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848Y1 - 차량용 블록 - Google Patents

차량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848Y1
KR200491848Y1 KR2020150007546U KR20150007546U KR200491848Y1 KR 200491848 Y1 KR200491848 Y1 KR 200491848Y1 KR 2020150007546 U KR2020150007546 U KR 2020150007546U KR 20150007546 U KR20150007546 U KR 20150007546U KR 200491848 Y1 KR200491848 Y1 KR 200491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lock
nut
vehicle
lower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871U (ko
Inventor
이하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7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848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8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메인블록(10)과, 상기 메인블록(10)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원연결을 위한 부품이 안착되며 상부로 개구된 체결홀(26')의 하부에는 너트(50)가 가조립되는 하부블록(20)과, 상기 하부블록(20)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연결을 위한 부품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고 상기 체결홀(26')을 통해 너트(50)와 조립되는 볼트(70)가 삽입되는 차폐커버(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블록(20)의 체결홀(26') 주변에는 절연펜스(26)가 상기 체결홀(26')을 감싸도록 상기 차폐커버(30)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본 고안에서는 고전압이 연결되는 하부블록(20) 상부에 절연펜스(26)가 돌출되어 인접한 전장부품 사이와의 절연성이 확보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블록{Block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배터리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전원을 차량 내부의 각 부품으로 분배하는 역할을 하는 차량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는 가솔린차, 전기자동차, 디젤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이 고급화되고 차량내부의 전기장치들이 복잡해짐에 따라 전원분배를 위한 차량용 박스가 배터리에 직/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개발과 함께, 차량 내부에서 고전압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에 따라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규격이 까다로워지고 있으며 이를 법제화되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 일례로 차량 내부에서 전원분배기능을 하는 블록(박스)의 경우에, 종래에는 외부의 전원을 블록 내부로 전달하는 배터리단자 또는 이와 연결되는 링터미널부분을 차폐하기 위한 커버가 단순히 힌지구조로 블록에 고정되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고전압이 많이 사용되면서 이러한 커버를 별도의 공구를 사용해야만 분리할 수 있도록 법제화하는 경우가 있다. 즉, 차폐커버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블록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체결구를 사용하게 되면, 한정된 블록 내에서 체결구가 추가되므로 체결구와 주변 부품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고, 결과적으로 절연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어렵다. 또한, 체결구를 체결하거나 탈거하는 과정에서 블록 내부에 구비된 버스바와 같은 금속 재질의 전장품과 간섭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물론 부품과 체결구 사이의 거리를 늘여 절연거리를 증가시킬 수도 있으나 이는 결국 블록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폐커버를 탈착하기 체결구를 조립하는 작업은 협소한 차량의 내부환경으로 인하여 불편하고, 자동공구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체결구와 함께 자칫 차폐커버 자체가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차폐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구의 체결위치 주변에 절연펜스를 구비하여 다른 전장부품과의 절연성을 높인 차량용 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차폐커버를 탈착하기 위하여 체결구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차폐커버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원연결을 위한 부품이 안착되며 상부로 개구된 체결홀의 하부에는 너트가 가조립되는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연결을 위한 부품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 너트와 조립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차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블록의 체결홀 주변에는 절연펜스가 상기 체결홀을 감싸면서 상기 차폐커버를 향해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하부블록 상부의 체결홀 주변과 상기 차폐커버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블록 및 차폐커버가 결합되면 상기 차폐커버의 회전이 방지된다.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체결홀을 둘러 상부로 돌출되는 절연펜스와, 상기 절연펜스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키돌부와, 상기 하부블록의 하부로부터 삽입된 너트를 탄성지지하는 가조립레그를 포함한다.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하부블록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절연펜스를 감싸고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삽입홀이 형성되는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몸체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상기 키돌부에 대응되는 키홈을 포함한다.
상기 제2체결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홀 내측으로 적어도 그 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너트의 상부를 누르는 가압돌부가 상기 볼트삽입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체결부의 가압돌부는 상기 체결몸체 내측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몸체와 가압돌부 사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절연펜스가 삽입된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블록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고전압이 연결되는 하부블록 상부에 절연펜스가 돌출되어 인접한 전장부품 사이와의 절연성이 확보되므로, 절연거리 확보를 위해 블록 자체의 크기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어 블록의 소형화가 가능할 뿐 아니라 차량용 블록의 절연성능도 향상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하부블록과 차폐커버에 구비된 키돌부와 키홈에 의해 체결구를 조이는 과정에서 차폐커버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볼트 및 너트가 조립되면 하부블록의 너트가 차폐커버의 가압돌부를 눌러주므로, 탄성변형가능한 합성수지재질의 블록끼리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에 비하여 체결구의 풀림이 상대적으로 덜 발생하고, 따라서 차량용 블록의 조립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블록의 일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례에서 차폐커버가 생략된 차량용 블록의 제1체결부와 그 주변을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하부블록의 제1체결부의 하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차폐커버의 제2체결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블록의 일실시례가 조립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블록의 일실시례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차량용 블록은 자동차 내부의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차량용 배터리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하네스의 일단에 구비된 링터미널(미도시)이 차량용 블록에 결합되어 차량용 블록 내부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경우 링터미널이 결합되는 부위는 고전압이 흐르므로 이를 차폐할 필요가 있고, 본 고안에서는 차폐커버(30)가 그 기능을 수행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례에 따르면, 차량용 블록은 크게 메인블록(10), 하부블록(20) 및 차폐커버(30)가 서로 조립되어 구성된다. 상기 메인블록(10)은 하부블록(20)과 조립되어 실장된 부품을 보호하고, 차폐커버(30)는 하부블록(20)에 결합되어 상기 링터미널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에 대해 순차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메인블록(10)의 몸체(11)는 대략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11)에는 다수개의 부품장착부(15)가 구비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부품장착부(15)에는 릴레이, 퓨즈, 커넥터 등 다양한 부품이 실장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상기 부품장착부(15)의 상부는 개구되어 있다.
상기 몸체(11)의 측면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걸이후크(17)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후크(17)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가능한 것으로, 상기 메인블록(10)이 하부블록(20)과 결합될 때 하부블록(20)의 걸이턱(23)에 걸어져 메인블록(10)과 하부블록(20)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메인블록(10)의 하부에는 하부블록(20)이 결합된다. 상기 하부블록(20)은 상기 메인블록(10)과 마찬가지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대략 사각틀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부블록(20)의 몸체(21)의 측면에는 다수개의 걸이턱(23)이 돌출되어 상기 메인블록(10)의 걸이후크(17)가 걸릴 수 있다.
상기 하부블록(20)에는 다수의 부품이 실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부블록(20)에는 버스바, 터미널 등 다수의 부품이 실장될 수 있고, 이들 부품은 앞서 메인블록(10)에 설치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에는 하부블록(20)에 설치된 두 개의 버스바(B1,B2)의 일부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두 개의 버스바(B1,B2)에는 각각 링터미널이 연결될 수 있는데, 각각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블록(20)의 일측에는 제1체결부(25)가 구비된다. 상기 제1체결부(25)는 상기 하부블록(20)이 상기 메인블록(10)과 결합되더라도 상기 메인블록(10)에 의해 가려지지 않고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제1체결부(25)에 형성된 체결홀(26')을 통해 너트(50)가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부(25)의 상부는 차폐커버(30)에 의해 차폐되므로, 차폐커버(30)가 하부블록(20)으로부터 분리되었을 때만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상기 제1체결부(25)는 아래에서 설명될 차폐커버(30)의 제2체결부(35)와 결합하여 주변의 부품 사이를 가로막아, 두 개의 버스바(B1,B2)를 비롯한 주변의 부품 사이의 절연성을 유지하고, 차폐커버(30)를 하부블록(20)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70) 및 너트(50)가 조립되는 조립위치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체결부(25)에는 너트(50)가 가조립되고, 제2체결부(35)를 통해 볼트(70)가 삽입되어 너트(50)와 체결된다. 상기 제1체결부(25)에는 볼트(70) 및 너트(50)와 같은 금속재질의 체결구(50,70)가 조립되고, 인접한 위치에는 두 개의 버스바(B1,B2)가 존재하므로 그 사이간격이 협소하여 이들 사이의 절연성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 하부블록(20) 상부의 면적을 증가시키면 절연거리는 확보되나 차량용 블록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절연성을 위하여, 제1체결부(25)에는 절연펜스(26)가 구비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절연펜스(26)는 상기 체결홀(26')을 둘러 상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본 실시례에서 상기 절연펜스(26)는 대략 원형상을 갖는다. 물론, 상기 절연펜스(26)는 반드시 원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다각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절연펜스(26)는 돌출된 형상으로, 내부에 위치한 너트(50)와 이웃한 버스바 사이를 가로막는 역할을 함으로써 절연성을 높인다.
상기 절연펜스(26)의 측면에는 키돌부(27)가 돌출된다. 상기 키돌부(27)는 후술할 차폐커버(30)의 키홈(37')에 대응되는 것으로, 차폐커버(30)를 조립하기 위해 볼트(70)를 조이는 과정에서 차폐커버(30) 자체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키돌부(27)는 한 쌍으로, 절연펜스(26)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3개 이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제1체결부(25)의 하부구조를 보인 것이다. 이에 보듯이, 상기 제1체결부(25)의 내측에는 가조립레그(28)가 구비된다. 상기 가조립레그(28)는 대략 외팔보형상으로 돌출되어 탄성변형가능하고, 너트(50)가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탄성변형되었다가 원형으로 복원되어 너트(50)의 가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참고로 도 5에는 너트(50)가 가조립레그(28) 상에서 볼트(70)와 체결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차폐커버(3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차폐커버(30)의 커버몸체(31)는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제1체결부(25)를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다. 즉, 상기 차폐커버(30)는 상기 메인블록(10) 전체를 덮을 필요는 없고, 체결홀(26')을 포함한 제1체결부(25)를 차폐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구성된다.
상기 차폐커버(30)에는 볼트(70)가 삽입될 수 있는 볼트삽입홀(32)이 형성되는데, 상기 볼트삽입홀(32)은 차폐커버(30)가 하부블록(20)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홀(26')에 대응하는 위치를 갖는다. 참고로, 상기 차폐커버(30)의 측면은 어느 정도 하부로 돌출되어 메인블록(10) 및 하부블록(2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도 4에는 차폐커버(30)의 하부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차폐커버(30)에 구비된 제2체결부(35)의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2체결부(35)는 상기 차폐커버(30)가 상기 하부블록(20)에 조립되면 상기 제1체결부(25)와 결합되는 것으로, 차폐커버(30)의 하부에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2체결부(35)는 제1체결부(25)와 결합하여 체결구(50,70) 주변을 차폐함으로써 체결구(50,70)와 근처의 버스바 등 부품 사이의 절연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체결부(35)에는 대략 원통형상의 체결몸체(3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몸체(36)는 상기 제2체결부(35)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차폐커버(30)의 하부로부터 돌출되고, 제1체결부(25)와 결합되면 돌출된 일단(37)이 절연펜스(26) 외면을 감싼다. 물론, 상기 제2체결부(35)는 반드시 원통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제1체결부(25)의 절연펜스(26)에 대응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몸체(36)의 중심에는 볼트(70)가 통과하는 볼트삽입홀(32)이 관통하는데, 상기 볼트삽입홀(32)에는 볼트(70)의 몸체만 통과하고 볼트(70)의 헤드는 그 상부에 걸린다. 이와 같은 모습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체결몸체(36)에는 키홈(37')이 형성된다. 상기 키홈(37')은 상기 체결몸체(36)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상기 키돌부(27)에 대응된다. 즉, 상기 제1체결부(25)와 제2체결부(35)가 결합하면, 상기 키홈(37')으로 키돌부(27)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볼트(70)를 조이는 과정에서 차폐커버(30)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35)에는 가압돌부(38)가 구비된다. 상기 가압돌부(38)는 체결몸체(36)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볼트삽입홀(32) 가장자리를 따라 제1체결부(25)를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홀(26') 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기 제2체결부(35)가 상기 제1체결부(25)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홀(26') 내측으로 적어도 그 일부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돌부(38)는 상기 볼트(70)와 너트(5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너트(50)의 상부(53)를 누른다. 본 실시례에서 상기 가압돌부(38)는 대략 링형상이다.
이때, 상기 제2체결부(35)의 가압돌부(38)는 상기 체결몸체(36) 내측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몸체(36)와 가압돌부(38) 사이에는 체결홈(39)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35)가 상기 제1체결부(25)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39)에는 상기 절연펜스(26)가 삽입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블록의 조립과정과 사용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조립과정을 살펴보면, 내부에 버스바 등 다수의 부품이 실장된 상태로 하부블록(20)의 상부에 메인블록(10)이 결합된다. 이들 사이의 조립은 메인블록(10)의 걸이후크(17)와 하부블록(20)의 걸이턱(23)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부블록(20)의 제1체결부(25)에는 너트(50)가 가조립된 상태이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체결부(25)의 가조립레그(28)에 너트(50)가 걸린 상태인데, 그 작업은 너트(50)가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하여 가조립레그(28)를 탄성변형시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차량용 블록은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블록(20)의 외부로 노출된 두 개의 버스바(B1,B2)에는 각각 와이어하네스에 구비된 링터미널이 각각 결합된다. 이때, 서로 이격된 두 버스바(B1,B2) 및 이에 각각 결합된 링터미널 사이에는 하부블록(20)의 제1체결부(25)가 위치하므로, 이들 사이의 절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두 개의 버스바(B1,B2) 사이를 돌출된 제1체결부(25)의 절연펜스(26)가 가로막고 있으므로 이들 사이의 절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제1체결부(25) 뿐 아니라, 차폐커버(30)의 제2체결부(35)가 제1체결부(25)와 결합하여 이들 사이의 절연이 보다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버스바(B1,B2)와 링터미널을 차폐하기 위해, 상기 하부블록(20)에는 차폐커버(30)가 결합된다. 상기 차폐커버(30)가 하부블록(20)에 결합되면 차폐커버(30)의 제2체결부(35)가 제1체결부(25)와 결합된다. 이때, 제2체결부(35)의 체결몸체(36)는 제1체결부(25)의 절연펜스(26) 외면을 감싼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체결부(25) 및 제2체결부(35)에 의해 볼트(70) 및 너트(50)의 결합부위가 완전히 감싸지고, 주변의 두 버스바(B1,B2) 사이를 가로막는 구조가 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25)와 제2체결부(35)가 결합하면, 제2체결부(35)의 키홈(37')으로 제1체결부(25)의 키돌부(27)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후에 볼트(70)를 조이는 과정에서 차폐커버(30) 전체가 임의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앞서 가조립된 너트(50)와, 상기 차폐커버(30)의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볼트(70)에 의해 조립되는데, 상기 볼트(70)는 상기 차폐커버(30)의 볼트삽입홀(32)을 통해 너트(50)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작업자가 볼트(70)를 조이면, 상기 너트(50)와 볼트(70)는 서로 가까워지고, 그 과정에서 상기 제2체결부(35)의 가압돌부(38)는 상기 너트(50)의 상부(53)를 누른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즉, 본 고안에서는 체결구(50,70)를 조이는 과정에서 절연체인 하부블록(20) 및 차폐커버(30)의 일부가 직접 가압되지 않고, 절연체인 차폐커버(30)의 가압돌부(38)와 금속재질의 너트(50)가 서로 접촉하여 눌린다. 이에 따라 탄성변형이 가능한 차폐커버(30)의 가압돌부(38)가 사용 중에 어느 정도 변형되더라도, 변형되지 않은 너트(50)가 가압돌부(38)를 누르는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볼트(70)와 너트(50)의 체결이 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돌부(27)와 키홈(37') 사이의 결합에 의해,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는 전동공구를 사용하더라도 차폐커버(30)가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고안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한 실시례에서는 제1체결부(25)와 제2체결부(35)가 각각 하부블록(20) 및 차폐커버(30)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제2체결부(35)는 생략되고 제1체결부(25)가 차폐커버(30)의 저면에 직접 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체결부(25) 및 제2체결부(35)의 키돌부(27) 및 키홈(37')이 생략되고, 절연펜스(26)의 형상 자체가 다각형상일 수도 있다.
10: 메인블록 17: 걸이후크
20: 하부블록 23: 걸이턱
25: 제1체결부 26: 절연펜스
26': 체결홀 27: 키돌부
28: 가조립레그 30: 차폐커버
35: 제2체결부 36: 커버몸체
36': 볼트삽입홀 37: 키홈
38: 가압돌부 50: 너트
70: 볼트

Claims (6)

  1. 메인블록과,
    상기 메인블록의 하부에 결합되고 전원연결을 위한 부품이 안착되며 상부로 개구된 체결홀의 하부에는 너트가 가조립되는 하부블록과,
    상기 하부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연결을 위한 부품의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고 상기 체결홀을 통해 너트와 조립되는 볼트가 삽입되는 차폐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블록의 체결홀 주변에는 절연펜스가 상기 체결홀을 감싸면서 상기 차폐커버를 향해 위쪽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차량용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블록 상부의 체결홀 주변과 상기 차폐커버의 하부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체결부 및 제2체결부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블록 및 차폐커버가 서로 조립되면 상기 제1체결부와 제2체결부가 결합되어 인접한 부품 사이를 가로막는 차량용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상기 체결홀을 둘러 상부로 돌출되는 절연펜스와,
    상기 절연펜스의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키돌부와,
    상기 하부블록의 하부로부터 삽입된 너트를 탄성지지하는 가조립레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블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는
    상기 하부블록의 하부에 돌출되어 상기 절연펜스를 감싸고 볼트가 통과하는 볼트삽입홀이 형성되는 체결몸체와,
    상기 체결몸체의 내측으로 요입되어 상기 키돌부에 대응되는 키홈을 포함하는 차량용 블록.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커버의 제2체결부에는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하부블록의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홀 내측으로 적어도 그 일부가 삽입되어 너트의 상부를 누르는 가압돌부가 상기 제2체결부의 볼트삽입홀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어 구비되는 차량용 블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결부의 가압돌부는 상기 제2체결부의 체결몸체 내측에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체결몸체와 가압돌부 사이에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결합되면 상기 체결홈에는 상기 절연펜스가 삽입되는 차량용 블록.

KR2020150007546U 2015-11-20 2015-11-20 차량용 블록 KR200491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46U KR200491848Y1 (ko) 2015-11-20 2015-11-20 차량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546U KR200491848Y1 (ko) 2015-11-20 2015-11-20 차량용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71U KR20170001871U (ko) 2017-05-30
KR200491848Y1 true KR200491848Y1 (ko) 2020-06-17

Family

ID=59021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546U KR200491848Y1 (ko) 2015-11-20 2015-11-20 차량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84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520A (ja) 2005-07-28 2007-02-08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744461B1 (ko) 2006-03-13 2007-08-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인트 박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5960B2 (ja) * 1996-01-20 2003-08-11 株式会社デンソー 電気接続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35520A (ja) 2005-07-28 2007-02-08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
KR100744461B1 (ko) 2006-03-13 2007-08-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는 조인트 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871U (ko) 201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40522B2 (ja) コネクタ
EP3288115A1 (en) Connector
EP2725663B1 (en) Connector
US5577927A (en) Electrical terminal
KR101188637B1 (ko) 배터리 포스트에 대한 회전 및 교차 홀딩력이 개선된 포스트 터미널
KR102607870B1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JP2014096310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KR102517853B1 (ko) 고전압 커넥터 및 그의 체결 방법
KR20230039628A (ko) 고전압 커넥터의 제조 방법
US20130207494A1 (en) High altitude, high voltage rear terminal block assembly
JP2007328966A (ja) 保護カバー
JP2016208739A (ja) アース機能付ワイヤハーネスプロテクタ
US9648761B2 (en) Cover
KR200491848Y1 (ko) 차량용 블록
JP6238874B2 (ja) 電気接続箱
KR102319044B1 (ko) 배터리 단자 안전장치
KR101876859B1 (ko) 접지 일체형 와이어링 하니스 프로텍터
US8197288B1 (en) Terminal block having adjoining transverse surfaces with protrusions
KR200431331Y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KR101361349B1 (ko) 차량용 배터리터미널 고정장치
KR101602457B1 (ko) 개방형 접속단자
KR100809011B1 (ko) 자동차용 멀티 어스
JP2006050824A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6425607B2 (ja) 帯状導体接続用座金、配電盤及び帯状導体への電線接続方法
KR200439074Y1 (ko) 퓨즈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