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1563B1 - 전선낙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선낙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1563B1
KR102001563B1 KR1020170119384A KR20170119384A KR102001563B1 KR 102001563 B1 KR102001563 B1 KR 102001563B1 KR 1020170119384 A KR1020170119384 A KR 1020170119384A KR 20170119384 A KR20170119384 A KR 20170119384A KR 102001563 B1 KR102001563 B1 KR 102001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ip
insertion groove
cove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1669A (ko
Inventor
유정훈
권오득
김대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1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563B1/ko
Priority to PCT/KR2017/015551 priority patent/WO2019054578A1/ko
Publication of KR20190031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1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선에 각각 탄성 장착되는 전선고정구; 및, 인접한 상기 전선고정구를 연결하는 낙하방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고정구는, 전선삽입홈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부; 및, 그립삽입홈을 통해 삽입된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커버부;를 구비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선낙하 방지장치{CABLE FALLING PREVEN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안전사고 및,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기존의 배전선로의 전주와 전주 사이의 전선은 별도의 장치 없이 완금에서 일정간격을 주어 배전선로 이도를 적용 전선 간의 이격을 유지하여 왔다.
이러한 방법은 전선을 지지하는 애자부분의 절연파괴, 완금의 이탈, 차량충돌 등이 발생하였을 때 전선의 전체가 지면으로 낙하되면서 보행자의 감전사고, 자동차 및 구조물 등의 파손 및, 지락으로 대지전위 상승에 따른 과전압 발생 및 통신기기 소손 등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 놓일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단선되어 낙하된 전선은 전기가 계속 공급되는 상태이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을 가중시킬 수 있는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대책방안의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전선이 단선되어 낙하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시설물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낙하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선에 각각 탄성 장착되는 전선고정구 및, 인접한 상기전선고정구를 연결하는 낙하방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고정구는, 전선삽입홈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외주면에 탄성장착되는 그립부 및, 그립삽입홈을 통해삽입된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전선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선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본체 및, 상기 그립본체의 단부에 트임홈을 사이에 두고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가압편을 구비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그립부에 상기 그립커버부가 탄성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커버부의 내면이 상기 전선삽입홈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삭제
바람직하게, 그립커버부는, 상기 그립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커버본체; 상기 커버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이 전선을 장악하도록 상기 가압편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지지면;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립커버부는, 상기 커버본체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그립삽입홈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삽입홈 주변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그립커버부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그립삽입홈의 주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낙하방지선의 설치부분을 제공하는 고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낙하방지선은,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고리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절연성선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낙하방지선은,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고리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클램프; 및, 인접한 연결클램프의 사이를 연결하는 절연성선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전선낙하 방지장치를 활용한 전선낙하 방지공법이고, 복수 개의 전선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부를 탄성 장착하는 제1 단계;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커버부를 탄성 장착하는 제2 단계; 및, 인전한 상기 전선고정구를 상기 낙하방지선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를 활용한 전선낙하 방지공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선이 단선되어 낙하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및, 시설물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선낙하 방지장치가 전주와 전주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전선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일측이 전선이 단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선고정구의 그립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선고정구의 그립부와 그립커버부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선고정구의 그립부와 그립커버부의 설치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선고정구에 낙하방지선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낙하 방지장치(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낙하 방지장치(10)는 그립부(200), 그립커버부(300) 및, 낙하방지선(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선낙하 방지장치(10)는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선(L)에 각각 탄성 장착되는 전선고정구(100) 및, 인접한 상기 전선고정구(100)를 연결하는 낙하방지선(400)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고정구(100)는, 전선삽입홈(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L)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부(200) 및, 그립삽입홈(311)을 통해 삽입된 상기 그립부(200)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커버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선낙하 방지장치(10)는 전주(P)와 전주(P) 사이에 설치되고, 완금에 의해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선(L)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선낙하 방지장치(10)는 그립부(200)와 그립커버부(300)를 포함하는 전선고정구(100)가 복수 개의 전선(L)에 각각 설치되고, 인접한 전선고정구(100)를 낙하방지선(400)으로 연결하여 복수 개의 전선(L)을 일체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그립부(200)와 상기 그립커버부(300)는 제1 전선(L), 제2 전선(L), 제3 전선(L)에 각각 설치되고, 낙하방지선(400)은 각각의 그립커버부(3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선낙하 방지장치(10)는 인접한 상기 전선고정구(100)를 연결하여, 일측의 전선고정구(100)에 장착된 일측의 전선(L)이 단선시 낙하방지선(400)과 타측의 전선고정구(100)를 매개로 단선된 전선(L)을 지지하여 전선(L)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종래의 경우 단선된 전선(L)이 낙하시 발생할 수 있는 보행자의 감전사고와 같은 안전사고 및, 자동차 등의 시설물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고정구(100)는 그립부(200) 및, 그립커버부(30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립부(200)는 전선삽입홈(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L)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될 수 있다.
전선삽입홈(211)은 그립부(20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개방부분으로 전선삽입홈(211)을 통해 전선(L)이 그립부(2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립부(200)가 전선(L)에 장착시 전선삽입홈(211)이 벌어지면서 전선(L)이 삽입되고, 전선(L)이 그립부(200)의 내부에 장착된 후 다시 전선삽입홈(211)이 좁아지면서, 그립부(200)가 전선(L)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될 수 있다.
그립커버부(300)는 그립삽입홈(311)을 통해 삽입된 그립부(200)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고, 상기 전선삽입홈(211)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립삽입홈(311)은 그립커버부(300)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서 형성된 개방부분으로 그립삽입홈(311)을 통해 그립부(200)가 그립커버부(300)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립커버부(300)가 그립부(200)에 장착시 그립삽입홈(311)이 벌어지면서 그립부(200)가 삽입되고, 그립부(200)가 그립커버부(300)의 내부에 장착된 후 다시 그립삽입홈(311)이 좁아지면서, 그립커버부(300)가 그립부(200)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낙하방지선(400)은 복수 개의 전선(L)에 각각 설치된 인접한 그립커버부(300)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선낙하 방지장치(10)는 그립부(200)에 상기 그립커버부(300)가 탄성 장착된 상태에서, 그립커버부(300)의 내면이 상기 전선삽입홈(21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200)는 그립커버부(300)의 그립삽입홈(311)을 통해 삽입되어 그립커버부(300)에 내부에 장착되고, 그립커버부(300)의 내면이 전선삽입홈(211)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그립부(200)는, 상기 전선삽입홈(2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선(L)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본체(210) 및, 상기 그립본체(210)의 단부에 트임홈(230)을 사이에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가압편(25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그립본체(2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부재로 구성되고, 그립본체(210)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그립본체(210)의 내부와 연통되는 전선삽입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편(250)은 그립본체(210)의 단부에 트임홈(230)을 사이에 두고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그립본체(210)의 단부에는 복수 개의 가압편(250)이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고, 가압편(250)이 그립커버부(300)의 가압지지면(도 4의 330)에 의해 가압되면서 전선(L)을 장악할 수 있다.
가압편(250)은 그립본체(210)의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형태로 구비되고, 그립커버부(300)에 의해 가압편(250)이 가압시 트임홈(230)의 크기가 축소되면서 가압편(250)이 전선(L)을 가압하여 장악할 수 있다.
각각의 가압편(250)은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5의 (a)를 참조하면, 트임홈(230)은 단부로 갈수록 개방된 부분의 단면적이 커지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트임홈(230)은 단부로 갈수록 개방된 부분의 단면적이 커지는 원호상의 삼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가압편(250)은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고 원호상의 단면을 가지는 사다리꼴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그립커버부(300)에 의해 가압편(250)이 가압시 트임홈(230)은 크기가 축소될 수 있고, 나아가 트임홈(230)의 경계를 형성하는 그립본체(210)의 대향되는 면이 접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그립커버부(300)는, 상기 그립삽입홈(311)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200)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커버본체(310) 및, 상기 커버본체(310)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250)이 전선(L)을 장악하도록 상기 가압편(25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지지면(330)을 구비할 수 있다.
그립커버부(300)는 커버본체(310)의 단부 영역의 내면에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는 테이퍼형의 가압지지면(330)을 구비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커버본체(310)는 중앙은 원통형이고,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감소하는 테이퍼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테이퍼형 부재의 단부영역 내면에 가압편(25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지지면(3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압지지면(330)은 테이퍼형 부재의 단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커버본체(310)는 원통형의 부재로 구성되고, 원통형부재의 단부영역 내면에 가압편(25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지지면(33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압지지면(330)은 원통형 부재의 단부방향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는 경사진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그립커버부(300)는, 상기 커버본체(310)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그립삽입홈(311)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삽입홈(311) 주변을 보강하는 보강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재(370)는 그립삽입홈(311)이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보강부재(370)는 커버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그립부(200)에 그립커버부(300)를 장착시 그립커버부(300)가 벌어지기는 하되 보강부재(370)는 그립삽입홈(311)이 과도하게 벌어지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보강부재(370)는 커버본체(3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되고, 그립삽입홈(311) 주변의 커버본체(310)의 외주면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되는 원호상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의 (b)를 참조하면, 그립커버부(300)는, 상기 커버본체(310)에 형성되고, 상기 그립삽입홈(311)의 주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낙하방지선(400)의 설치부분을 제공하는 고리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리부재(350)는 적어도 한 쌍이 설치되고, 한 쌍의 고리부재(350)에 낙하방지선(400)이 일체로 설치되면서 그립커버부(300)의 그립삽입홈(311)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낙하방지선(400)은 인접한 상기 전선고정구(100)를 연결하여 복수 개의 전선(L)을 일체로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그립부(200)와 상기 그립커버부(300)는 제1 전선(L), 제2 전선(L), 제3 전선(L)에 각각 설치되고, 낙하방지선(400)은 각각의 그립커버부(3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낙하방지선(400)은 인접한 상기 그립커버부(3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낙하방지선(400)에 의해 연결된 어느 일측의 그립커버부(300)와 연계되어 설치된 전선(L)이 단선되면서 낙하할 경우, 타측의 그립커버부(300)와 연계되어 설치된 전선(L)이 단선된 전선(L)을 지지할 수 있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낙하방지선(400)은,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고리부재(35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절연성선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낙하방지선(400)은,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고리부재(35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클램프 및, 인접한 연결클램프의 사이를 연결하는 절연성선재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클램프는 한 쌍의 고리부재(350)의 홀에 삽입되는 잠금식 후크부재로 구비될 수 있고, 후크부재에는 절연성선재가 묶여서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선낙하 방지공법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선낙하 방지공법은 제1 단계, 제2 단계,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선낙하 방지장치(10)를 활용한 전선낙하 방지공법이다.
본 발명의 전선낙하 방지공법은 복수 개의 전선(L)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부(200)를 탄성 장착하는 제1 단계와, 상기 그립부(200)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커버부(300)를 탄성 장착하는 제2 단계 및, 인전한 상기 전선고정구(100)를 상기 낙하방지선(400)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제1 단계에는 전선(L)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부(200)를 탄성 장착할 수 있다.
그립부(200)는 전선삽입홈(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L)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될 수 있다.
제1 단계는 그립부(200)의 외부에 그립커버부(300)가 설치되기 이전으로, 그립부(200)의 가압편(250)의 사이에 트임홈(230)이 이격 형성된 상태이다.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제2 단계에는 그립부(200)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커버부(300)를 탄성 장착할 수 있다.
그립커버부(300)는 그립삽입홈(311)을 통해 삽입된 그립부(200)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고, 상기 전선삽입홈(211)을 둘러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단계는 그립부(200)의 외부에 그립커버부(300)가 탄성장착된 이후의 상태로, 그립부(200)의 가압편(250)의 사이에 트임홈(230)의 간격이 작아지면서 가압편(250)이 전선(L)을 가압하여 장악할 수 있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3 단계에는 인전합 상기 전선고정구(100)를 상기 낙하방지선(400)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낙하방지선(400)은 인접한 그립커버부(300)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낙하방지선(400)에 의해 연결된 어느 일측의 그립커버부(300)와 연계되어 설치된 전선(L)이 단선되면서 낙하할 경우, 타측의 그립커버부(300)와 연계되어 설치된 전선(L)이 단선된 전선(L)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선낙하 방지공법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다양한 실시형태를 가지는 전선낙하 방지장치(10)의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전선낙하 방지공법에서 활용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10)의 그립부(200), 그립커버부(300), 낙하방지선(40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전선낙하 방지공법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전선낙하 방지장치 100: 전선고정구
200: 그립부 210: 그립본체
211: 전선삽입홈 230: 트임홈
250: 가압편 300: 그립커버부
310: 커버본체 311: 그립삽입홈
330: 가압지지면 350: 고리부재
370: 보강부재 400: 낙하방지선
L: 전선 P: 전주

Claims (9)

  1.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전선에 각각 탄성 장착되는 전선고정구 및,
    인접한 상기전선고정구를 연결하는 낙하방지선을 포함하고,
    상기 전선고정구는,
    전선삽입홈을 통해 삽입된 전선의 외주면에 탄성장착되는 그립부 및,
    그립삽입홈을 통해삽입된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커버부를 구비하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전선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전선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그립본체 및,
    상기 그립본체의 단부에 트임홈을 사이에 두고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가압편을 구비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에 상기 그립커버부가 탄성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그립커버부의 내면이 상기 전선삽입홈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커버부는,
    상기 그립삽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탄성 장착되는 커버본체; 및,
    상기 커버본체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압편이 전선을 장악하도록 상기 가압편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가압지지면;을 구비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커버부는,
    상기 커버본체에서 둘레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그립삽입홈의 주변에 배치되어 상기 그립삽입홈 주변을 보강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커버부는,
    상기 커버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그립삽입홈의 주변에 대향되게 설치되어 상기 낙하방지선의 설치부분을 제공하는 고리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선은,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고리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절연성선재로 구비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낙하방지선은,
    대향되는 한 쌍의 상기 고리부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연결클램프; 및,
    인접한 연결클램프의 사이를 연결하는 절연성선재;를 구비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
  9.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전선낙하 방지장치를 활용한 전선낙하 방지공법이고,
    복수 개의 전선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부를 탄성 장착하는 제1 단계;
    상기 그립부의 외주면에 상기 그립커버부를 탄성 장착하는 제2 단계; 및,
    인전한 상기 전선고정구를 상기 낙하방지선으로 연결하여 일체화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전선낙하 방지장치를 활용한 전선낙하 방지공법.
KR1020170119384A 2017-09-18 2017-09-18 전선낙하 방지장치 KR102001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384A KR102001563B1 (ko) 2017-09-18 2017-09-18 전선낙하 방지장치
PCT/KR2017/015551 WO2019054578A1 (ko) 2017-09-18 2017-12-27 전선낙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9384A KR102001563B1 (ko) 2017-09-18 2017-09-18 전선낙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1669A KR20190031669A (ko) 2019-03-27
KR102001563B1 true KR102001563B1 (ko) 2019-07-19

Family

ID=65723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9384A KR102001563B1 (ko) 2017-09-18 2017-09-18 전선낙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1563B1 (ko)
WO (1) WO20190545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9566B1 (ko) * 2019-06-05 2021-06-03 한국전력공사 전선 낙하방지용 안전장치
KR200497107Y1 (ko) * 2022-11-21 2023-07-3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가공송전선로의 전력선 보행용 파지장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773A (ja) * 2005-01-07 2006-07-20 Nihon Network Support:Kk 配電線用落下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429B2 (ja) * 1992-09-14 1996-11-13 関西電力株式会社 活線上部移線工法
JPH08126183A (ja) * 1992-10-16 1996-05-1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走水防止形差込式接続部
JP3015361B1 (ja) * 1998-12-22 2000-03-06 ヨツギ株式会社 電線防護管
JP3653202B2 (ja) * 1999-12-24 2005-05-25 株式会社三英社製作所 架空電線の電線間支持構造
KR101597256B1 (ko) * 2015-10-05 2016-03-08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1773A (ja) * 2005-01-07 2006-07-20 Nihon Network Support:Kk 配電線用落下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54578A1 (ko) 2019-03-21
KR20190031669A (ko) 2019-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1563B1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US1138771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rotary electric machine
US10297948B2 (en) Anti-kink protection assembly and method for installing the anti-kink protector
US20180076609A1 (en) Cold Shrinkable Cable Terminal, Cold Shrinkable Terminal Assembly and Method of Terminating Cable
US4523054A (en) Line-past insulator support system, method of assembly thereof, and clamp for use therein
KR101666386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130080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JP6857901B2 (ja) ストラップ押上工具
KR101721840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EP2555332B1 (en) Contact element
KR20150005792A (ko) 점퍼 지지장치
KR20160123408A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0713213B1 (ko) 고압케이블 접속안전튜브
US20170274845A1 (en) Cable holder
JP4589430B2 (ja) ケーブル接続部
KR200421637Y1 (ko) 원형 밴드 케이블
KR102536379B1 (ko)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JP4276321B2 (ja) ケーブル接続部
KR102195558B1 (ko) 배터리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KR20180056981A (ko) 절연유 차단구조를 포함하는 xlpe-of 케이블간 이종 케이블 접속재
KR20040598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밴드케이블 구조
KR200303372Y1 (ko) 데드앤드클램프용 리드선의 절연 장치
KR20220152743A (ko) 분기슬리브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