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294B1 -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294B1
KR102027294B1 KR1020170044168A KR20170044168A KR102027294B1 KR 102027294 B1 KR102027294 B1 KR 102027294B1 KR 1020170044168 A KR1020170044168 A KR 1020170044168A KR 20170044168 A KR20170044168 A KR 20170044168A KR 102027294 B1 KR102027294 B1 KR 1020272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charger
coupling
hing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017A (ko
Inventor
진봉건
유두진
류현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44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94B1/ko
Priority to PCT/KR2017/006690 priority patent/WO2018186532A1/ko
Publication of KR2018011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이는 기둥부재의 둘레에 따라 길이를 조절가능하고, 상기 기둥부재를 감싸면서 체결되는 밴드;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충전기본체를 포함하여서, 충전기 및 분전함이 설치될 지면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충전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 설치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Charger using adjustable band}
본 발명은 예컨대 전주나 가로등과 같은 기둥부재에 거치할 수 있도록 기둥부재의 둘레에 따라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 EV)는 장래의 자동차 공해 및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장 가능성이 높은 대안이라는 점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는 주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동력을 얻는 자동차로서, 배터리의 전원을 이용하여 자동차를 기동함에 따라 시동시 배터리에 충전된 전류를 차량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전원이 모두 소모되면 재충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실현할 수 있는 충전기가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기자동차용 충전기로는 대지면 위에 설치된 스탠드형 충전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스탠드형 충전기는 그 설치를 위해 충전기 및 분전함을 설치할 지면 공간이 요구되고, 충전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설치공사를 지중으로 시공할 수밖에 없어 공사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KR 1477373 B1
이에 본 발명은, 기둥부재에 거치할 수 있도록 기둥부재의 둘레에 따라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기둥부재의 둘레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기둥부재를 감싸면서 체결되는 밴드;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충전기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지지밴드; 상기 지지밴드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사이 또는 연결밴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밴드는, 일단에 형성된 힌지홈; 및 타단에 형성되어 다른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밴드와 결합하는 판재; 및 상기 판재의 양쪽 측방 선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재 중 벽부재끼리 서로 마주보게 되는 표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본체의 양쪽 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충전기본체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전기 및 분전함이 설치될 지면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충전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를 위한 밴드는 전주 등과 같은 다양한 기둥부재의 직경 또는 설치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둘레에 맞춰 둘러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는 유지보수를 위해 충전기본체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밴드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도시한 것으로, 외함을 생략한 채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도시한 것으로, 외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한,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밴드를 도시한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밴드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는, 기둥부재(7)의 둘레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고, 기둥부재를 감싸면서 체결되는 밴드(1); 이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부재(4); 및 이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충전기본체(6)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기둥부재(7)는, 기 설치된 전주 또는 가로등과 같은 대략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의 단면을 가진 봉 형상 또는 관 형상의 부재면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실현하는 충전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충전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밴드(1)는, 기둥부재(7)에 예컨대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충전기 등과 같은 충전기를 거치하기 위한 밴드로서, 연결부재(4)에 고정되는 지지밴드(10); 이 지지밴드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밴드(20); 및 이 연결밴드와 지지밴드의 사이 또는 연결밴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밴드(30)를 포함하고 있다.
밴드(1)를 구성하는 지지밴드(10)와 연결밴드(20) 및 체결밴드(30)는 예컨대 알루미늄 등과 같은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에 의해 대략 원호 형상의 부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지지밴드(10)는 일측이 연결부재(4)에 원활하게 고정되도록 평탄면을 갖는 결합본체(11); 및 이 결합본체의 타측에서 양측 모서리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연장부의 단부에는 대략 C형상의 단면을 갖는 힌지홈(13) 또는 힌지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밴드(20)는 일단에 형성된 대략 C형상의 단면을 갖는 힌지홈(23); 및 타단에 형성되어 다른 연결밴드(20)나 지지밴드(10) 또는 체결밴드(30)의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돌기(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에서는 이러한 연결밴드의 개수를 조정하여, 다양한 기둥부재(7)의 직경 또는 설치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둘레에 맞춰 기둥부재를 둘러싸는 밴드(1) 전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연결밴드(20)에는 양단에 힌지홈(23)만 형성되거나, 양단에 힌지돌기(24)만 형성된 보조 연결밴드(20')가 포함될 수도 있다.
한 쌍의 체결밴드(30)는 각각 일단에 형성되고 대략 C형상의 단면을 갖는 힌지홈 또는 힌지돌기(34); 및 타단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32)을 갖는 체결플랜지(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체결플랜지의 체결공이 정렬된 후 체결구(35)에 의해, 예를 들면 정렬된 체결공들을 관통하는 볼트에다 너트를 나사결합으로써, 한 쌍의 체결밴드가 서로에 대해 체결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는 한 쌍의 체결밴드(30)가 연결밴드(10)들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체결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한 쌍의 체결밴드(30)가 연결밴드(10)와 지지밴드(20)의 사이에 배치되고서 서로 체결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밴드(10)에 구비된 연장부(12)의 단부에 힌지홈(13)이 형성된 경우에는, 이 힌지홈에 연결밴드(20)의 힌지돌기(24)가 삽입되고, 이 연결밴드의 반대쪽에 있는 힌지홈(23)에는 다른 연결밴드의 힌지돌기(24)가 삽입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체결밴드(30)에는 연결밴드(20) 또는 지지밴드(10)의 힌지홈(23; 13)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돌기(34)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하지만, 힌지홈 또는 힌지돌기의 배치는 반드시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반대로 배치되어도 된다. 필요에 따라, 보조 연결밴드(20')가 개재되어도 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밴드는 도면들에 도시되고 설명된 형태의 것으로만 한정되지 않으며, 기둥부재의 둘레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으면서 충전기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면 다른 임의의 형태로 된 밴드가 채용되어도 무방하다.
다시 도 1을 참조로 하면, 연결부재(4)는 밴드(1)와 충전기본체(6) 사이에 개재되어, 밴드와 충전기본체가 서로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연결부재의 일측면은 지지밴드(10)에 구비된 결합본체(11)의 일측에서, 예컨대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구(45)로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의 연결부재(4)는 판재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일측은 밴드(1)와 결합하고, 타측은 예컨대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충전기 등과 같은 충전기, 구체적으로는 충전기본체(6)와 결합할 수 있다. 양측은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구(45)로 고정될 수 있다.
추가로, 연결부재(4)의 타측면에 결합돌기(41) 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이 결합돌기 또는 결합홈에 상응하게 충전기본체(6)의 일측면에는 결합홈(61) 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러한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즉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되거나 삽입된 후 서로 미끄럼이동됨으로써, 연결부재와 충전기본체가 결합한 다음에,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구(45)로 연결부재와 충전기본체 간 고정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4)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충전기 등과 같은 충전기를 밴드(1) 및 궁극적으로 기둥부재(7)에 대해 손쉽게 탈착할 수 있게 되어, 충전기의 유지보수가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도시한 것으로, 외함을 생략한 채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도시한 것으로, 외함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4)의 형태와 외함(5)의 부가만 제외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를 설명함에 있어, 이전 실시예에 의한 충전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4)는 밴드(1)와 결합하는 판재(43); 및 이 판재의 양쪽 측방 선단에 직각으로 연결되는 한 쌍의 벽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판재와 벽부재는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고정구(45)에 의해 일체로 조립될 수도 있다.
판재(43)의 일측은 밴드(1)와 결합하고, 타측은 예컨대 전기자동차의 충전용 충전기 등과 같은 충전기, 구체적으로는 충전기본체(6)와 결합할 수 있다. 양측은 모두 전술한 바와 같이 예컨대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구(45)로 고정될 수 있다.
추가로, 충전기본체(6)는 연결부재(4)의 판재(44)에 구비된 지지홀(미도시)에다 충전기본체의 표면에 설치된 걸고리 등과 같은 돌출부(47)가 삽입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결부재(4)의 벽부재(44) 중 벽부재끼리 서로 마주보게 되는 표면에는 결합홈(42)이 형성되고, 이 결합홈에 상응하게 충전기본체(6)의 양쪽 측면에 결합돌기(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연결부재와 충전기본체가 결합한 다음에, 고정나사와 같은 고정구(45)로 연결부재의 판재(43)와 충전기본체 간 고정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전기에는, 연결부재(4)의 일측 벽부재(44)로부터 밴드(1)와 기둥부재(7)를 거쳐 타측 벽부재(44)까지 둘러싸는 외함(5)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러한 외함이 개략적으로 도 6에 나타나 있으며, 외함의 형상은 반드시 도시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외함(5)은 연결부재(4)의 양측 벽부재(44)에 구비된 오목홈(46)에다 외함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고리 등과 같은 돌출부(미도시)가 삽입됨으로써 용이하게 조립될 수 있다. 또, 외함의 상부와 하부에는 덮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 모서리는 라운드되게 형성하여 지나가는 보행자가 충돌하더라도 큰 부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함(5)은 충전기본체(6)와 밴드(1) 등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역으로 충전기본체나, 볼트 및 너트로 구성된 체결구(35) 등에 의해 보행자가 다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외함은, 충전기의 설치 또는 밴드와 충전기본체의 결합을 위한 체결구 및 고정구의 노출을 방지하고, 그 여유공간을 활용하여 충전기에 연결될 수 있는 계량기, 차단기, 모뎀 등을 포함한 분전함, 그리고 전원선, 통신선 등을 포함한 각종 전선을 내장하게 됨으로써,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충전기가 전기자동차의 충전을 실현할 수 있는 충전기이고 기둥부재로는 전주가 적용되는 경우에, 전력 설비를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충전기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지면 공간이 불필요하게 되고, 더구나 전선 설치공사를 위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거치를 위한 밴드는 다양한 전주의 직경 또는 설치 위치에 따라 변동될 수 있는 둘레에 맞춰 둘러싸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로 인하여 유지보수를 위해 충전기를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외함을 설치한 경우에는 충전기 및 보행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수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밴드 4: 연결부재
5: 외함 6: 충전기본체
7: 기둥부재 10: 지지밴드
11: 결합본체 12: 연장부
13: 힌지홈 20: 연결밴드
23: 힌지홈 24: 힌지돌기
30: 체결밴드 31: 체결플랜지
32: 체결공 34: 힌지돌기
35: 체결구 43: 판재
44: 벽부재 45: 고정구

Claims (13)

  1. 기둥부재의 둘레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기둥부재를 감싸면서 체결되는 밴드;
    상기 밴드의 일측에 고정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하는 충전기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밴드는,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지지밴드;
    상기 지지밴드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와 상기 지지밴드의 사이 또는 연결밴드들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체결되는 한 쌍의 체결밴드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밴드는,
    일단에 형성된 힌지홈; 및
    타단에 형성되어 다른 힌지홈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힌지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밴드와 결합하는 판재; 및
    상기 판재의 양쪽 측방 선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벽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벽부재 중 벽부재끼리 서로 마주보게 되는 표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본체의 양쪽 측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홈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충전기본체가 결합하는 충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전주 또는 가로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밴드는,
    일측이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되는 결합본체; 및
    상기 결합본체의 타측에서 양측 모서리로부터 각각 연장하는 한 쌍의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는 힌지홈 또는 힌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에는, 양단에 힌지홈만 형성되거나, 양단에 힌지돌기만 형성된 보조 연결밴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밴드는,
    일단에 형성된 힌지홈 또는 힌지돌기; 및
    타단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체결공을 갖는 체결플랜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체결밴드는 상기 체결공이 정렬된 후 체결구에 의해 서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기본체에 결합홈이 형성되어, 결합돌기가 결합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충전기본체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일측 벽부재로부터 상기 밴드와 상기 기둥부재를 거쳐 타측 벽부재까지 둘러싸는 외함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양측 벽부재에 구비된 오목홈에다 상기 외함의 내부면에 형성된 돌출부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에 상기 외함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기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기.
KR1020170044168A 2017-04-05 2017-04-05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KR1020272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68A KR102027294B1 (ko) 2017-04-05 2017-04-05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PCT/KR2017/006690 WO2018186532A1 (ko) 2017-04-05 2017-06-26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168A KR102027294B1 (ko) 2017-04-05 2017-04-05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017A KR20180113017A (ko) 2018-10-15
KR102027294B1 true KR102027294B1 (ko) 2019-10-01

Family

ID=63713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168A KR102027294B1 (ko) 2017-04-05 2017-04-05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7294B1 (ko)
WO (1) WO20181865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1789350U (zh) * 2020-03-04 2020-10-27 惠州比亚迪电池有限公司 电池包及车辆
KR102578434B1 (ko) 2022-01-25 2023-09-14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공명영상의 초해상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69B1 (ko) * 2008-10-01 2009-03-31 동재감리 주식회사 배전용 전기설비의 관리효율을 높인 전신주
JP2012127816A (ja) * 2010-12-15 2012-07-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サーバ装置、及び電動車両の充電支援方法
JP2016012982A (ja) * 2014-06-30 2016-01-21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仮復旧用電柱バンド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849A (ko) * 2009-09-08 2011-03-16 김의수 태양광 충전을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이 가능한 가로등
KR20110007572U (ko) * 2011-07-14 2011-08-01 조성문 전기자동차 무인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130104653A (ko) * 2012-03-15 2013-09-25 김광혁 하이브리드 가로등 장치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용 밧데리 충전장치 및 밧데리 교환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69B1 (ko) * 2008-10-01 2009-03-31 동재감리 주식회사 배전용 전기설비의 관리효율을 높인 전신주
JP2012127816A (ja) * 2010-12-15 2012-07-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サーバ装置、及び電動車両の充電支援方法
JP2016012982A (ja) * 2014-06-30 2016-01-21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仮復旧用電柱バ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6532A1 (ko) 2018-10-11
KR20180113017A (ko) 201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14774A1 (en) Charging station
KR102027294B1 (ko) 조절가능한 밴드를 사용한 충전기
JP5272405B2 (ja) 車載電気機器収容ケース
GB2447773A (en) Cable clamp
US9515599B2 (en) Photovoltaic panel mounting rail with integrated electronics
US20180345809A1 (en) Recharging station for electric public transport vehicle, and facility comprising such a station
WO2013093402A2 (en) Photovoltaic sleeve for street lights and the like
US20180072164A1 (en) Photovoltaic canopy for charging of vehicle rechargeable battery system
US20220223993A1 (en) Cellular base station assemblies
US20150354243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CN107492605B (zh) 一种电动车辆及动力电池箱体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CN112900309A (zh) 支承结构系统和在支承结构处固定功能模块的连接结点
CN202384886U (zh) 车辆发电机及其保护罩盖
KR102033722B1 (ko) 상용차의 배터리 마운팅 어셈블리
KR20080005068U (ko) 턱트 겸용 케이블 트레이
KR101103244B1 (ko) 유연성을 갖는 태양전지필름을 이용한 발전장치
KR100725843B1 (ko) 배전선로 전주 조립체.
WO2014111168A1 (en) Kit for mounting one or more appliances on a pole
JP3202623U (ja) 組立式照明装置
KR101935476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JP2021138239A (ja) 車体構造
CN210066589U (zh) 一种隔离护栏警示灯
CN219096525U (zh) 立柱和充电站
CN210219212U (zh) 一种应用在智慧灯上的连接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