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080B1 - 조가선 고정용 밴드 - Google Patents

조가선 고정용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080B1
KR101130080B1 KR1020100121414A KR20100121414A KR101130080B1 KR 101130080 B1 KR101130080 B1 KR 101130080B1 KR 1020100121414 A KR1020100121414 A KR 1020100121414A KR 20100121414 A KR20100121414 A KR 20100121414A KR 101130080 B1 KR101130080 B1 KR 1011300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dapter
pole
wir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태
Original Assignee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룡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룡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14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0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1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by a plate, spring, wire or ring immovable with regard to the bolt or object and main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bol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전주(100)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호 형태의 곡면을 갖으면서 좌우 분할된 한 쌍의 밴드몸체(200)와, 상기 밴드몸체(200)의 일측에서 전주(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 고정되고, 가운데 평면상에 제2체결볼트(230)가 삽입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어댑터부(300,301,3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부(300,301,302)의 내측에는 어댑터부(300,301,302)에 형성 구비된 볼트구멍(314)에 끼워지는 제3볼트(410) 및 너트(430)에 의해서 체결 고정되는 연결드럼(420)이 배치되어 상기 연결드럼(420)을 통해서 조가선(400)을 지지 고정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300,301,302)의 볼트구멍(314)이 형성된 상호 마주보는 평면상에는 설정된 일정하중 이상의 응력이 집중될 때 파손되어 연결드럼(420)과 조가선(400)이 어댑터부(300,301,302)에서 분리되게 하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노치 형태의 절단부(310,320)가 구비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Description

조가선 고정용 밴드{Messenger Wire Band}
본 발명은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전주에서 조가선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밴드와 조가선의 연결부위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조가선이 밴드의 어댑터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조가선이 이탈하게 됨에 따라 전주에 장력이 전달되지 않아 전주가 파괴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파손된 어댑터 부위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조가선(messenger wire)은 통신케이블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전주와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는 경우에 인장강도가 낮은 통신케이블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통신케이블이나 유선방송 케이블과 같이 설치되는 강선을 의미한다.
즉, 전주를 통해서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경우, 통상 조가선에 통신케이블를 행거로 고정시킴으로써, 통신케이블에는 장력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통신의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조가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해서 한 쌍을 이루는 밴드 형태의 조가선 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가선이 설치된 전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30)은 조가선 고정용 밴드(41) 형태로 이루어진 조가선 고정구(40)에 의해 전주(10)에 설치 고정되고, 통신케이블 또는 유선방송 케이블은 와이어에 의해 조가선(30)과 함께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조가선 고정구(40)는 직선 개소 방식으로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41)가 체결용 제1볼트(42)와 제1너트(43)에 의해 전주(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조가선 고정용 밴드(41)는 전주(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그 원호부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그 양 끝단부가 절곡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 중에서 그 일측 조가선 고정용 밴드(41)에는 클램프(44)가 체결용 제2볼트(45)와 제2너트(46)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클램프(44)에 의해 고정되는 조가선(30)이 전주(10)의 측부에 설치된다.
이때, 조가선 고정용 밴드(41)는 체결용 볼트(45)의 헤드가 위치할 수 있도록 어댑터부(48)가 돌출 형성되고, 이런 어댑터부(48)에는 제2볼트(45)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조가선 고정구(40)는 종단 개소 방식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직선 개소 방식의 조가선 고정구와 달리 조가선(30)이 시작하거나 끝나는 전주(10)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종단 개소 방식에 사용되는 조가선 고정구(40)는 직선 개소 방식에서와 동일한 형상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41)가 체결용 제1볼트(42)와 제1너트(43)에 의해 전주(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고, 체결용 제1 볼트(42)에 연결드럼(47)이 결합됨으로써, 연결드럼(47)에 연결되는 조가선(3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가선 고정구(40)에 의해 전주(10)에 설치되는 조가선(30)은 통상적으로 전력선(20)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대형 덤프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과 같은 차고가 높은 차량이 주행과정에서 부딪치거나 접촉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런데, 통신케이블 또는 유선방송 케이블을 지지하는 조가선(30)은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쉽게 절단되지 않아서 전력선(20)을 지지하는 전주(10)가 조가선(3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서 손상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해, 상기 전주(10)와 전주 사이에 조가선 고정용 밴드(41)에 의한 조가선(30)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통신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구간 등에서 높이가 높은 중장비 등이 통신케이블 밑을 횡단하면서 부주의로 인하여 통신케이블을 밀고 지나거나 장비가 넘어지면서 통신케이블에 부딪치는 경우, 통신케이블에 장력이 인가되면서 이를 지지하는 전주(10)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면서 전주(10)가 파괴되어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주(10)가 손상된 경우에는 전주(10)의 재설치와 전력선(20)의 복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사고로 인해서 전주(10)에 고정되어 있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41)와 조가선(30)의 연결부위에 일정 이상의 하중이 인가될 때, 조가선(30)만이 전주(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전주(10)가 파괴되는 것을 미연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종래 조가선 설치에 따른 문제점을 개선하는 방안의 일환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577064호(2006.5.10. 공고)에 조가선 고정용 밴드가 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 제577064호에 개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30)에 연결되는 체결용 볼트의 헤드가 위치하도록 굴곡진 원호부(61)에 어댑터부(64)가 외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어댑터부(64)의 내측에 체결용 볼트가 삽입되는 체결구멍(65)이 형성되며, 어댑터부(64)의 주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되는 하나 이상의 절취구멍(66)이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대형 덤프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이 주행과정에서 조가선(30)에 부딪치더라도, 어댑터부(64)가 절취되면서 조가선(30)이 연결되는 체결용 볼트가 분리됨으로써, 조가선(30)을 통해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전주(10)에 전달되지 않아서 전력선 손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전주(10)의 손상으로 인한 재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조가선 고정용 밴드(60)에서 어댑터부(64)가 절취되면서 조가선(30)이 연결되는 체결용 볼트가 분리되는 구조에 있어서는 어댑터부(64)가 절취되기 때문에, 이 부위가 파손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60)는 조가선(60)을 설치하기 위한 밴드로 재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재사용을 통한 비용 절감 측면에서 볼 때 매우 불합리한 것으로 개선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의 연결부위에 어느 일정 하중이 인가될 때 조가선만이 전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전주가 파괴되는 것을 미연 방지할 수 있는 기본적으로 조가선 고정구가 갖추어야할 구조를 충분히 제공하면서 상기 등록특허 제577064호에 개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어댑터부가 절취되어 파손된 경우에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재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모두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제공하고자 발명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전주에서 조가선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의 연결부위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조가선이 밴드의 어댑터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조가선이 이탈하게 됨에 따라 전주에 장력이 전달되지 않아 전주가 파괴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파손된 어댑터부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호 형태의 곡면을 갖으면서 좌우 분할된 한 쌍의 밴드몸체와, 상기 밴드몸체의 일측에서 전주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 고정되고, 가운데 평면상에 제2체결볼트가 삽입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어댑터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부의 내측에는 어댑터부에 형성 구비된 볼트구멍에 끼워지는 제3볼트 및 너트에 의해서 체결 고정되는 연결드럼이 배치되어 상기 연결드럼을 통해서 조가선을 지지 고정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의 볼트구멍이 형성된 상호 마주보는 평면상에는 설정된 일정하중 이상의 응력이 집중될 때 파손되어 연결드럼과 조가선이 어댑터부에서 분리되게 하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노치 형태의 절단부가 구비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제공함에 그 특징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절단부가 파손되는 임계하중으로 작용하는 설정된 일정하중 이상은 상기 전주 파괴강도의 75% 수준으로 설정되어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부의 가운데 평면상에는 어댑터부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엠보면이 형성되고, 이 엠보면 상에 상기 제2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밴드몸체 일측에 체결되는 어댑터부에 일정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어댑터부에 형성된 절단부가 파손되도록 하여 조가선이 어댑터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됨으로써, 조가선이 이탈하게 됨에 따라 조가선에 작용하던 일정이상의 외력(혹은 장력)이 전주에 그대로 전달되지 않아 전주가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이는 전력선 손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며, 전주의 손상으로 인한 재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부에 절단부를 구비함으로써, 파손된 어댑터 부위만을 교체하는 것으로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재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부를 밴드몸체의 일측에 체결 고정하는 데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의 가운데 평면상에 엠보면을 형성함으로써, 밴드몸체에 어댑터부를 체결하기 위해 제2체결볼트 상에 너트 끼워 조이는 과정에서 어댑터부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견실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가선이 설치된 전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들에 대한 각각의 실시 양태를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 제577064호에 개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보여주는 개략도 평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등록특허 제577064호에 개시된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평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서 절단부가 파손되어 조가선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서 절단부가 파손되어 조가선이 분리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예시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밴드몸체 일측에 체결 고정되는 어댑터부에 엠보면이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거나 생략될 수 있으며, 도면에 병기된 도면부호에 따라 부여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각 첨부도면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서 서로 동일하게 나타난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으며, 각각의 실시예에 따라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지만 서로 형상에 차이를 두고 있는 부위는 참조부호를 달리하여 이해하기 용이하도록 구분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체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으로써,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는 전주(100)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호 형태의 곡면을 갖으면서 좌우 분할된 한 쌍의 밴드몸체(200)와, 상기 한 쌍의 밴드몸체(200)로 전주(100)의 외주면을 감싼 상태에서 양쪽 체결부위를 각각 제1체결볼트(210)와 너트(220)로 조여서 밀착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밴드몸체(200)의 일측에는 제2체결볼트(230)를 통해서 체결 조립되어 조가선(400)과 연결될 수 있는 어댑터부(300)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밴드몸체(200)는 전주(10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좌우 분할된 원호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좌우 분할되어 원호 형태로 형성된 밴드몸체(200)의 양 끝단부는 각각 절곡되어 있고, 이렇게 절곡된 밴드몸체(200)의 양 끝단부는 제1체결볼트(210) 및 너트(220)에 의해서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전주(100)를 감싸고 지지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밴드몸체(200)의 원호 형태를 갖는 몸체 일측에는 디귿자 형상의 어댑터부(300)가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 조립되어 형성되는 바, 이와 같은 체결 조립을 위해 어댑터부(300)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볼트공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밴드몸체(200)는 원호 형태의 굴곡진 내측면이 전주(100)의 외주면에 보다 밀착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어댑터부(300)에 형성된 볼트공에 끼워지는 제2체결볼트(230)의 몸통부가 어댑터부(300) 내측면에 위치하게 되고, 여기에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즉, 밴드몸체(200)의 일측에 어댑터부(300)를 체결 조립하게 될 때, 작업자가 조임공구를 이용하여 어댑터부(300)의 내측면을 통해서 상기 제2체결볼트(230)의 몸통부위에 너트로 체결 조립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2체결볼트(230)의 조임 작업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밴드몸체(200)와 접촉하게 되는 어댑터부(300)의 내측면을 최대한 확장하여 작업자의 조임공구가 디귿자형 어댑터부(300)의 전방 개구면을 통해서 내측면으로 쉽게 삽입되어 조임공구의 작업 공간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어댑터부(300)와 조가선(400)이 연결되는 부위에 절단부(31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밴드몸체(200)와 조가선(400)이 연결된 부위에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인가되었을 때, 상기 어댑터부(300)의 절단부(310)가 절단되면서 조가선 고정용 밴드로부터 조가선(400)이 한순간에 이탈되는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특징을 두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상기 어댑터부(300)는 전주(100)를 감싸고 고정된 밴드몸체(200)의 일측에 제2체결볼트(230)를 통해서 체결 및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부위로써, 한 쌍의 원호 구조를 갖는 밴드몸체(200)와 어댑터부(300)가 각각 단품 형태로 별도 제작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댑터부(300)는, 상면을 기준으로 바라 볼 때, 일정 두께 및 일정 폭을 갖는 평판을 대략 디귿자형 구조로 절곡한 형상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렇게 디귿자형 구조로 형성된 어댑터부(300)의 가운데 평면상에는 하나의 볼트공(도시안됨, 도면에 구체적으로 표시되지 않았을 뿐 제2체결볼트(230)가 체결되는 부위이기 때문에 첨부도면상에서 그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이 형성되고, 이 어댑터부(300)의 볼트공을 통해서 상기 제2체결볼트(230)를 이용하여 밴드몸체(200)의 일측에 체결 고정 및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디귿자형 형상구조를 갖는 상기 어댑터부(300)의 전방 개구면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좌우 평면상에는 또 다른 볼트구멍(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트구멍(314)을 중심으로 좌우 평면 사이에는 전방 개구면을 통해 유입되는 조가선(400)을 지지 고정하는 연결드럼(420)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드럼(420)은 상기 볼트구멍(314)에 끼워진 제3볼트(410) 및 너트(430)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부(300)의 볼트구멍(314) 주위에는 응력 집중이 발생되는 노치 형태의 절단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절단부(310)는 도 7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구멍(314) 주위의 상하 방향에 서로 대향되게 노치 형태로 움푹 패인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이 부위에 응력 집중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조가선(400)에 일정 하중 이상의 장력이 인가될 경우, 상기 조가선(400)에 작용하는 장력이 연결드럼(420)으로 전달되고, 이는 다시 연결드럼(420)을 지지하는 제3체결볼트(410) 및 볼트구멍(314) 쪽으로 전달되게 됨에 따라 상기 절단부(310)의 노치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게 되면서 일정 하중 이상이 되면 파손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단부(31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구멍(314)을 중심으로 위쪽 부분인 제1절단부(311)와 아래쪽 부분인 제2절단부(312)로 구분할 수 있는 바, 상기 제1절단부(311)와 제2절단부(312)의 단면적을 서로 달리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제1절단부(311)의 단면적이 제2절단부(312)의 단면적 보다 작게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절단부(310)가 설계 구성됨에 따라 조가선(400)에 인가되는 장력이 상기 절단부(310)에 응력 형태로 집중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절단부(310)에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 작용하여 상기 절단부(310)가 파손될 때, 상기 제1절단부(311)가 먼저 파손되면서 볼트구멍(314)이 찢어지면서 벌어지게 됨에 따라 이 볼트구멍(314)에 제3체결볼트(410)를 매개로 지지되던 연결드럼(420) 및 이 연결드럼(420)에 감겨져 지지되던 조가선(400)이 순간적으로 어댑터부(300)로부터 이탈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조가선(400)에 작용하는 일정 이상의 장력이 전주(100)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전주(10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통상적으로 상기 절단부(310)에 작용하는 일정하중 이상의 장력이라는 의미는, 종래 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조가선(400)이 전주(100)에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통해서 지지 고정된 상태에서 대형 덤프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과 같은 차고가 높은 차량이 주행하는 과정에서 조가선(400)에 부딪치거나 접촉하게 될 때, 전주(100)가 조가선(40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서 손상될 수도 있는 정도의 하중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절단부(310)가 파손되는 강도를 전주 파괴강도의 75% 수준으로 설계하고 있다.
즉, 통상의 전주(100)는 그 크기 및 직경이 다양하게 제작되고 있어 전주(100)의 규격에 따라 전주 파괴강도는 다양하게 나타날 수밖에 없지만, 통상 전주(100)의 전체 길이가 14m~16m 정도일 때, 상기 밴드몸체(200)는 전주(100)의 10m 내외 높이에 설치되게 되고, 이때 전주(100)의 직경은 250㎜~280㎜ 정도를 갖는 것이 통상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전주(100)의 직경 250㎜정도 위치에 장착되는 밴드몸체(200)의 규격을 설계함에 있어서는 상기 절단부(310)에 작용하는 하중(즉, 조가선(400)에 인가되는 장력)으로 1752~2336㎏f 수준의 하중이 작용할 때 파손되도록 설계하고 있고, 전주(100)의 직경 280㎜정도 위치에 장착되는 밴드몸체(200)의 규격을 설계함에 있어서는 상기 절단부(310)에 작용하는 하중으로 2045~2727㎏f 수준의 하중이 작용할 때 파손되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는 한전 등에서 요구하는 규정을 만족시킬 수 있는 범위에서 하나의 예시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전주(100)의 규격 및 조가선 고정용 밴드의 규격 변경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서 상기 절단부(310)가 파손되는 하중 설계는 얼마든지 수정 변경 가능하게 됨은 당연하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되고 미 설명된 도면부호 313은 디귿자 형상을 갖고 있는 어댑터부(300)에서 디귿자를 형성하는 양쪽 평판을 내측 방향으로 절곡한 상태를 보여주는 절곡부(313)으로써, 디귿자형 어댑터부(300)의 형상을 약간 변형한 구조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어댑터부(300)의 형상에서 절곡부(313)가 없는 완전한 디귿자 형태의 어댑터부(301)로 구현된 형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는 각각 어댑터부(300, 301)의 형상에 있어서 절곡부(313)가 형성된 것과 형성되지 않은 것으로 구분되는 형상적 차이만 있을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한 관계로, 그 작동관계도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작동 관계를 통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작동 관계를 이해될 수 있음으로 여기서는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나타난 어댑터부(300)의 절단부(310)와 그 형상구조를 달리하는 절단부(320)의 구조적 차이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고정용 밴드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나타난 조가선 고정용 밴드와 비교할 때, 제3실시예에 도시된 어댑터부(302)에 형성된 절단부(320)의 형상 및 구조에서 차이를 두고 있을 뿐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제1실시예와 비교해서 형상 및 구조에 차이를 보이고 있는 어댑터부(302)에 형성된 절단부(3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제1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댑터부(30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을 기준으로 바라 볼 때,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8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바, 이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6의 도면에서 절곡부(313)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를 가정할 때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댑터부(302)는, 제1실시예에 나타난 어댑터부와 마찬가지로, 일정 두께 및 일정 폭을 갖는 평판을 대략 디귿자형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렇게 디귿자형 구조로 형성된 어댑터부(302)의 가운데 평면상에는 하나의 볼트공(도시안됨)이 형성되고, 이 어댑터부(302)의 볼트공을 통해서 상기 제2체결볼트(230)를 이용하여 밴드몸체(200)의 일측에 체결 고정 및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디귿자형 형상구조를 갖는 상기 어댑터부(302)의 전방 개구면을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좌우 평면상에는 또 다른 볼트구멍(314)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볼트구멍(314)을 중심으로 좌우 평면 사이에는 전방 개구면을 통해 유입되는 조가선(400)을 지지 고정하는 연결드럼(420)이 배치되고, 상기 연결드럼(420)은 상기 볼트구멍(314)에 끼워진 제3볼트(410) 및 너트(430)에 의해 체결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어댑터부(302)는, 상기 볼트구멍(314) 앞쪽 부위에 응력 집중이 발생되도록 단면적이 조정된 노치 형태의 절단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절단부(320)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구멍(314) 앞쪽에 상대적으로 응력 집중이 이루어져 다른 면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끊어질 수 있는 노치 형태의 단차면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절단부(320)는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구멍(314)의 앞쪽 부분에 단면적이 축소된 노치 형태의 제1절단부(321)와 그 아래쪽 부분에 제1절단부와 동일한 형태로 대향되게 형성된 제2절단부(322)로 구분할 수 있는 바, 상기 제1절단부(311)와 제2절단부(312)의 단면적이 축소된 형태를 가지고 있어 순간적으로 집중되는 응력(혹은 장력)이 임계값 이상으로 작용하게 될 때 상기 제1절단부(311)와 제2절단부(312)가 끊어지면서 상기 연결드럼(420)을 통해서 조가선(400)이 연결된 상기 어댑터부(302)의 일부가 이탈하게 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보여주는 것처럼 제3실시예의 절단부(320)에서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게 됨에 따라 조가선(400)에 작용하는 일정 이상의 장력이 전주(100)로 그대로 전달되지 않게 되어 전주(10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14 및 도 15에는 상기 어댑터부(300)를 밴드몸체(300)의 일측에 체결 고정하는 데 있어서, 상기 제2체결볼트(230) 상에 너트 끼워 조이는 과정에서 어댑터부(300)의 회전을 방지하면서 견실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엠보면(315)이 형성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즉, 볼트공(도시안됨)이 형성되는 어댑터부(300)의 가운데 평면상에는 어댑터부(300)의 내측 방향(도면상 밴드몸체(200)에 대해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방향을 의미함)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엠보면(315)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어댑터부(300)에 엠보면(315)을 형성함으써, 제2체결볼트(230)의 헤드 부분이 전주(100)와 접촉하는 밴드몸체(200)의 내주면에 위치하도록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볼트(230)의 몸통부에 상기 어댑터부(300)의 볼트공(도시안됨)이 끼워지고, 이 상태에서 제2체결볼트(230)의 몸통부에 너트가 체결되어 조여짐에 따라 어댑터부(300)가 밴드몸체(200)에 견고하게 체결 고정되는 바, 이때, 어댑터부(300)의 엠보면(315)과 밴드몸체(200)에서 어댑터부(300)를 체결하기 위해 돌출된 부위가 상호 견고하게 끼워져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어댑터부(300)를 밴드몸체(200)에 제2체결볼트(230) 및 너트로 체결하기 위해 너트를 조여주는 과정에서 어댑터부(3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대적으로 어댑터부(300)와 밴드몸체(200) 사이의 견실한 체결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는 대형 덤프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이 조가선(400)에 충돌하는 경우, 상기 어댑터부(300,301,302)의 절단부(310,320) 주위의 어느 한 부위에서 응력 집중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상기 절단부(310,320)가 일부 혹은 전부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어댑터부(300) 내측면에 위치한 연결드럼(420)이 어댑터부(300)로부터 이탈되어 분리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조가선(400)이 어댑터부(300,301,302)로부터 분리되어 조가선(400)에 작용하는 하중이 전주(100)에 전달되지 않아 임의의 외력에 의한 전주(10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를 구성하는 밴드몸체(200)는 평상시의 다른 외적 조건하에선 조가선(400)을 견실하게 지지하게 되고, 상기의 일례와 같이 일정 이상의 외부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에만 조가선(400)이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디귿자 형상의 어댑터부(300,301,302)를 기준으로 설명했지만, 이와 같은 디귿자 형상의 어댑터부(300,301,302)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댑터부의 형상은 연결드럼(420)을 통해서 조가선(400)을 연결 지지할 수 있으면서 응력 집중 부위에 노치 형태의 절단부(310,320)를 갖출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떤 형상으로도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0 : 전주 200 : 밴드 몸체
210 : 제1체결볼트 220, 430 : 너트
230 : 제2체결볼트 300, 301, 302 : 어댑터부
310, 320 : 절단부 311, 321 : 제1절단부
312, 322 : 제2절단부 313 : 절곡부
314 : 볼트구멍 315 : 엠보면
400 : 조가선 410 : 제3체결볼트
420 : 연결드럼

Claims (3)

  1. 전주(100)의 외주면과 동일한 원호 형태의 곡면을 갖으면서 좌우 분할된 한 쌍의 밴드몸체(200)와, 상기 밴드몸체(200)의 일측에서 전주(10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체결 고정되고, 가운데 평면상에 제2체결볼트(230)가 삽입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어댑터부(300,301,302)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댑터부(300,301,302)의 내측에는 어댑터부(300,301,302)에 형성 구비된 볼트구멍(314)에 끼워지는 제3볼트(410) 및 너트(430)에 의해서 체결 고정되는 연결드럼(420)이 배치되어 상기 연결드럼(420)을 통해서 조가선(400)을 지지 고정하도록 된 구조를 갖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300,301,302)의 볼트구멍(314)이 형성된 상호 마주보는 평면상에는 응력 집중에 따라 연결드럼(420)과 조가선(400)이 어댑터부(300,301,302)에서 분리되게 하는 단면적이 축소되는 노치 형태의 절단부(310,32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310,320)의 노치 부위는 상기 전주(100) 파괴강도 75% 수준의 응력이 집중될 때 파손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부(300,301,302)의 가운데 평면상에는 어댑터부(300,301,302)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들어간 엠보면(315)이 형성되고, 이 엠보면(315) 상에 상기 제2체결볼트(230)가 체결되는 볼트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20100121414A 2010-12-01 2010-12-01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1130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414A KR101130080B1 (ko) 2010-12-01 2010-12-01 조가선 고정용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1414A KR101130080B1 (ko) 2010-12-01 2010-12-01 조가선 고정용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080B1 true KR101130080B1 (ko) 2012-03-28

Family

ID=46142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1414A KR101130080B1 (ko) 2010-12-01 2010-12-01 조가선 고정용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08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70B1 (ko) 2012-02-01 2013-03-22 제룡산업 주식회사 정하중 이탈용 다방향 지지밴드
KR20160123409A (ko) * 2015-04-15 2016-10-26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20160123408A (ko) * 2015-04-15 2016-10-26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137A (ja) 1999-12-08 2001-08-24 Sumiden Field Engineering Kk 架空線の保持金具
KR200340295Y1 (ko) 2003-10-30 2004-02-05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전용 지지구
KR200379712Y1 (ko) 2004-12-17 2005-03-23 황인수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밴드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1137A (ja) 1999-12-08 2001-08-24 Sumiden Field Engineering Kk 架空線の保持金具
KR200340295Y1 (ko) 2003-10-30 2004-02-05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전용 지지구
KR200379712Y1 (ko) 2004-12-17 2005-03-23 황인수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밴드기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6270B1 (ko) 2012-02-01 2013-03-22 제룡산업 주식회사 정하중 이탈용 다방향 지지밴드
KR20160123409A (ko) * 2015-04-15 2016-10-26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20160123408A (ko) * 2015-04-15 2016-10-26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721827B1 (ko) 2015-04-15 2017-04-03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721840B1 (ko) 2015-04-15 2017-04-04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0032B1 (ko) 공구 맞물림 부분을 가지는 나사 요소
KR101130080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1345718B1 (ko) 특고압 전기 배전선 절연애자
KR102078706B1 (ko) 가공배전선로의 활선작업용 안정장치
KR100733690B1 (ko)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
KR101713272B1 (ko)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연결고정장치
US8492015B2 (en) Battery fuse terminal cover with latch
KR102001563B1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KR101069275B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KR100577064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1597610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666386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246270B1 (ko) 정하중 이탈용 다방향 지지밴드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100281263B1 (ko) 전동차의 주차제동 완해장치_
JP2009089562A (ja) 平行クレビス
KR101721840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544201B1 (ko) 엘리베이터용 로프 소켓장치
KR20020021580A (ko) 애자용 전선 고정장치
KR200218874Y1 (ko) 조임식 전선퓨즈
CN107276003B (zh) 一种电缆耐张线夹
KR20130039991A (ko) 케이블 고정장치
KR20150005792A (ko) 점퍼 지지장치
KR101077224B1 (ko) 완철밴드 아답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