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1590U -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1590U
KR20200001590U KR2020190000101U KR20190000101U KR20200001590U KR 20200001590 U KR20200001590 U KR 20200001590U KR 2020190000101 U KR2020190000101 U KR 2020190000101U KR 20190000101 U KR20190000101 U KR 20190000101U KR 20200001590 U KR20200001590 U KR 202000015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harness
coupling
base
fix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01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업
노진호
하상길
Original Assignee
김명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업 filed Critical 김명업
Priority to KR20201900001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01590U/ko
Publication of KR20200001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5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를 베이스와 커버로 견고하게 결합한 후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을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에 쉽게 결합하여 납땜을 실시하므로 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wire harness}
본 고안은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어 하네스를 베이스와 커버로 견고하게 결합한 후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을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에 쉽게 결합하여 납땜을 실시하므로 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록 장치는 일반 가정주택이나 공공건물 전반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현관의 출입문이나 은행의 금고, 특정 지역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한 출입 통제 장치에 도어록 장치가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록 장치는, 다수의 버튼을 가지는 키입력부가 형성된 실외측 하우징, 내부에 록킹수단이 장착되는 실내측 하우징, 상기 실외측 하우징과 실내측 하우징에 각각 설치되는 핸들, 상기 실내측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키입력부에 설정된 번호를 입력하면 록킹수단을 제어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키입력부와 인쇄회로기판에 연결되어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를 인쇄회로기판으로 전달하는 와이어 하네스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도어록 장치에 사용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경우, 한쪽 부분의 와이어 하네스의 외피를 탈피시킨 후, 와이어 하네스 단부를 인쇄회로기판의 구멍에 일일히 끼워넣은 상태에서 납땜으로 고정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를 인쇄회로기판의 구멍에 끼우는 작업이 매우 어려워 작업능률이 저하되므로 제품 생산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와이어 하네스의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4100호로 전선 커넥터가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선 등록된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복전선이 커버 바디의 연결구에 삽입되고, 커버 바디는 하우징의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 고정되며, 이때, 첨두단자는 피복전선의 피복을 뚫고 들어가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선 커넥터는 다수의 가닥으로 형성된 피복전선을 연결구에 일일히 삽입하기 어려워 부품의 조립시간이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었고, 커버 바디가 결합되는 하우징의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할 뿐 아니라 하우징에 커버 바디를 고정 시 첨두단자가 피복을 제대로 뚫지 못하게 되면 전선이 단선되어 제어기능을 제대로 구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64100호(2014.02.11. 등록)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와이어 하네스를 베이스와 커버로 견고하게 결합한 후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을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에 쉽게 결합하여 납땜을 실시하므로 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다수 가닥의 와이어 하네스;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선단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횡렬로 배열되고 상부에는 고정돌기가 돌출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감싸듯이 결합되며 베이스의 고정돌기에 결합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는 커버; 상기 베이스의 양측면에 고정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 단부에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통공의 하단부에 고정턱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와 커버를 고정시키면서 와이어 하네스를 결합하는 고정부; 상기 와이어 하네스의 피복이 벗겨진 다수 가닥의 전선이 결합공으로 결합되어 납땜으로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결합홈에 결합될 때, 상기 와이어 하네스가 베이스의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은 상부가 개구되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돌기는 베이스의 상부 중앙 또는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홈의 내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되어 와이어 하네스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고정돌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의 상부는 단차지게 안착부가 더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의 피복이 안착부에 안착되고, 피복이 벗겨진 전선은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편의 하부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면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에 따르면, 와이어 하네스를 베이스와 커버로 견고하게 결합한 후 와이어 하네스의 전선을 인쇄회로기판의 결합공에 쉽게 결합하여 납땜을 실시하므로 작업이 수월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베이스와 커버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와이어 하네스가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부의 확대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베이스에 와이어 하네스가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에 의해 커버가 고정되는 상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와이어 하네스가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어 납땜되는 상태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베이스와 커버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베이스와 커버 사이에 와이어 하네스가 결합된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본 고안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100)는 크게 와이어 하네스(110), 베이스(120), 커버(130), 고정부(140), 인쇄회로기판(150)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는 도어록의 실외측 하우징에 장착된 키입력부와 실내측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150)을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는 다수 가닥의 전선(112)으로 이루어지며, 공간의 효율적 이용 및 정렬과 전선(112)의 보호를 위해 피복(111)을 감싸게 된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하네스(110)를 인쇄회로기판(150)에 전기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전선(112)의 선단부에 위치한 피복(111)을 일부 벗겨낸다.
상기 베이스(120)는 와이어 하네스(110) 선단부의 피복(111) 부분을 결합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120)에는 전선(112)의 가닥 수와 대응하도록 결합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121)은 일정 간격을 이루면서 횡렬로 배열되고, 상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그 단면은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가 결합홈(121)에 결합될 때, 와이어 하네스(110)는 베이스(120)의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120)에 커버(130)를 결합시 와이어 하네스(110)를 상부에서 가압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상기 다수의 결합홈(121)이 형성된 베이스(120)의 상부에는 커버(130)와 결합될 수 있도록 고정돌기(122)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돌기(122)는 베이스(120) 상부 중앙에 형성되거나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홈(121)의 내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121)에 안착 결합된 와이어 하네스(110)의 피복(111)에 밀착되면서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고정돌부(12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돌부(123)는 결합홈(121)에 와이어 하네스(110)가 바로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보다 훨씬 더 안정적인 결합력을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20)에는 베이스(120)의 상부와 양측면을 감싸듯이 커버(130)가 결합되며, 상기 커버(130)의 양측면에는 하향으로 연장된 결합편(131)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고정홀(132)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132)은 베이스(120)의 고정돌기(122)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120)와 커버(130)의 양측면에는 고정부(140)가 형성되어 커버(130)를 베이스(120)에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상기 고정부(140)는 베이스(120)의 양측면에 고정후크(141)가 형성되고, 커버(13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후크(141)가 결합되도록 직각을 이루는 고정통공(142)이 형성된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20)의 결합홈(121)에 와이어 하네스(110)가 안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130)를 베이스(120)의 상부에서 결합하게 되면, 상기 커버(130)의 결합편(131) 내측면이 베이스(120)의 양측면에 형성된 고정후크(141)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결합편(131)은 고정후크(141)에 의해 외측으로 탄력있게 변형되면서 커버(130)가 베이스(120)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후크(141)는 고정턱(143)에 걸림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120)에 형성된 고정돌기(122)는 커버(130)에 형성된 고정홀(132)에 결합되며, 상기 커버(130)의 저면은 베이스(120)의 결합홈(121)에 결합된 와이어 하네스(110)의 피복(111) 상부를 가압하면서 와이어 하네스(110)를 결합하며,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의 전선(112)은 베이스(120)의 일측으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결합편(131)의 내측면에는 하부로 갈수록 외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내면(16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커버(130)가 베이스(120)의 고정후크(141)에 쉽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베이스(120)와 커버(130) 사이에 와이어 하네스(11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를 세로방향으로 세운 후, 베이스(120)의 하부로 돌출된 전선(112)을 도어록의 실내측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150)의 결합공(151)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결합공(151)에 전선(112)을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의 피복(111)이 결합공(151)의 상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안착부(152)에 안착됨과 동시에 베이스(10)와 커버(130)의 하부가 인쇄회로기판(150)의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150)의 하부에서 결합공(151)을 통해 전선(112)이 돌출된 부위에 납땜 작업을 실시하여 전기적으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베이스(120)와 커버(130)로 이루어진 결합구를 이용하여 와이어 하네스(110)를 인쇄회로기판(150)의 결합공(151)에 쉽게 결합하여 납땜하므로 작업이 수월할 뿐 아니라 제품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와이어 하네스의 결합구조
110: 와이어 하네스 111: 피복
112: 전선 120: 베이스
121: 결합홈 122: 고정돌기
123: 고정돌부 130: 커버
131: 결합편 132: 고정홀
140: 고정부 141: 고정후크
142: 고정통공 143: 고정턱
150: 인쇄회로기판 151: 결합공
152: 안착부 160: 안내면

Claims (7)

  1. 인쇄회로기판(150)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다수 가닥의 와이어 하네스(110);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의 선단부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21)이 횡렬로 배열되고 상부에는 고정돌기(122)가 돌출되는 베이스(120);
    상기 베이스(120)를 감싸듯이 결합되며 베이스(120)의 고정돌기(122)에 결합되도록 고정홀(132)이 형성되는 커버(130);
    상기 베이스(120)의 양측면에 고정후크(141)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130)의 양측 단부에 직각을 이루도록 고정통공(142)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통공(142)의 하단부에 고정턱(143)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120)와 커버(130)를 고정시키면서 와이어 하네스(110)를 결합하는 고정부(140);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의 피복(111)이 벗겨진 다수 가닥의 전선(112)이 결합공(151)으로 결합되어 납땜으로 고정되는 인쇄회로기판(15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하네스(110)가 결합홈(121)에 결합될 때, 상기 와이어하네스(110)가 베이스(120)의 상면보다 상부로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21)은 상부가 개구되는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122)는 베이스(120)의 상부 중앙 또는 상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121)의 내주면 일측 또는 양측에 돌출되어 와이어 하네스(110)를 견고하게 고정하도록 고정돌부(123)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151)의 상부는 단차지게 안착부(152)가 더 구비되어 와이어 하네스(110)의 피복(111)이 안착부(152)에 안착되고, 피복이 벗겨진 전선(112)은 결합공(151)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13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합편(131)의 하부 내측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커버(130)의 결합을 안내하는 안내면(16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KR2020190000101U 2019-01-08 2019-01-08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KR202000015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01U KR20200001590U (ko) 2019-01-08 2019-01-08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0101U KR20200001590U (ko) 2019-01-08 2019-01-08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590U true KR20200001590U (ko) 2020-07-16

Family

ID=71832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0101U KR20200001590U (ko) 2019-01-08 2019-01-08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01590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100B1 (ko) 2013-02-25 2014-02-19 (주)한신단자공업 전선 커넥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100B1 (ko) 2013-02-25 2014-02-19 (주)한신단자공업 전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8509B1 (ko) 전기 보조 히터
US5238424A (en) In-line extension cord
KR200417442Y1 (ko) 조인트 커넥터
KR20070062827A (ko)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JP5776988B2 (ja) ケーブル固定アセンブリ
KR200461300Y1 (ko) 접지형 매입콘센트
KR101348186B1 (ko) 단자가이드를 갖는 레버형 커넥터
KR101873699B1 (ko) 모형별 겸용 사용구조를 갖는 커넥터 후드
KR20200001590U (ko) 와이어 하네스 결합구조
KR200413968Y1 (ko) 누전 방지용 패킹 및 이를 포함하는 누전 방지용 전선 연결캡
JP5838950B2 (ja) 接続ユニット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100726367B1 (ko)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200314818Y1 (ko) 방수기능을 가지는 멀티탭과 플러그 어셈블리
JP2002246090A (ja) 並列多芯ケーブル用コネクタ
US10020601B1 (en) Cable connection device
JP3051768B2 (ja) ハーネスプラグ
KR101260995B1 (ko) 내장재를 구비하는 조립식 돔 하우스
JP3518580B2 (ja) 木質系暖房床材
JP3079264U (ja) アース機能付きコード接続セット
JP3242290U (ja) ワイヤ対基板コネクタ
KR102588073B1 (ko) 아나로그 전원단자 분리 착탈구조를 갖는 커넥터
JPH0955239A (ja) 電線接続用コネクター
KR20220090182A (ko) 측면 삽입형 접속 콘센트
KR20120136645A (ko) 콘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