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4516B1 - 전선연결 단자 - Google Patents

전선연결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4516B1
KR101114516B1 KR1020100040559A KR20100040559A KR101114516B1 KR 101114516 B1 KR101114516 B1 KR 101114516B1 KR 1020100040559 A KR1020100040559 A KR 1020100040559A KR 20100040559 A KR20100040559 A KR 20100040559A KR 101114516 B1 KR101114516 B1 KR 101114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ody part
heating element
power
connec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1115A (ko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박경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수 filed Critical 박경수
Priority to KR1020100040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4516B1/ko
Publication of KR20110121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11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4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45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연결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크기로 직조된 메쉬구조 발열체의 피복전선 또는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을 이용하여 면상 발열체를 제조시 상기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 피복전선 간의 연결,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 간의 연결을 손쉽게 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면상 발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전선연결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피복전선에 압접되며, 일측에는 피복전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전선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선연결 단자{CABLE CONNECTING TERMINAL}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전선연결 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 크기로 직조된 메쉬구조 발열체의 피복전선 또는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을 이용하여 면상 발열체를 제조시 상기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 피복전선 간의 연결,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 간의 연결을 손쉽게 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면상 발열체를 제작할 수 있는 전선연결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면상 발열체를 제조시 전선을 여러 가닥 직조 후 필름지를 코팅하여 면상 발열체를 제조하여 왔으나, 면상 발열체 내부에서 전선의 단락 또는 누전으로 화제가 발생하였고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으로 코팅된 메쉬구조의 발열체 또는 피복전선을 이용하여 면상 발열체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실리콘이 코팅된 메쉬구조의 발열체는 소정 크기 및 길이로 제조되어 사용자는 이를 이용하여 면상 발열체를 제작하게 되고, 또한,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을 이용시에는 상기 피복전선의 피복부위를 일정부분 탈피한 후 탈피된 피복전선을 양단으로 직교되도록 상호 연결하여 직조하여 면상 발열체를 제조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는 다양한 크기의 면상 발열체를 제작하기 위하여 메쉬구조의 발열체의 일부를 탈피한 후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 여러 개로 연결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면상 발열체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의 피복전선간 연결 그리고 상기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양단이 직교되도록 상기 피복전선을 연결하게 되면, 상기 전선의 피복부위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고 상기 피복전선 내부에 형성된 전선 가닥이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단락 및 누전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의 면상 발열체를 제조시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의 피복전선을 연장사용 그리고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을 상호 직조시 피복전선의 피복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하면 동시에 전선 가닥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적 단락에 의한 누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며 다양한 사이즈의 면상 발열체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전선연결 단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성은, 피복전선에 압접되며, 일측에는 피복전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전선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포함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피복전선의 상부에 압접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피복전선의 하부에 압접되는 제2 바디부와; 상기 피복전선에 상기 제1,2 바디부의 압접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2 바디부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접힘부 및; 상기 피복전선에 압접된 제1,2 바디부가 상기 피복전선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바디부의 내측에는, 상기 피복전선 상/하부 내부로 침투되는 다수개의 침투칼날이 상기 제1,2 바디부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제1,2 바디부가 상기 피복전선에 압접 시, 상기 제1,2 바디부의 압접이 용이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전선이 안착되는 전원안착턱 및; 상기 전원안착턱에 안착된 전원공급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원안착턱의 상단에 압접되는 이탈방지핀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안착턱은, 상기 전원공급전선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 바디부의 일측을 감싸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이 상기 제2 바디부의 일측을 감싸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제2 바디부 일측에 상기 고정판이 안착되는 안착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침투칼날은, 상기 피복전선에 침투가 용이하도록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부의 재질은, 통전이 용이한 금속 또는 도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면상 발열체를 제조시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연장사용 및 상기 피복전선을 상호 직조시 전선의 피복부위의 손상을 최소화하면 동시에 전선 가닥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기적 단락에 의한 누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며 다양한 사이즈의 면상 발열체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측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를 보다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클라이언트나 운용자,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같은 참조번호는 같은 구성 요소를 가리킨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측면도이며,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는, 실리콘으로 코팅된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제단하고 상기 제단된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상기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때,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상호 연결하도록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에 실리콘이 코팅된 피복전선(10)에 바디부(100)가 압접된다.
그리고 상기 피복전선(10)에 압접된 바디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피복전선(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전선(20)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100)는, 피복전선(10)의 상부에 압접되는 제1 바디부(100a)와, 상기 피복전선(10)의 하부에 압접되는 제2 바디부(100b), 그리고 상기 피복전선(10)에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의 압접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접힘부(110) 및 상기 피복전선(10)에 압접된 제1,2 바디부(100a,100b)가 상기 피복전선(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의 내측에는, 상기 피복전선(10) 상/하부 내부로 침투되는 다수개의 침투칼날(110a,110b)이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침투칼날(110a,110b)은,상기 피복전선(10)에 침투가 용이하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0)의 접힘부(110)는,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가 상기 피복전선(10)에 압접시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의 압접이 용이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전선(20)이 안착되는 전원안착턱(210)과, 상기 전원안착턱(210)에 안착된 전원공급전선(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원안착턱(210)의 상단에 압접되는 이탈방지핀(2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원연결부(200)의 상기 전원안착턱(210)은, 상기 전원공급전선(20)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제2 바디부(100b)의 일측을 감싸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100a)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이 상기 제2 바디부(100b)의 일측을 감싸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제2 바디부(100b) 일측에 상기 고정판(121)이 안착되는 안착턱(122)이 형성되고, 특히,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바디부(1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피복전선(10)의 상호 통전이 원할하도록 금속 또는 도전체로 제조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선연결 단자는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10)의 양단을 상호 직교하도록 상기 바디부(100)를 통해 상기 피복전선(10)을 연결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피복전선(10)은 상기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피복전선(1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호 연결하게 된다,
상기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 도 4 내지 고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은 피복전선(10)에 바디부(100)가 압접된다.
특히,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피복전선(10)을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피복전선(10)에 연결되는 양단에 모두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복전선(10)에 압접된 바디부(100)의 일측에는 상기 피복전선(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전선(20)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2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100)는, 피복전선(10)의 상부에 압접되는 제1 바디부(100a)와, 상기 피복전선(10)의 하부에 압접되는 제2 바디부(100b), 그리고 상기 피복전선(10)에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의 압접이 용이하도록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 접힘부(110) 및 상기 피복전선(10)에 압접된 제1,2 바디부(100a,100b)가 상기 피복전선(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1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120)를 포함하여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의 내측에는, 상기 피복전선(10) 상/하부 내부로 침투되는 다수개의 침투칼날(110a,110b)이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의 내측에서 직각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침투칼날(110a,110b)은,상기 피복전선(10)에 침투가 용이하도록 삼각형 형상으로 구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부(100)의 접힘부(110)는,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가 상기 피복전선(10)에 압접시 상기 제1,2 바디부(100a,100b)의 압접이 용이하도록 만곡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원연결부(200)는, 상기 바디부(100)의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전선(20)이 안착되는 전원안착턱(210)과, 상기 전원안착턱(210)에 안착된 전원공급전선(2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원안착턱(210)의 상단에 압접되는 이탈방지핀(220)이 더 구비되고, 상기 전원연결부(200)의 상기 전원안착턱(210)은, 상기 전원공급전선(20)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20)는, 상기 제2 바디부(100b)의 일측을 감싸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바디부(100a)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고정판(121)이 상기 제2 바디부(100b)의 일측을 감싸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제2 바디부(100b) 일측에 상기 고정판(121)이 안착되는 안착턱(122)이 형성되고, 특히,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바디부(100)를 통해 연결된 상기 피복전선(10)의 상호 통전이 원할하도록 구리 또는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전선연결 단자의 구성을 살펴 보았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사용 상태 >
①. 실리콘이 코팅된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제단한다.
이때,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의 사이즈는 기설정된 상태로 제조가 완료된 상태로 사용자는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제단하게 된다.
②.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바디부(100)를 통해 상기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상호 연결 시킨다.
이때, 상기 바디부(100)를 상기 피복전선(10)의 일단에 압접시켜 상기 피복전선(10)을 바디부(100)를 통해 상호 연결 시킨다.
그리고 바디부(100)를 통해 상호 연결된 피복전선(10)이 상기 바디부(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100)의 고정부(120)를 통해 상기 바디부(100)을 고정하여 상기 바디부(100)가 상기 피복전선(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③. 상호 연결된 피복전선(10)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연결부(200)에 전원공급선(20)을 연결 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연결부(200)에 연결된 전원공급선(20)은 일부가 피복이 절취된 상태이므로 외부로 노출된 전선부위는 절연제를 이용하여 절연시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단락 및 전기적 누전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연결 단자의 실시 예의 사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10)의 양단을 상호 직교하도록 상기 바디부(100)를 통해 상기 피복전선(10)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피복전선(10)안 상기 면상 발열체의 사이즈에 맞춰 상기 피복전선(10)의 길이를 조정하여 상호 연결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바디부(100)는 상기 피복전선(10)을 수평 또는 수직의 길이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피복전선(10)에 연결되는 양단에 모두 결합되며, 상기 바디부(100)를 상기 피복전선(10)의 일단에 압접시켜 상기 피복전선(10)을 바디부(100)를 통해 상호 연결 시킨다.
그리고 바디부(100)를 통해 상호 연결된 피복전선(10)이 상기 바디부(1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바디부(100)의 고정부(120)를 통해 상기 바디부(100)을 고정하여 상기 바디부(100)가 상기 피복전선(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②. 상호 연결된 피복전선(10)에 외부의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연결부(200)에 전원공급선(20)을 연결 시킨다.
이때, 상기 전원연결부(200)에 연결된 전원공급선(20)은 일부 및 상기 바디부(100)를 통해 연결된 피복전선(10)의 피복이 일부 절취된 상태이므로 외부로 노출된 전선부위는 절연제를 이용하여 절연시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한 단락 및 전기적 누전을 사전에 차단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양호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 예시하려는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위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화나 변경 또는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에 속하는 변화 예나 변경 예 또는 조절 예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피복전선 20 : 전원공급전선
100 : 바디부 100a : 제1 바디부
110a : 침투칼날 100b : 제2 바디부
110b : 침투칼날 110 : 접힘부
120 : 고정부 121 : 고정판
122 : 안착턱 200 : 전원연결부
210 : 전원안착턱 220 : 이탈방지핀

Claims (9)

  1. 피복전선으로 구현된 두 개의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물리적으로 결합하며 두 개의 메쉬구조의 발열체에 전기를 공급하는 바디부를 구비하는 전선연결단자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물리적으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구성하는 피복전선 각각의 상부에 압접되는 제1바디부;
    물리적으로 결합하고자 하는 두 개의 메쉬구조의 발열체를 구성하는 피복전선 각각의 하부에 압접되는 제2바디부;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바디부와 상기 제2바디부가 상기 발열체와 압접이 용이하도록 휘어지는 접힘부; 및
    상기 바디부를 상기 피복전선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2바디부의 일 측을 감싸 고정하도록 상기 제1바디부의 일 측에 형성되는 고정판; 및
    상기 고정판이 상기 제2바디부의 일 측을 감싸 용이하게 고정하도록 상기 제2바디부 일 측에 상기 고정판이 안착하는 안착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부 및 상기 제2바디부는,
    상기 피복전선의 내부로 침투되는 돌출 형성된 다수의 침투 칼날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 단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 칼날은,
    삼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 단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힘부에는,
    상기 피복전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전선이 연결되는 전원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 단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연결부는,
    상기 바디부의 일 측에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전선이 안착되는 전원안착턱 및;
    상기 전원안착턱의 상단에 압접되는 이탈방지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 단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안착턱은,
    하방으로 만곡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 단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재질은,
    금속이나 도전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연결단자.
  8. 삭제
  9. 삭제
KR1020100040559A 2010-04-30 2010-04-30 전선연결 단자 KR101114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59A KR101114516B1 (ko) 2010-04-30 2010-04-30 전선연결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559A KR101114516B1 (ko) 2010-04-30 2010-04-30 전선연결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115A KR20110121115A (ko) 2011-11-07
KR101114516B1 true KR101114516B1 (ko) 2012-02-24

Family

ID=4539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559A KR101114516B1 (ko) 2010-04-30 2010-04-30 전선연결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45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688A1 (ko) * 2017-04-04 2018-10-11 김이태 난방필름전용 전원커넥터
KR101939995B1 (ko) 2017-08-02 2019-01-21 주식회사 포센 패브릭 히터의 신축전선을 이용한 접합용 단자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764Y1 (ko) * 2000-12-09 2001-06-15 서영호 면상발열체
KR20070000259U (ko) * 2007-01-19 2007-03-08 권택민 면상발열체의 전극 부재와 전선의 연결 방법
KR100812241B1 (ko) 2007-07-13 2008-03-13 구범현 난방필름의 전선 고정장치
KR100844878B1 (ko) * 2008-02-28 2008-07-09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면상발열체의 클립단자 및 그를 이용한 전선연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764Y1 (ko) * 2000-12-09 2001-06-15 서영호 면상발열체
KR20070000259U (ko) * 2007-01-19 2007-03-08 권택민 면상발열체의 전극 부재와 전선의 연결 방법
KR100812241B1 (ko) 2007-07-13 2008-03-13 구범현 난방필름의 전선 고정장치
KR100844878B1 (ko) * 2008-02-28 2008-07-09 (주)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면상발열체의 클립단자 및 그를 이용한 전선연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688A1 (ko) * 2017-04-04 2018-10-11 김이태 난방필름전용 전원커넥터
US10826200B2 (en) 2017-04-04 2020-11-03 Sh Korea Co., Ltd. Power connector dedicated to heating film
KR101939995B1 (ko) 2017-08-02 2019-01-21 주식회사 포센 패브릭 히터의 신축전선을 이용한 접합용 단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1115A (ko) 2011-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40003323A1 (en) Battery Device for a Battery Jump Starting Device
KR100985559B1 (ko) 배전선의 합선방지용 커넥터
US20160028167A1 (en) Structure and Method for Connecting Terminal
RU2627738C2 (ru) Контактный зажим для соединительного разъем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овода и содержащий его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разъем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провода
BRPI1106772A2 (pt) terminal de compressço sem parafuso
JP2012234761A (ja) ケーブルの製造方法およびケーブル
JP6118823B2 (ja) 非導電性構造体内の電流リターン回路網の接続方法、等電位シャント接続、および等電位ボンディング
KR101114516B1 (ko) 전선연결 단자
CN104904067B (zh) 装备有端子的电线和用于制造该装备有端子的电线的方法
CN105699713A (zh) 多功能可伸缩式电力高空测试钳及其使用方法
TWM467120U (zh) 線纜連接器組件
EP3901452A1 (en) Wind turbine blade for a wind turb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wind turbine blade
KR101255125B1 (ko) 전선 커넥터
JP5979427B2 (ja) 導電体
US3015877A (en) Method for making an angle plug with looped conductor
CN201044267Y (zh) 一种接线端子
KR101364100B1 (ko) 전선 커넥터
CN212848924U (zh) 电连接用接续线夹
KR102492980B1 (ko)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18965Y1 (ko) 면상발열체
JP5670667B2 (ja) 端子及び端子のコネクタ装着方法
WO2010122484A1 (en) Dead end connector
JP5900916B2 (ja) 接続方法及び端子付電線
EP1515402B1 (en) Electrical mounting fixture for buildings
CN205752616U (zh) 多接入式接线端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