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6386B1 -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 Google Patents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6386B1
KR101666386B1 KR1020150052929A KR20150052929A KR101666386B1 KR 101666386 B1 KR101666386 B1 KR 101666386B1 KR 1020150052929 A KR1020150052929 A KR 1020150052929A KR 20150052929 A KR20150052929 A KR 20150052929A KR 101666386 B1 KR101666386 B1 KR 101666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pole
fastening
messenger wire
ho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섭
Original Assignee
(주)태진에스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태진에스티아이 filed Critical (주)태진에스티아이
Priority to KR1020150052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63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6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6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전주의 외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조가선을 고정 지지하는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전주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이 상기 전주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몸체부 및 상기 연장부의 타측에 배치되고, 외면 일측에 상기 조가선이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 및 상기 몸체부의 타측과 상기 지지부 일측에 관통 결합되어 상기 몸체부와 상기 지지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 의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영역의 단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분리시켜 전주의 손상 또는 전도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주에 설치된 전력선 손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주의 손상으로 인한 재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되어 있어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파단된 브라켓의 일부만을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Band bracket of messenger wire for breaking away from electric pole under trouble tension}
본 발명은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분리시켜 전주의 손상 또는 전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가선(messenger wire)은 통신케이블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전주와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는 경우에 인장강도가 낮은 통신케이블이나 유선방송 케이블 등이 손상되지 않도록 통신케이블이나 유선방송 케이블과 같이 설치되는 강선을 의미한다.
즉, 전주를 통해서 통신케이블을 지지하는 경우, 통상 조가선에 통신케이블을 행거로 고정시킴으로써, 통신케이블에는 장력이 걸리지 않도록 하여 통신의 장애를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 때, 상기 조가선을 전주에 지지하기 위해서 한 쌍을 이루는 밴드 형태의 조가선 고정구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가선이 설치된 전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30)은 암타이 밴드(41) 형태로 이루어진 조가선 고정구(40)에 의해 전주(10)에 설치 고정되고, 통신케이블 또는 유선방송 케이블은 와이어에 의해 조가선(30)과 함께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조가선 고정구(40)는 직선 개소 방식으로 한 쌍의 암타이 밴드(41)가 체결용 제 1 볼트(42)와 제 1 너트(43)에 의해 전주(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때, 암타이 밴드(41)는 전주(10)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그 원호부가 굴곡지게 형성되고, 그 양 끝단부가 절곡 형성된다.
또한, 한 쌍의 암타이 밴드(41) 중에서 그 일측 암타이 밴드(41)에는 클램프(44)가 체결용 제 2 볼트(45)와 제 2 너트(46)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클램프(44)에 의해 고정되는 조가선(30)이 전주(10)의 측부에 설치된다.
이 때, 암타이 밴드(41)는 체결용 볼트(45)의 헤드가 위치할 수 있도록 어댑터부(48)가 돌출 형성되고, 이런 어댑터부(48)에는 제 2 볼트(45)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종래기술의 조가선 고정구(40)는 종단 개소 방식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직선 개소 방식의 조가선 고정구와 달리 조가선(30)이 시작하거나 끝나는 전주(10)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종단 개소 방식에 사용되는 조가선 고정구(40)는 직선 개소 방식에서와 동일한 형상의 암타이 밴드(41)가 체결용 제 1 볼트(42)와 제 1 너트(43)에 의해 전주(10)의 외면에 밀착 고정되고, 체결용 제1 볼트(42)에 연결드럼(47)이 결합됨으로써, 연결드럼(47)에 연결되는 조가선(3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조가선 고정구(40)에 의해 전주(10)에 설치되는 조가선(30)은 통상적으로 전력선(20)의 하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대형 덤프트럭 또는 크레인 차량과 같은 차고가 높은 차량이 주행과정에서 부딪치거나 접촉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런데, 통신케이블 또는 유선방송 케이블을 지지하는 조가선(30)은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는 관계로 쉽게 절단되지 않아서 전력선(20)을 지지하는 전주(10)가 조가선(30)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서 손상되거나 전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해, 암타이 밴드(41)에 설치된 연결드럼(47)을 통해 전주(10)와 전주(10) 조가선(30)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통신케이블이 설치되어 있는 구간 등에서 높이가 높은 중장비 등이 통신케이블 밑을 횡단하면서 부주의로 인하여 통신케이블을 밀고 지나거나 장비가 넘어지면서 통신케이블에 부딪치는 경우, 통신케이블에 장력이 인가되면서 이를 지지하는 전주(10)에 높은 하중이 가해지면서 전주(10)가 손상되거나 전도되어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전주(10)가 손상되거나 전도되는 경우에는 전주(10)의 재설치와 전력선(20)의 복구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게 되는 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필요성이 있었다.
즉, 상기와 같은 사고로 인해서 전주(10)에 고정되어 있는 암타이 밴드(41)와 조가선(30)의 연결부위에 일정 이상의 하중이 인가될 때, 조가선(30)만이 전주(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전주(10)가 파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는 조가선 고정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577064호 “조가선 고정용 밴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분리시켜 전주의 손상 또는 전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된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단된 브라켓의 일부만을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의 외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조가선을 고정 지지하는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전주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부 및 상기 체결부 일측에 결합되고 외면 일측에 상기 조가선이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 의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영역의 단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장공과 연결되는 회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개홈에 의해 단면적이 축소되는 절단면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단면이 상기 회동홀을 통해 일정 각도 회동되어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내면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동홀이 형성된 상기 몸체부 내면 일측에는 상기 절단면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체결부의 일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는 외면 일측에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체결부가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전주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양측 방향으로 상기 체결홀과 연결된 이탈홈이 형성되되, 상기 이탈홈이 상기 고정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분리시켜 전주의 손상 또는 전도를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전주에 설치된 전력선 손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주의 손상으로 인한 재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되어 있어 조가선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파단된 브라켓의 일부만을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가선이 설치된 전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가선을 전주에 고정하는 조가선 고정구들을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내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체결부가 몸체부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몸체부가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이 설치된 상태를 내부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1)은 일측이 전주(40)의 외면에 설치된 암타이 밴드(5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부재를 통해 전주(4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조가선(M)을 고정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몸체부(10), 지지부(20) 및 체결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고정부재(60)는 암타이 밴드(50)의 일측에 형성되는 고정볼트(61)와 고정볼트(6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62)를 포함한다.
몸체부(10)는 일정 길이를 가지는 판상의 부재의 양단부를 수직 절곡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중앙에 형성되는 베이스면(11)과 베이스면(11)의 양측으로부터 상호 대향되도록 수직 절곡 형성되어 상하 및 전방이 개구된 공간부(S)를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면(12)을 포함한다.
그리고, 몸체부(10)의 베이스면(11)의 중앙에는 고정볼트(61)가 삽입되는 체결홀(11a)이 형성되고, 한 쌍의 지지면(12)의 대향하는 일측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장공(12a)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체결부(30)가 삽입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또한, 몸체부(10)의 지지면(12) 타측에는 장공(12a)과 연결되는 회동홀(12b)이 형성되고, 회동홀(12b)이 형성된 지지면(12)의 내면 일측에는 걸림턱(12ba)이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회동홀(12b)은 장공(12a)에 삽입되는 후술하는 체결부(30)의 절단면(33) 회동되는 영역을 제공하고, 걸림턱(12ba)은 일방향으로 회동하는 절단면(33)의 일측에 지지되어 체결부(30)의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몸체부(10)의 지지면(12) 외면 일측에는 일방향으로 회동된 체결부(30)의 일측에 지지되어 체결부(30)가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70)이 설치되며, 고정수단(70)은 지지면(12)의 외면 일측에 체결되는 볼트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몸체부(10)는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면(11)에 형성된 체결홀(11a)이 암타이 밴드(50)에 형성된 고정볼트(61)에 삽입된 후, 고정볼트(6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62)에 의해 암타이 밴드(5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또한, 몸체부(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면(11)의 체결홀(11a)의 양측 방향으로 단면이 확장되고, 체결홀(11a)과 연결되는 한 상의 이탈홈(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탈홈(11b)의 확장된 단면의 가장 큰 높이 d1는 고정볼트(61)에 체결되는 고정너트(62)의 직경 d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탈홈(11b)은 조가선(M)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체결부(30)가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되지 않아 조가선(M)에 가해지는 외력이 몸체부(10)로 전달되어 몸체부(10)가 측방으로 전도되는 경우, 고정볼트(61)에 체결되어 베이스면(11)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너트(62)를 베이스면(1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몸체부(10)를 암타이 밴드(50)로부터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위와 같이, 후술하는 체결부(30)가 조가선(M)에 가해지는 일정 이상의 외력에 의해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더라도 이탈홈(11b)을 통해 고정너트(62)를 베이스면(11)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몸체부(10)를 암타이 밴드(50)로부터 분리시켜 조가선(M)에 가해지는 외력이 전주(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주(40)가 손상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몸체부(10)의 지지면(12)에 형성된 한 쌍의 장공(12a)은 후술하는 체결부(30)가 체결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지지부(20)는 드럼 형상으로서 양측면에 관통공(21)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내측방향으로 만곡진 수용홈(2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부(20)는 몸체부(10)의 한 쌍의 지지면(1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S)에 배치되고, 장공(12a)과 관통공(21)에 삽입되어 지지면(12)에 체결되는 후술하는 체결부(30)에 의해 몸체부(10)에 결합되며, 외주면에 형성된 수용홈(22)을 통해 조가선(M)을 고정 지지하게 된다.
체결부(30)는 판상의 부재로서 양단부에 각각 상호 대향되게 내측 방향으로 절개되는 한 쌍의 절개홈이 형성되어 절개홈을 기준으로 중앙에 결합면(31)이 형성되고, 결합면(31)의 양측에 체결면(32)이 형성되며, 결합면(31)과 체결면(32) 간에 절개홈에 의해 단면적이 축소되는 절단면(33)이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면(31)은 체결부(30)가 몸체부(10)의 장공(12a)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 몸체부(10)에 형성된 공간부(S)에 배치되어 지지부(20)의 결합영역을 제공한다.
체결면(32)은 체결부(30)가 장공(12a)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 몸체부(10) 외측에 배치되어 체결부(3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파지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체결부(30)가 일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절개홈이 형성된 내면 일측이 몸체부(10)의 지지면(12)에 지지되어 체결부(30)가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절단면(33)은 체결부(30)가 장공(12a)을 통해 삽입되는 경우, 몸체부(10)에 형성된 장공(12a)과 연결된 회동홀(12b)에 배치되어 체결부(30)를 일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절단면(33)은 지지부(20)에 고정 지지된 조가선(M)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파단되어 체결부(30)를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조가선(M)에 가해지는 외력이 전주(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8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체결부가 몸체부에서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9의 (a), (b) 및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의 몸체부가 고정부재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1)은 조가선(M)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체결부(30)의 절단면(33)이 파단되면서 체결부(30)가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조가선(M)에 가해지는 외력이 전주(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9의 (a) 및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1)은 조가선(M)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상태에서 체결부(30)가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경우, 체결부(30)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몸체부(10)는 측방으로 전도된다.
이 때, 몸체부(10)는 체결홀(11a)의 양측에 형성된 이탈홈(11b)을 통해 고정너트(62)를 몸체부(10)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를 암타이 밴드(5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조가선(M)에 가해지는 외력이 전주(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1)은 조가선(M)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체결부(30)가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되어 조가선(M)에 가해지는 외력이 전주(4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주(40)가 조가선(M)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손상되거나 전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전주(40)에 설치된 전력선 손상으로 인한 정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주(40)의 손상으로 인한 재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조가선(M)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M)을 전주(40)로부터 분리시키는 분리수단이 이중으로 구비되어 있어 조가선(M)을 보다 확실하게 전주(4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가선(M)에 일정 이상의 외력이 가해재는 경우, 브라켓 전체가 분리되지 않고, 체결부(30)만 몸체부(10)로부터 분리되므로 체결부(30)만 교체하는 것만으로 재사용이 가능하여 이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10 : 몸체부
11 : 베이스면 11a : 체결홀
11b : 이탈홈 12 : 지지면
12a : 장공 12b : 회동홀
12ba : 걸림턱 20 : 지지부
21 : 관통공 22 : 수용홈
30 : 체결부 31 : 결합면
32 : 체결면 33 : 절단면
34 : 절개홈 40 : 전주
50 : 암타이 밴드 60 : 고정부재
61 : 고정볼트 62 : 고정너트
70 : 고정수단 S : 공간부
M : 조가선

Claims (5)

  1. 전주의 외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조가선을 고정 지지하는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에 있어서,
    상기 전주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일측에 결합되고, 외면 일측에 상기 조가선이 고정 지지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에 의해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는 영역의 단면적이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장공이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장공과 연결되는 회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개홈에 의해 단면적이 축소되는 절단면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부는 상기 절단면이 상기 회동홀을 통해 일정 각도 회동되어 상기 절개홈이 형성된 내면 일측이 상기 몸체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홀이 형성된 상기 몸체부 내면 일측에는 상기 절단면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체결부의 일방향으로의 회동을 제한하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외면 일측에 상기 체결부의 일측에 지지되어 상기 체결부가 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일측에 전주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홀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의 양측 방향으로 상기 체결홀과 연결된 이탈홈이 형성되되,
    상기 이탈홈이 상기 고정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20150052929A 2015-04-15 2015-04-15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6663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29A KR101666386B1 (ko) 2015-04-15 2015-04-15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929A KR101666386B1 (ko) 2015-04-15 2015-04-15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6386B1 true KR101666386B1 (ko) 2016-10-17

Family

ID=5725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929A KR101666386B1 (ko) 2015-04-15 2015-04-15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63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51A (ko) * 2018-10-17 2020-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KR20210143053A (ko) * 2020-05-19 2021-11-26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064B1 (ko) 2004-03-18 2006-05-10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0733690B1 (ko) * 2006-02-10 2007-06-29 박승용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
KR101069275B1 (ko) * 2011-06-10 2011-10-04 안정묵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064B1 (ko) 2004-03-18 2006-05-10 한보니스코 주식회사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0733690B1 (ko) * 2006-02-10 2007-06-29 박승용 전차선로 드롭퍼 클램프
KR101069275B1 (ko) * 2011-06-10 2011-10-04 안정묵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3151A (ko) * 2018-10-17 2020-04-2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KR102579655B1 (ko) 2018-10-17 2023-09-15 한화오션 주식회사 롤백 케이블 포설용 치구
KR20210143053A (ko) * 2020-05-19 2021-11-26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구조
KR102485160B1 (ko) * 2020-05-19 2023-01-06 한국전력공사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6231B2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US9482370B2 (en) Line clamp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20170237156A1 (en) Roof-mount antenna mounting structure
EP3369149B1 (en) Hanger for mounting cables
KR101666386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NZ195912A (en) Cable suspension clamp
JP6552725B2 (ja) ケーブル係留システム
US9009923B2 (en) Cushion sleeve
KR102001563B1 (ko) 전선낙하 방지장치
JP2019140800A (ja) 接地短絡器具及び接地短絡器具の製造方法
KR101721840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721827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KR101399036B1 (ko) 완금 밴드
KR101572946B1 (ko) 통신 케이블용 다중 클램프
KR101069275B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JP2001231137A (ja) 架空線の保持金具
KR101130080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JP6346506B2 (ja) 仮復旧用電柱バンド
KR100577064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US10144370B2 (en) Cable holder
KR101230255B1 (ko) 드롭퍼 클램프
JP4965110B2 (ja) アイ補強金具
KR101038076B1 (ko)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KR200493060Y1 (ko) 전선용 현수클램프
US20230400123A1 (en) Breakaway cable attachment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