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8802B1 -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 Google Patents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802B1
KR101618802B1 KR1020150129575A KR20150129575A KR101618802B1 KR 101618802 B1 KR101618802 B1 KR 101618802B1 KR 1020150129575 A KR1020150129575 A KR 1020150129575A KR 20150129575 A KR20150129575 A KR 20150129575A KR 101618802 B1 KR101618802 B1 KR 101618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hole
ring portion
insulator
electric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대호
Original Assignee
(주)비앤와이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앤와이이엔지 filed Critical (주)비앤와이이엔지
Priority to KR102015012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용 가공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력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 배전반이 구비된 전주에 완철과 지지체를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Distribution Board Box For Very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분야 기술 중 송전용 가공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전력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 배전반이 구비된 전주에 완철과 지지체를 쉽고 빠르게 설치할 수 있도록 개선된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애자라 함은, 전주에 밴드를 매개로 고정된 완철 상에 고정되어 가공전선의 나선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절연체이다.
이러한, 애자는 단순히 가공전선을 고정하는 기능만 있으며, 통상 가공전선을 애자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당겨 연결하기 때문에 중간부가 하측으로 처지도록 느슨하게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바람이 강하게 불 경우, 가공전선이 유동을 하게 되고, 가공전선이 유동함에 따라 발생되는 하중이나 진동이 애자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어 애자가 손상되어 기능을 상실하거나 심하게는 완철 상에서 이탈되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하였다.
특히, 강한 바람에 의해 애자가 손상되어 그 기능을 상실한 경우 이를 긴급하게 교체해주어야 할 필요가 있는 통상 전주에는 작업자가 작업에 필요한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배전반이 없어 지상에서부터 콘센트를 함께 휴대한 상태로 전주에 올라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이 애자는 단순히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는 별다른 기능은 찾아 볼 수 없으며, 특히 조류 등이 둥지를 트는 경우가 자주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작업자 일정주기로 돌아다니면서 해체해야 하므로,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뿐만 아니라, 가공전선의 가설경로를 변경해야하는 경우에는 통상 애자가 설치된 서포트 전체를 틀어줘야 하기 때문에 설치시간 및 작업이 상당히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이러람 문제를 일부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44986호(2012.05.03.)에 의한 것으로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상기 등록특허는 가설플레이트의 설치를 위해 구비되는 완철 및 완철 고정과 배전반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지지체를 전주상에 고정할 때 볼트를 죄었다 풀었다를 반복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지지체를 전주에 끼우는 구조에서는 전주를 타고 흘러내리는 문제 때문에 1인 작업자가 전주에 올라선 상태에서 작업하기 곤란하며, 그에 따라 작업이 어렵고 번거로우며 그만큼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완철이 지지체와 일체로 구성된 경우에는 볼륨이 커서 설치 작업시 이동, 가설하기 매우 불편하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다는 단점도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144986호(2012.05.03.)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주에 설치된 배전함본체를 통해 작업자가 콘센트를 지상으로부터 휴대할 필요가 없이 배전함본체에 설치된 콘센트를 매개로 작업진행이 수행할 수 있고, 조류가 가공전선에 앉거나 또는 주변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하며 가공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기설치된 가공전선의 설치(가설)경로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엇보다도, 전주상에 고정되는 지지체와 완철의 설치구조를 편리하게하여 조립 설치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작업편의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한 것에 그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주(1)에 끼워지는 링부(720): 상기 링부(720)의 외주면 일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배전반본체(600)가 고정되는 지지체(2-1): 상기 링부(720)에 걸림되는 완철(2): 상기 완철(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는 가설플레이트(100): 가설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애자(200): 중앙에 형성되며 다각형의 내면을 갖는 각공(311)과, 각공(311)을 기준으로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직공(312)과, 수직공(312)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수평공(313)과, 선단부와 말단부에 형성되며 수직공(312)과 상호 연통되는 결합공(314)을 갖추고서, 애자(200) 상에 안착되는 육면체형상의 연결구본체(310)와;‘ㄴ’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수직공(312) 및 수평공(31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애자(200)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록본체(321)와, 블록본체(321)와 애자(200)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패드(322)로 이루어진 한 쌍의 가압블록(320)과; 요철형태를 이루며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331)와, 가압블록(320)에 체결되는 나사부(332)를 갖추고서, 결합공(314)을 통해 연결구본체(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압블록(320)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켜 가압블록(3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송볼트(330)와; 내면과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결합공(314)과 가이드부(331)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공(314)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시(340)와; 연결구본체(310)의 양단부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방지부시(3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탈방지편(350)으로 구성된 연결구(300): 다면체형상의 각형돌기(411)를 갖추고서, 각형돌기(411)를 매개로 각공(3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면으로 안착되는 가공전선(L)의 설치경로를 조정하는 연결부재(410)와; 연결부재(410)의 상면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전선(L)을 가압고정하는 커버(420)와; 각형돌기(41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반사판브라켓(431)과, 반사판브라켓(4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432)으로 구성된 퇴치기구(430)로 이루어진 고정구(400): 가공전선(L)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전선(L')과, 상기 배전반본체(600)의 차단기(6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전선(L")을 갖추고서, 전주(1)에 설치되어 고압전력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500): 상기 배전반본체(600)에 설치되고 상기 변압기(500)로부터 인출된 인출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센트(630) 및 조명스위치(640)로의 전력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차단기(620): 상기 배전반본체(600)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콘센트(630):를 포함하되,
전주(1)는 CFRTPC(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로 제조되고, 상기 전주(1)의 상단은 전주(1)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끼움부(700)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700)의 하단에는 단차면(710)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면(710)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위치고정돌기(712)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700)에는 상기 링부(720)가 삽입되고, 상기 링부(720)의 저면에는 둘레는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위치고정돌기(712)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722)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링부(720)의 내경 둘레 일부에는 걸림홈(740)이 형성되고, 상기 완철(2)의 일측면에는 상기 링부(720)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한 쌍의 접지블럭(750)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며, 상기 접지블럭(750)들 사이의 거리 중앙에는 상기 걸림홈(740)에 걸림되는 'ㄱ'형상의 걸림구(760)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부(70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홈(70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700)의 상면에는 상기 전주(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커버(730)가 접지되고, 상기 커버(730)에는 상기 볼트홈(702)과 대응되는 볼트공(732)이 형성되어 볼트공(732)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공(732)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커버(730)를 상기 끼움부(700)의 상면에 볼트고정하고, 상기 접지블럭(750) 양측 각 상면에는 제1고정핀(P1)을 돌출하며, 상기 링부(72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74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2고정핀(P2)을 돌출하고, 상기 제1,2고정핀(P1,P2)에 걸려 결속되는 결속부재(8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결속부재(800)는 조임환(810)과, 상기 조임환(810)의 양단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고 나사체결되는 제1,2고정로드(820,8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고정로드(820,830)의 각 일단에는 후크형걸이(822,8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2고정핀(P1,P2)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타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환(8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임환(8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여지면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풀어지면서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을 제공한다.
삭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주에 설치된 배전함본체를 통해 애자의 기능상실로 인해 수리가 필요한 경우 작업자가 전동공구만 휴대한 상태에서 배전함본체에 구비된 콘센트를 매개로 전동공구를 매우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나아가, 야간에 긴급하게 작업하는 경우에도 배전함본체에 구비된 램프를 통해 주변부를 밝혀줄 수 있어 콘센트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완철과 지지체의 설치구조가 간단하여 조립설치에 따른 편의성이 증대되고, 작업시간이 단축되어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의 동작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에서 배전반본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을 구비하기 위한 지지체의 전주 조립예를 보인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도 8은 도 7의 결속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후술되는 선등록특허 제1144986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때문에,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상 특징들은 모두 등록특허 제1144986호에 기재된 사항들이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등록특허 제1144986호에 개시된 구성들 중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특정 구성 일부를 개선한 추가 실시예 부분이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 특징을 이룬다.
따라서, 이하 설명되는 장치 구성과 특징 및 작동관계는 상기 등록특허 제1144986호의 내용을 그대로 인용하기로 하며, 후단부에서 본 발명의 주된 특징과 관련된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는, 가설플레이트(100)와 애자(200), 연결구(300), 고정구(400), 변압기(500) 및 배전반본체(600)로 구성되어 가공전선(L)을 안정적으로 고정 및 지지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가공전선(L)의 설치(가설)경로를 변경하는 기능을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설플레이트(100)은 완철(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가설플레이트(100)의 양 측면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구멍은 완철(2)의 외면에 형성된 구멍과 일치하도록 제작하였다.
따라서, 상기 구멍을 통해 체결부재(볼트)가 삽입관통되어 완철(2)의 구멍에 체결되기 때문에 완철(2)에 가설플레이트(100)을 쉽고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설플레이트(100)은 필요에 따라 위치를 변화시켜 가공전선의 설치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상기 애자(200)는 완철(2) 상에 설치되어 완철(2)와 가공전선(L)이 전기적으로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애자(200)의 경우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연결구(300)는 연결구본체(310)와 가압블록(320), 이송볼트(330), 회전방지부시(340) 및 이탈방지편(350)으로 구성되며, 상기 애자(200)의 상단부에 한 쌍의 가압블록(320)을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연결구본체(310)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공지의 블록으로서, 중앙에는 다각형의 내면을 갖는 각공(311)이 형성되고, 각공(311)을 기준으로 양측 길이방향에는 수직공(312)이 형성되되, 수직공(312)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공(313)이 형성되며, 선단부와 말단부에는 결합공(314)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각공(311)에는 이후에 설명될 각형돌기(411)가 착탈가능하게 압입고정되고, 수직공(312)과 수평공(313)에는 블록본체(321)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며, 결합공(314)에는 이송볼트(330)와 회전방지부시(340)이 삽입된다.
상기 가압블록(320)은 블록본체(321)와 밀착패드(322)로 구성된다. 상기 블록본체(321)는 전체적으로‘ㄴ’자 형상을 갖는 공지의 블록으로서, 상단부 양 측면에는 외향으로 돌출되어 수평공(31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돌기(311a)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단턱부(321b)가 일체로 형성되며, 가이드돌기(311a) 사이에는 이송볼트(330)의 나사부(332)와 상호 체결되는 체결공(321c)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밀착패드(322)는 고무재질의 공지의 패드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블록본체(321)와 애자(200) 사이에 배치되어 블록본체(321)을 매개로 애자(200)의 선단부에 고정시 미끄러짐 없이 견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송볼트(330)는 공지의 장볼트로서, 결합공(314)을 통해 연결구본체(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압블록(320)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켜 가압블록(3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볼트헤드에 인접하는 둘레면에는 스프라인(Spline)과 같은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가이드부(331)가 일체로 형성되고, 가이드부(331)에 인접하는 둘레면에는, 앞서 언급한 바 있는, 블록본체(321)의 체결공(321c)에 체결되는 나사부(332)가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이송볼트(330)의 헤드는 작업자가 미끄러짐 없이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둘레면을 따라 널링(Knurling) 처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본체(310)의 내측에는 공지의 베어링(B)이 설치되며, 베이링(B)은 이송볼트(330)의 말단과 상호 결합된다.
상기 회전방지부시(340)는 내면과 외면이 스프라인(Spline)과 같은 요철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공지의 보스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내면과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결합공(314)과 가이드부(331)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공(314)의 회전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이송볼트(330)를 이용해 가압블록(320)을 매개로 연결구본체(310)를 애자(200)에 설치하게 되는데, 단순히 이송볼트(330)를 이용해 가압블록(320)을 고정한 상태로 방치하게 되면 진동과 같은 외적인 요인에 의해 이송볼트(330)와 가압블록(320) 간에 체결력이 약해지면서 가압블록(320) 간의 간격이 서서히 멀어지게 되고, 나아가 애자(200)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결합공(314)과 이송볼트(330)의 가이드부(331)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방지부시(340)를 통해 이송볼트(33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해 줌으로서 앞서 언급한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편(350)은 연결구본체(310)의 양단부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방지부시(3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회전방지부시(340)를 매개로 진동에 따른 이송볼트(330)과 가압블록(320) 간에 체결력이 약해지는 문제를 해소하였지만, 회전방지부시(340)가 외력에 의해 빠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ㄱ’자 형상의 이탈방지편(350)을 통해 선택적으로 보완해 줌으로서, 앞서 언급한 문제를 일시에 해소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고정구(400)는 연결부재(410)와 커버(420) 및 퇴치부재(430)로 구성되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공전선(L)을 안정적으로 고정함과 동시에 가공전선(L)의 설치(가설)경로를 조정하며, 이와 아울러서 완철(2)의 주변에 앉는 새들을 쫓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410)는 전체적으로 플레이트타입의 사각형태를 이루되, 저면 중앙에는 하 방향으로 돌출되는 다면체형상의 각형돌기(4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각형돌기(411)를 매개로 각공(3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면으로 안착되는 가공전선(L)의 설치(가설)경로를 조정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상기 연결부재(410)의 상면에는 단부 길이방향을 따라 가공전선(L)이 안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홈의 내면에는 가공전선(L)을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고무가 부착된다.
상기 커버(420)는 연결부재(410)의 상면에 체결부재(나사볼트)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전선(L)을 가압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퇴치부재(430)는 반사판브라켓(431)과 반사판(432)으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판브라켓(431)은 각형돌기(41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며, 말단부는‘C’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C’자 형상의 내주면에는 반사판(432)이 축(미도시)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반사판(432)은 빛을 반사할 수 있는 공지의 거울 또는 표면이 매끈한 금속판으로서, 반사판브라켓(4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빛을 반사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반사판(432)에 의해 빛은 주변으로 반사되며, 이 반사되는 빛을 매개로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가공전선(L)에 앉거나 또는 완철(2)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변압기(500)는 고압전력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공지의 장치로서, 전주(1)의 외면에 고정밴드와 같은 고정수단을 매개로 설치된다.
특히, 상기 변압기(500)에는 가공전선(L)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전선(L')과, 배전반본체(600)의 차단기(6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전선(L")이 구비된다. 상기 변압기(500)의 경우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배전반본체(600)는 케이스부(610), 차단기(620), 콘센트(630), 조명스위치(640), 램프(650)로 구성되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완철(2)의 지지체(2-1)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케이스부(610)는 절연재질의 함체로서,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의 박스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전면에는 내부를 개방 및 폐쇄할 수 있도록 힌지를 매개로 도어부(611)가 설치된다.
특히, 상기 도어부(611)가 폐쇄되었을 때에 도어부(611)와 상호 단접되는 면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조명스위치(640)가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도어부(611)를 개방하게 되면 램프(650)가 전원을 공급받아 조명 빛을 방출하게 되고, 다시 도어부(611)를 폐쇄하게 되면, 램프(650)로 공급되던 전원이 스위치부(104)에 의해 차단되므로서 램프(650)의 조명 빛은 꺼지게 된다.
상기 차단기(620)는 케이스부(610)에 설치되며, 변압기(500)로부터 인출된 인출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센트(630) 및 조명스위치(640)로의 전력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전선에 이상이 생겨 누전이 발생할 경우 이를 자동으로 차단시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 및 누전으로 인한 화재로부터 배전반본체(600)를 보호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 콘센트(630)는 케이스부(610)에 설치되며, 차단기(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속된 공구의 플러그(미도시)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이를 연결하는 일종의 접속장치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스부(610)에는 조명스위치(640) 및 램프(650)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작용에 대한 설명은 이미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면에 애자(200)가 고정된 가설플레이트(100)를 완철(2)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공전선(L)이 지나갈 만한 위치에 배치한 다음 볼트를 매개로 가설플레이트(100)와 완철(2)을 상호 결합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애자(200)의 상단으로 연결구(300)와 고정구(400)의 조립체(300)를 배치하고, 애자(200)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가압블록(320)이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송볼트(330)를 회전시켜 가압블록(320)을 매개로 애자(200)의 상단부를 물어 고정되도록 한다.
그 다음, 회전방지부시(340)를 가이드부(331)를 따라 이동시켜 결합공(314)으로 삽입시켜 준다.
이때, 결합공(314)과 회전방지부시(340)가 서로 어긋나 안 맞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 경우에는 결합공(314)에 회전방지부시(340)가 삽입될 수 있을 때까지 이송볼트(330)를 좀 더 조이거나 풀어 주면 된다.
상기 결합공(314)에 회전방지부시(340)를 삽입한 이후에는 회전방지부시(340)가 결합공(314)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이탈방지편(350)을 회전시켜 회전방지부시(340)의 이동을 제한한다.
계속해서, 연결부재(410)에 체결부재(나사볼트)를 매개로 결합된 커버(420)를 분리한 상태에서 연결부재(410)에 형성된 홈으로 가공전선(L)을 안착시켜 준 다음, 분리되어 있던 커버(420)를 이용하여 가공전선(L)을 감싸주고, 체결부재(나사볼트)를 이용해 재차 고정시켜 주면 되며, 이를 도 1과 같이 도시하였다.
한편, 기 설치되어 있던 가공전선(L)의 설치(가설)경로 변경해야 하는 경우에는 고정구(400)를 연결구(300)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각형돌기(411)의 돌기각도 만큼 회전시켜 각공(311)에 삽입하게 되게, 가공전선(L)의 설치(가설)경로를 자연스럽게 변경할 수 있게 되며, 이를 도 4와 같이 도시하였다.
그리고, 고정구(400)의 퇴치기구(430)를 통해 태양 빛을 반사하여 조류의 시야를 방해함으로써, 조류가 가공전선(L)에 앉거나 또는 완철(2) 주변에 둥지를 트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강한 바람으로 인해 애자(200) 또는 주변시설을 수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는 공구를 휴대한 상태에서 전주(1)에 올라간 상태에서 배전반본체(600)의 도어부(611)를 개방하고, 필요한 공구의 플러그를 콘센트(630)에 연결한 다음 공구를 통해 애자(200)를 수리 및 교체하면 된다.
나아가 야간에 긴급하게 애자(200)를 수리하는 경우라도 배전반본체(600)의 도어부(611)를 개방하게 되면 조명스위치(640)가 탄발되면서 전원이 램프(650)로 연결되고, 전원을 공급받은 램프(650)가 주변을 밝혀주게 되므로, 작업자는 매우 쉽게 콘센트(630)를 찾아 공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실시예는 상술한 구성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도 6과 같이 일부 구성을 더욱 더 개량하여 완철(2)과 지지체(2-1)의 설치를 더욱 편리하게 하면서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주(1)는 강화 플라스틱, 특히 CFRTPC(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로 제조된다.
상기 CFRTPC는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고강성을 유지하며 성형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전주(1) 제조에 적당하다.
특히, 상기 전주(1)의 상단은 전주(1)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끼움부(700)가 형성된다.
때문에, 상기 끼움부(700)의 하단에는 단차면(710)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면(710)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위치고정돌기(71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위치고정돌기(712)는 상기 단차면(710)에 나사 체결되는 형태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전주(1)의 성형성을 좋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위치고정돌기(712)를 체결하기 위해 단차면(710)에 가공되는 탭홀(나사홀)(미도시)은 전주(1)의 재질이 CFRTPC라는 특성상 전주(1)를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한 다음 후공정으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끼움부(700)에는 지지체(2-1)가 일체로 고정된 링부(720)가 삽입된다.
상기 링부(720)에는 둘레 일부에서 돌출된 지지체(2-1)가 마련되며, 상기 지지체(2-1)에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배전반 본체(600)가 설치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링부(720)의 저면에는 둘레는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위치고정돌기(712)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722)이 요입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2-1)를 배열할 방향을 결정한 다음 상기 링부(720)를 끼움부(700)에 끼우게 되면 위치고정돌기(712)가 위치고정홈(722)에 끼워지게 되므로 상기 링부(720)는 전주(1)를 중심으로 회전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 정확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기존과 달리 링부(720)를 전주(1)의 상단에 마련된 끼움부(700)에 끼워 넣기만 해도 자중에 의해 자동적으로 고정되게 되므로 작업이 매우 편리하고 용이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지지체(2-1)를 비롯한 완철(2)은 항상 장력이라는 힘을 받는 곳이므로 전주(1)로부터의 분리 이탈을 원천 봉쇄하기 위해 상기 끼움부(700)의 상단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홈(702)을 더 형성하고, 상기 링부(720)를 끼움부(700)에 끼운 상태에서 상기 전주(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커버(730)를 볼트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커버(730)의 고정을 위해 커버(730) 상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공(732)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732)을 관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볼트가 상기 볼트홈(702)에 체결됨으로서 상기 링부(720)가 분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한 고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완철(2)은 기존과 달리 상기 링부(720)로부터 분리되어 상호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링부(720)의 내경 둘레 일부에는 도 7의 예시와 같이, 걸림홈(74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완철(2)의 일측면에는 상기 링부(720)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한 쌍의 접지블럭(750)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고, 상기 접지블럭(750)들 사이의 거리 중앙에는 상기 걸림홈(740)에 걸림되는 'ㄱ'형상의 걸림구(760)가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링부(720)가 전주(1)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완철(2)의 걸림구(760)를 링부(720)의 걸림홈(740)에 끼워 넣기만 하면 두 개의 접지블럭(750)이 링부(720)의 외주면에 접지된 상태로 걸림고정되기 때문에 별도의 고정부재없이도 아주 쉽고 빠르게 조립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이 향상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완철(2)의 고정성능을 더욱 높이기 위해 도 8과 같은 결속부재(8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800)는 선택사항으로서, 설치를 위해 상기 접지블럭(750) 각각의 상면에는 제1고정핀(P1)을 돌출하고, 상기 링부(72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74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2고정핀(P2)을 돌출하며, 도 8과 같은 결속부재(800)의 일단은 상기 제1고정핀(P1)에 걸고, 타단은 상기 제2고정핀(P2)에 건 상태에서 조임환(810)을 돌려 조이게 되면 쉽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속부재(800)는 조임환(810)과, 상기 조임환(810)의 양단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고 나사체결되는 제1,2고정로드(820,8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고정로드(820,830)의 각 일단에는 후크형걸이(822,8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2고정핀(P1,P2)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타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환(8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임환(8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여지면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풀어지면서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추가 구성을 통해 지지체(2-1)와 완철(2)을 설치할 때 먼저, 지지체(2-1)가 일체로 구비된 링부(720)를 전주(1)의 상단에 구성된 끼움부(700)에 끼워 넣고, 위치고정홈(722)에 위치고정돌기(712)를 맞춰 끼워 넣으면 아주 쉽고 빠르게 지지체(2-1)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 상태에서, 링부(720)의 걸림홈(740)에 완철(2)의 걸림구(760)를 끼워 걸게 되면 완철(2)도 아주 쉽고 빠르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때문에, 작업하기 쉽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고정안정성을 더 높이기 위해 결속부재(800)를 더 설치할 수 있고, 또한 커버(730)를 더 설치할 수 있다.
100: 가설플레이트 200: 애자
300: 연결구 400: 고정구
500: 변압기 600: 배전반본체

Claims (1)

  1. 전주(1)에 끼워지는 링부(720): 상기 링부(720)의 외주면 일부에 일체로 고정되고, 배전반본체(600)가 고정되는 지지체(2-1): 상기 링부(720)에 걸림되는 완철(2): 상기 완철(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는 가설플레이트(100): 가설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는 절연재질의 애자(200): 중앙에 형성되며 다각형의 내면을 갖는 각공(311)과, 각공(311)을 기준으로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수직공(312)과, 수직공(312)을 기준으로 양 측면에 형성되는 수평공(313)과, 선단부와 말단부에 형성되며 수직공(312)과 상호 연통되는 결합공(314)을 갖추고서, 애자(200) 상에 안착되는 육면체형상의 연결구본체(310)와;‘ㄴ’자형의 단면을 가지며 수직공(312) 및 수평공(313)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애자(200)의 상단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블록본체(321)와, 블록본체(321)와 애자(200) 사이에 배치되는 밀착패드(322)로 이루어진 한 쌍의 가압블록(320)과; 요철형태를 이루며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331)와, 가압블록(320)에 체결되는 나사부(332)를 갖추고서, 결합공(314)을 통해 연결구본체(3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압블록(320)을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시켜 가압블록(32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이송볼트(330)와; 내면과 외면에 요철이 형성되며 결합공(314)과 가이드부(331)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공(314)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시(340)와; 연결구본체(310)의 양단부에 힌지를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방지부시(3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탈방지편(350)으로 구성된 연결구(300): 다면체형상의 각형돌기(411)를 갖추고서, 각형돌기(411)를 매개로 각공(311)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상면으로 안착되는 가공전선(L)의 설치경로를 조정하는 연결부재(410)와; 연결부재(410)의 상면에 체결부재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전선(L)을 가압고정하는 커버(420)와; 각형돌기(411)로부터 수평하게 연장되는 반사판브라켓(431)과, 반사판브라켓(43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빛을 반사하는 반사판(432)으로 구성된 퇴치기구(430)로 이루어진 고정구(400): 가공전선(L)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입전선(L')과, 상기 배전반본체(600)의 차단기(6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전선(L")을 갖추고서, 전주(1)에 설치되어 고압전력을 상용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기(500): 상기 배전반본체(600)에 설치되고 상기 변압기(500)로부터 인출된 인출전선(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콘센트(630) 및 조명스위치(640)로의 전력공급을 연결 및 차단하는 차단기(620): 상기 배전반본체(600)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기(6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된 콘센트(630):를 포함하되,
    전주(1)는 CFRTPC(Continuous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s)로 제조되고, 상기 전주(1)의 상단은 전주(1)의 외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끼움부(700)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700)의 하단에는 단차면(710)이 형성되고, 상기 단차면(710)에는 둘레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위치고정돌기(712)가 구비되며, 상기 끼움부(700)에는 상기 링부(720)가 삽입되고, 상기 링부(720)의 저면에는 둘레는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위치고정돌기(712)에 끼워지는 위치고정홈(722)이 요입 형성되며, 상기 링부(720)의 내경 둘레 일부에는 걸림홈(740)이 형성되고, 상기 완철(2)의 일측면에는 상기 링부(720)의 곡률반경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한 쌍의 접지블럭(750)이 간격을 두고 돌출되며, 상기 접지블럭(750)들 사이의 거리 중앙에는 상기 걸림홈(740)에 걸림되는 'ㄱ'형상의 걸림구(760)가 돌출되고, 상기 끼움부(70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홈(70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부(700)의 상면에는 상기 전주(1)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커버(730)가 접지되고, 상기 커버(730)에는 상기 볼트홈(702)과 대응되는 볼트공(732)이 형성되어 볼트공(732)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공(732)에 체결되는 볼트를 통해 상기 커버(730)를 상기 끼움부(700)의 상면에 볼트고정하고, 상기 접지블럭(750) 양측 각 상면에는 제1고정핀(P1)을 돌출하며, 상기 링부(720)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홈(74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제2고정핀(P2)을 돌출하고, 상기 제1,2고정핀(P1,P2)에 걸려 결속되는 결속부재(800)를 더 구비하되, 상기 결속부재(800)는 조임환(810)과, 상기 조임환(810)의 양단에 각각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을 갖고 나사체결되는 제1,2고정로드(820,8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2고정로드(820,830)의 각 일단에는 후크형걸이(822,83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2고정핀(P1,P2)에 각각 걸릴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타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조임환(8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조임환(810)의 회전방향에 따라 조여지면서 서로 가까워지거나 풀어지면서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20150129575A 2015-09-14 2015-09-14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1618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75A KR101618802B1 (ko) 2015-09-14 2015-09-14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9575A KR101618802B1 (ko) 2015-09-14 2015-09-14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8802B1 true KR101618802B1 (ko) 2016-05-09

Family

ID=5602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9575A KR101618802B1 (ko) 2015-09-14 2015-09-14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8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807A (zh) * 2019-07-15 2019-11-08 无锡市同腾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轻便型复合材料应急抢修电杆
KR102093876B1 (ko) * 2019-04-12 2020-05-04 주식회사 한양전설 배전반 인출입 전력 케이블 절연 트레이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08B1 (ko) * 2007-02-14 2007-06-15 제일엔지니어링 (주) 배전선로 부재 고정기능을 가진 전주.
KR101077083B1 (ko) * 2010-10-29 2011-10-26 대원전기 주식회사 가공지선 겸용 중성선 설치 멀티캡
KR101144986B1 (ko) * 2012-03-20 2012-05-14 (주)토우엔지니어링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608B1 (ko) * 2007-02-14 2007-06-15 제일엔지니어링 (주) 배전선로 부재 고정기능을 가진 전주.
KR101077083B1 (ko) * 2010-10-29 2011-10-26 대원전기 주식회사 가공지선 겸용 중성선 설치 멀티캡
KR101144986B1 (ko) * 2012-03-20 2012-05-14 (주)토우엔지니어링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876B1 (ko) * 2019-04-12 2020-05-04 주식회사 한양전설 배전반 인출입 전력 케이블 절연 트레이 장치
CN110424807A (zh) * 2019-07-15 2019-11-08 无锡市同腾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轻便型复合材料应急抢修电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986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배전반
US6497592B1 (en) Voltage terminal connector assembly
USRE39093E1 (en) Mast-type outdoor lighting system
US3071683A (en) Luminaire
CA2088963C (en) Light fixture with detachable rear mounting box
US20110294336A1 (en) Mounting for a dc-ac converter and method for fitting a dc-ac converter
US20090190365A1 (en) Swivel joint for lighting fixture
US20160181748A1 (en) Interface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plug-in units to a busway
KR101618802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2152110B1 (ko) 가공배전선로의 케이블 보호 배전함 장치
KR101856671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US20190093876A1 (en) Hot stick light
KR100963319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0986307B1 (ko) 주상변압기 활선분기고리 안전장치
KR101440803B1 (ko) 특고압 전용 가공전선 배전을 위한 절연 배전반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CA2554685C (en) Scaffold mounte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panel
KR100704366B1 (ko) 고압케이블 고정밴드
US5316502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ircuit protection
KR100829461B1 (ko) 투광기용 결합장치
KR102027294B1 (ko)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KR20100070638A (ko) 조명등 장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조명등 장착방법
US7142412B2 (en) Bypass connector for a socket assembly
KR20180096416A (ko) 변압기와 개폐기의 결합장치
KR101419492B1 (ko) 케이블 고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