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9011B1 - 자동차용 멀티 어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멀티 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9011B1
KR100809011B1 KR1020060085039A KR20060085039A KR100809011B1 KR 100809011 B1 KR100809011 B1 KR 100809011B1 KR 1020060085039 A KR1020060085039 A KR 1020060085039A KR 20060085039 A KR20060085039 A KR 20060085039A KR 100809011 B1 KR100809011 B1 KR 10080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
locking
assembled
plate
j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진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9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9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7/00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 B62D57/02Vehicles characterised by having other propulsion or other ground- engaging means than wheels or endless track, alone or in addition to wheels or endless track with ground-engaging propulsion means, e.g. wal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멀티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멀티 어스를 다수개의 어스로 분리하여 길이가 서로 다른 어스판을 구비하고, 상기 어스를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서로 겹쳐서 조립하도록 하고, 상기 접지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단자부가 등 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므로 차체판넬에 접지되어지는 접지와이어에 장력이 작용하여 접지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에 관한 것이다.
어스, 걸림돌기, 걸림턱, 걸림홈, 단자부

Description

자동차용 멀티 어스 { Multi-Earth For Motors }
도 1은 종래의 멀티 어스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멀티 어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어스에서 제1,제2어스의 조립 전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어스에서 제1,제2어스의 조립 상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된 제1,제2어스에 제3어스의 조립 전 상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제2, 제3어스가 조립된 상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어스 사용 상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멀티 어스에 접지와이어가 2개 씩 연결된 상태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제1어스 22 : 제1어스판
24 : 제1단자부 26 : 제1걸림턱
27 : 제1걸림턱 30 : 제2어스
32 : 제2어스판 34 : 제2단자부
36 : 제2걸림턱 38 : 제2걸림홈
40 : 제3어스 42 : 제3어스판
44 : 제3단자부 46 : 걸림부
48 : 걸림돌기 50 : 차체판넬
54 : 접지와이어 56 : 메인와이어
본 발명은 접지와이어를 다수 연결하여 접지하는 멀티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 어스를 다수개의 어스로 분리하여 길이가 서로 다른 어스판을 구비하고, 상기 어스를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서로 겹쳐서 조립하도록 하고, 상기 접지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단자부가 등 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므로 차체판넬에 접지되어지는 접지와이어에 장력이 작용하여 접지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멀티 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무수하게 많은 전기장치가 구비되어져 있어서 사용자나 작업자 및 차량의 주요 장치를 전기로부터 보호하기 하여 전기부품을 어스장치를 사용하여 접지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자동차 엔진룸에는 다수의 어스(Earth)가 설치되어지고, 이 어스에는 단독적으로 사용되는 단독 어스와 , 다수개의 어스단자를 구비하여 다수의 접지와이어를 연결할 수 있는 멀티 어스(Multi-Earth)가 구비되어져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티 어스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멀티 어스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멀티어스(2)의 구성은, 볼트(14)가 끼워지는 끼움공(8)이 중심부분에 상,하로 관통된 몸체(4)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4)의 일측에는 차체판넬(12)에 접척되어져 접지하는 접지부(6)를 형성하면, 상기 접지부(6)의 반대측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어져서 접지와이어(16)가 압착되어 결합되어지는 다수의 어스단자(10)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스단자(10)는 도면에서는 4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개수를 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멀티어스(2)를 조립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어스(2)의 어스단자(10)에 접지와이어(16)를 각각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하고, 멀티어스(2)의 끼움공(8)을 차체판넬(12)의 나사공에 일치하여 볼트(14)를 체결하여 멀티어스(2)를 차체판넬(12)에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와이어(16)를 메인와이어(18)에 연결하여 어스단자(10) 수 만큼 멀티를 접지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멀티어스(2)는, 어스단자(10)가 한 개의 몸체(4)에 형성되므로 부득이 방사상으로 외측으로 갈수록 벌려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어스단자(10)의 양측부분에 설치되는 접지와이어(16)가 구부려지는 상태로 조립되어 메인와이어(18)에 연결되므로 접지와이어(16)에 양측으로 벌려지려고 하는 텐션(tension)이 가하여져서 사용시, 접지와이어(16)에 손 상이 가하여지고 연결부위가 파손되어 어스가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을 지녔다.
이를 방치하는 경우, 작업자가 작업중이나 차량에 접촉시에 감전사고를 유발하거나 차량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차량의 성능 저하 및 안전사고를 발생할 우려를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멀티 어스를 다수개의 어스로 분리하여 길이가 서로 다른 어스판을 구비하고, 상기 어스를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서로 겹쳐서 조립하도록 하고, 상기 접지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단자부가 등 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므로 차체판넬에 접지되어지는 접지와이어에 장력이 작용하여 접지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일시예로서, 차체판넬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제1어스판에 절곡된 위치에 제1단자부를 형성하는 제1어스와; 상기 제1어스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1어스판과 길이가 다른 제2어스판의 절곡된 위치에 제2단자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어스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멀티 어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어스는, 몸체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어 제1걸림홈을 갖는 다수의 제2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어스는, 회전시 상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가 상기 제2걸림턱의 제1걸림홈에 결합되어 제1어스에 조립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에 인접하여 제2걸림홈을 갖는 제2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서, 차체판넬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제1어스판에 절곡된 위치에 제1단자부를 형성하는 제1어스와; 상기 제1어스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1어스판과 길이가 다른 제2어스판의 절곡된 위치에 제2단자부를 형성하는 제2어스와; 상기 제2어스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2어스판의 길이와 다른 제3어스판의 절곡된 위치에 제2단자부를 형성하는 제3어스단자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멀티 어스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어스는, 몸체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어 제1걸림홈을 갖는 다수의 제1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어스는, 회전시 상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턱의 제1걸림홈에 결합되어 제1어스에 조립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에 인접하여 제2걸림홈을 갖는 제2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3어스는, 상기 제2어스의 상측에서 회전시, 제2걸림턱에 걸려지도록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상기 제2 걸림턱의 제2걸림홈에 걸려져서 제2어스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멀티 어스에서 제1,제2어스의 조립 전상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멀티 어스에서 제1,제2어스의 조립 상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된 제1,제2어스에 제3어스의 조립 전 상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제2, 제3어스가 조립된 상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멀티 어스 사용 상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멀티 어스에 접지와이어가 2개 씩 연결된 상태도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어스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차체판넬(50)에 접지되는 접지부(21)를 형성하고, 일측에 제1어스판(22)에 절곡된 위치에 제1단자부(24)를 형성하는 제1어스(20)와; 상기 제1어스(20)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1어스판(22)과 길이가 다른 제2어스판(32)의 절곡된 위치에 제2단자부(34)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어스(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어스(20)는, 몸체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어 제1걸림홈(28)을 갖는 다수의 제1걸림턱(26)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어스(30)는, 회전시 상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35)가 상기 제1걸림턱(26)의 제1걸림홈(28)에 결합되어 제1어스(20)에 조립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35)에 인접하여 제2걸림홈(38)을 갖는 제2걸림턱(3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 어스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살펴보면, 차체판넬(50)에 접지되는 접지부(21)를 형성하고, 일측에 제1어스판(22)에 절곡된 위치에 제1단자부(24)를 형성하는 제1어스(20)와; 상기 제1어스(20)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1어스판(22)과 길이가 다른 제2어스판(32)의 절곡된 위치에 제2단자부(34)를 형성하는 제2어스(30)와; 상기 제2어스(30)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2어스판(32)의 길이와 다른 제3어스판(42)의 절곡된 위치에 제3단자부(44)를 형성하는 제3어스(4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어스(20)는, 몸체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어 제1걸림홈(28)을 갖는 다수의 제1걸림턱(26)을 구비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어스(30)는, 회전시 상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35)가 상기 제1걸림턱(26)의 제1걸림홈(28)에 결합되어 제1어스(20)에 조립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35)에 인접하여 제2걸림홈(38)을 갖는 제2걸림턱(36)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3어스(40)는, 상기 제2어스(30)의 상측에서 회전시, 제2걸림턱(36)에 걸려지도록 걸림부(46)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46)의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8)가 상기 제2걸림턱(36)의 제2걸림홈(38)에 걸려져서 제2어스(30)에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제2,제3어스(20)(30)(40)의 중심부분에 차체판넬(50)에 끼워지는 볼트(52)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도 3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제2어스(30)의 가이드홈(37)에 제1어스(20)의 제1걸림턱(26)을 하부에서 삽입하여 제1어스(20)의 상면에 제2어스(30)를 적층한다.
그리고, 상기 제2어스(30)를 제1어스(20)에 대하여 화살표방향(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35)가 제1걸림턱(26)의 제1걸림홈(28)에 삽입되어지면서 제1,제2어스(20)(30)가 서로 조립되어진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어스(20)(30)가 서로 조립되어지면, 제1,제2어스판(22)(32)이 일직선으로 일치하는 상태로 배치되고, 제2어스판(32)이 제1어스판(22)에 비하여 길이가 짧으므로 제1,제2단자부(24)(34)가 서로 등간격으로 높이가 다른 상태로 배열되어지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어스(20)(30)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어스(30)의 상측에 제3어스(40)를 대고서 회전하게 되면, 제3어스(40)의 걸림부(46)가 상기 제2어스(30)의 제2걸림턱(36)에 삽입되어져 걸리면서 걸림부(46)에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48)가 상기 제2걸림턱(36)에 형성된 제2걸림홈(38)에 걸려지면서 제3어스(40)가 제2어스(30)에 조립되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3어스(40)의 제3어스판(42)는, 제2어스판(32)에 비하여 길이가 짧으므로 제3단자부(44)가 제2,제3단자부(34)(44)가 서로 등 간격으로 높이가 다른 상태로 배열되어지게 되고, 제1,제2,제3단자부(24)(34)(44)가 등 간격으로 배열되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제3단자부 (24)(34)(44)에 접지와이어(54)를 압착하여 연결하고, 메인와이어(56)로 연결하도록 하고, 메인와이어(56)를 테이프부(58)로 감아서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제1,제2,제3어스(20)(30)(40)의 중심부분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볼트(52)를 대고서 차체판넬(50)의 나사공에 체결하여 고정하도록 하면, 제1어스(20)의 일측에 형성된 접지부(21)가 차체판넬(50)에 고정되면서 접지와이어(54)와의 접지를 수행하도록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제2,제3단자부(24)(34)(44)에 3개의 접지와이어(54)가 일렬로 압착되어 고정되므로 종래와 다르게 접지와이어(54)에 장력(tension)이 가하여지는 것을 방지하므로 접지와이어(54)가 장시간 사용하여도 장력에 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제2,제3단자부(24)(34)(44)에 연결된 접지와이어(54)에 추가적으로 접지와이어(54)를 반대측으로 연결하여서 한 개의 단자부에 2개의 접지와이어를 연결하므로 3개의 단자부로 6개의 와이어를 접지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멀티어스를 사용하게 되면, 멀티 어스를 다수개의 어스로 분리하여 길이가 서로 다른 어스판을 구비하고, 상기 어스를 걸림홈과 걸림돌기를 이용하여 서로 겹쳐서 조립하도록 하고, 상기 접지판에 고정되는 다수의 단자부가 등 간격으로 수평으로 배치되도록 하므로 차체판넬에 접지되어지는 접지와이어에 장력이 작용하여 접지와이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8)

  1. 차체판넬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제1어스판에 절곡된 위치에 제1단자부를 형성하는 제1어스와;
    상기 제1어스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1어스판과 길이가 다른 제2어스판의 절곡된 위치에 제2단자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제2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어스는, 몸체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어 제1걸림홈을 갖는 다수의 제1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어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어스는, 회전시 상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턱의 제1걸림홈에 결합되어 제1어스에 조립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에 인접하여 제2걸림홈을 갖는 제2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어스.
  4. 차체판넬에 접지되는 접지부를 형성하고, 일측에 제1어스판에 절곡된 위치에 제1단자부를 형성하는 제1어스와;
    상기 제1어스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1어스판과 길이가 다른 제2어스판의 절곡된 위치에 제2단자부를 형성하는 제2어스와;
    상기 제2어스의 상측에 조립되어지고, 상기 제2어스판의 길이와 다른 제3어스판의 절곡된 위치에 제2단자부를 형성하는 제3어스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어스는, 몸체부분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가장자리에 상측으로 절곡되어 제1걸림홈을 갖는 다수의 제1걸림턱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어스는, 회전시 상측으로 돌출된 제2걸림돌기가 상기 제1걸림턱의 제1걸림홈에 결합되어 제1어스에 조립되며, 상기 제2걸림돌기에 인접하여 제2걸림홈을 갖는 제2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어스.
  5. 삭제
  6. 삭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어스는, 상기 제2어스의 상측에서 회전시, 제2걸림턱에 걸려지도록 걸림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의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상기 제2걸림턱의 제2걸림홈에 걸려져서 제2어스에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어스.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제3어스의 중심부분에 차체판넬에 끼워지는 볼트등의 체결부재가 삽입되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멀티 어스.
KR1020060085039A 2006-09-05 2006-09-05 자동차용 멀티 어스 KR10080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039A KR100809011B1 (ko) 2006-09-05 2006-09-05 자동차용 멀티 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5039A KR100809011B1 (ko) 2006-09-05 2006-09-05 자동차용 멀티 어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265U Division KR200431331Y1 (ko) 2006-08-30 2006-08-30 자동차용 멀티 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9011B1 true KR100809011B1 (ko) 2008-03-05

Family

ID=39397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5039A KR100809011B1 (ko) 2006-09-05 2006-09-05 자동차용 멀티 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90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02B1 (ko) * 2009-07-23 2011-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 터미널
US20200321714A1 (en) * 2019-04-03 2020-10-08 Robert Johnson Grounding plate and methods of shipping and installing a grounding plat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07Y1 (ko) * 2004-05-07 2004-07-30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어스 터미널
KR200365242Y1 (ko) * 2004-07-27 2004-10-21 경신공업 주식회사 멀티 어스 터미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7907Y1 (ko) * 2004-05-07 2004-07-30 경신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어스 터미널
KR200365242Y1 (ko) * 2004-07-27 2004-10-21 경신공업 주식회사 멀티 어스 터미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602B1 (ko) * 2009-07-23 2011-03-30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전기 터미널
US20200321714A1 (en) * 2019-04-03 2020-10-08 Robert Johnson Grounding plate and methods of shipping and installing a grounding plate
US11728579B2 (en) * 2019-04-03 2023-08-15 Robert Johnson Grounding plate and methods of shipping and installing a grounding plat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3272B2 (en) Electronic component housing unit
WO2014156590A1 (ja) 自動変速機の配線ユニット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保持プレート
JP4123986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200431331Y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KR100809011B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KR101876859B1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KR200477645Y1 (ko) 접지용 단자
KR200411267Y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접지브라켓의 고정구조
KR200391767Y1 (ko) 클립과 밴드 케이블의 결속구조
KR200408583Y1 (ko) 밴드케이블 고정용 스터드 클립
KR200408484Y1 (ko) 연결브라켓 연결구조
KR20080006629U (ko) 링터미널
JPH03164017A (ja) 分岐接続箱
KR102598638B1 (ko) 멀티 어스 터미널
KR200390964Y1 (ko) 와이어 하네스 보호용 클립 구조
WO2021006109A1 (ja) 電気接続箱
KR102485160B1 (ko) 조가선 지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가선 포설 장치
KR200381081Y1 (ko) 와이어 하네스 결속용 밴드 케이블
KR200491848Y1 (ko) 차량용 블록
KR101061044B1 (ko) 박스용 와이어링 하네스 클램프
KR200345634Y1 (ko) 개선된 접지구조를 갖는 보호기 베이스
JP4278829B2 (ja) ヒューズボックス
KR20220126127A (ko) 간접활선공사용 배전선로 낙하 방지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844867B1 (ko) 자동차용 회로기판 박스에 설치되는 와이어커넥터
KR200284297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