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792A - 점퍼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점퍼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792A
KR20150005792A KR1020130078737A KR20130078737A KR20150005792A KR 20150005792 A KR20150005792 A KR 20150005792A KR 1020130078737 A KR1020130078737 A KR 1020130078737A KR 20130078737 A KR20130078737 A KR 20130078737A KR 20150005792 A KR20150005792 A KR 20150005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connection
weight
preventing
connection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이승훈
최상희
강범영
정현종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3007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5792A/ko
Publication of KR20150005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792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철탑에 고정되며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연부와, 점퍼선에 결합되는 점퍼웨이트부와, 점퍼웨이트부와 절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와, 연결부가 점퍼웨이트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퍼 지지장치{DEVICE FOR SUPPORTING JUMPER}
본 발명은 점퍼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퍼를 지지하는 장치에 적용되는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안전사고 및 장치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점퍼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송전선로는 지중에 전력선을 매설하는 지중선로와, 철탑 및 절연 애자를 이용하여 지상에서 소정 높이 위의 공중에 전력선을 지지 설치하는 가공선로 두 가지로 나뉜다.
가공선로는 실제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력을 수송하기 위한 전력선과, 낙뢰로 인해 전력선에 유기되는 뇌전압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공지선 및 불평형 요인으로 인한 발생전류를 유인하는 중성선으로 구성되어 있는바, 전력선의 지지방식에 따라, 크게 현수형과 내장형의 두 가지로 나누어질 수 있다.
내장형 방식의 경우에는 가공선로를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 이격 위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내장 클램프를 통해 철탑의 양측에 전력선의 양 끝단을 각각 고정 지지한 후 점퍼선을 통해 전력선을 상호 접속시키게 된다. 이때 철탑의 양측을 가로지르게 되는 점퍼선을 철탑으로부터 이격 지지하기 위해 철탑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수평재용 강관을 고정 설치하고 강관 외주면에 점퍼선을 고정시킴으로써 점퍼선을 지지하도록 하는 점퍼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점퍼 장치가 설치된 후 점퍼선에 특정 방향으로 부는 바람에 의해서 점퍼 장치가 바람이 부는 방향으로 진동하게 된다. 이러한 진동이 있을 경우 안전상 점퍼선과 점퍼 장치가 주변 설비와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격 거리 축소를 위한 진동량 감소와 횡진 특성 개선을 위해 점퍼지지애자장치 또는 횡진방지용 추세트를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46859호(2013.05.08. 공개, 발명의 명칭: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점퍼 지지장치는 점퍼웨이트와 애자를 연결하는 볼트가 강풍 및 돌풍과 같은 외부 환경에 의한 유동에 의해 풀리는 경우가 발생한다. 점퍼웨이트와 애자를 연결하는 볼트가 풀리게 되면, 점퍼를 지지하는 힘이 해제되며 점퍼선의 횡진 등으로 인하여 철탑 등에 전류가 통하여 안전사고가 발생되거나 주변 부품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퍼웨이트를 지지하는 볼트의 풀림을 방지하여 점퍼 지지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점퍼의 횡진에 따른 안전사고 및 주변부품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점퍼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는: 철탑에 고정되며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연부; 점퍼선에 결합되는 점퍼웨이트부; 상기 점퍼웨이트부와 상기 절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점퍼웨이트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점퍼웨이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이탈방지몸체; 및 상기 이탈방지몸체와 상기 연결부를 결합시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이탈방지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몸체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점퍼웨이트부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연결부삽입부가 상기 점퍼웨이트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부삽입부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점퍼웨이트부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방지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탈방지핀은, 상기 이탈방지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연결부삽입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는, 연결부가 점퍼웨이트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연결부가 점퍼웨이트부에서 이탈될 때 발생되는 부품의 파손 및 점퍼선의 횡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웨이트부에 장착된 연결부 및 이탈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웨이트부에 장착되는 연결부 및 이탈방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의 정면 및 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퍼웨이트부에 장착된 연결부 및 이탈방지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웨이트부에 장착된 연결부 및 이탈방지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웨이트부에 장착되는 연결부 및 이탈방지부의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1)는 절연부(100), 점퍼웨이트부(200), 연결부(300) 및 이탈방지부(400)를 포함한다.
절연부(100)는 절연상측연결부(130)를 통하여 철탑(미도시)에 고정되며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철탑과 점퍼선(10)을 절연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구성 및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절연부(100)는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애자(110)를 포함한다. 애자(110)를 이용하여 절연시키는 원리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내용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점퍼웨이트부(200)는 점퍼선(10)이 결합되어 점퍼선(10)의 횡진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점퍼웨이트부(200)는 점퍼웨이트몸체(210)와 점퍼선고정부(230)를 포함한다.
점퍼웨이트몸체(210)는 비중이 큰 중량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연결부(300)를 통하여 절연부(100)와 결합되어, 풍압에 의한 점퍼선(10)의 횡진을 방지한다.
점퍼선고정부(230)는 내측에 점퍼선(10)이 삽입되며, 점퍼웨이트몸체(21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점퍼웨이트몸체(210)와 점퍼선(10)을 연결한다.
연결부(300)는 점퍼웨이트부(200)와 절연부(100)를 연결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구성,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300)는 점퍼웨이트부(200)와 절연부(100)를 직접 연결하는 이외에도 절연부(100)와 연결된 점퍼웨이트부(200)와 다른 점퍼웨이트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00)는 절연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점퍼웨이트부(200)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300)는 연결고리부(310), 웨이트고정부(350) 및 이탈방지핀관통홀부(370)를 포함한다.
연결고리부(310)는 환형으로 내측에 연결고리홀부(311)가 형성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연결고리부(310)는 절연부(100), 구체적으로 절연부(1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절연하측연결부(150) 또는 점퍼웨이트부(200) 사이에 위치하는 점퍼웨이트사이연결부(151)에 볼팅 등의 방식으로 결합된다.
웨이트고정부(350)는 연결고리부(310)에서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점퍼웨이트몸체(210)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웨이트고정부(350)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연결부고정홀부(211)에 나사 결합된다.
이탈방지핀관통홀부(370)는 웨이트고정부(350)를 관통하는 홀 형상으로, 이탈방지핀(450)이 삽입된다.
이탈방지부(400)는 연결부(300)가 점퍼웨이트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 사상 안에서 다양한 구성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탈방지부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부(400)는 이탈방지몸체(410) 및 이탈방지핀(450)을 포함한다.
이탈방지몸체(410)는 점퍼웨이트부(200)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연결부(300)와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몸체(410)는 연결부삽입부(411) 및 회전방지부(415)를 포함한다.
연결부삽입부(411)는 연결부(300)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삽입부(411)는 환형으로 내측에 형성되는 연결부삽입홀부(412)를 통하여 연결부(300)가 삽입된다.
또한 연결부삽입부(411)에는 도 6 기준 좌우 양측으로 홀 형상인 이탈방지핀진입홀부(413)가 형성되어 이탈방지핀(450)이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부삽입부(411)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점퍼웨이트부(200)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고 회전방지부(415)의 양단에 결합된다. 절연부(100)에 복수 개의 점퍼웨이트부(200)가 결합되는 경우 상측에 위치하는 점퍼웨이트부(200)에는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하나씩의 연결부(300)가 결합된다.
따라서 하나의 이탈방지부(400)를 이용하여 한 쌍의 연결부(3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결부삽입부(411)가 점퍼웨이트부(200)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한다.
회전방지부(415)는 연결부삽입부(411)와 연결되고, 점퍼웨이트부(200)의 측면과 접하여 연결부삽입부(411)가 점퍼웨이트부(200)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방지부(415)는 삽입부연결부(416) 및 회전방지측부(418)를 포함한다.
삽입부연결부(416)는 연결부(300)가 삽입되는 연결부삽입부(411)와 연결된다.
회전방지측부(418)는 연결부삽입부(411)에서 점퍼웨이트부(200)의 측면과 접하도록 휘어져 삽입부연결부(416)가 연결부(300)를 회전축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회전방지측부(418)는 연결부삽입부(411)와 함께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열린 개구부에 점퍼웨이트부(200)가 삽입된 상태에서 양단부에 위치하는 연결부삽입부(411)가 점퍼웨이트부(200)에 고정되므로 점퍼웨이트부(200)에 대한 회전이 제한된다.
이탈방지핀(450)은 이탈방지몸체(410)와 연결부(300)를 결합시켜 연결부(300)가 이탈방지몸체(41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탈방지핀(450)은 "R" 자형 핀으로 "R" 형의 다리 부분을 일측 이탈방지핀진입홀부(413), 이탈방지핀관통홀부(370) 및 타측 이탈방지핀진입홀부(413) 순으로 진입시켜 연결부가 연결부삽입부(41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방지핀(450)을 삽입한 뒤 다리부분을 연결부삽입부(411)의 외측에 접하도록 휘어 이탈방지핀(450)이 연결부삽입부(411)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웨이트부에 장착된 연결부 및 일측이탈방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점퍼 지지장치(1)는 이탈방지부(400)와 함께 또는 대신하여 일측이탈방지부(401)가 적용될 수 있다.
일측이탈방지부(401)는 복수 개의 점퍼웨이트부(200)가 절연부(100)에 연결되는 점퍼 지지장치(1)에서 최하측에 위치하는 점퍼웨이트부(200)에서 연결부(3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일측이탈방지부(401)는 이탈방지부(400)에서 회전방지부(415)의 형상이 "ㄷ"인 것에 대하여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점퍼웨이트부(200)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일측이탈방지부(401)는 일측이탈방지몸체(410a) 및 이탈방지핀(450)을 포함한다.
일측이탈방지몸체(410a)는 연결부삽입부(411) 및 일측회전방지부(415a)를 포함하여 하나의 연결부(300)가 결합되는 점퍼웨이트부(200)를 기준으로 연결부삽입부(411)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일측회전방지부(415a)는 일측삽입부연결부(416a) 및 일측회전방지부(415a)를 포함한다. 일측삽입부연결부(416a)는 연결부삽입부(411)와 연결되며 점퍼웨이트부(200)의 상측에 위치한다.
일측회전방지측부(418a)는 일측삽입부연결부(416a)에서 점퍼웨이트부(200)의 측면에 접하도록 휘어져 일측삽입부연결부(416a)가 점퍼웨이트부(200)에 대하여 회전 되는 것을 제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퍼 지지장치(1)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점퍼선(10)을 점퍼선고정부(230)에 삽입한 뒤 점퍼선고정부(230)를 점퍼웨이트몸체(210)에 볼팅,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연결부삽입부(411)가 연결부고정홀부(211) 상에 위치하도록 이탈방지몸체(410)를 점퍼웨이트몸체(210) 상에 위치시킨다.
연결부(300)를 연결부삽입부(411)를 통하여 진입시키고 연결부고정홀부(211)에 나사 결합시킨다.
연결부(300)가 점퍼웨이트몸체(210)에 결합되면 이탈방지핀(450)을 이용하여 연결부(300)를 이탈방지몸체(410)에 결합시킨다. 즉, 이탈방지핀(450)을 일측 이탈방지핀진입홀부(413)로 진입시키고, 이탈방지핀관통홀부(370)로 삽입한 뒤, 타측 이탈방지핀진입홀부(413)를 통하여 진입시켜 연결부(300)를 이탈방지부(400)에 고정시킨다.
이탈방지부(400)는 점퍼웨이트부(200)를 감싸는 형태이므로, 연결부삽입부(411)가 연결부(300)에 의하여 점퍼웨이트몸체(210)에 결합되면 점퍼웨이트몸체(21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결국 이탈방지부(400)의 회전이 제한되면 이탈방지부(400)에 결합된 연결부(300) 역시 점퍼웨이트몸체(210)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게 된다.
연결부(300)를 점퍼웨이트몸체(210)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연결고리홀부(311)를 이용하여 절연부하측연결부(300) 또는 점퍼웨이트사이연결부(151)에 볼팅 결합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점퍼 지지장치(1)는, 연결부(300)가 점퍼웨이트부(2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점퍼 지지장치(1)는 연결부(300)가 점퍼웨이트부(200)에서 이탈될 때 발생되는 부품의 파손 및 점퍼선(10)의 횡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점퍼 지지장치 10: 점퍼선
100: 절연부 110: 애자
130: 절연상측연결부 150: 절연하측연결부
151: 점퍼웨이트사이연결부 200: 점퍼웨이트부
210: 점퍼웨이트몸체 211: 연결부고정홀부
230: 점퍼선고정부 300: 연결부
310: 연결고리부 311: 연결고리홀부
350: 웨이트고정부 370: 이탈방지핀관통홀부
400: 이탈방지부 401: 일측이탈방지부
410: 이탈방지몸체 410a: 일측이탈방지몸체
411: 연결부삽입부 412: 연결부삽입홀부
413: 이탈방지핀진입홀부 415: 회전방지부
415a: 일측회전방지부 416: 삽입부연결부
416a: 일측삽입부연결부 418: 회전방지측부
418a: 일측회전방지측부 450: 이탈방지핀

Claims (5)

  1. 철탑에 고정되며 절연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연부;
    점퍼선에 결합되는 점퍼웨이트부;
    상기 점퍼웨이트부와 상기 절연부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점퍼웨이트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점퍼웨이트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이탈방지몸체; 및
    상기 이탈방지몸체와 상기 연결부를 결합시켜, 상기 연결부가 상기 이탈방지몸체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지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몸체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삽입부; 및
    상기 연결부삽입부와 연결되고, 상기 점퍼웨이트부의 측면과 접하여 상기 연결부삽입부가 상기 점퍼웨이트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지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삽입부는,
    한 쌍이 구비되어 각각 상기 점퍼웨이트부의 상측과 하측에 위치하고, 상기 회전방지부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지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핀은,
    상기 이탈방지몸체에 삽입되고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부가 상기 연결부삽입부에 대하여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퍼 지지장치.
KR1020130078737A 2013-07-05 2013-07-05 점퍼 지지장치 Withdrawn KR201500057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737A KR20150005792A (ko) 2013-07-05 2013-07-05 점퍼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8737A KR20150005792A (ko) 2013-07-05 2013-07-05 점퍼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792A true KR20150005792A (ko) 2015-01-15

Family

ID=5247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8737A Withdrawn KR20150005792A (ko) 2013-07-05 2013-07-05 점퍼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579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88U (ko) 2016-10-11 2018-04-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용 댐퍼 풀림방지장치
KR20210092433A (ko) * 2020-01-16 2021-07-26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 점퍼선 지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88U (ko) 2016-10-11 2018-04-1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로용 댐퍼 풀림방지장치
KR20210092433A (ko) * 2020-01-16 2021-07-26 한국전력공사 송전철탑 점퍼선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JP6756231B2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KR102110872B1 (ko) 간접활선용 건축용 방호관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522011B1 (ko) 전기안전사고 방지형 지중 배전선로 접속구조물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2344308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20160069295A (ko) 방호관
KR20130046859A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KR102029911B1 (ko) 지상개폐기의 케이블 고정장치
KR20150005792A (ko) 점퍼 지지장치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20130002631U (ko) 원터치형 전선측 접지장치
KR101479229B1 (ko) 가공 송전선로의 인터록방식 접지용구
KR101862100B1 (ko)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KR101713272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KR101070510B1 (ko) 통신 및 전기케이블용 멀티 고정장치
KR102001563B1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KR102373900B1 (ko) 전선 간의 충돌방지기능을 구비한 가공배전선 고정기구
KR20230085660A (ko) 바인드리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1042952B1 (ko) 전차선로용 쐐기형 드롭퍼 클램프
KR101346470B1 (ko)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KR100908672B1 (ko) 지중배전 내선형 전선관
US20190115738A1 (en) Cable suspension clam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7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C1203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