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9736Y1 -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 Google Patents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9736Y1
KR200379736Y1 KR20-2004-0036562U KR20040036562U KR200379736Y1 KR 200379736 Y1 KR200379736 Y1 KR 200379736Y1 KR 20040036562 U KR20040036562 U KR 20040036562U KR 200379736 Y1 KR200379736 Y1 KR 2003797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distribution box
wiring
bar
voltag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6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호
Original Assignee
청진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진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청진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6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97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97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97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변압기측 2차 전선 측에서 공급되는 R,S,T,N배선을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N등분하여 다수개의 R,S,T,N공급배선 등으로 분전할 수 있도록 상기 R,S,T배선이 분전함 내부로 최초 연결되는 R,S,T연결바아 및 상기 R,S,T공급배선이 연결되는 R,S,T공급바아를 갖는 지중저압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R,S,T배선과 R,S,T연결바아 또는 상기 R,S,T공급배선과 R,S,T공급바아의 연결부위인 각각의 통전부를 절연하기 위해 별도의 절연커버가 씌워지는 난연성 절연커버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R,S,T배선과 R,S,T연결바아 또는 상기 R,S,T공급배선과 R,S,T공급바아의 연결부위 전체를 감싸면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수단을 갖는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지중저압 분전함에서 통전부의 절연작업 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더불어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Fire Retardant Insulator Cover of Underground Low Voltage Distribution Box}
본 고안은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압기에서 공급되는 전류를 분배하도록 하는 지중저압 분전함에서 지중저압 배전선로의 인입 및 분기회로의 단말부분인 R,S,T배선과 R,S,T연결바아 또는 R,S,T공급배선과 R,S,T공급바아가 연결되는 부위인 각각의 통전부를 절연커버로 절연함으로써, 상기 통전부에서의 절연작업 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더불어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저압 분전함(Under Ground Low Voltage Distribution Box)은, 지중저압 배전선로의 중간에 설치하여 분기선 또는 인입선의 분기 및 고장 구간분리를 위해 사용하는 전기장치로서, 변압기의 2차측 전선에서 3상 4선식으로 이루어진 알,에스,티이,엔(R,S,T,N)등의 4개의 배선을 인출하여 변압기의 전기용량을 N등분하여 가정 혹은 공장 등의 지역으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중저압 분전함에 변압기로부터 1000KV의 전기용량이 유입되어져 온다고 가정할 때, 4개의 지역으로 전기를 분전하는 경우 250KV의 전기용량으로 4등분하여 가정 혹은 공장 등으로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변압기의 2차측 전선에서 인출되어진 전기배선이 지중매설구(지하의 일정 구역에 전기배선이 분전할 수 있도록 형성한 지역)에서 여러 개의 가닥으로 분전되어 가정 혹은 공장 등지와 같은 소정 지역으로 공급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종래에 지중매설구에서 전기배선을 분전하도록 하는 구성은 작업자가 지하로 들어서 가서 일일이 변압기에서 인출된 전기배선을 다수 가닥으로 분리시키고 그 분리된 전기배선을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분기하는 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작업성이 저하되고 번거로운 문제점을 지닌다.
또한, 일정지역으로 공급되는 전기배선에 이상이 발생하여서 수리를 하여야 하는 경우, 지중매설구에서 공급되는 모든 배선을 차단하여야 하므로 전기공급에 이상이 없는 가정 및 지역으로 공급되는 전기를 일시적으로 단전하게 되어 산업활동 등을 위축하게 되므로 경제적으로 타격을 가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닌다.
이에 본 출원인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면서 효율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지중저압 분전함에 관련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실용신안등록번호 제0259419호 2001. 12. 19. 등록)된 바 있었다.
즉,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지중저압 분전함(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통기공(5)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본체(3)와, 상기 본체(3) 전면에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여닫이식 도어(7)가 구비된 외관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도어(7)는 도어락부재(9)를 통해 잠금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분전함(1) 내부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기측 2차 전선 측에서 공급되는 R배선(10), S배선(20), T배선(30) 및 N배선(40)을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N등분하여 다수개의 R공급배선(70), S공급배선(72), T공급배선(74) 및 N공급배선(76)등으로 분전하도록 하는 분전함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분전함(1) 내부에는, 본체(3)의 고정프레임(50)에 다수의 체결볼트(54)로 체결되어 절연체 역할을 하도록 하는 절연판(52)과; 상기 절연판(52)의 배면 상에 서로 다른 수평 위치를 갖도록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어 고정된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와; 상기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 상에 각각 마련된 R,S,T단자연결판(16,26,36)에 의해 서로 다른 길이로 수직하게 일정간격 두고 고정됨과 아울러 변압기의 2차측 전선에서 공급되는 상기 R,S,T배선(10,20,30)이 R,S,T고정나사(12,22,3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R,S,T연결바아(14,24,34)와; 상기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면서 상기 절연판(52)의 전,후방연결공(56)을 통해 전방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R,S,T단자(19,29,39)와; 상기 R,S,T단자(19,29,39)에 연결 고정되어 전기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절연판(52)의 전방에 마련된 다수개의 배전차단기(60)와; 상기 배전차단기(60)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R,S,T공급배선(70,72,74)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R,S,T공급바아(64,66,68)와; 상기 N배선(40) 및 상기 N공통배선(76)이 각각 연결될 수 있게 상기 고정프레임(50)에 체결되는 N상공통단자판(42)이 상호 유기적으로 배치 결합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판(52)은, 절연판(52)에 고정되는 모든 부품과 절연될 수 있게 절연체를 사용하면서 표면에 절연을 위한 코팅이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R,S,T,N배선(10,20,30,40)은 변압기의 2차 전선에서 각각 R,S,T,N으로 인출되는 4개의 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R,S,T배선(10,20,30)이 각각 R,S,T연결바아(14,24,34)에 연결되어 변압기 측의 전기가 분전함으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R,S,T배선(10,20,30)은 별도의 연결용 터미널을 통해 두 개의 R,S,T고정나사(12,22,32)에 의해 각각 R,S,T연결바아(14, 24,34)에 연결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N배선(40)은, 상기 고정프레임(50)에 고정된 N상공통단자판(42)에 연결된다.
상기 N상공통단자판(42)은 중심부분에 N배선(40)이 연결되고, 측면부분의 4개의 체결나사를 통해 N공통배선(76)이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음으로써, 전기를 분전하여 공급이 가능한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R,S,T연결바아(14,24,34)는, 길이가 서로 다른 상태로 일정 간격을 두고 하방으로 수직하게 배열되면서 상기 절연판(52)에 설치되는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에 마련된 R,S,T단자연결판(16,26,36)을 통해 각각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R,S,T단자연결판(16,26,36)은, 90도 각도로 절곡된 상태에서 절곡된 일측면이 상기 R,S,T연결바아(14,24,34)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측면으로 연결되고, 다른 절곡된 면이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에는 각각 4개씩의 R,S,T단자(19,29,39)가 일정간격을 두고 분기되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R,S,T단자(19,29,39)는 상기 절연판(52)의 배면 상측에서 전방으로 관통 형성된 전,후방연결공(56)을 통해 절연판(52)의 전방으로 연결되게 된다.
물론,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에 각각 마련되는 R,S,T단자(19,29,39)가 각각 네 개씩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하다면 갯수를 늘리거나 줄여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상기 전열판(52)의 전방으로 연결된 상기 R,S,T단자(19,29,39)는 4개의 배전차단기(60)로 각각 연결되는 바, 전기공급에 이상이 발생할 때, 각각의 배전차단기(60)를 작동시킴으로써, 전기 공급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이때, 상기 배전차단기(60)(Mold Case Circuit Breaker)는, 기존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배전차단기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전차단기(60)의 타단에는 R,S,T공급바아(64,66,68)가 연결되고, 이 R,S,T공급바아(64,66,68)에는 각각의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연결되는 상기 R,S,T공급배선(70,72,74)이 연결됨으로써,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의 전기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시되지 않은 변압기에서 전기가 상기 R,S,T배선(10,20,30)을 통해 분전함(1)의 말단 통전부인 R,S,T연결바아(14,24,34)에 인입 통전되면, 순차적으로 R,S,T단자연결판(16,26,36)을 통해 상기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에 각각 통전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 상에 각각 4개씩 마련된 상기 R,S,T단자(19,29,39)를 통해 분전되어 통전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R,S,T단자(19,29,39)를 통해 분전된 전기는 각각 4개의 배전차단기(60)를 거친 다음, 상기 배전차단기(60)의 타단에 연결된 R,S,T공급바아(64,66,68)를 통해 상기 R,S,T공급배선(70,72,74)에 의해서 각각의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분전 공급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분전 공급구조를 갖는 종래의 지중저압 분전함에 있어서, 변압기 측에서 인출되어 분전함(1)으로 인입되는 상기 R,S,T배선(10,20,30)을 분전함(1)내의 R,S,T연결바아(14,24,34)에 연결하거나, 상기 R,S,T공급바아(64,66,68)와 R,S,T공급배선(70,72,74)을 연결할 때, 종래에는 상기 R,S,T연결바아(14,24,34)와 R,S,T배선(10,20,30), 또는 R,S,T공급바아(64,66,68)와 R,S,T공급배선(70,72,74)의 연결부위를 절연테이프로 감아 절연하거나 그대로 방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기 R,S,T연결바아(14,24,34)와 R,S,T배선(10,20,30) 또는 R,S,T공급바아(64,66,68)와 R,S,T공급배선(70,72,74)의 연결부위를 절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는 분전함(1)을 개방할 경우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을 뿐만 아니라 변압기에서 인입되는 높은 전압으로 인해 절연되는 않은 부위에서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상기 R,S,T연결바아(14,24,34)와 R,S,T배선(10,20,30) 또는 R,S,T공급바아(64,66,68)와 R,S,T공급배선(70,72,74)의 연결부위를 절연테이프로 감아서 절연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연결부위를 절연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 비해 안전사고 및 스파크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각각의 절연이 필요한 부위를 절연테이프로 수작업을 통해 일일이 감아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따른 절연테이프로 감는 부분이 규격화된 형태로 매듭짓기가 어렵기 때문에 외관미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중저압 분전함에서 지중저압 배전선로의 인입 및 분전되는 분기회로의 단말부분인 R,S,T배선과 R,S,T연결바아 또는 R,S,T공급배선과 R,S,T공급바아가 연결되는 각각의 통전부를 절연커버로 절연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함은 물론, 절연작업 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더불어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변압기측 2차 전선측에서 공급되는 R,S,T,N배선을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N등분하여 다수개의 R,S,T,N공급배선 등으로 분전할 수 있도록 상기 R,S,T배선이 분전함 내부로 연결되는 R,S,T연결바아 및 상기 R,S,T공급배선이 연결되는 R,S,T공급바아를 갖는 지중저압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R,S,T배선과 R,S,T연결바아 또는 상기 R,S,T공급배선과 R,S,T공급바아의 연결부위인 각각의 통전부를 절연하기 위해 별도의 절연커버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R,S,T배선과 R,S,T연결바아 또는 상기 R,S,T공급배선과 R,S,T공급바아의 연결부위 전체를 감싸면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수단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절연커버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마련된 다수의 체결공과, 이 체결공에 대응하여 끼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후크체결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연커버는 난연성을 갖는 P.V.C 시트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저압 분전함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 사진 도면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요부를 확대한 사진 도면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저압 분전함의 내부 배면 상태를 보인 사진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 8의 요부를 확대한 사진 도면이며,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절연커버를 도시한 사진 도면이고,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연커버의 체결수단을 보여주는 도 10의 A-A선 단면도이다.
이때, 본 고안을 설명하는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종래 기술에서 보여주는 지중저압 분전함에 도시된 부위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붙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변압기측 2차 전선 측에서 공급되는 R,S,T,N배선(10,20,30,40)을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N등분하여 다수개의 R,S,T,N공급배선(70,72,74) 등으로 분전할 수 있도록 상기 R,S,T배선(10,20,30)이 분전함(1) 내부로 최초 연결되는 R,S,T연결바아(14,24,34)와 상기 R,S,T공급배선(70,72,74)이 연결되는 R,S,T공급바아(64,66, 68)를 갖는 지중저압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R,S,T배선(10,20,30)과 R,S,T연결바아(14,24,34) 또는 상기 R,S,T공급배선(70,72,74)과 R,S,T공급바아(64,66,68)의 연결부위인 각각의 통전부를 절연하기 위해 별도의 절연커버(80)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 기술에서 살펴본 바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지중저압 분전함은, 변압기측 2차 전선 측에서 공급되는 R배선(10), S배선(20), T배선(30) 및 N배선(40)을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N등분하여 다수개의 R공급배선(70), S공급배선(72), T공급배선(74) 및 N공급배선(76)등으로 분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여기서, 본 고안이 적용되는 지중저압 분전함(1)의 내부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의 고정프레임(50)에 다수의 체결볼트(54)로 체결되어 절연체 역할을 하도록 하는 절연판(52)과; 상기 절연판(52)의 배면 상에 서로 다른 수평 위치를 갖도록 나란하게 수평 배치되어 고정된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와; 상기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 상에 각각 마련된 R,S,T단자연결판(16,26,36)에 의해 서로 다른 길이로 수직하게 일정간격 두고 고정됨과 아울러 변압기의 2차측 전선에서 공급되는 상기 R,S,T배선(10,20,30)이 R,S,T고정나사(12,22,32; 도 5참조)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마련된 R,S,T연결바아(14,24,34)와; 상기 제1,제2,제3수평플레이트(18,28,38)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되면서 상기 절연판(52)의 전,후방연결공(56)을 통해 전방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R,S,T단자(19,29,39)와; 상기 R,S,T단자(19,29,39)에 연결 고정되어 전기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절연판(52)의 전방에 마련된 다수개의 배전차단기(60)와; 상기 배전차단기(60)의 타단에 연결 고정되어 상기 R,S,T공급배선(70,72,74)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R,S,T공급바아(64,66,68)와; 상기 N배선(40; 도 4참조) 및 상기 N공통배선(76; 도 4참조)이 각각 연결될 수 있게 상기 고정프레임(50)에 체결되는 N상공통단자판(42)이 상호 유기적으로 배치 결합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지중저압 분전함에 있어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변압기 측에서 인출되어 분전함(1)으로 인입되는 상기 R,S,T배선(10,20,30)을 분전함(1) 내의 상기 R,S,T연결바아(14,24,34)에 연결하거나, 상기 분전함(1) 내에서 분전되는 전기를 가정이나 공장 등지로 공급하기 위해 상기 R,S,T공급바아(64,66,68)에 R,S,T공급배선(70,72,74)을 연결할 때, 이 연결부위인 각각의 통전부를 착탈이 용이한 절연커버(80)로 절연함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절연커버(80)는 난연성을 갖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 약칭 PVC) 시트로 제작함으로써, 불에 타지 않으며 물이나 약에 잘 견디고,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커버(80)는 연질의 폴리염화비닐 시트를 이용하여 그 형상 자체가 R,S,T배선(10,20,30)과 R,S,T연결바아(14,24,34) 및 상기 R,S,T공급배선(70,72,74)과 R,S,T공급바아(64,66,68)의 연결부위인 각각의 통전부를 전체적으로 감쌀 수 있는 형상 구조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연커버(80)를 체결했을 때의 상단 개구부는 상기 R,S,T연결바아(14,24,34) 및 R,S,T공급바아(64,66,68)의 형상에 따라 평판 형태의 사각단면을 가지며, 하단 개구부는 R,S,T배선(10,20,30) 및 R,S,T공급배선(70,72,74)의 형상에 따라 둥근 케이블선 형태의 원형단면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연커버(80)를 펼쳐 놓았을 때, 절연커버(80)의 양단에 해당하는 부위에는 체결수단(90)을 갖춤으로써, 절연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수단(90)은 절연커버(80)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마련된 체결공(81)과, 이 체결공(81)에 대응하여 끼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후크체결구(82)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크체결구(82)는 상기 체결공(81)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앞단이 뾰쪽하면서 체결공(81)에 끼워진 상태에서 강제적인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후크체결구(82)는 절연커버(80)에서 분리 가능한 구조로 별도 제작되게 되고, 이때, 상기 후크체결구(82)는 경질의 절연 재질로 제작되어 절연커버(80)의 모든 부위에서 절연이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 고안에 따른 절연커버(80)에 적용되는 상기 체결수단(90)은 도시된 체결공(81)과 후크체결구(82)의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절연커버(80)의 체결 고정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형태의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이상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변압기에서 인입되는 R,S,T배선이 연결되는 R,S,T연결바아와, 분전함에서 분전된 전기를 가정이나 공장 등지로 공급하기 위해 R,S,T공급배선이 연결되는 R,S,T공급바아의 연결부위인 각 통전부를 착탈이 용이한 절연커버로 절연함으로써, 절연작업 자체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기공급 시 분전함 내부에서의 스파크 발생 및 분전함 개방 시 발생할 수도 있는 안전사고를 통전부의 절연에 따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분전함 내부의 개방시 동일 규격의 절연커버로 통전부를 각각 절연함에 따른 규격화된 형태를 취하고 있어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지중저압 분전함의 외관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로서, 도 1에 도시된 지중저압 분전함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종래 기술로서, 도 1에 도시된 지중저압 분전함의 내부 배면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로서, 도 2에 도시된 지중저압 분전함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5는 종래 기술로서, 도 4에 도시된 지중저압 분전함의 내부 배면에 배선이 연결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 저압 분전함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 사진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도 6의 요부를 확대한 사진 도면,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지중저압 분전함의 내부 배면상태를 보인 사진 도면,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도 8의 요부를 확대한 사진 도면,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절연커버를 도시한 사진 도면,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절연커버의 체결수단을 보여주는 도 10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전함 3 : 본체
5 : 통기공 7 : 도어
9 : 도어락부재 10,20,30,40 : R,S,T,N배선
12,22,32 : R,S,T배선고정나사 14,24,34 : R,S,T연결바아
16,26,36 : R,S,T단자연결판 42 : N상공통단자판
50 : 고정프레임 52 : 절연판
56 : 전,후방연결공 60 : 배전차단기
64,66,68 : R,S,T공급바아 70,72,74,76 : R,S,T,N공급배선
80 : 절연커버 81 : 체결공
82 : 후크체결구 90 : 체결수단

Claims (3)

  1. 변압기측 2차 전선측에서 공급되는 R,S,T,N배선을 가정 혹은 공장 등지로 N등분하여 다수개의 R,S,T,N공급배선 등으로 분전할 수 있도록 상기 R,S,T배선이 분전함 내부로 최초 연결되는 R,S,T연결바아 및 상기 R,S,T공급배선이 연결되는 R,S,T공급바아를 갖는 지중저압 분전함에 있어서,
    상기 R,S,T배선과 R,S,T연결바아 및 상기 R,S,T공급배선과 R,S,T공급바아의 연결부위인 각각의 통전부를 절연하기 위해 별도의 절연커버가 씌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는 상기 R,S,T배선과 R,S,T연결바아 및 상기 R,S,T공급배선과 R,S,T공급바아의 연결부위 전체를 감싸면서 착탈 가능하게 체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절연커버의 일측에 서로 마주보게 마련된 다수의 체결공과, 이 체결공에 대응하여 끼움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는 후크체결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KR20-2004-0036562U 2004-12-23 2004-12-23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KR2003797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562U KR200379736Y1 (ko) 2004-12-23 2004-12-23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6562U KR200379736Y1 (ko) 2004-12-23 2004-12-23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9736Y1 true KR200379736Y1 (ko) 2005-03-23

Family

ID=4368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6562U KR200379736Y1 (ko) 2004-12-23 2004-12-23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97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28B1 (ko) 2012-04-04 2012-06-20 강용주 방폭형 고압전동기단자함
KR20190103671A (ko) * 2018-02-28 2019-09-05 한국전력공사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20200063788A (ko) * 2018-11-28 2020-06-05 한국전력공사 지중저압분전함 및 지중저압분전함을 설치하는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528B1 (ko) 2012-04-04 2012-06-20 강용주 방폭형 고압전동기단자함
KR20190103671A (ko) * 2018-02-28 2019-09-05 한국전력공사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102114541B1 (ko) * 2018-02-28 2020-05-25 한국전력공사 화재 확산 방지 시스템
KR20200063788A (ko) * 2018-11-28 2020-06-05 한국전력공사 지중저압분전함 및 지중저압분전함을 설치하는 방법
KR102167900B1 (ko) * 2018-11-28 2020-10-20 한국전력공사 지중저압분전함 및 지중저압분전함을 설치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982B2 (en) Meter socket adapter with integral automatic transfer switch
US7508653B2 (en) Load center with plug in neutral connections
KR200485290Y1 (ko) 배전반
CN105375376B (zh) 组合式变电站用电开关柜
US11456584B1 (en) Quick connect generator cable
KR200379736Y1 (ko) 지중저압 분전함의 난연성 절연커버
US9646738B2 (en) System for isolating power conductors using folded insulated sheets
US9667041B2 (en) Electrically insulating cover for terminal assembly
KR100699920B1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KR200331163Y1 (ko) 배전반
US9667051B2 (en) Power terminal enclosure for power conductors
CN204538607U (zh) 变电站内主控台接线端子箱
CN205039441U (zh) 一种新型环网柜
CN210517342U (zh) 高压柜及高压柜组合结构
KR20220168016A (ko) 집합 단자대
KR101333569B1 (ko)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JP2002199515A (ja) 分電盤ユニットおよびそれで構成される分電盤
JP3521678B2 (ja) 高圧受電設備
CN2278289Y (zh) 新型混合式低压开关柜
KR200259419Y1 (ko) 지중 저압 분전함
KR200279711Y1 (ko) 작업 및 보수로의 구조를 갖는 축소형배전반
CN215834941U (zh) 一种便于布线的控制柜
KR102310037B1 (ko) 분전반용 부스바연결장치
KR100978282B1 (ko) 지중저압 분전함의 부식 방지구조
CN216529701U (zh) 一种可调式动插件接线排安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