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2980B1 -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2980B1
KR102492980B1 KR1020200130917A KR20200130917A KR102492980B1 KR 102492980 B1 KR102492980 B1 KR 102492980B1 KR 1020200130917 A KR1020200130917 A KR 1020200130917A KR 20200130917 A KR20200130917 A KR 20200130917A KR 102492980 B1 KR102492980 B1 KR 102492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ded wire
thin plate
bus bar
flexible bus
hybrid flexi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001A (ko
Inventor
장국환
Original Assignee
장국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국환 filed Critical 장국환
Priority to PCT/KR2020/016681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1177549A1/ko
Publication of KR2021011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9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2Braided wir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Insulated Conductor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공의 편조선과, 상기 편조선의 중공에 가로질러 설치된 박판 적층구조물과, 상기 편조선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단자부가 포함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HYBRID FLEXIBLE BUS-BA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위치 및 용도에 맞춰 유연하게 변형되는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에는 다양한 전기장치들이 모듈화된 형태로 내장되고 그러한 전기장치의 각 모듈 내 협소한 공간 내에 충분한 통전 능력을 갖는 플렉서블한 형태의 전원 케이블이 요구된다.
특히, 전기차의 출현으로 인하여, 주어진 좁은 공간 내에서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케이블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는 빌딩이나 건물 내의 계장박스나 전원 공급박스 등에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상술한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 버스바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버스바 중 리지드 버스바는 판형 도체를 복수 개 길이방향으로 적층하고 피복시킨 형태로서, 필요한 형태로 벤딩(절곡)이 가능하고, 그로 인해 좁은 공간에서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높은 통전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최근 많은 전기장치 모듈 내지 박스에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즉, 리지드 버스바는 견고성, 전기접속 신뢰성, 높은 내구성을 가짐에 따라 광범위하게 사용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리지드 버스바는 사용 위치, 용도에 맞춰 형상을 설계 제작하여 범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즉, 사용위치 용도에 맞춰 개별 금형을 설계 제작하여야 하며, 추가로 벤딩 작업이 요구되었다. 즉 작업공수 증가로 인해 제조 단가가 높아진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유연성을 가지는 편조선 버스바가 제안되었다. 즉, 편조선 특성상 유연하여 설치위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므로 범용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종래의 편조선 버스바는 편조선 특성상 소선을 여러 가닥 모으거나 또는 꼰 것이므로 그 편조된 소선이 풀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편조선 버스바는 유연하지만 그 형태가 고정되지 않으므로 주변 부품과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7-0000432호(2007.04.10. 공개) 등록특허공보 제1937158호(2019.01.04.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편조선의 특징인 유연함을 가지면서도 그 형태 또한 고정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조선의 말단 및 중간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둘 이상의 버스바를 연결하거나 분기시키도록 구성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는, 중공의 편조선; 상기 편조선의 중공에 가로질러 설치된 박판 적층구조물; 및 상기 편조선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단자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은 양측 단부가 상기 편조선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편조선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은 상기 편조선으로부터 노출된 양단이 상기 편조선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된 메인 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은 양측 단부가 상기 편조선 및 상기 단자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편조선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은 상기 편조선으로부터 노출된 양단이 상기 편조선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되도록 2층 이상 적층된 메인 박판들과, 상기 메인 박판들의 사이에 설치되며, 양측 단부가 상기 편조선 및 상기 단자부로부터 노출되도록 형성된 적어도 1층 이상의 가이드 박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박판에는 연결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 중 적어도 1층 이상의 박판에는 길이방향으로 세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에는 상기 편조선을 감싸는 가이드 링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편조선은 제1 편조선 및 상기 제1 편조선과 이격 배치된 제2 편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편조선 및 상기 제2 편조선 사이의 영역에 가이드 박판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편조선 내부에 전도성 메인 박판을 삽입함에 따라 편조선의 특징인 유연함을 가지면서도 그 형태가 고정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2장 이상의 메인 박판이 편조선의 중공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그 양단은 편조선 양측 단부로 노출되어 단자부가 설치되는 편조선의 양측 단부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되어 단자부를 견고하게 고정하여 편조선 말단 풀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편조선의 양측 단부는 단자부가 압착 체결하고 편조선의 중앙은 가이드 링에 의해 감싸도록 구성하여 편조선의 말단 및 중간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링에 의해 편조선이 벌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편조선에 형성된 절연코팅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메인 박판 또는 가이드 박판에는 버스바 길이방향으로 세절홈이 형성된어 버스바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박판 또는 가이드 박판에는 가이드 링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가이드 링의 이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들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의 일 영역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는, 중공의 편조선(100)과, 상기 편조선(100)의 중공에 가로질러 설치된 메인 박판(200) 및 상기 편조선(100)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단자부(300)로 구성된다.
편조선(100)은 소선(素線)을 한 가닥 또는 여러 가닥 모으거나 또는 꼰 것을 대편(袋編)으로 한 것으로, 원형 및 평형 두 종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편조선(100)은 평형 중 하나인 바(bar)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편조선(100)은 유연성을 가지므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메인 박판(200)은 전성, 연성 및 전기 전도성이 뛰어난 전도성 박판(예를 들어, 동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박판(200)에 의해 유연한 편조선을 특정 형태로 일정 수준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단자부(300)는 버스바 말단을 견고하게 압착 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전도성 물질들 중 선택 형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단자부(300)는 구리, 납, 은납, 구리와 납(또는 은납)의 2층 구조(2 layer)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단자부(300)가 납(또는 은납)으로 구성된 경우 편조선(100)과 조립 후 열처리 공정을 추가해 단자부(300)에 위치하는 메인 박판(200)의 미세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단자부(300)의 납 일부가 녹아 편조선(100)과 메인 박판(200)과 용융 접합된다.
단자부(300)를 구리와 납 2층 구조로 구성할 경우, 단자부(300)의 내부층(즉, 메인 박판(200)과의 접합되는 층)은 납 또는 은납으로 형성되고, 단자부(300)의 외부층(즉, 버스바 외부로 노출되는 층)은 구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도, 열처리 공정을 추가해 단자부(300)의 미세 들뜸 방지와 단자 외부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고온의 전기전도 환경에서도 강한 내구성 또한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메인 박판(200)은 편조선(100)의 중공에 양측 단부가 노출되도록 2장 이상 삽입 설치되며, 메인 박판(200)의 노출된 양단은 편조선(100)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단자부(300)는, 편조선(100)의 말단에 절곡된 메인 박판(200)의 상부로 압착되며 설치된다.
즉, 2장 이상의 메인 박판(200)이 편조선(100)의 중공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메인 박판(200)의 양단은 편조선(100) 양측 단부로 노출되어 단자부(300)가 설치되는 편조선(100)의 양측 단부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되며, 절곡된 메인 박판(200)을 단자부(300)가 감싸며 견고하게 고정하여 편조선(100)의 말단 풀어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는 편조선(100)을 감싸는 가이드 링(4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조선(100)의 중앙을 가이드 링(400)에 의해 감싸도록 구성하여, 편조선(100)의 중간이 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가이드 링(400)에 의해 편조선(100)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편조선(100)에 형성될 수 있는 절연코팅이 손상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즉,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의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조립된 단자부(300)에는 접속공(310)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접속공(310)은 단자부(300)의 일부 영역을 펀칭하여 형성될 수 있다.
편조선(100) 내부에 전도성 메인 박판(200)을 삽입하여 상기와 같은 구조가 버스바에 적용됨에 따라,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는 편조선(100)의 특징인 유연함을 가지면서도 메인 박판(200)에 의해 일정 수준 형태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내구성과 전기접속 신뢰성이 높은 버스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은 편조선(100) 및 메인 박판(200)의 결합 단계(S110), 메인 박판(200) 절곡 단계(S120), 가이드 링(400) 설치 단계(S130), 단자부(300) 결합 단계(S140), 단자부(300) 열처리 단계(S150) 및 단자부(300) 펀칭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편조선(100) 및 메인 박판(200)의 결합 단계(S110)는, 메인 박판(200)을 편조선(100)의 중공에 삽입하여 수행될 수 있다. 메인 박판(200)은, 편조선(100)의 중공에 삽입된 후 양단이 편조선(100)으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즉, 삽입되는 메인 박판(200)의 길이는 편조선(100)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메인 박판(200) 절곡 단계(S120)에서, 편조선(100)의 양측 단부로 노출된 메인 박판(200)은 편조선(100)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될 수 있다.
가이드 링(400) 설치 단계(S130)는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박판(200)이 절곡된 후 단자부(300)가 결합되기 전에 수행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이드 링(400)은 단자부(300)가 압착 (및 펀칭)된 이후 설치될 수도 있으며, 메인 박판(200)의 절곡 단계 이전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단자부(300) 결합 단계(S140)에서, 단자부(300)는 편조선(100)과 절곡된 메인 박판(200)을 감싸도록 삽입된 후 압착될 수 있다. 단자부(300)는 도 4c에 도시된 것처럼 메인 박판(200)의 절곡된 부분을 완전히 덮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메인 박판(200)의 절곡된 부분의 일부 영역이 단자부(300)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경우에 따라, 결합된 단자부(300)에는 열처리 단계(S150)가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자부(300)가 납(또는 은납)으로 형성되거나, 단자부(300)의 내부층(즉, 메인 박판(200)과의 접합되는 층)이 납 또는 은납으로 형성되고 단자부(300)의 외부층(즉, 버스바 외부로 노출되는 층)은 구리로 형성된 경우 등에서, 단자부(300) 내면이 편조선(100) 및 메인 박판(200)의 절곡부와 용융 접합되어 미세 들뜸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부(300)를 대략 150℃ 내지 250℃로 열처리할 수 있다.
단자부(300) 펀칭 단계(S160)에서는, 단자부(300)를 펀칭하여 단자부에 접속공(31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e는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제조방법은 상술한 편조선(100)과 메인 박판(200)의 결합 단계(S110) 및 메인 박판(200) 절곡 단계(S120) 이후에, 절곡된 박판(200)을 편조선(100)에 용접시킬 수 있다. 즉, 절곡된 박판(200)은 용접을 통해 편조선(100)에 접합될 수 있다. 이후, 절곡된 박판(200) 영역을 펀칭하여 접속공(2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접속공(210) 형성을 위한 펀칭 공정은 프레싱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며, 버스바의 모서리 영역들(A)은 상기 프레싱을 통해 압착되거나, 또는 압착 절단될 수 있다.
즉, 도 4e를 참조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는 상술한 단자부(300)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4e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 4c 내지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에는 가이드 링(400)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1)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5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상호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1)는 중공의 편조선(100)과, 상기 편조선(100)의 중공에 가로질러 설치된 메인 박판(200) 및 상기 편조선(100)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단자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 박판(200)은 편조선(100)의 양측 단부 및 각 단자부(300)의 양측 단부로 노출되는 가이드 박판부(500-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인 박판(200)은 편조선(100)의 말단 및 단자부(300)의 말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박판부(500-1)는,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 메인 박판(200) 절곡 단계(S120)를 생략하거나, 2장 이상 적층된 메인 박판(200) 중 적어도 일부 층의 메인 박판을 절곡하지 않음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2장 이상의 메인 박판(200)이 편조선(100)의 중공을 가로질러 설치되고, 그 양단은 편조선(100)의 양측 단부로 노출되며 가이드 박판부(500-1)를 형성하여 도 7a와 같이 인접하는 둘 이상의 버스바를 서로 직렬로 연결하거나, 도 7b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버스바에서 하나의 가이드 박판부(500-1)가 90도로 절곡되어 다른 버스바(Ba)로 분기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 7c와 같이 가이드 박판부(500-1)에는 연결공(501-1)이 형성되며, 연결공(501-1)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두쌍의 버스바를 교차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가이드 박판부(500-1)에도 가이드 링에 대응되는 삽입홈 및/또는 상술한 세절홈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2)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도 6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상호 참조하면,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2)는 중공의 편조선(100)과, 상기 편조선(100)의 중공에 가로질러 설치된 메인 박판(200), 가이드 박판(500-2) 및 상기 편조선(100)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단자부(300)로 구성된다.
메인 박판(200)은 편조선(100)의 중공에 양측 단부가 노출되도록 2장 이상이 설치되되, 메인 박판(200)의 노출된 양단은 편조선(100)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될 수 있다. 이후, 절곡된 메인 박판(200)을 단자부(300)가 감싸며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박판(500-2)은 메인 박판(200)의 사이에 추가적으로 구비되며, 메인 박판(200)의 노출된 양단이 편조선(100)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됨에 따라 가이드 박판(500-2)의 양단은 편조선(100)의 말단 및 단자부(300)의 말단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2장 이상의 메인 박판(200)의 사이로 가이드 박판(500-2)을 추가 설치하고, 가이드 박판(500-2)은 편조선(100)의 양측 단부로 노출됨으로써, 도 7a와 같이 인접하는 둘 이상의 버스바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거나 도 7b와 같이 직렬로 연결된 한 쌍의 버스바에서 하나의 가이드 박판(500-2)이 90도로 절곡되어 다른 버스바로 분기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 7c와 같이 가이드 박판(500-2)에는 연결공(501-2)이 형성되며, 연결공(501-2)에 의해 직렬로 연결된 두쌍의 버스바를 교차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시하진 않았지만 가이드 박판(500-2)에도 가이드 링에 대응되는 삽입홈과 세절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의 일 영역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B-3)는 편조선(100)과, 상기 편조선(100)의 중공에 가로질러 설치된 메인 박판(200), 상기 편조선(100)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단자부(300) 및 가이드 박판(50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편조선(100)은 메인 박판(200)에 간격을 가지며 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메인 박판(200)이 둘 이상의 편조선(100) 중공에 가로질러 설치된다(여기서, 하나의 메인 박판이라 함은 길이 방향으로 단일 박판임을 의미하며, 하나의 메인 박판은 상술한 것과 같이 2장 이상 적층된 박판들일 수 있음). 다시 말에, 메인 박판(200)에 결합되는 편조선(100)은 제1 편조선(100-1) 및 상기 제1 편조선(100-1)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 편조선(10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조선(100-1) 및 제2 편조선(100-2)이 상호 이격 배치됨에 따라, 메인 박판(200)의 일부 영역은 편조선(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박판(500-3)은, 편조선들(100-1, 100-2) 사이에서 메인 박판(200)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박판(500-3)은, 도 4c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자부 결합 단계(S140)이전에 편조선(100)과 단자부(300)의 사이 또는 메인 박판(200)과 편조선(100) 사이에 삽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박판(500-3)은 도 9에 도시된 것과 달리, 즉 편조선(100)과 단자부(300)의 사이가 아닌 메인 박판(200)과 편조선(100) 사이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B: 버스바
100: 편조선 200: 메인 박판
300: 단자부 400: 가이드 링
500: 가이드 박판

Claims (9)

  1. 중공의 편조선;
    상기 편조선의 중공에 가로질러 설치된 박판 적층구조물; 및
    상기 편조선 양측 단부에 고정되는 단자부;가 포함되고,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은 양측 단부가 상기 편조선으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편조선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은 상기 편조선으로부터 노출된 양단이 상기 편조선의 상하면을 덮도록 절곡된 메인 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은 양측 단부가 상기 편조선 및 상기 단자부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편조선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박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박판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판 적층구조물 중 적어도 1층 이상의 박판에는 길이방향으로 세절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30917A 2020-03-06 2020-10-12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2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16681 WO2021177549A1 (ko) 2020-03-06 2020-11-24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489 2020-03-06
KR20200028489 2020-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01A KR20210113001A (ko) 2021-09-15
KR102492980B1 true KR102492980B1 (ko) 2023-01-31

Family

ID=7779345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16A KR20210113000A (ko) 2020-03-06 2020-10-12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200130917A KR102492980B1 (ko) 2020-03-06 2020-10-12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0916A KR20210113000A (ko) 2020-03-06 2020-10-12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101130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1297B1 (en) * 2021-11-29 2023-07-06 Kk Wind Solutions As An electrical conductor for an electrical installation in a renewable energy facili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317A (ja) * 2000-11-02 200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可撓性接続導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3273A (en) * 1986-11-20 1992-09-01 Methode Electronics, Inc. Attachment of solder buttons to elongated conductor
US20050137078A1 (en) 2003-12-18 2005-06-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lumina-yttria p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101937158B1 (ko) 2018-08-27 2019-04-09 김점필 플렉시블 버스바의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2317A (ja) * 2000-11-02 2002-05-17 Mitsubishi Electric Corp 可撓性接続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01A (ko) 2021-09-15
KR20210113000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91633A1 (en) Flexible circuits for electrical harnesses
US9008739B2 (en) Terminal structure of superconducting cable conductor and terminal member used therein
JP5615825B2 (ja) 溝を有する超小型電子チップとストランドの形をしたワイヤ要素との組立体及び組立方法
JP2013161855A (ja) 太陽電池用インターコネクタおよびインターコネクタ付き太陽電池セル
JP2012038453A (ja) 圧着端子
EP3235012B1 (en) Method for interconnecting back-contact photovoltaic cells
KR102492980B1 (ko) 하이브리드 플렉서블 버스바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323581A (zh) 带端子的电线
US4241387A (en) Lamp lead to wire attachment for integral string sets
JP4597516B2 (ja) フレキシブル電気配線
JP2016167335A (ja) 配電用電線・ケーブルの製造方法
JP5237691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の電極線接続構造
JP5979427B2 (ja) 導電体
US7215056B2 (en) Electrical machine
JP2016100110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2000277784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09021148A (ja) 電線接続構造
JP2006514777A (ja) 連結コネクタのためのピンコンタクト
JP2017143018A (ja) 平編組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89569B1 (ko) 극세선 번들의 열선과 전선의 접속방법
KR101114516B1 (ko) 전선연결 단자
JP2020004525A (ja) シャントワイヤ
JP201409622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
CN220821128U (zh) 一种带状线缆
JP6770657B2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