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076B1 -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 Google Patents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076B1
KR101038076B1 KR1020100015406A KR20100015406A KR101038076B1 KR 101038076 B1 KR101038076 B1 KR 101038076B1 KR 1020100015406 A KR1020100015406 A KR 1020100015406A KR 20100015406 A KR20100015406 A KR 20100015406A KR 101038076 B1 KR101038076 B1 KR 101038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bodies
fixing
compression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5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형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00015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0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가 개시된다. 바디의 일단에 강클램프가 형성되는 압축인류클램프를 취부하는 장치로서, 일단에 강클램프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타단에 바디를 취부하는 홀딩부가 형성되며,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 제1 및 제2 바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잠금부; 및 제1 및 제2 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는, 보다 컴팩트한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애자 교체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Apparatus for Holding Compression Type Deadend Clamp}
본 발명은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에 관한 것이다.
애자(insulator)는 송전선이나 전기기기의 나선(裸線) 부분을 절연하고 동시에 기계적으로 유지 또는 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절연체를 말한다. 그 가운데 내장애자는 송전탑과 송전선 사이에 개재되어 송전선을 지지함으로써, 많은 장력을 받는 애자를 말한다.
이러한 내장애자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송전선과 송전탑 사이에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내장애자를 교체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 때, 송전선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는 그 중량이 과다하고, 표준화되지 않아, 작업의 효율이 떨어지며, 안전사고의 위험을 수반하며, 다양한 형태의 내장애자 교체에 대응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애자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디의 일단에 강클램프가 형성되는 압축인류클램프를 취부하는 장치로서, 일단에 강클램프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타단에 바디를 취부하는 홀딩부가 형성되며,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 제1 및 제2 바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잠금부; 및 제1 및 제2 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수용홈의 내주면은 강클램프의 형상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홀딩부는 나일론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압축인류클램프의 일측에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며, 제1 및 제2 바디의 수용홈과 홀딩부 사이에는 연결브라켓이 수용되도록 제1 및 제2 바디의 타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부는 제1 및 제2 바디의 수용홈 측에 형성되는 제1 잠금부와, 제1 및 제2 바디의 홀딩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잠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 잠금부는 제1 및 제2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홀;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고정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잠금부는 제1 바디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고정볼트; 제2 바디의 타측에 고정볼트의 타단이 수용되는 고정홈; 및 고정볼트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보다 컴팩트한 형태의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를 구현할 수 있어, 애자 교체 작업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송전탑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송전탑과 송전선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확대도.
도 3은 압축인류클램프를 나타낸 정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의 사용하여 내장애자를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가 압축인류클램프를 취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를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를 나타낸 배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송전탑(10)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송전탑(10)과 송전선(16)의 연결부위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10)은 고압의 송전선(16)을 설치하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탑(10)과 송전선(16) 사이에는 송전선(16)을 지지하기 위한 내장애자(12), 삼각링크(22), 압축인류클램프(20)를 포함하는 구조가 개재될 수 있다.
내장애자(12)는 송전선(16)과 송전탑(10) 사이에 절연을 유지하면서 송전선(16)을 지지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내장애자(12)는 복수의 애자가 직렬로 연결된 애자련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내장애자(12)의 일단은 송전탑(10)에 결합되며, 그 타단은 삼각링크(22)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삼각링크(22)는 삼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판형의 부재와, 그 꼭지점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부재를 말할 수 있다.
삼각링크(22)의 타단은 압축인류클램프(20)와 결합될 수 있다. 압축인류클램프(20)는 내장애자(12)와 송전선(16) 사이에 개재되어, 송전선(16)의 말단을 지지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도 3은 압축인류클램프(2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인류클램프(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디(22), 바디(22)의 말단에 결합되며 고리 형태를 가지는 강클램프(24) 및 바디(22)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점퍼선(18)과 결합되는 연결브라켓(26)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의 사용하여 내장애자(12)를 교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애자(12) 교체 작업을 먼저 살펴보면 이하와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내장애자(12) 교체장치(600)를 이용하여 내장애자(12)에 걸리는 장력을 제거할 수 있다. 내장애자(12) 교체장치(600)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 레버블럭(604) 및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와 레버블럭(604), 레버블럭(604)과 송전탑(10) 사이를 연결하는 와이어(60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레버블럭(604)은 예를 들어 BV 윈치와 같은 장치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가 압축인류클램프(20)를 취부하고, 레버블럭(604)이 와이어(602)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내장애자(12)에 걸리는 장력은 와이어(602)에 걸리게 되어, 내장애자(12)에 걸리는 장력을 제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장애자(12)에 걸리는 장력이 제거되면, 내장애자(12)의 양단의 연결부위를 해제하여 내장애자(12)를 교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가 압축인류클램프(20)를 취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는 압축인류클램프(20)의 말단을 취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를 개방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는 제1 바디(100), 제2 바디(200), 잠금부 및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일측은 힌지축(150, 152)을 중심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는 힌지축(150, 152)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개방될 수 있으며, 그 내부에 압축인류클램프(20)를 수용하여, 압축인류클램프(20)를 취부할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일단에는 수용홈(17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170)의 내주면은 강클램프(24)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강클램프(24)의 형상에 따라 경사지게 즉, 곡면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수용홈(170)은 강클램프(24)를 수용하는 동시에 지지할 수 있어,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는 압축인류클램프(20)를 취부함으로써, 송전선(16)에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용홈(170)의 중앙에는 관통홀(152)이 형성되어, 압축인류클램프(20)의 바디(22)가 수용될 수 있다. 수용홈(170)과 관통홀(152)은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닫혀 있는 경우에 압축인류클램프(20)의 단면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을 이룰 수 있으며,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힌지축(150, 152)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경우,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에 각각 형성되는 반원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타단에는 홀딩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홀딩부(holding part, 400)는 압축인류클램프(20)의 바디(22)를 취부하는 부분으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와 닫혀 있는 경우, 바디(22)의 형태에 대응하는 길이 방향의 중공부(150)를 가지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개방되는 경우, 홀딩부(400)는 길이 방향으로 이등분되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홀딩부(400)의 내주면은 바디(22)의 외주면을 지지함으로써, 바디(22)를 취부할 수 있다. 홀딩부(400)는 나일론 수지를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어, 홀딩부(400)의 경량화와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결국, 양측으로 개방되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수용홈(170)과 홀딩부(400)를 이용하여,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는 압축인류클램프(20)를 취부함으로써, 보다 컴팩트한 형태를 가지면서도 안정적으로 압축인류클램프(20)를 취부할 수 있다.
또한,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는 컴팩트한 형태를 가짐으로 인해,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의 경량화에 기여할 수 있고, 이로써, 내장애자(12) 교체 작업의 안전사고 발생 방지와 작업시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수용홈(170)의 직경을 적용 가능한 강클램프(24)의 직경 범위 이상으로 설정하여,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1000)는 다양한 종류의 압축인류클램프(20)의 취부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수용홈(170)과 홀딩부(400) 사이에는 수용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500)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타측에서 내측을 향해 형성되는 홈 구조로, 압축인류클램프(20)의 연결브라켓(26)이 수용될 수 있다.
잠금부(300)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힌지축(150, 152)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잠금부(300)는 수용홈(170) 측에 형성되는 제1 잠금부(310)와 홀딩부(400) 측에 형성되는 제2 잠금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잠금부(310)는 고정홀(314), 고정볼트(312) 및 고정너트(31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홀(314)은 제1 바디(100) 및 제2 바디(200)의 수용홈(170)이 형성되는 타측에 서로 대향하여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고정볼트(312)는 고정홀(314)에 삽입되어 고정너트(316)와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너트(316)는 예를 들어 나비너트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고정너트(316)를 체결하는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잠금부(320)는 고정볼트(326), 고정홈(324) 및 고정너트(322)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볼트(326)의 일단은 제1 바디(100)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고정볼트(326)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일단이 제1 바디(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고정볼트(326)는 제1 바디(10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고정홈(324)은 제2 바디(200)의 타측에 고정볼트(326)의 타단이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너트(322)가 고정볼트(326)의 타측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힌지축(150, 152)을 중심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고정너트(322)는 예를 들어 나비너트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작업자가 고정너트(322)를 체결하는데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결부(110, 120)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10, 120)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측면에 결합되는 앵커쇄클일 수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블럭(604)과 연결되는 와이어(60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100: 제1 바디 110, 120: 연결부
200: 제2 바디 300: 잠금부
400: 홀딩부 500: 수용부
1000: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Claims (7)

  1. 바디의 일단에 강클램프가 형성되는 압축인류클램프를 취부하는 장치로서,
    일단에 상기 강클램프를 수용하는 수용홈과, 타단에 상기 바디를 취부하는 홀딩부가 형성되며,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타측에 결합되는 잠금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내주면은 상기 강클램프의 형상에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나일론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인류클램프의 일측에는 연결브라켓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상기 수용홈과 상기 홀딩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이 수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타측으로 개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상기 수용홈 측에 형성되는 제1 잠금부와,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상기 홀딩부 측에 형성되는 제2 잠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잠금부는
    상기 제1 및 제2 바디의 타측에 형성되는 고정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상기 고정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잠금부는
    상기 제1 바디의 타측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고정볼트;
    상기 제2 바디의 타측에 상기 고정볼트의 타단이 수용되는 고정홈; 및
    상기 고정볼트의 타단에 나사 결합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KR1020100015406A 2010-02-19 2010-02-19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KR101038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406A KR101038076B1 (ko) 2010-02-19 2010-02-19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5406A KR101038076B1 (ko) 2010-02-19 2010-02-19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076B1 true KR101038076B1 (ko) 2011-06-01

Family

ID=44404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5406A KR101038076B1 (ko) 2010-02-19 2010-02-19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0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30A (ko) 2019-10-18 2021-04-28 한국전력공사 송전 철탑의 전력 케이블 설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794A (ja) * 1992-01-21 1993-08-03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用開先合せ装置
KR200298247Y1 (ko) 2002-09-17 2002-12-16 한국전력공사 가공 송전선 내장 애자장치용 사각링크 구조
KR100503025B1 (ko) 2005-01-07 2005-07-2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가공 송전 선로 철탑용 점퍼선 고정장치
JP2008247604A (ja) 2007-03-30 2008-10-16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着脱式ワイヤーロープ用張力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2794A (ja) * 1992-01-21 1993-08-03 Mitsubishi Heavy Ind Ltd 配管用開先合せ装置
KR200298247Y1 (ko) 2002-09-17 2002-12-16 한국전력공사 가공 송전선 내장 애자장치용 사각링크 구조
KR100503025B1 (ko) 2005-01-07 2005-07-22 주식회사 진광건설 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가공 송전 선로 철탑용 점퍼선 고정장치
JP2008247604A (ja) 2007-03-30 2008-10-16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着脱式ワイヤーロープ用張力検出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130A (ko) 2019-10-18 2021-04-28 한국전력공사 송전 철탑의 전력 케이블 설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073B2 (en) Hinged bushing suspension clamp and method for using said clamp
US8038106B2 (en) Fast beam clamp
CN101855107B (zh) 用于与车辆运输工具一起使用的自行车支撑组件
JP6756231B2 (ja) 架空電線分岐用治具およびこれを備えた架空電線分岐用装置
JP6533970B2 (ja) 架空線保持装置
US7926788B2 (en) Conduit attachment system for a cable puller
US7216848B2 (en) Conduit attachment system for a cable puller
US9761960B2 (en) Electrical transmission line repair apparatus
JP2009022101A (ja) 送電線用ボルトレススペーサ
KR101038076B1 (ko) 압축인류클램프 취부장치
JP2009055659A (ja) 電線用スペーサ
US20170089516A1 (en) Truss Adapter for Mounting Objects on Space Frame Truss
JP5164000B2 (ja) 電線クランプ装置
KR101666386B1 (ko) 조가선 장력 이탈용 밴드 브라켓
JP2015142399A (ja) 耐張クランプ
KR102393106B1 (ko) 접지용구 거치장치
JP2012149470A (ja) 電柱支持装置
CN211598751U (zh) 一种用于隧道的钢缆固定装置及巡检装置
JP6655108B2 (ja) 柱上設備用の装柱具
CN214227662U (zh) 一种配电网辅助固定工具
KR20240034021A (ko) 간접활선용 전선홀딩클램프 및 전선홀딩클램프 시스템
JP7253734B2 (ja) 支柱固定器具
US20180356034A1 (en) Truss Adapter For Mounting Objects On Space Frame Truss
JP2002216560A (ja) 耐張碍子
JP2002216561A (ja) 耐張碍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