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4100B1 - 전선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선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4100B1
KR101364100B1 KR1020130019941A KR20130019941A KR101364100B1 KR 101364100 B1 KR101364100 B1 KR 101364100B1 KR 1020130019941 A KR1020130019941 A KR 1020130019941A KR 20130019941 A KR20130019941 A KR 20130019941A KR 101364100 B1 KR101364100 B1 KR 101364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rotrusion
connector
wire cov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802A (ko
Inventor
양진오
조용호
Original Assignee
(주)한신단자공업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신단자공업,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한신단자공업
Priority to KR102013001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4100B1/ko
Publication of KR20140016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4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4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01R4/240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having needles or p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커넥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복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전선 커버; 및 상기 전선 커버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피복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피복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서 피복전선 내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첨두 단자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버는, 측면부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측면부의 수직 방향으로 제1 폭만큼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측면부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측면부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폭보다 크게 제2 폭만큼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선 커버가 하우징과 누름 결합될 때, 상기 제1 돌출부와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장착되는 안착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커넥터에 작용하는 모든 방향의 외력에 의해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선 커넥터{ELECTRIC WIRE CONNECTOR}
본 발명은 전선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복전선과 회로기판의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하며, 외력에 의해 피복전선 또는 전선 커넥터의 구성품이 이탈 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선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복전선을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같은 회로기판에 연결할 때에는 피복전선의 절연 피복을 벗긴 후, 회로기판에 형성된 연결 구멍에 삽입한 후 회로기판의 뒷면에 납땜질을 하고, 그 연결 부위의 외주면을 절연 테이프 등으로 감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수작업으로 전선을 연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로 인한 불량률이 증가할 수 있으며, 절연 테이프로 감아진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므로 외관상 보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전선의 피복을 벗기는 작업 중 부주의로 인한 감전 사고의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수작업으로 전선을 연결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복전선을 뚫고 들어가는 칼날이 내장된 단자를 이용하여 회로기판과 연결하는 전선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전선 커넥터의 외부에서 인가되는 외력에 의해서 전선 커넥터와 피복전선이 쉽게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피복전선과 회로 기판을 쉽게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외력에 의해서 전선 커넥터 및 피복전선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 연결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외력에 의해 피복전선 또는 구성품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 전선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복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전선 커버; 및 상기 전선 커버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피복전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피복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서 피복전선 내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첨두 단자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버는, 측면부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측면부의 수직 방향으로 제1 폭만큼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측면부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측면부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폭보다 크게 제2 폭만큼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선 커버가 하우징과 누름 결합될 때, 상기 제1 돌출부와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장착되는 안착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전선 커버의 측면부 중에서 상기 연결구와 인접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전선 커버의 측면 중심선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전선 커버의 높이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과 상기 걸림부 폭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부의 높이는 상기 전선 커버의 높이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전선 커버의 안쪽으로 들어갈 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전선 커버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선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통해 누름 결합된다. 이 경우, 상기 전선 커버는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어 있는 피복전선의 표면 중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영역을 상기 첨두 단자를 향하여 노출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첨두 단자는 상기 피복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이상의 침습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는 인쇄회로기판의 일 구성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배터리의 보호회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선 커넥터에 작용하는 모든 방향의 외력에 의해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피복전선을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할 때, 전선의 피복을 벗기거나 납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정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회로의 치수 관리가 용이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첨두 단자의 경사면을 피복전선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하여, 피복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전선 커버에 피복전선이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전선 커버와 하우징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선 커텍터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첨두 단자의 침습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침습부가 피복전선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커넥터(1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0)는 전선 커버(100) 및 하우징(200)을 포함하며, 상기 전선 커버(100)가 상기 하우징(200)의 상단부를 통해 누름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0)는 피복전선(300)과 배터리의 보호회로와 같은 인쇄회로기판(400, Printed Circuit Board)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장치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0)는 피복전선(300)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 피복전선(300)과 인쇄회로기판(400)의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도록 하며,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전선 커버(100)와 하우징(200)의 결합이 쉽게 이탈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상기 전선 커버(100)와 하우징(200)이 결합되기 전의 구조와 결합된 이후의 구조를 각각 살펴보면서 이와 같은 특징을 살펴보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선 커버(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 커버(100)는 커버 바디(110), 연결구(120), 제1 돌출부(130) 및 제2 돌출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 바디(110)는 기본적으로 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커버 바디(110)의 형상이 상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커버 바디(110)의 형상은 생산 공정, 생산 비용, 상기 전선 커버(100)가 연결하고자 하는 피복전선의 크기, 굵기, 개수 등에 따라서 그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상기 연결구(120)는 상기 전선 커버(100)의 정면에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120)에는 피복전선(300)이 삽입되어 상기 전선 커버(100)와 결합된다. 상기 연결구(120)의 개수, 직경, 연결구 사이의 간격 등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30) 및 제2 돌출부(140)는 전선 커버(100)의 양 측면에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돌출부(130)는 상기 전선 커버(100)의 측면부 중에서 상기 연결구(120)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돌출부(130)가 전선 커버(100)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된 폭보다, 제2 돌출부(140)가 전선 커버(100)의 측면에서부터 돌출된 폭이 더 크다.
상기 제1 돌출부(130) 및 제2 돌출부(140)는 상기 하우징(200)과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전선 커버(100)와 상기 하우징(200)을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부분으로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3은 전선 커버(100)에 피복전선(300)이 연결된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구(120)는 전선 커버(100)의 표면에 형성된 직경보다 전선 커버(100)의 안쪽으로 들어갈 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질 수 있다. 일반적인 피복전선의 피복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과 같이 전기적 절연성이 뛰어나면서도 탄성이 있는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직경이 점차 작아지는 연결구(120)에 피복전선(300)이 삽입되었을 때, 피복의 탄성에 의해서 피복전선(300)의 직경보다 작은 공간에 삽입이 가능하다. 동시에 피복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연결구(120)와 상기 피복전선(300)의 밀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피복전선(300)의 표면과 연결구(120)의 표면에 존재하는 마찰력에 의해서 상기 피복전선(300)은 상기 전선 커버(100)에 고정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전선 커버(100)의 저면에는 상기 하우징(200)과 결합되었을 때, 하우징(200)에 포함된 첨두 단자가 상기 피복전선(300)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관통공(도면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연결구(120)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그 개수는 상기 연결구(120)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200)은 하우징 바디(210), 첨두 단자(220), 걸림부(230), 및 안착 홈(24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 바디(210)는 상기 전선 커버(100)가 탑재되는 공간을 한정할 수 있으며, 상기 전선 커버(100)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 바디(210)의 형상은 생산 공정, 생산 비용, 상기 전선 커버(100)의 크기, 폭, 넓이 등에 따라서 그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첨두 단자(220)는 상기 하우징 바디(210) 내에서 상기 전선 커버(100)가 탑재되는 공간에서 상기 전선 커버(100)의 저면과 맞닿는 부분에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첨두 단자(220)는 피복전선(300)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서 피복전선(300) 내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뾰족한 모양으로 형성된 침습부(221)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첨두 단자(220)는 피복전선(300)과의 전기적 접속 가능성을 높이고, 전기적 저항을 줄이기 위해 2이상의 침습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두 단자(220)는 피복전선(300) 내에 포함된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이므로 구리나 그 합금과 같은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첨두 단자(220)의 개수는 연결하고자 하는 피복전선(300)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두 단자(220)의 부분들 중에서 상기 침습부(221)가 구비되지 않은 다른 한 쪽 끝 단(222)은 회로기판(도 1의 400)의 부품이나 전기 배선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 바디(210)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부(230) 및 안착 홈(240)은 하우징(200)의 양 측면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230)는 상기 전선 커버(100)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돌출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안착 홈(240)은 상기 전선 커버(100)에 형성되어 있는 제2 돌출부(14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30)는 상기 제1 돌출부(130)에 대응되는 형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안착 홈(240)은 제2 돌출부(14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30)와 걸림부(230), 상기 제2 돌출부(140)와 안착 홈(240)의 결합관계에 따른 형상에 대해서는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는 전선 커버(100)와 하우징(200)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전선 커넥터(1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선 커버(100)가 상기 하우징(200)의 상단부를 통해 누름 결합된 상태의 우측 부분 일부가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상 우측의 부분 확대도를 중심으로 상기 제1 돌출부(130)와 걸림부(230), 상기 제2 돌출부(140)와 안착 홈(24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다. 그러나, 좌측 부분에도 우측 부분과 동일한 결합 관계가 형성되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 제1 돌출부(130)와 걸림부(230), 상기 제2 돌출부(140)와 안착 홈(240)이 차지하는 전체 공간의 폭은 W0, 길이는 L0, 높이는 H0로 나타냈다. 그리고, 폭(W0)은 W1과 W2의 합(W0 = W1 + W2), 길이(L0)는 L1과 L2의 합(L0 = L1 + L2), 높이(H0)는 H1과 H2의 합(H0 = H1 + H2)에 해당한다.
먼저, 상기 제1 돌출부(130)는 상기 전선 커버(100)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L1만큼, 폭 방향으로 W1만큼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걸림부(230)는 W2의 폭을 가지고 수직방향으로 H1의 높이만큼 기립된 기둥 구조를 가지며, 상기 기둥 구조의 상단부에는 W1 폭 만큼 상기 전선 커버(100)를 향하여 돌출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230)는 상기 전선 커버(100)의 측면부를 향하는 고리(hook)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전선 커버(100)와 하우징(200)이 결합하였을 때, 상기 제1 돌출부(130)의 상단면과 걸림부(230)를 향하는 측면부가 상기 걸림부(230)의 고리 안쪽 공간에 밀착되므로 폭 방향 및 높이 방향의 외력에 의해 전선 커버(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선 커버(100)가 하우징(200)의 상단부를 통해 누름 결합될 때, 상기 걸림부(230)의 상단부는 상기 제1 돌출부(130)가 용이하게 걸림부(230)의 상단부를 통과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140)는 상기 전선 커버(100)의 측면에서 길이 방향으로 L2만큼, 폭 방향으로 W0만큼, 높이 방향으로 H0만큼 돌출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안착 홈(240)은 길이 방향으로 L2만큼, 폭 방향으로 W0만큼, 높이 방향으로 H0만큼 상기 제2 돌출부(140)가 안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정의한다.
따라서, 상기 전선 커버(100)와 하우징(200)이 결합되었을 때, 상기 제2 돌출부(140)의 정면은 제1 돌출부(130)의 배면 및 걸림부(230)의 배면과 맞닿게 되고, 상기 제2 돌출부(140)의 배면은 하우징 바디와 맞닿게 된다. 즉, 제2 돌출부(140)의 정면과 배면이 상기 안착 홈(240)에 노출되어 있는 표면과 밀착되면서 고정이 된다. 따라서 길이 방향의 외력에 의해 전선 커버(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돌출부(130)는 제2 돌출부(140)보다 상기 연결구(120)와 인접한 부분에 위치한다. 또한, 제1 돌출부(130)가 돌출된 폭(W1)을 '제1 폭', 그리고 제2 돌출부(140)가 돌출된 폭(W0)을 '제2 폭'이라고 명명할 때, 제2 폭(W0)이 제1 폭(W1)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피복전선(300)에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제2돌출부(140)의 이탈이 걸림부(230)에 의해 저지되므로 상기 전선 커버(1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돌출부(130)의 높이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일 예시로서 상기 전선 커버(100)의 높이(H0)보다 낮고 측면의 중심선과 대략 일치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230)의 높이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데, 일 예시로서 상기 전선 커버(100)의 높이(H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돌출부(140)의 높이 또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므로 상기 전선 커버(100)의 높이(H0)보다 크거나 작게 형성되거나 상기 전선 커버(100)의 높이(H0)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폭(W0)은 그 수치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일 예시로서 상기 제1 폭(W1) 및 상기 걸림부(230)의 폭(W2)을 합한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돌출부의 길이(L1)와 제2 돌출부의 길이(L2)는 동일하게 또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선 커버(100) 및 하우징(200)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과 같이 절연성이 높으면서도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 전선 커버(100) 및 하우징(200)의 결합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넥터(10)의 재질이 상기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고분자 물질이 고려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첨두 단자의 침습부(221)는 상기 피복전선(300)을 뚫고 들어가기 위해 피복전선(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2개의 경사면 중 어느 하나의 경사면은 상기 피복전선의 길이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된다.
도 6은 첨두 단자의 침습부(221)를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은 침습부(221)가 피복전선(300)과 전기적으로 결합된 모습의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상기 첨두 단자의 침습부(221)는 상기 전선 커버(100)가 누름 결합되었을 때 피복전선(300)의 피복을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피복전선(30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경사면을 가지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정면에 보이는 경사면을 'a 경사면', 반대편에 위치한 경사면을 'b 경사면'이라고 명명하겠다.
상기 침습부(221)는 피복전선(300)을 뚫고 들어가기 위해 두 개의 경사면(a, b)에 의해 형성된 날카로운 톱니 모양을 가지고 있다. 상기 2개의 경사면 중 b 경사면은 피복전선(3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단 상기 침습부(221)가 피복전선(300)의 도선을 파고 들어가면 피복전선(300)에 장력이 작용하더라도 피복도선(300)이 상기 전선 커버(1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선 커넥터에 작용하는 모든 방향의 외력에 의해 전선 커버가 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전선을 인쇄회로기판에 연결할 때, 전선의 피복을 벗기거나 납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공정시간이 단축될 수 있고, 불량률을 낮출 수 있으며, 회로의 치수 관리가 용이하다. 한편, 첨두 단자의 경사면을 피복전선의 길이 방향과 수직으로 형성하여, 피복전선에 작용하는 장력에 의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전선 커넥터 100 : 전선 커버
110 : 커버 바디 120 : 연결구
130 : 제1 돌출부 140 : 제2 돌출부
200 : 하우징 210 : 하우징 바디
220 : 첨두 단자 221 : 침습부
222 : 첨두 단자 말단 230 : 걸림부
240 : 안착 홈 300 : 피복전선
400 : 회로기판

Claims (12)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복전선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연결구를 포함하는 전선 커버; 및
    상기 전선 커버와 결합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피복전선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피복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서 피복전선 내의 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첨두 단자를 가지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선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버는, 측면부의 일 부분에 형성되며 측면부의 수직 방향으로 제1 폭만큼 돌출된 제1 돌출부; 및 측면부의 나머지 부분에 형성되며 측면부의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1 폭보다 크게 제2 폭만큼 돌출된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선 커버가 하우징과 누름 결합될 때, 상기 제1 돌출부와 결합되는 걸림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장착되는 안착 홈;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상기 전선 커버의 안쪽으로 들어갈 수록 점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전선 커버의 측면부 중에서 상기 연결구와 인접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폭은 상기 제1 폭과 상기 걸림부 폭의 합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전선 커버의 측면 중심선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전선 커버의 높이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높이는, 상기 전선 커버의 높이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버와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선 커버가 상기 하우징의 상단부를 통해 누름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버는, 상기 연결구에 삽입되어 있는 피복전선의 표면 중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영역을 상기 첨두 단자를 향하여 노출시키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두 단자는 상기 피복전선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이상의 침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넥터.
  11. 제1항 내지 제6항,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선 커넥터;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배터리의 보호회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KR1020130019941A 2013-02-25 2013-02-25 전선 커넥터 KR101364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41A KR101364100B1 (ko) 2013-02-25 2013-02-25 전선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9941A KR101364100B1 (ko) 2013-02-25 2013-02-25 전선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676A Division KR101255125B1 (ko) 2012-07-31 2012-07-31 전선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802A KR20140016802A (ko) 2014-02-10
KR101364100B1 true KR101364100B1 (ko) 2014-02-19

Family

ID=5026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9941A KR101364100B1 (ko) 2013-02-25 2013-02-25 전선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41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2508A (zh) * 2016-12-13 2018-06-29 浩亭电子有限公司 用于不受力地接触在印刷电路板上的插接连接器
KR20200001590U (ko) 2019-01-08 2020-07-16 김명업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027B1 (ko) * 2018-11-30 2021-02-01 에코캡 주식회사 소켓 고정구조를 갖는 엘이디 기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222U (ko) * 2006-05-22 2007-11-27 롱 창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1222U (ko) * 2006-05-22 2007-11-27 롱 창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32508A (zh) * 2016-12-13 2018-06-29 浩亭电子有限公司 用于不受力地接触在印刷电路板上的插接连接器
CN108232508B (zh) * 2016-12-13 2021-04-23 浩亭电子有限公司 用于不受力地接触在印刷电路板上的插接连接器
KR20200001590U (ko) 2019-01-08 2020-07-16 김명업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802A (ko) 2014-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8044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soldering holes interconnected to a plurality of terminals and a flat flexible cable
US9203193B2 (en) Electrical device having a circuit board and a differential pair of signal conductors terminated thereto
JP4825071B2 (ja) 同軸ケーブルのシールド処理構造及び同軸ケーブルのコネクタ
CN108092037B (zh) 能兼顾夹持力及降低阻抗不连续影响的电缆连接器
US9257800B2 (en) Cable connector assembly with a shorter siz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JP6995144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80048096A1 (en) Cable connector
KR101255125B1 (ko) 전선 커넥터
US20140273658A1 (en) Multi-Surface Contact Plug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KR101364100B1 (ko) 전선 커넥터
JP6117481B2 (ja) コネクタ用組立部品、整列プレートおよびケーブルコネクタ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US11239611B2 (en) Cable assembly with dielectric clamshell connector for impedance control
JP5479432B2 (ja) 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JP2008112636A (ja) 多心同軸ケーブ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232447A1 (en) Cable assembly and cable assembly manufacturing method
US11075488B2 (en) Impedance control connector with dielectric seperator rib
US7025606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power cord
EP3285338A1 (en) Multi-pole connector, connector device, case, and method of connecting cable to multi-pole connector
JP2005109428A (ja) Led灯具及びled灯具とフラットケーブルの接続構造
KR102191892B1 (ko) 플랙시블 플랫 케이블용 터미널 및 그 접속 방법
TWM444625U (zh) 卡緣線纜連接器組合(三)
JP2014089913A (ja) 保護カバー
CN219833090U (zh) 一种绝缘置换连接器以及包含其的缆线组件
CN220324765U (zh) 线缆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