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379B1 -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 Google Patents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379B1
KR102536379B1 KR1020220158827A KR20220158827A KR102536379B1 KR 102536379 B1 KR102536379 B1 KR 102536379B1 KR 1020220158827 A KR1020220158827 A KR 1020220158827A KR 20220158827 A KR20220158827 A KR 20220158827A KR 102536379 B1 KR102536379 B1 KR 102536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support
unit
shack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주현
Original Assignee
경남전설감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남전설감리(주) filed Critical 경남전설감리(주)
Priority to KR1020220158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16B45/002Ey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3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rking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이쇄클(100)과 애자유닛(200), 연결클램프(300) 및 애자픽스유닛(400)으로 구성된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작업자가 전주(1)로 올라가지 않고도 지상에서 절연애자(210)의 파단 유무를 파단표시부(450)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고, 절연애자(210)가 외력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애자픽스유닛(400)이 감싸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애자(210)의 분리 및 이로 인한 추락사고를 최대한 지연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Improved safety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s Fixing equipment using insulators}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해서 완금에 설치되는 절연성능을 가진 폴리머(polymer) 현수애자를 사용하고 있으며, 현수애자는 초고압송전선로나 배전선과 같은 가공전선로 상에서 선로가 늘어지지 않도록 지탱해주는 전기기구로서, 선로가 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여야 함에 따라 높은 인장강도와 함께 양호한 절연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현수애자는 통상 아이쇄클(eye shackle)을 매개로 완금과 연결되며, 아이쇄클은 코터핀(cotter pin)을 매개로 완금에 설치된다.
상기 현수애자를 이용하는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696호가 있으며, 여기에는 완철에 설치된 볼쇄클의 처짐을 방지하고, 코터핀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는 전단하중을 완철로 분산시켜서 지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 현수애자의 경우 외력에 의해 파단(절단)시 분리방지를 위한 수단이 전혀 마련되어 있지 않아 파단에 상당히 취약한 문제가 있고, 더욱이 작업자가 지상에서는 현수애자의 파단 상태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전혀 없어 시설물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433446호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전주로 올라가지 않고도 지상에서 절연애자의 파단 유무를 파단표시부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고, 절연애자가 외력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애자픽스유닛이 감싸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애자의 분리 및 이로 인한 추락사고를 최대한 지연할 수 있는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된 완철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쇄클아이를 구비하는 아이쇄클;
동축 상에서 서로 이격배치되며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이 마련된 제1바디, 제1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제1바디와 일체를 이루며,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크랙유도홈이 마련되되, 결합홈 사이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크랙유도홈 사이의 폭이 짧게 형성된 제2바디, 제1바디와 제2바디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애자갓으로 이루어진 절연애자와,
절연애자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쇄클아이와 쇄클고정핀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금속재질의 쇄클연결부와,
절연애자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클램프연결부로 구성된 애자유닛;
클램프연결부와 애자코터핀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을 고정하는 연결클램프;
반원형의 감착홈을 갖춘 제1·2반원부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일단부가 절첩 및 전개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타단부가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연결 및 분리가 단속되며, 감착홈을 매개로 절연애자의 일측 결합홈에 설치되는 제1지지체와,
제1지지체에 일체로 형성되며 감착홈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애자갓의 외주연을 감싸는 연결봉과,
반원형의 감착홈을 갖춘 제3·4반원부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연결봉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부가 절첩 및 전개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타단부가 볼트와 너트를 매개로 연결 및 분리가 단속되며, 감착홈을 매개로 절연애자의 타측 결합홈에 설치되는 제2지지체와,
연결봉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제2지지체의 이탈을 단속하는 고정너트와,
제2지지체와 고정너트 사이에 설치되며 고정너트의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내부에 형광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단표시부와,
결합홈과 감착홈 사이에 개입되어 절연애자의 분리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재로 구성된 애자픽스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전주로 올라가지 않고도 지상에서 절연애자의 파단 유무를 파단표시부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다.
또한, 절연애자가 외력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애자픽스유닛이 감싸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애자의 분리 및 이로 인한 추락사고를 최대한 지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에서 애자유닛 및 애자픽스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에서 애자유닛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에서 애자픽스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예시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에서 애자유닛 및 애자픽스유닛을 따로 발췌하여 보인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에서 애자유닛의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에서 애자픽스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는 아이쇄클(100)과 애자유닛(200), 연결클램프(300) 및 애자픽스유닛(400)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작업자가 전주(1)로 올라가지 않고도 지상에서 절연애자(210)의 파단 유무를 파단표시부(450)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관리가 편리하고, 절연애자(210)가 외력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애자픽스유닛(400)이 감싸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애자(210)의 분리 및 이로 인한 추락사고를 최대한 지연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쇄클(100)은 완철(2)과 애자유닛(200)을 상호 연결해주는 부재로서, 대략‘C’자 형상을 가지며, 완철(2)에 고정수단(볼트 및 너트)을 매개로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쇄클(100)의 일측에는 쇄클아이(110)가 수직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애자유닛(200)은 절연애자(210)와 쇄클연결부(220) 및 클램프연결부(23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아이쇄클(100)과 연결클램프(300)를 상호 연결하면서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애자(210)는 제1바디(211)와 제2바디(212) 및 애자갓(213)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제1바디(211)와 제2바디(212)는 동일한 직경으로 일체로 제작된 환봉이다.
이러한, 상기 제2바디(212)의 중간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크랙유도홈(212a)이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1바디(211)의 중간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결합홈(211a)이 일체로 형성되며, 크랙유도홈(212a)의 사이 폭(d)은 제1바디(211)의 결합홈(211a) 사이 폭(D) 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크랙유도홈(212a)은 외력이 애자유닛(200)에 가해졌을 때, 파단이 유도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결합홈(211a)은 애자픽스유닛(400)을 애자유닛(200)에 설치했을 때,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바디(211)와 제2바디(2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애자갓(213)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쇄클연결부(220) 및 클램프연결부(230)는 금속재질로 제작된 부재로, 절연애자(210)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쇄클연결부(220)는 아이쇄클(100)의 쇄클아이(110)와 쇄클고정핀(P1)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클램프연결부(230)는 연결클램프(300)와 애자고정핀(P2)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클램프(300)는 가공배전선(L)과 점퍼선(J)을 전기적으로 연결 및 고정해주는 통상의 인류클램프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애자유닛(200)의 클램프연결부(230)와 애자고정핀(P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애자픽스유닛(400)은 제1지지체(410)와 연결봉(420), 제2지지체(430), 고정너트(440), 파단표시부(450) 및 완충재(460)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애자유닛(20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애자유닛(200)이 파단되더라도 애자유닛(200)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게 잡아주고, 파단상황을 외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지지체(410)는 중심이 관통된 원판으로, 제1반원판(411)과 제2반원판(412)으로 분할형성되어 제1반원판(411)의 일단부에 제2반원판(412)의 일단부가 리벳을 매개로 절첩 및 전개가능하게 축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반원판(411)과 제2반원판(412)의 타단부에는 고정부(411b,412b)가 각각 마련되고, 고정부(411b,412b)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으로 볼트(B)가 관통되게 끼워지고 너트(N)가 체결됨으로서 제1반원판(411)과 제2반원판(412)은 원판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반원판(411)과 제2반원판(412)의 서로 맞대어지는 면 중간에는 제1바디(211)의 결합홈(211a)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원형의 감착홈(411a,412a)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420)은 일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환봉으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지지체(410)의 일면에 일체로 형성되며, 감착홈(411a,41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제1반원판(411)과 제2반원판(412)에 각각 2개씩 형성된다.
상기 연결봉(420)은 제1지지체(410)를 절연애자(210)에 설치시 애자갓(213)의 외주연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2지지체(430)는 중심이 관통된 원판으로, 제1지지체(410)와 구조가 동일하다.
상기 제2지지체(430)는 제3반원판(431)과 제4반원판(432)으로 분할형성되어 제3반원판(431)의 일단부에 제4반원판(432)의 일단부가 리벳을 매개로 절첩 및 전개가능하게 축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3반원판(431)과 제4반원판(432)의 타단부에는 고정부(431b,432b)가 각각 마련되고, 고정부(431b,432b)에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으로 볼트(B)가 관통되게 끼워지고 너트(N)가 체결됨으로서 제3반원판(431)과 제4반원판(432)은 원판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반원판(431)과 제4반원판(432)의 서로 맞대어지는 면 중간에는 제1바디(211)의 결합홈(211a)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반원형의 감착홈(431a,432a)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3반원판(431)과 제4반원판(432)에는 연결봉(420)이 관통되게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으로 연결봉(420)이 각각 관통되게 끼워져 말단부에 고정너트(440)가 체결되며, 제1지지체(410)와 제2지지체(430)는 연결봉(420)을 매개로 상호 연결된다.
상기 파단표시부(450)는 내부에 형광물질이 충진된 플라스틱재질의 케이스로, 본 실시 예의 경우 제2지지체(430)와 고정너트(440) 사이에 배치되게 연결봉(420)에 끼워져 고정너트(440)의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내부에 형광물질을 외부로 배출해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파단표시부(450)로부터 배출된 형광물질을 통해 현재 애자유닛(200)의 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완충재(460)는 압축력이 우수한 소프트한 재질의 호 형상의 부재로, 본 실시 예의 경우 결합홈(311a)과 감착홈(411a,412a,431a,432a) 사이에 개입되어 절연애자(210)의 분리시 절연애자(210)와 제1·2지지체(410,430) 간의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애자유닛(200)에 애자픽스유닛(400)를 설치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먼저 제1지지체(410)와 제2지지체(430)를 리벳의 축을 중심으로 벌려 준 다음 애자유닛(200)에 배치한다.
그 다음 애자유닛(200)의 제1바디(211)가 제1지지체(410)의 제1반원판(411)과 제2반원판(412) 사이, 제2지지체(430)의 제3반원판(431)과 제4반원판(432) 사이에 각각 배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1지지체(410)와 제2지지체(430)를 오무려주면, 감착홈(411a,412a,431a,432a)이 결합홈(211a)에 삽입되면서 제1지지체(410)와 제2지지체(430)가 원판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한 상태에서 제1지지체(410)의 고정부(411b,412b)와 제2지지체(430)의 고정부(431b,432b)에 볼트(B)와 너트(N)를 각각 체결하여 제1지지체(410)와 제2지지체(430)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한다.
한편, 도 6a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애자유닛(200)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애자유닛(200)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크랙유도홈(212a)에서 크랙발생이 일어나게 되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에 가공배전선(L)이 잡아당기는 인장력이 더해지면서 크랙(균열)은 급속도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결국 제2바디(212)는 파단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바디(212)의 파단으로 인해 절연애자(210)의 제2바디(212)는 파단된 면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며, 이에 따라 절연애자(210)의 타측에 고정된 제2지지체(430) 역시 연결봉(42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고정너트(440)와 함께 파단표시부(450)를 강하게 압박하게 된다.
상기 파단표시부(450)는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내부에 형광물질을 외부로 배출되고, 이 과정에 일부는 제2지지체(430)의 외면에 묻게 되고, 일부는 바닥으로 낙하하게 되며, 작업자는 이렇게 표면에 묻거나 바닥에 떨어진 형광물질을 보고 애자유닛(200)의 현재상태를 직감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신속한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절연애자(210)가 외력에 의해 파단되더라도 애자픽스유닛(400)이 감싸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절연애자(210)의 분리 및 이로 인한 추락사고를 최대한 늦출 수 있다는 점에서 안전사고를 지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전주 2: 완철 100: 아이쇄클
110: 쇄클아이 200: 애자유닛 210: 절연애자
211: 제1바디 211a: 결합홈 212: 제2바디
212a: 크랙유도홈 213: 애자갓 220: 쇄클연결부
230: 클램프연결부 300: 연결클램프 400: 애자픽스유닛
410: 제1지지체 411: 제1반원판 411a: 감착홈
411b: 고정부 412: 제2반원판 412b: 감착홈
420: 연결봉 430: 제2지지체 431: 제3반원판
431a: 감착홈 431b: 고정부 432a: 감착홈
432b: 고정부 440: 고정너트 450: 파단표시부

Claims (1)

  1. 전주(1)에 고정된 완철(2)에 고정수단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쇄클아이(110)를 구비하는 아이쇄클(100);
    동축 상에서 서로 이격배치되며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결합홈(211a)이 마련된 제1바디(211), 제1바디(211)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이 제1바디(211)와 일체를 이루며, 외주면에 일정 깊이의 크랙유도홈(212a)이 마련되되, 결합홈(211a) 사이의 폭(D)보다 상대적으로 크랙유도홈(212a) 사이의 폭(d)이 짧게 형성된 제2바디(212), 제1바디(211)와 제2바디(212) 사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원판형상의 애자갓(213)으로 이루어진 절연애자(210)와,
    절연애자(21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쇄클아이(110)와 쇄클고정핀(P1)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는 금속재질의 쇄클연결부(220)와,
    절연애자(210)의 타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금속재질의 클램프연결부(230)로 구성된 애자유닛(200);
    클램프연결부(230)와 애자코터핀(P2)을 매개로 상호 연결되며, 가공배전선(L) 및 점퍼선(J)을 고정하는 연결클램프(300);
    반원형의 감착홈(411a,412a)을 갖춘 제1·2반원부(411,412)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일단부가 절첩 및 전개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타단부가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연결 및 분리가 단속되며, 감착홈(411a,412a)을 매개로 절연애자(210)의 일측 결합홈(211a)에 설치되는 제1지지체(410)와,
    제1지지체(410)에 일체로 형성되며 감착홈(411a,412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애자갓(213)의 외주연을 감싸는 연결봉(420)과,
    반원형의 감착홈(431a,432a)을 갖춘 제3·4반원부(431,432)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연결봉(420)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부가 절첩 및 전개가능하게 축 연결되고, 타단부가 볼트(B)와 너트(N)를 매개로 연결 및 분리가 단속되며, 감착홈(431a,432a)을 매개로 절연애자(210)의 타측 결합홈(211a)에 설치되는 제2지지체(430)와,
    연결봉(420)의 말단부에 체결되어 제2지지체(430)의 이탈을 단속하는 고정너트(440)와,
    제2지지체(430)와 고정너트(440) 사이에 설치되며 고정너트(440)의 가압에 의해 찢어지면서 내부에 형광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단표시부(450)와,
    결합홈(211a)과 감착홈(411a,412a,431a,432a) 사이에 개입되어 절연애자(210)의 분리시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재(460)로 구성된 애자픽스유닛(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0220158827A 2022-11-24 2022-11-24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KR102536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827A KR102536379B1 (ko) 2022-11-24 2022-11-24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827A KR102536379B1 (ko) 2022-11-24 2022-11-24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379B1 true KR102536379B1 (ko) 2023-05-26

Family

ID=86536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827A KR102536379B1 (ko) 2022-11-24 2022-11-24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3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234A (ko) * 2007-04-19 2008-10-23 최정곤 케이블 타이
KR102255226B1 (ko) * 2020-11-24 2021-05-25 (합)동양엔지니어링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102365477B1 (ko) * 2021-08-23 2022-02-23 박혜숙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KR102433446B1 (ko)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4234A (ko) * 2007-04-19 2008-10-23 최정곤 케이블 타이
KR102255226B1 (ko) * 2020-11-24 2021-05-25 (합)동양엔지니어링 안정적 전력배전을 위한 가공배전용 분기장치
KR102365477B1 (ko) * 2021-08-23 2022-02-23 박혜숙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KR102433446B1 (ko) 2021-11-15 2022-08-18 창성전력기술 주식회사 가공배전선 지지용 애자활용 고정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67100T3 (es) Línea aérea de distribución de energía eléctrica
KR102365477B1 (ko) 가공배전선 편의성 향상 고정기구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102348870B1 (ko) 가공송전선의 진동방지를 위한 가공송전선 고정장치
US4523054A (en) Line-past insulator support system, method of assembly thereof, and clamp for use therein
KR102536379B1 (ko) 가공배전선로용 안전성 향상 애자활용 고정기기
US5529276A (en) Frangible guy attachment for utility poles
KR101666832B1 (ko) 굴곡형 시험챔버를 포함하는 ac 내전압 시험설비
KR102089508B1 (ko) 가공 배전선로의 보호기능을 갖춘 배전선 연결대
KR102536385B1 (ko) 클램프활용 안전형 가공배전선 고정장치
KR100843058B1 (ko) 전신주용 고압 전기케이블 지지장치
KR102001563B1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US11600974B2 (en) Methods for releasably connecting an overhead electrical wire
KR102536381B1 (ko) 편의성 향상 가공배전선로용 고정기구
CN217281883U (zh) 一种带电紧线保护用的绝缘拉杆
US9882359B2 (en) Temporary transfer bus
KR100819143B1 (ko) 배전 선로의 분기 슬리브
KR101346470B1 (ko) 낙뢰보호 피뢰침 접속장치
KR200460855Y1 (ko) 폴리머 현수애자
KR101112773B1 (ko) 피뢰기 내장형 라인포스트 애자
US3264405A (en) Bendable base insulator
KR102536384B1 (ko) 조류퇴치용 복합기능 가공배전선 지지장치
KR102634673B1 (ko) 피뢰 기능을 갖는 가공 배전선 고정 장치
CN2842774Y (zh) 电源引线
CN105703098A (zh) 一种应急短接管状线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