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476B1 -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 Google Patents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476B1
KR101935476B1 KR1020180068648A KR20180068648A KR101935476B1 KR 101935476 B1 KR101935476 B1 KR 101935476B1 KR 1020180068648 A KR1020180068648 A KR 1020180068648A KR 20180068648 A KR20180068648 A KR 20180068648A KR 101935476 B1 KR101935476 B1 KR 10193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groove
receiving
groove portion
body frame
finish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희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에이치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에이치에너지 filed Critical (주)제이에이치에너지
Priority to KR1020180068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10Frame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폭방향 중심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전선수용부를 형성한 채널형 제1 수용홈부; 상기 몸체 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전선수용부를 형성한 채널형 제2 수용홈부; 및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의 개구부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복잡한 다수의 전선을 한층 효과적으로 분류하여 배선시킬 수 있으며 추후 전선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에 있어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wire duct integrated profile structure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태양광 발전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설치작업에 대한 시공의 편의성 및 태양전지 패널과 접촉하는 면적을 극대화시켜 결합고정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장치는 발전기의 도움없이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발전방식이다.
이러한 태양광 발전은 태양전지 패널을 통하여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으로, 공해가 없고 필요한 장소에 필요한 만큼만 발전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친환경 발전설비로 사용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태양광 발전장치는 일정 넓이를 가지는 다수개의 태양전지 패널과, 태양전지 패널의 모서리부위를 감싸는 금속재질의 패널프레임과, 상기 패널프레임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아울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태양전지 패널(10)과 고정프레임(미도시) 사이에는 풍압이나 자중으로 인해 태양전지 패널의 중앙부위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C형 보강재(20)가 추가적으로 설치된다.
이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10)의 중앙부위가 처지는 경우, 그 부위에 물이나 먼지 등이 쌓이게 되고, 결국 태양전지 패널의 발전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 패널(10)의 하부에는 태양전지 패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력을 전력공급대상물에 공급하는 전선(W)과, 상기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단자함(30)이 설치된다(도 2참조).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태양전지 패널(10)에는 C형 보강재(20)와 단자함(30)이 이격되는 다른 위치에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의 불편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C형 보강재(20)는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폭 방향의 양측 단부가 안쪽으로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볼트와 너트 같은 나사체결수단을 이용하는 체결작업이 매우 불편한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자함(30)의 경우에는 전선을 감싸는 상태로 마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전선을 교체 또는 보수하고자할 때 상기 단자함을 태양전지 패널로부터 완전히 이격시킨 후 전선작업을 진행하고 다시 체결작업을 진행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0521호(2010.10.0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 발전장치에 연결되는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설치 작업에 대한 시공의 편의성 및 태양전지 패널과 접촉하는 면적을 극대화시켜 결합고정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은, 폭방향 중심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전선수용부를 형성한 채널형 제1 수용홈부; 상기 몸체 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전선수용부를 형성한 채널형 제2 수용홈부; 및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의 개구부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는 태양전지 패널과 고정프레임에 대한 체결수단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체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길이방향 상부에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전력공급대상물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을 전선수용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전선출입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전선수용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배수건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는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를 향하여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절곡된 구조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내벽면에는 상기 절곡부와 밀착결합을 위한 밀착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결합부와 상보적 결합을 위한 걸림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단부에는 단차진 구조의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는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양측단부를 사이에 두고 끼워지며 상기 걸림단턱과 상보적인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는 끼움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단부의 상하 안쪽에는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이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착탈결합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 프레임의 일측과 타측에는 각각의 채널형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플레이트로 구성함으로써, 복잡한 다수의 전선을 한층 효과적으로 분류하여 배선시킬 수 있으며 추후 전선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에 있어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 프레임에는 중공부를 형성함으로써 기존의 철 구조물로 이루어진 C형 보강재와 대비하여 경량의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여 옥외 설치시 지붕에 과도한 하중을 가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몸체 프레임, 채널형 제1 수용홈부 및 제2 수용홈부는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태양전지 패널을 넓은 구조로 지지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안정적이 지지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태양광 발전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태양광 발전장치에 C형 보강재 및 단자함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나타내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은 물론 그 이후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은, 폭방향 중심부에 중공부(101)를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체 프레임(110); 상기 몸체 프레임(110)의 일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전선수용부(121)를 형성한 채널형 제1 수용홈부(120); 상기 몸체 프레임(110)의 타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전선수용부(131)를 형성한 채널형 제2 수용홈부(130); 및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의 개방된 양측의 개구부에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플레이트(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 프레임(110)은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프로파일 구조물로써, 폭방향 중심부에는 소정 넓이의 중공부(10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 프레임(110)에 중공부(101)를 형성한 이유는 상기 몸체 프레임의 중량을 줄임으로써, 소재의 사용량이 줄어드는 만큼 제조단가를 낮추는 것과, 고정프레임(미도시)에 전가되는 중량을 효과적으로 줄일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몸체 프레임(11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고정프레임에 대한 체결수단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체결홈(111)이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 프레임(110)은 태양전지 패널과 고정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상부의 체결홈(111)은 태양전지 패널과 나사체결이 이루어지며, 하부의 체결홈(111)은 고정프레임과 나사체결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몸체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에는 내부에 전선수용부(121,131)를 형성한 채널형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몸체 프레임(110)에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20)가 일체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태양전지 패널에 몸체 프레임(110)과 전선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수용홈부를 각각 나사체결하기 위한 설치 작업공수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의 길이방향 상부에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전력공급대상물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을 전선수용부(121,131)로 안내하는 복수의 전선출입부(122,132)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전선수용부(121,131)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배수건조부(123,133)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의 상,하부는 소정 넓이를 가지는 평탄면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태양전지 패널과 접촉하는 접촉면적 증가에 따른 결합고정력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는 상기 몸체 프레임(110)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나뉜 구획된 구조이므로 복잡한 다수의 전선을 한층 효과적으로 분류하여 배선시킬 수 있으므로 추후 전선을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에 있어 매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마감플레이트(200)는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의 개방된 개구부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수용부(121,131)에 수용된 전선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전선이 외부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선의 내구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에 마감플레이트가 결합되는 결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의 개방된 양측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120a,13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마감플레이트(200)의 상부와 하부는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를 향하여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절곡된 구조의 결합부(210a)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200)의 내벽면에는 상기 절곡부(120a,130a)와 밀착결합을 위한 밀착결합돌기(220)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감플레이트(200)의 결합부(210a)와 상보적 결합을 위한 걸림단턱(120a',130a')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의 개방된 양측단부에는 단차진 구조의 걸림단턱(120b,130b)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200)의 상부와 하부는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의 양측단부를 사이에 두고 끼워지며 상기 걸림단턱(120b,130b)과 상보적으로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는 끼움결합부(240)가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의 개방된 양측단부의 상하 안쪽에는 상기 마감플레이트(200)의 상단과 하단이 결합되는 슬라이딩홈(125,135)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200)는 상기 슬라이딩홈(125,135)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마감플레이트(200)의 일측에는 착탈결합을 위한 손잡이(250)가 형성된다.
즉, 상기 손잡이(250)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수용홈부(120)와 제2 수용홈부(130)에 대하여 상기 마감플레이트(200)를 용이하게 착탈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10 : 몸체 프레임 101 : 중공부
111 : 체결홈 120 : 제1 수용홈부
130 : 제2 수용홈부 200 : 마감플레이트

Claims (7)

  1. 폭방향 중심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며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몸체 프레임;
    상기 몸체 프레임의 일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전선수용부를 형성한 채널형 제1 수용홈부;
    상기 몸체 프레임의 타측에 마련되며 내부에 전선수용부를 형성한 채널형 제2 수용홈부; 및,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의 개구부에 대하여 탈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마감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 프레임의 상부와 하부에는 태양전지 패널과 고정프레임에 대한 체결수단의 머리부를 수용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길이방향 상부에는 상기 태양전지 패널과 전력공급대상물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을 전선수용부로 안내하는 복수의 전선출입부가 형성되며, 하부에는 전선수용부로 유입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가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복수의 배수건조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단부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는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를 향하여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절곡된 구조의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내벽면에는 상기 절곡부와 밀착결합을 위한 밀착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결합부와 상보적 결합을 위한 걸림단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단부에는 단차진 구조의 걸림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상부와 하부는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양측단부를 사이에 두고 끼워지며 상기 걸림단턱과 상보적인 끼움결합이 이루어지는 끼움결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홈부와 제2 수용홈부의 개방된 양측단부의 상하 안쪽에는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상단과 하단이 결합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며,
    상기 마감플레이트는 상기 슬라이딩홈에 대하여 슬라이딩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7. 제1항, 제4항, 제5항,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플레이트의 일측에는 착탈결합을 위한 손잡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KR1020180068648A 2018-06-15 2018-06-15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KR10193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648A KR101935476B1 (ko) 2018-06-15 2018-06-15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648A KR101935476B1 (ko) 2018-06-15 2018-06-15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476B1 true KR101935476B1 (ko) 2019-01-07

Family

ID=65016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648A KR101935476B1 (ko) 2018-06-15 2018-06-15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34B1 (ko) 2020-03-27 2020-11-23 박현석 태양광 발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535B1 (ko) * 2010-05-31 2011-06-09 (주)세화에너지산업 전선 삽입관 일체형 상부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535B1 (ko) * 2010-05-31 2011-06-09 (주)세화에너지산업 전선 삽입관 일체형 상부 지지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834B1 (ko) 2020-03-27 2020-11-23 박현석 태양광 발전 시스템
KR20210120788A (ko) 2020-03-27 2021-10-07 박현석 태양광 발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2074B2 (en) Photovoltaic attachment system
KR101324500B1 (ko) 지붕형 태양광 모듈 장치
US8946539B2 (en) Junction cover for photovoltaic panel modules
KR20100024989A (ko) 태양열 패널을 장착시키기 위한 프레임을 구비하는 태양열 모듈
KR101498554B1 (ko) 조립식 지붕에 적용되는 태양광 패널 설치용 체결구
KR102343174B1 (ko) Bipv용 태양광 모듈
KR102433542B1 (ko) 다중 방수 구조를 겸비한 지붕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KR101935476B1 (ko) 태양광 발전장치의 전선덕트 일체형 프로파일 구조물
JP6350859B2 (ja) 太陽光発電装置
KR200403767Y1 (ko) 건물 지붕용 샌드위치패널 설치형 태양광 발전장치
JP2006278672A (ja) 送電ケーブルの収納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2589110B1 (ko) 단열기능을 포함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의 발전장치
KR100680052B1 (ko) 유리창형 태양전지를 이용한 건물 외장형 태양광 시스템
KR101823957B1 (ko) 지붕에 설치되는 비아이피브이 모듈
KR102501043B1 (ko) 건물 일체형 태양광모듈 조립체를 포함하는 태양광 발전장치
CN210693853U (zh) 一种带有多种固定结构的壁挂式光伏逆变器
KR101552883B1 (ko) 결합형 케이블 덕트 프레임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시스템
US9425734B2 (en) Junction cover for photovoltaic panel modules
CN220693024U (zh) 一种用于光伏组件的导轨、紧固设备和光伏系统
KR102502689B1 (ko) 건물일체형 태양광 발전 장치
CN219718129U (zh) 一种光伏组件的夹持装置及其光伏屋面系统
JP6594626B2 (ja) 屋根構造
AU2021100374A4 (en) Waterproof sealing structure for rooftop power generation system
CN219372329U (zh) 光伏框架固定机构
CN221042712U (zh) 一种光伏遮阳装置和光伏建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