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3011U -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3011U
KR20160003011U KR2020150001213U KR20150001213U KR20160003011U KR 20160003011 U KR20160003011 U KR 20160003011U KR 2020150001213 U KR2020150001213 U KR 2020150001213U KR 20150001213 U KR20150001213 U KR 20150001213U KR 20160003011 U KR20160003011 U KR 2016000301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r
conductor
guide member
coupling portion
insulated switch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1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원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1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3011U/ko
Publication of KR20160003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01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358Connections to in or out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지그(JIG)를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설치된 핀(pin)을 이용하여 조립을 할 수 있도록 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는 일부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도체; 일부에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연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Spacer of Gas Insulated Switchgear}
본 고안은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지그(JIG)를 사용하지 않고 도체와 스페이서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를 이용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절연개폐장치(Gas Insulated Swichgear)는 전기계통의 전원측과 부하측간의 회로 사이에 설치되어 정상적인 전류상태에서 인위적으로 회로를 개폐할 때 또는 회로상에 지락이나 단락 등 이상전류가 발생하였을 때 전류를 안전하게 차단하여 전력계통 및 부하기기를 보호하는 전기기기로서 주로 초고압 기기에 사용된다.
이러한 가스절연개폐장치(GIS)는 일반적으로 고압전원으로부터 수전하는 부싱(Bushing Unit), 회로차단기(Circuit Breaker, CB), 단로기(Disconnector Switch), 접지스위치(Earthing Switch), 가동부, 제어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부분에 도체와 스페이서가 결합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따른 GIS에 있어서 도체와 스페이서 간의 조립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체(1)가 스페이서(2)에 볼트(3)에 의해 결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스페이서와 도체 조립 공정을 나타낸 것으로 이때 필요한 지그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구성 외에 추가로 제1지그(4)와 제2지그(5)가 나타나 있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도체(1)를 스페이서(2)에 고정하는 경우 지그를 사용하여 조립한다. 가스절연개폐장치(GIS)는 다수의 유닛(unit)이 모여서 하나의 제품을 이루고 있으며, 각 유닛에는 다수의 부품이 조립된다. 이와 같이 조립된 각각의 유닛을 체결(docking)하기 위해서는 부품들이 설계된 정위치에 조립되어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지그이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도체(1)는 볼트(3)에 의해 스페이서(2)에 조립되는데, 도체(1)의 홀과 볼트(3)의 사이에는 유격이 존재하고 있어 정위치에 조립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체(1)의 홀과 스페이서(2)의 홀이 연통되도록 도체(1)를 스페이서(2)의 해당위치에 정확하게 놓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따라, 도 2와 같이 스페이서(2)를 제2지그(5)에 조립한 후에, 제1지그(4)를 삽입하고 제1지그(4)를 이용하여 도체(1)의 위치를 잡은 후에 볼트(3)로 고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후 제1지그(4)와 제2지그(5)를 해체함으로써 본 조립이 완성된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조립고정에 있어서는 도체(1)를 스페이서(2)에 결합하고자 하는 경우, 제1지그(4)와 제2지그(5)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공정수가 증대되며 도체(1)와 스페이서(2)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별도로 마련되는 다수 개의 지그가 마련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지그를 사용하지 않고 도체와 스페이서에 설치되는 가이드 부재(guide member)를 이용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는 일부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도체; 일부에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연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도체의 볼트 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볼트 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핀, 축, 로드, 파이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면에는 돌기부 또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에 의하면 별도의 지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지그 제작에 따른 경비나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에 도체를 결합시키는 경우의 조립공차를 줄이고 작업의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GIS에 있어서 도체와 스페이서 간의 조립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GIS에 있어서 도체와 스페이서 간의 조립공정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GIS에 있어서 도체와 스페이서 간의 조립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GIS에 있어서 도체와 스페이서 간의 조립공정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GIS에 적용되는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GIS에 있어서 도체와 스페이서 간의 조립 구조의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GIS에 있어서 도체와 스페이서 간의 조립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는 일부에 제1 결합부(11)가 형성되는 도체(10); 일부에 제2 결합부(21)가 형성되는 스페이서(20); 및 상기 제1 결합부(11)와 제2 결합부(21)에 연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 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체(10)의 일부에는 제1 결합부(11)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11)는 가이드 부재(3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제1 결합부(11)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은 간명하게 일자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부(11)는 상기 도체(10)의 제1 볼트 체결부(1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도체(10)에는 일면에 복수 개의 볼트(40)가 체결될 수 있는 제1 볼트 체결부(12)가 형성된다. 제1 결합부(11)는 이러한 제1 볼트 체결부(1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도체의 중앙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선정은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 반드시 준수되어야 할 필요성은 없다. 오히려, 때로는 제1 결합부(11)가 제1 볼트 체결부(12)의 중심보다는 편심의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체결의 편의성을 보장할 경우에는 편심의 위치에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 결합부(11)가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결합부(11)에 끼워지는 가이드 부재(30)를 매개로 해서 도체(10)가 스페이서(20)에 결합되는 위치가 자동적으로 정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스페이서(20)의 일부에는 제2 결합부(21)가 형성된다. 제2 결합부(21)는 가이드 부재(3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곳이다.
상기 제2 결합부(21)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홈은 간명하게 일자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결합부(21)는 상기 스페이서(20)의 제2 볼트 체결부(22)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20)에는 일면에 복수 개의 볼트(40)가 체결될 수 있는 제2 볼트 체결부(22)가 형성된다. 제2 볼트 체결부(22)에는 복수 개의 볼트 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부(21)는 이러한 제2 볼트 체결부(22)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되는 제2 볼트 체결부(22)의 중앙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위치 선정은 편의성을 고려한 것으로 반드시 준수되어야 할 필요성은 없다. 오히려, 때로는 제2 결합부(21)가 제2 볼트 체결부(22)의 중심보다는 편심의 위치에 설정되는 것이 체결의 편의성을 보장할 경우에는 편심의 위치에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2 결합부(21)가 복수 개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결합부(21)에 끼워지는 가이드 부재(30)를 매개로 해서 도체(10)가 스페이서(20)에 결합되는 위치가 자동적으로 정해지는 효과를 가져온다.
가이드 부재(30)는 핀, 축, 로드, 파이프 등 일자형 부재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일자형 부재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가이드 부재(30)의 일측에 돌기나 리브가 형성되거나 키가 결합된 것이면 더욱 편리하게 위치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예로 도 5를 참조하면 가이드 부재(3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부재(130)는 측면에 리브(1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 부재(130)는 마찬가지로 이에 대응하게 생긴 핀홈(미도시)에 끼워짐으로써 자동적으로 위치가 잡혀지는 편리함이 있다.
가이드 부재(30)의 일부는 도체(10)의 제1 결합부(11)에 삽입되고, 가이드 부재(30)의 나머지 일부는 스페이서(20)의 제2 결합부(21)에 삽입되어, 도체(10)와 스페이서(20)의 결합위치를 가결정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도체(10)와 스페이서(20)가 결합한 후에는 가이드 부재(30)는 도체(10)나 스페이서(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전계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에 의하면 별도의 지그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지그 제작에 따른 경비나 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페이서에 도체를 결합시키는 경우의 조립공차를 줄이고 작업의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그 일 예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도체 11 제1 결합부
12 제1 볼트 체결부 20 스페이서
21 제2 결합부 22 제2 볼트 체결부
23 볼트 홈 30, 130 가이드 부재
40 볼트 131 리브

Claims (6)

  1. 일부에 제1 결합부가 형성되는 도체;
    일부에 제2 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페이서; 및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에 연통하여 끼워지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도체의 볼트 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스페이서의 볼트 체결부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핀, 축, 로드, 파이프 중의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의 일측면에는 돌기부 또는 리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KR2020150001213U 2015-02-24 2015-02-24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KR2016000301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13U KR20160003011U (ko) 2015-02-24 2015-02-24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1213U KR20160003011U (ko) 2015-02-24 2015-02-24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011U true KR20160003011U (ko) 2016-09-01

Family

ID=56958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1213U KR20160003011U (ko) 2015-02-24 2015-02-24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301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12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효성 전계완화용 모선도체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17512A1 (ko) * 2016-12-21 2018-06-28 주식회사 효성 전계완화용 모선도체 연결구조
KR20180072478A (ko) * 2016-12-21 2018-06-29 주식회사 효성 전계완화용 모선도체 연결구조
US10734792B2 (en) 2016-12-21 2020-08-04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Bus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field relax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6785B (zh) 气体绝缘开关装置的断续器和气体绝缘开闭装置
US9356435B2 (en) Switchgear enclosure housing assembly including an extendable conductor assembly
US8913370B2 (en) Switchgear spout design
KR101199588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단로기용 이중 구조 콘택트 장치
JP4231001B2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KR20160003011U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스페이서
KR102165636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연결 유닛
KR20160121001A (ko) 가스절연개폐장치의 도체 연결 구조
US9111697B2 (en) Power switchgear
US20190304719A1 (en) Switching Device With Dual Conductive Housing
KR200483742Y1 (ko) 초고압 기기용 컨덕터 결합구조
US10734792B2 (en) Bus conductor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field relaxation
JP5837163B2 (ja) 真空遮断器
KR101898962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297733B1 (ko) 도체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절연개폐장치
KR10206622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606073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KR20140006216U (ko) 초고압 기기용 컨덕터 결합구조
KR101438870B1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180106147A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563588B1 (ko) 가스절연개폐장치 도체 홀 커버 결합구조
KR20230127513A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
KR101519695B1 (ko) 가스 절연 개폐장치의 선로용 단로기의 무빙 콘택트
CN103368099A (zh) 金属封闭式组合电器
CN103904579A (zh) 一种背靠背一体式负荷开关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