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5160B1 -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 Google Patents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160B1
KR102485160B1 KR1020200059982A KR20200059982A KR102485160B1 KR 102485160 B1 KR102485160 B1 KR 102485160B1 KR 1020200059982 A KR1020200059982 A KR 1020200059982A KR 20200059982 A KR20200059982 A KR 20200059982A KR 102485160 B1 KR102485160 B1 KR 102485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law
clamshell
separated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3053A (ko
Inventor
홍경일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00059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160B1/ko
Publication of KR20210143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3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가선 지지장치는 전주에 고정되는 조가밴드에 체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절개되어 조가선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 몸체에 구비되어 개방부를 개방 및 폐쇄하고,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개방부를 개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여 조가선에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와 분리시켜 전주를 보호한다.

Description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Messenger Wire Supporting Device And Messenger Wire Feed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조가선에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와 분리시켜 전주를 보호하도록 하는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간격으로 직립하게 설치된 전주(電柱)(1)의 상단에 완금(2)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있고, 완금(2)의 상측에는 고압용 애자(3)가 설치되어 있으며, 고압용 애자(3)를 매개로 하여 고압선(4)이 설치됨으로써 고압선로를 형성하게 되고, 고압선의 하측에는 저압케이블(5)이 설치되어 저압선로를 형성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저압케이블(5)은 다수의 전주들을 따라 소정의 장력으로 설치된 조가선(6)에 바인드선(7)으로 결속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주들은 조가선(6)의 양단이 고정되는 내장전주(8)와, 내장전주(8)들 사이에 설치되어 조가선(6)이 횡단하는 상태로 설치되는 중간전주(9)로 구분된다.
이러한 조가선(6)을 중간전주(9)에 취부시키는 형상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전주(9)를 감싸는 한 쌍의 횡단개소 밴드(11)(12) 중 일측 밴드(11)에 형성된 지지 볼트(13)에 조가선(6)이 지지되어 클램프(14)가 결합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 15는 너트, 부호 16 및 17은 횡단개소 밴드(11)(12)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볼트와 너트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전주 조가선용 밴드는 케이블의 설치 높이가 낮기 때문에 펌프카, 크레인 등 각종 중장비 작업차량의 운행 중에 차량과 조가선이 간섭되어 콘크리트 전주가 절손됨으로써 정전사고의 발생 및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조가선에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와 분리시켜 전주를 보호하도록 하는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가선과 통신선에 차량 충돌시 1차적으로는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이탈시키고, 2차적으로는 조가선과 통신선을 분리함에 따라 전주로 전달되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에 고정되는 조가밴드에 체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절개되어 조가선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 몸체에 구비되어 개방부를 개방 및 폐쇄하고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개방부를 개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조가선 지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조가선이 도로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전주에 지지되는 경우, 몸체는 조가밴드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체결되며, 개방부는 몸체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조가선이 도로측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며 전주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조가선이 도로를 횡단하도록 도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전주에 지지되는 경우, 몸체는 조가밴드의 도로측에 체결되며, 개방부는 몸체의 도로측에 구비되어 차량 충돌시 조가선이 도로측으로 이동되며 전주와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조가선 지지장치의 몸체는 절개되어 형성된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체결부의 단부가 지지되는 스토퍼부, 절개되어 형성된 타단과 체결부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체결부가 회동하며, 스토퍼에 체결부가 지지되도록 체결부에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는 몸체와 연결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일정길이 절개 형성되어 조가선이 삽입되는 통과슬릿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몸체는 조가밴드측의 반대측으로 개구되는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부가 조가밴드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조가선 지지장치는 몸체와 조가밴드를 관통한 후 고정너트와 체결되어 몸체를 조가밴드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를 횡단하는 조가선을 도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전주의 일정 높이에 고정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에 있어서, 조가선이 통과하는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주에 고정된 조가밴드에 체결되는 조가선 지지장치, 조가선이 도로상에서 두 개로 분리되며 분리된 조가선이 상호 접속하도록 마련되며 분리된 조가선의 단부가 양측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조가선 접속장치를 포함하며,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조가선 지지장치에서 조가선이 이탈되며, 조가선 접속장치에서 조가선이 분리되는 조가선 포설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조가선 접속장치는 함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분리된 조가선이 연결되는 연결기판이 내장되며, 양측에 분리된 조가선이 각각 삽입 체결되는 접속홈이 형성된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가선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통신선이 도로상에서 분리되며 분리된 통신선이 조가선 접속장치를 통해 상호 접속되고, 조가선 접속장치는 본체에 분리된 통신선이 연결되는 보조연결기판이 복수개 내장되며, 양측에 분리된 통신선이 각각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보조접속홈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조가선과 통신선의 분리된 단부에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접속홈과 보조접속홈에는 삽입된 접속단자가 걸림 체결되게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조가선과 통신선에 일정 강도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접속단자가 걸림돌기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조가선 접속장치는 지상으로부터 조가선과 통신선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위험표지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조가선에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와 분리시켜 전주를 보호함에 따라 전주의 절손 또는 도괴를 방지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전주의 도괴로 인한 광역정전을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가 부담해야 하는 전주 파손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가선과 통신선에 차량 충돌시 1차적으로는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이탈시키고, 2차적으로는 조가선과 통신선을 분리함에 따라 전주로 전달되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가선 접속장치가 마련되어 일정 강도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과 통신선이 분리될 수 있는 동시에 조가선과 통신선의 위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며 조가선과 통신선의 높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전주에 조가선과 통신선이 설치된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콘크리트 전주에 설치된 조가선 지지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의 힌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가 전주에 설치되는 예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과슬릿이 구비된 조가선 지지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과슬릿이 구비된 조가선 지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에 지지되는 조가선이 차량 충돌시 이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의 조가선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의 조가선 접속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의 조가선 접속장치의 접속단자가 접속홈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에 따라 설치된 조가선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의 힌지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가 전주에 설치되는 예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과슬릿이 구비된 조가선 지지장치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통과슬릿이 구비된 조가선 지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에 지지되는 조가선이 차량 충돌시 이탈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지지장치(400)는 전주(100)에 고정되는 조가밴드(300)에 체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절개되어 조가선(200)이 삽입되는 개방부(411)가 형성된 몸체(410), 몸체(410)에 구비되어 개방부(411)를 개방 및 폐쇄하고 조가선(200)에 차량 충돌시 개방부(411)를 개방하는 체결부(4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주(100)에 지지되는 조가선(200) 또는 통신선(210)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전주(100)로부터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을 이탈시키는 조가선 지지장치(400)에 관한 것이다.
조가선(200)은 전력선이나 통신선(210) 등과 같이 인장 강도가 낮은 케이블을 연결 지지하여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강선으로, 고정용 조가밴드(300)를 통해 전주(100)와 같은 시설물에 고정되거나 지지된다.
통신선(210)은 일반적으로 링 형상의 복수 개의 바인드선(201)을 통해 조가선(200)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 지지된다.
조가선 지지장치(400)는 조가선(200)을 전주(100)에 지지시키며, 전주(100)에 고정되는 조가밴드(300)에 체결되어 내측에 조가선(200)이 위치되고 몸체(410)와 체결부(420)로 구성된다.
조가밴드(300)는 반원형으로 벤딩된 2개의 판으로 구성되어 전주(100)의 외주면을 감싸는 한쌍의 밴드부(310)와, 한쌍의 밴드부(310)의 양단에서 연장되는 직선판 형태의 플랜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320)와, 체결볼트(320)에 나사 체결되어 한쌍의 플랜지 사이를 조이는 체결너트(330)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가밴드(300)는 체결너트(330)가 체결볼트(320)에 나사 체결됨에 따라 밴드부(310)를 전주(100)에 밀착시키며 고정되되, 밴드부(310)의 중앙부분이 도로측을 향하거나 도로측의 반대측을 향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조가밴드(300)의 밴드부(310) 중 어느 하나에는 가운데부분이 전주(1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볼록하게 벤딩 형성되는 설치부(311)가 형성되고, 설치부(311)의 중앙에 고정볼트(401)가 관통하는 설치홀(312)이 형성된다.
조가선 지지장치(400)는 고정볼트(401)가 관통하는 고정홀(413)을 구비하며, 고정볼트(401)는 설치홀(312)과 고정홀(413)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402)와 체결되어 조가선 지지장치(400)를 조가밴드(300)에 고정한다.
이러한 고정볼트(401)와 고정너트(402)는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대응되게 조가밴드(300)와 조가선 지지장치(400)의 몸체(410)에도 설치홀(312)과 고정홀(413)이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조가선 지지장치(400)의 몸체(410)는 전주(100)에 고정되는 조가밴드(300)에 체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절개되어 조가선(200)이 삽입되는 개방부(411)가 형성된다.
또한, 몸체(410)는 조가밴드(300)측의 반대측으로 개구되는 'ㄷ'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즉, 개방부(411)가 몸체(410)의 조가밴드(300)측의 반대측에 형성된다.
개방부(411)는 몸체(410)의 절개된 단부 사이의 공간이며 평상시에 체결부(420)로 인해 폐쇄되다가 조가선(200)을 포설할 때 체결부(420)를 조작하여 개방된다.
체결부(420)는 몸체(410)에 구비되어 개방부(411)를 개방 및 폐쇄하며, 조가선(200)을 포설하기 위해 몸체(410) 내측으로 삽입할 때 개방부(411)를 개방하고 평상시에는 개방부(411)를 폐쇄한다.
단, 체결부(420)는 조가선(200)에 차량이 충돌하여 조가선(200)이 체결부(420)에 일정 강도 이상으로 충돌하면 개방부(411)를 개방하고 조가선(200)은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체결부(420)는 몸체(410)의 절개되어 형성된 일단에 구비되는 스토퍼부(412)에 지지되고 몸체(410)의 절개되어 형성된 타단에 힌지부(430)를 매개로 연결된다.
스토퍼부(412)는 몸체(410)의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체결부(420)의 단부가 지지된다.
힌지부(430)는 몸체(410)의 타단과 체결부(420)의 단부와 연결되며 체결부(420)가 몸체(410)의 타단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힌지부(430)는 체결부(420)에 스프링력을 제공하여 체결부(420)가 스토퍼부(412)를 지지하며 개방부(411)를 폐쇄한다.
이러한 힌지부(430)는 일예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축(431)과 토션스프링(432)으로 구성되며, 몸체(4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제1연결부(414)와 체결부(420)의 단부에 구비되는 제2연결부(422) 사이에 구비되어 연결된다.
제1연결부(414)는 고리 형상으로 몸체(410)의 타단의 두 곳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고, 제2연결부(422)는 고리 형상으로 체결부(420)의 단부의 두 곳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힌지축(431)이 제1연결부(414)와 제2연결부(422)를 관통하여 몸체(410)와 체결부(420)를 연결한다.
또한, 힌지축(431)에는 몸체(410)와 체결부(420)를 각각 지지하는 토션스프링(432)이 구비되어 몸체(410)에서 체결부(420)가 펼쳐지도록 회동시키는 스프링력을 제공한다.
체결부(420)는 이러한 스프링력에 따라 스토퍼부(412)를 탄성 지지하여 개방부(411)를 폐쇄하고, 작업자가 조가선(200)의 설치를 위해 토션스프링(432)을 압축시키며 체결부(420)를 몸체(410)의 타단측으로 회동시킬 경우 스토퍼부(412)에서 이격되며 개방부(411)를 개방하고, 작업자가 체결부(420)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다시 스토퍼부(412)를 탄성 지지하여 개방부(411)를 폐쇄한다.
또한, 체결부(420)에 조가선(200)이 일정 강도 이상으로 충돌하는 경우 스토퍼부(412)가 파손되거나 체결부(420)가 벤딩되며 체결부(420)가 몸체(410)의 외측으로 회동함에 따라 개방부(411)를 개방하여 조가선(200)이 몸체(410)에서 이탈된다.
이러한 조가선 지지장치(400)는 전주(100)에 대한 조가선(200)의 배치구조에 따라 조가밴드(300)의 도로측에 체결되거나 도로측의 반대측에 체결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200)이 도로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전주(100)에 지지되는 경우, 차량이 조가선(200)에 충돌되는 방향(A)을 고려하여 조가선(200)이 전주(100)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조가선 지지장치(400)의 몸체(410)가 조가밴드(300)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체결되며, 개방부(411)는 몸체(410)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구비된다.
즉, 통상적으로 차량은 도로상에서 주행하고, 사고로 인해 조가선(200)에 충돌하는 경우는 도로상의 차량이 도로를 벗어나면서 조가선(200)에 충돌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이 조가선(200)에 충돌되는 방향(A)인 도로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조가선(200)에 충돌하면, 조가선(200)이 도로측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며 전주(100)와 분리된다.
만약, 조가선 지지장치(400)의 몸체(410)가 조가밴드(300)의 도로측에 체결되어 조가선(200)이 도로측에 설치될 경우, 도로에서 벗어나는 차량이 A 방향으로 충돌하게 되면 조가선(200)이 오히려 전주(100)를 감싸면서 차량과의 충격을 전주(100)에 그대로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몸체(410)가 조가밴드(300)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방부(411)도 몸체(410)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차량 충돌시 조가선(200)이 이탈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가선(200)이 도로를 횡단하도록 도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전주(100)에 지지되는 경우, 차량이 조가선(200)에 충돌되는 방향(B)을 고려하여 조가선(200)이 전주(100)의 도로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조가선 지지장치(400)의 몸체(410)가 조가밴드(300)의 도로측에 체결되며, 개방부(411)도 몸체(410)의 도로측에 구비된다.
차량은 도로를 횡단하는 조가선(200)에 충돌하면 전주(100) 사이의 조가선(200)을 주행하던 방향으로 끌어당기며,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조가선(200)이 도로측으로 충격을 전달하게 된다.
이처럼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조가선(200)이 도로측으로 충격을 전달하여 이탈되도록, 몸체(410)가 조가밴드(300)의 도로측에 체결되며 개방부(411)도 몸체(410)의 도로측에 구비되어 차량 충돌에 따라 조가선(200)이 도로측으로 충격을 가하여 전주(100)와 분리된다.
만약, 반대로 설치되는 경우 차량 충돌시 조가선(200)이 오히려 전주(100)를 감싸면서 차량과의 충격을 전주(100)에 그대로 전달하며 이탈될 수 없는 구조라서 몸체(410)가 조가밴드(300)의 도로측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조가선(200)이 도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조가선(200)이 도로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전주(100)에 지지되다가 도로측으로 꺾이게 배치되므로 조가선(200)의 꺾인 부분을 지지해주는 구조가 필요하다.
일예로 체결부(420)에는 몸체(410)와 연결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일정길이 절개 형성되어 조가선(200)이 삽입되는 통과슬릿(421)이 마련된다.
조가선(200)은 통과슬릿(421)에 삽입되어 꺾인 부분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고 차량 충돌시 체결부(420)에 보다 큰 충격을 전달함에 따라 전주(1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저감시킨다.
또한, 평상시에 조가선(200)이 바람 등의 주변 환경으로 인해 체결부(420)측으로 하중이 가해져도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몸체(410)는 하측부가 조가밴드(300)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조가선 지지장치(400)는 조가선(200)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조가선(200)이 이탈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시에 평상시에는 조가선(200)을 전주(100)에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고하면, 몸체(410)는 하측부가 조가밴드(300)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조가선(200)은 자중으로 인해 하측부의 조가밴드(300)측에 안착된다.
아래에서는 도 10을 참고하여, 차량 충돌시 조가선(200)이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이탈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0의 (a)에 도시된 것처럼 평상시에 조가선(200)은 하측부의 경사를 따라 조가밴드(300)측에 안착되며, 체결부(420)는 스토퍼부(412)에 지지되어 개방부(411)를 폐쇄한다.
여기서 조가선(200)에 차량 충돌시, 도 10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조가선(200)이 도로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 경우 조가선(200)이 도로측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개방부(411)를 향해 이동하여 체결부(420)에 충돌하며, 조가선(200)이 도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된 경우 조가선(200)이 도로측에 구비되는 개방부(411)를 향해 이동하여 체결부(420)에 충돌한다.
그리고, 도 10의 (c)에 도시된 것처럼, 체결부(420)에 충돌한 조가선(200)이 일정 강도 이상으로 충돌하여 스토퍼부(412)가 파손되거나 체결부(420)가 벤딩되면서 체결부(420)가 몸체(410)의 외측으로 회동하며 토션스프링(432)의 스프링력에 따라 펼쳐진다.
체결부(420)가 펼쳐지면서 개방부(411)가 개방되고 조가선(200)은 개방부(411)를 통해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이탈한다.
도 7 및 도 11 내지 도 14에는 도로를 횡단하는 조가선(200)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전주(100)를 보호하기 위해 이러한 조가선 지지장치(400)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의 조가선 접속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의 조가선 접속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의 조가선 접속장치의 접속단자가 접속홈에 체결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에 따라 설치된 조가선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가선 포설 장치는 도로를 횡단하는 조가선(200)을 도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전주(100)의 일정 높이에 고정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에 있어서, 조가선(200)이 통과하는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주(100)에 고정된 조가밴드(300)에 체결되는 조가선 지지장치(400), 조가선(200)이 도로상에서 두 개로 분리되며 분리된 조가선(200)이 상호 접속하도록 마련되며 분리된 조가선(200)의 단부가 양측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조가선 접속장치(5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조가선(200)에 차량 충돌시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조가선(200)이 이탈되며 조가선 접속장치(500)에서 조가선(200)이 분리된다.
도로를 횡단하는 조가선(200)을 포설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는 조가선(200)에 차량 충돌시 전주(100)에서 조가선(200)을 이탈시키는 조가선 지지장치(400)를 포함하고, 추가로 조가선(200)을 분리시키는 조가선 접속장치(500)를 포함한다.
조가선 지지장치(400)는 조가밴드(300)의 도로측에 체결되며, 상술한 조가선 지지장치(400)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조가선 접속장치(500)는 차량이 조가선(200)에 충돌 후 조가선(200)이 차량에 일부 걸쳐진 상태로 일정거리 주행하게 될 경우 조가선(200)을 분리시키기 위해, 조가선(200)이 도로상에서 두 개로 분리되고 분리된 조가선(200) 사이에서 분리된 조가선(200)을 연결한다.
이러한 조가선 접속장치(500)는 분리된 조가선(200)이 상호 접속하도록, 양측에 분리된 조가선(200)의 단부가 각각 삽입 체결된다. 이때, 조가선 접속장치(500)는 분리된 조가선(200)의 단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접속단자함일 수 있다.
이러한 조가선 접속장치(500)는 함체 형상으로 마련된 본체(510)에 분리된 조가선(200)이 삽입되는 접속홈(511)이 형성되고, 접속홈(511)은 본체(51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분리된 조가선(200)이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한, 조가선 접속장치(500)는 분리된 조가선(200)을 연결하는 연결기판(520)이 내장되고, 본체(510)의 양측에서 삽입 체결된 조가선(200)의 단부는 연결기판(520)의 양단에 각각 접촉됨에 따라 전기적으로, 회로적으로 상호 접속된다.
그리고 조가선 접속장치(500)는 지상으로부터 조가선(200)과 통신선(210)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위험표지부(540)를 포함하며, 본체(510)의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수 있는 전방면과 후방면에 각각 구비된다.
본체(510)는 먼 거리에서도 위험표지부(540)를 운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위험표지부(540)가 표지된 면 또는 본체(510)외 외측면 전체를 노랑색 등의 눈에 잘 띄는 색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위험표지부(540)는 차량이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운전자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크기로 "위험"이라는 글씨와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이 설치된 높이 정보를 포함하는 숫자가 표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체(510)에 위험표지부(540)가 마련됨에 따라 운전자는 도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되는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을 인지할 수 있고,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의 높이 정보를 확인하여 충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가선 접속장치(500)에는 복수 개의 통신선(210)이 삽입되는 복수 개의 보조접속홈(512)이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복수 개의 보조연결기판(530)이 내장된다.
통신선(210)은 조가선(200)에 바인드선(201)을 통해 일정간격 이격되어 연결 지지되고, 규정상 하나의 조가선(200)에 최대 24조 이내로 지지되게 설치 가능하다.
또한, 통신선(210)도 조가선(200)을 따라 도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되고 조가선(200)과 마찬가지로 도로상에서 분리되며 분리된 단부가 조가선 접속장치(500)를 통해 상호 접속된다.
조가선 접속장치(500)는 분리된 복수 개의 통신선(210)이 삽입되도록 양측에 보조접속홈(512)을 구비한다.
보조접속홈(512)은 본체(510)의 양측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응되는 통신선(210)이 각각 삽입되고 조가선 접속장치(500)에 내장되는 보조연결기판(530)도 각각에 대응되게 복수 개로 마련된다.
즉, 본체(510)의 일측에 형성된 보조접속홈(512), 타측에 형성된 보조접속홈(512), 보조연결기판(530)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 개로 마련된다.
보조연결기판(530)은 조가선 접속장치(500)에 내장되어 본체(510)의 양측에서 삽입 체결된 복수 개의 통신선(210)의 단부가 양측에 각각 접촉되어 복수 개의 분리된 통신선(210)을 각각 전기적으로, 회로적으로 상호 접속시킨다.
여기서, 연결기판(520)과 보조연결기판(530)은 후술할 접속홈(511)에 삽입 체결된 후술할 접속단자(220)가 용이하게 접속되도록 원통 형상으로 마련되고 양단에 접속단자(220)가 삽입되는 홈이 마련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길이방향으로 긴 평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접속단자(220)가 접속홈(511)에 삽입 체결되어 평판 형상의 연결기판(520)과 보조연결기판(530)에 안착되어 접촉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삽입홈(511)과 보조삽입홈(512)에 분리된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이 각각 삽입 체결되는 구조에 대해 도 1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의 분리된 단부에는 접속단자(220)가 구비되며, 접속단자(220)는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일 수 있고 접속부(221)와 돌출걸림부(222)로 구성된다.
접속홈(511)과 보조접속홈(512)에는 삽입된 접속단자(220)가 걸림 체결되게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513)가 구비된다.
아래에서는 도 13을 참고하여 접속홈(511)에 조가선(200)이 삽입 체결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며, 보조접속홈(512)에 통신선(210)이 삽입 체결되는 구조도 이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접속부(221)는 조가선(200)의 단부에 구비되어 접속홈(511)에 삽입 체결시 연결기판(520)과 접촉되어 접속된다.
돌출걸림부(222)는 조가선(200)에서 단턱지며 돌출 형성되어 조가선(200)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마련되며, 걸림돌기(513) 사이로 삽입된 후 걸림돌기(513)에 지지되어 걸림 체결된다.
이러한 돌출걸림부(222)는 걸림돌기(513)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조가선(200)의 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조가선(200)의 단부의 반대측 면은 조가선(200)에서 단턱지는 평면 형상으로 마련되어 걸림돌기(513)에 지지된다.
걸림돌기(513)는 접속홈(511)의 양측에서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거나, 접속홈(511)의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면과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경사면은 걸림돌기(513)의 단부 사이로 접속단자(220)가 용이하게 삽입되게 가이드하며, 평면은 접속홈(511)에 수직하는 평면으로, 걸림돌기(513)의 단부 사이로 삽입된 접속단자(220)의 돌출걸림부(222)가 지지되며 돌출걸림부(222)를 걸림 체결시킨다.
여기서, 접속단자(220)는 걸림돌기(513)에 걸림 체결되면서 걸림돌기(513)를 변형시키면서 삽입된 후 체결되어 지지됨에 따라 조가선(200) 또는 조가선 접속장치(500)에 일정 강도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걸림돌기(513)가 다시 변형되며 걸림돌기(513)가 분리된다.
즉, 접속홈(511)에 삽입된 조가선(200)은 걸림돌기(513)에 접속단자(220)가 걸림 체결되되 조가선(200)에 일정 강도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걸림돌기(513)에서 접속단자(220)가 분리되도록 마련된다.
마찬가지로, 통신선(210)도 일정강도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개하지는 경우 걸림돌기(513)에서 접속단자(220)가 분리된다.
또한, 도 14를 참고하여 조가선 포설 장치에 차량이 충돌하는 경우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조가선(200)이 이탈되고 조가선 접속장치(500)에서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이 분리되는 과정을 후술한다.
도 14에는 조가선(200)이 도로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전주(100a,100b)에 지지되어 도로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고, 전주(100c)에서 꺾이도록 지지되어 도로를 횡단하도록 배치된다.
조가선(200)은 전주(100a,100b)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체결된 조가선 지지장치(400)와 전주(100c)의 도로측에 체결된 조가선 지지장치(400)에 지지된다.
그리고 횡단하는 조가선(200)은 도로상에서 분리되고 그 사이에 조가선 접속장치(500)가 구비되며, 조가선 접속장치(500)를 통해 분리된 조가선(200)과 복수 개의 통신선(210)이 상호 접속한다.
첫번째 도면은 주행하던 차량이 조가선(200) 또는 통신선(210)에 부딪친 상태를 도시하였다.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은 포설되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펌프카, 크레인 등의 각종 중장비 작업차량이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한다.
이처럼 차량이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에 충돌하게 되면 두번째 도면과 같이 도로를 횡단하는 조가선(200)의 양측이 지지되는 전주(100c)의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조가선(200)이 이탈된다.
차량이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에 충돌하면 조가선(200)이 전주(100c)의 조가선 지지장치(400)에 도로측으로 충격을 전달하면서 이탈됨에 따라 전주(100c)에 전달되는 하중이 저감된다.
뿐만 아니라, 조가선(200)이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이탈되지 못하고 전주(100)에 충격을 그대로 전달하여 전주(100)가 절손 또는 도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두번째 도면과 같은 상황에서 차량이 조가선(200) 또는 통신선(210)의 일부가 걸쳐진 상태로 조가선(200) 또는 통신선(210)을 끌고 일정거리 더 주행하게 될 경우 조가선(200)과 연결된 전주(100b,100c)에 충격이 전달되면서 세번째 도면과 같이 조가선 접속장치(500)에서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이 분리된다.
일예로, 조가선 접속장치(500)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차량이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을 끌고 일정거리 더 주행하여 조가선(200)이 전주(100b,100c)를 도로측으로 지지하면서 충격을 전달하게 되고, 충격으로 인해 전주(100a)와 인접한 전주(100b)부터 절손되거나 도괴되는 사고가 발생한다.
따라서 1차적으로는 도로를 횡단하는 조가선(200)을 지지하는 조가선 지지장치(400)에서 조가선(200)이 이탈됨에 따라 전주(100c)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적으로 조가선 접속장치(500)에서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이 분리됨에 따라 전주(100a,100b)로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조가선 접속장치(500)는 도로를 따라 나란하게 배치된 전주(100b)와 전주(100a) 사이의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주행하던 차량이 도로에서 벗어나며 조가선(200)과 통신선(210)에 충돌할 경우 전주(100)에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형상과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가선에 외부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을 전주와 분리시켜 전주를 보호함에 따라 전주의 절손 또는 도괴를 방지하며 이에 따라 종래의 전주의 도괴로 인한 광역정전을 방지할 수 있고, 운전자가 부담해야 하는 전주 파손 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가선과 통신선에 차량 충돌시 1차적으로는 조가선을 전주로부터 이탈시키고, 2차적으로는 조가선과 통신선을 분리함에 따라 전주로 전달되는 하중을 저감시킬 수 있는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조가선 접속장치가 마련되어 일정 강도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조가선과 통신선이 분리될 수 있는 동시에 조가선과 통신선의 위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며 조가선과 통신선의 높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충돌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전주 200: 조가선
210: 통신선 220: 접속단자
300: 조가밴드 400: 조가선 지지장치
410: 몸체 411: 개방부
412: 스토퍼부 413: 고정홀
420: 체결부 421: 통과슬릿
430: 힌지부 500: 조가선 접속장치
510: 본체 511: 접속홈
512: 보조접속홈 513: 걸림돌기
520: 연결기판 530: 보조연결기판
540: 위험표지부

Claims (19)

  1. 전주에 고정되는 조가밴드에 체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절개되어 조가선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 및 폐쇄하고, 상기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절개되어 형성된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단부가 지지되는 스토퍼부와, 절개되어 형성된 타단과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체결부가 회동하며 상기 스토퍼에 상기 체결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이 도로를 따라 나란히 배치된 상기 전주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몸체는 상기 조가밴드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체결되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몸체의 도로측의 반대측에 구비되어 상기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상기 조가선이 도로측의 반대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전주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이 도로를 횡단하도록 도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전주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몸체는 상기 조가밴드의 도로측에 체결되며,
    상기 개방부는 상기 몸체의 도로측에 구비되어 차량 충돌시 상기 조가선이 도로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전주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지지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와 연결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일정길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조가선이 삽입되는 통과슬릿;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조가밴드측의 반대측으로 개구되는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부가 상기 조가밴드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와 상기 조가밴드를 관통한 후 고정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조가밴드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지지장치.
  8. 도로를 횡단하는 조가선을 도로의 양측에 위치하는 전주의 일정 높이에 고정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이 통과하는 중공 형상으로 마련되어 전주에 고정된 조가밴드에 체결되는 조가선 지지장치;
    상기 조가선이 도로상에서 두 개로 분리되며 분리된 조가선이 상호 접속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분리된 조가선의 단부가 양측에 각각 삽입 체결되는 조가선 접속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상기 조가선 지지장치에서 상기 조가선이 이탈되며, 상기 조가선 접속장치에서 상기 조가선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 지지장치는 상기 조가밴드의 도로측에 체결되며,
    상기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상기 조가선은 도로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조가선 지지장치에서 이탈되며 상기 전주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 지지장치는,
    상기 조가밴드에 체결되며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으로 절개되어 상기 조가선이 삽입되는 개방부가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방 및 폐쇄하고, 상기 조가선에 차량 충돌시 상기 개방부를 개방하는 체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절개되어 형성된 일단에서 돌출 형성되되 내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상기 체결부의 단부가 지지되는 스토퍼부; 및
    절개되어 형성된 타단과 상기 체결부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체결부가 회동하며, 상기 스토퍼에 상기 체결부가 지지되도록 상기 체결부에 스프링력을 제공하는 힌지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몸체와 연결된 단부의 반대측 단부에서 일정길이 절개 형성되어 상기 조가선이 삽입되는 통과슬릿;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조가밴드측의 반대측으로 개구되는 'ㄷ'형상으로 형성되며, 하측부가 상기 조가밴드측으로 갈수록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 지지장치는,
    상기 몸체와 상기 조가밴드를 관통한 후 고정너트와 체결되어 상기 몸체를 상기 조가밴드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5.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 접속장치는,
    함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분리된 조가선이 연결되는 연결기판이 내장되며, 양측에 분리된 조가선이 각각 삽입 체결되는 접속홈이 형성된 본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에 지지되는 복수 개의 통신선이 도로상에서 분리되며 분리된 상기 통신선이 상기 조가선 접속장치를 통해 상호 접속되고,
    상기 조가선 접속장치는 상기 본체에 분리된 상기 통신선이 연결되는 보조연결기판이 복수개 내장되며, 양측에 분리된 통신선이 각각 삽입 체결되는 복수 개의 보조접속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과 통신선의 분리된 단부에는 접속단자가 구비되며, 상기 접속홈과 보조접속홈에는 삽입된 상기 접속단자가 걸림 체결되게 내측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과 통신선에 일정 강도 이상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접속단자가 상기 걸림돌기에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1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 접속장치는,
    지상으로부터 상기 조가선과 통신선까지의 높이를 나타내는 위험표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KR1020200059982A 2020-05-19 2020-05-19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KR102485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82A KR102485160B1 (ko) 2020-05-19 2020-05-19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982A KR102485160B1 (ko) 2020-05-19 2020-05-19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53A KR20210143053A (ko) 2021-11-26
KR102485160B1 true KR102485160B1 (ko) 2023-01-06

Family

ID=78700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982A KR102485160B1 (ko) 2020-05-19 2020-05-19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1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86B1 (ko) * 2015-04-15 2016-10-17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386B1 (ko) * 2015-04-15 2016-10-17 (주)태진에스티아이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3053A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39093E1 (en) Mast-type outdoor lighting system
US5453916A (en) Modular safety light system
CA2855413A1 (en) Anti-theft assembly for inhibiting theft of cable from light poles
KR102485160B1 (ko)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CN104319207B (zh) 一种百搭型保险盒及汽车
KR101475264B1 (ko) 송배전선 지지용 절연 완철
JP2002199563A (ja) 架空送電線の分岐方法
KR20160014694A (ko) 전기 자동차용 전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전원 공급 어셈블리
KR20160043716A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US6670555B2 (en) Terminal
US3033912A (en) Pedestals for underground wiring systems
KR101069275B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CN202840394U (zh) 线束防护装置以及汽车
KR100809011B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KR200431331Y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WO2016088788A1 (ja) 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自動車の電源供給装置
KR20180134666A (ko) 다도체 긴선작업 최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도체 전선 공중이설 방법
KR200207464Y1 (ko) 특고압 수직 장주용 완금 장치
KR101626337B1 (ko)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US10578822B2 (en) Controlled shear point fiber optic cable adapter
KR100577064B1 (ko) 조가선 고정용 밴드
KR102636834B1 (ko) Gis형 변전소 벽체의 송전선로 안전 취부 시스템
WO1997006905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ing wires
JPH0614441A (ja) 架空地線切断による地絡事故防止方法
CN216069881U (zh) 一种抗拉防断的汽车线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