013-12-09 최영수 배선용 체결부재의 절연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2927U (ko) * 2018-05-18 2019-11-2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연결부
CN112117663A (zh) * 2019-06-20 2020-12-22 河南平芝高压开关有限公司 Gis母线装置及gis套管的相间导流排组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65636B1 (ko) 202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020B1 (ko)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및 그의 모선연결방법
US9502868B2 (en) Gas-insulated switchgear
JP4231001B2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KR20180044563A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KR101344929B1 (ko) 부스바 키트
JPWO2003023920A1 (ja) 導体の接続構造
CN105009393A (zh) 用于gis的固定装置
KR20160121001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도체 연결 구조
KR100857253B1 (ko)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EP3731356B1 (en) Gas-insulated open/close device
KR102010870B1 (ko) 교차배열 버스바 연결용 버스바어셈블리
KR100928933B1 (ko) 고체 절연 부하개폐기 및 고체 절연 부하개폐기용전압변성기 접속장치
KR100763167B1 (ko) 스위치기어의 모선연결장치
JP2000333313A (ja) 導体支持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ッチギヤ
KR200496464Y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와 고체절연 개폐장치의 연결부
EP3671995B1 (en) Connection apparatus for a circuit breaker of a medium voltage switchgear
CN111819736B (zh) 用于电导体的电连接的电缆连接器
KR200411969Y1 (ko) 수배전반 배선용 차단기
KR20180000846U (ko) 배전반
JP4062847B2 (ja) 固体絶縁母線
KR10156358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도체 홀 커버 결합구조
KR20160003011U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KR20050042962A (ko) 가스절연배전반 및 그의 콘택트결합체
KR100860525B1 (ko) 스위치기어의 주회로 접속장치
KR20150001209U (ko) Gis 스페이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