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256B1 -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 Google Patents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256B1
KR101597256B1 KR1020150139666A KR20150139666A KR101597256B1 KR 101597256 B1 KR101597256 B1 KR 101597256B1 KR 1020150139666 A KR1020150139666 A KR 1020150139666A KR 20150139666 A KR20150139666 A KR 20150139666A KR 101597256 B1 KR101597256 B1 KR 101597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line
case
connection cable
transmission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9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태학
Original Assignee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9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2012/006Structures with truss-like sections combined with tubular-lik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 관한 것으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송전선이 현수되는 현수암부를 구비하는 송전탑; 상기 현수암부에 마련되며, 상기 현수암부의 전단 및 후단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현수암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송전선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현수암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공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는 연결 케이블; 상기 케이스부의 적어도 일단에 마련되며, 상기 중공 내부로 진입하여 상기 연결 케이블과 연결되는 송전선을 고정하여 상기 송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조임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POWER-TRANSMISSION TOWER MOUNTING TRANSMISSON LINE}
본 발명은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탑 사이의 영역에서 훼손 부위가 발생한 송전선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이 사는 주거지역에는 기본적인 의식주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의 공급이 필수적이다. 전력은 발전소에서 수요처까지 여러 경로를 거치게 된다.
하지만, 도시를 벗어난 농촌, 도서 산간 등은 발전소와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수요처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여러 형태의 지형지물을 통과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송전탑을 설치하여 전력을 수송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지역 특성상, 송전탑은 지대가 높은 산악지에 설치되고, 더 자세하게는 7부 능선에 설치되는 것이 많아 송전선에 낙뢰가 직격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송선전이 물리적인 손상을 입어 영구고장으로 진전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09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훼손이 발생한 영역의 송전선을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송전선이 현수되는 현수암부를 구비하는 송전탑; 상기 현수암부에 마련되며, 상기 현수암부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상기 현수암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송전선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현수암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공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송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케이블; 상기 케이스부의 적어도 일단에 내장되는 전자석으로 마련되며, 상기 송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송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송전선 측에 밀착하여 상기 송전선을 고정하는 조임부; 상기 케이스부의 일단에 상기 송전선 및 상기 케이스부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직경이 감소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송전선을 상기 연결 케이블 측에 밀착시키는 보조 조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조임부는 상기 송전선 및 상기 케이스부의 일면을 감싸는 제1 보조 조임부; 상기 송전선 및 상기 케이스부의 타면을 감싸는 제2 보조 조임부;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와 상기 제2 보조 조임부가 연결되는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보조 조임부 및 상기 제2 보조 조임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안내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구리와 알루미늄을 이중 코팅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수암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현수암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애자;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케이스부의 중공은 상기 연결 케이블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절연성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연결 케이블에서의 자기장 및 송전선에서의 자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거나, 상기 연결 케이블의 온도를 측정하여 송전선의 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송전선의 훼손부위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송전선의 훼손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서 연결부와 송전선이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서 연결부와 송전선이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서 보조 조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100)는 발전소와 수요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송전탑 중 어느 하나의 송전탑과 어느 하나의 송전탑과 인접한 다른 하나의 송전탑 사이를 연결하는 송전선이 훼손된 경우, 훼손된 송전선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송전탑(110)과 연결부(120)와 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송전탑(110)은 송전선(L)을 가설하기 위해 수십 미터의 높이로 시공되는 구조물로서, 몸체부(111)와 지지부(112)와 현수암부(11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111)는 송전탑(11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트러스 구조로 마련된다.
물론,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에 주지한 어떠한 형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지지부(112)는 몸체부(111)에 하측에 마련됨으로써 몸체부(111)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112)의 일부는 외측으로 노출되고, 나머지는 지면 아래에 배치되어 몸체부(111)의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지지부(112)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포함함으로써 송전탑(110) 전체의 무게 중심을 지면에 근접하도록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지지부(112)는 몸체부(111)의 하면 중앙부, 몸체부(111)의 각 모서리마다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현수암부(113)는 몸체부(111)의 상부에 마련되며, 송전선(L)이 현수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현수암부(113)는 몸체부(111)의 상부에서 인접한 다른 송전탑(110)을 마주보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면은 지면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여기서, 현수암부(113)는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부재(113a)와 하부에 마련되는 제2 부재(113b)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부재(113a)는 몸체부(111)에 근접할수록 하측으로 향하도록 연장되고, 제2 부재(113b)는 지면과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송전선(L)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는 다른 구조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서 연결부와 송전선이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서 연결부와 송전선이 연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20)는 현수암부(113)에 마련되어 송전선(L)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송전선(L)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121)와 연결 케이블(122)과 조임부(1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20)는 현수암부(113)의 하부에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부(121)는 연결부(12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현수암부(112)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에 중공(121a)이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중공(121a)은 후술할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선(L)이 연결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중공(121a)의 단면은 송전선(L) 및 연결 케이블(122)이 내부에 안착할 수 있도록 송전선(L) 및 연결 케이블(122)의 단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송전선(L) 및 연결 케이블(122)의 단면보다는 작게 마련됨으로써 송전선(L) 및 연결 케이블(122)이 억지끼움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중공(121a)의 단면은 원형으로, 중공(121a) 중앙부에서 단부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케이스부(121)는 송전선(L)과 연결 케이블(122)이 연결되는 과정에서 전력이 송전탑(110) 측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절연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할 애자(125)를 케이스부(121)와 현수암부(113)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연결부(120)와 송전탑(1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을 것이나, 케이스부(121)의 재질을 절연성 소재로 마련함으로써 절연 효율을 더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 케이블(122)은 중공(121a) 내부에 마련되며, 케이스부(121)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진입하는 한 쌍의 송전선(L)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이다.
한편, 연결 케이블(122)은 한 쌍의 송전선(L) 사이를 연결하게 되므로, 전기 유동 과정에서 발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케이스부(121)에서 연결 케이블(122)에 대응되는 위치의 일부는 개방됨으로써 주위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연결 케이블(122)을 냉각시킬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 케이블(122)은 구리와 알루미늄이 이중 코팅되어 형성된 이중 코팅선의 복수개가 서로 꼬임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연결 케이블(122)에서 발생하는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임부(123)는 케이스부(121)의 적어도 일단에 마련되어 중공(121a) 내부로 진입한 송전선(L)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조임부(123)는 송전선(L)의 외면을 가압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가령, 송전선(L)의 상부를 감싸는 제1 조임부(미도시)와 송전선(L)의 하부를 감싸는 제2 조임부(미도시)로 마련되고, 제1 조임부(미도시)와 제2 조임부(미도시)의 연결되는 일단에는 힌지가 마련되고, 타단은 나사결합됨으로써 송전선(L)을 고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조임부(123)는 케이스부(121)의 벽면 내부에 내장되며 연결 케이블(122) 또는 송전선(L)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에 반응하는 전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전선(L)의 훼손되지 않아 전력이 송전선(L)을 따라 유동하는 경우에는 송전선(L)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송전선(L)을 고정하고, 송전선(L)이 훼손되어 송전선(L)으로부터 자기장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력이 저하되어 송전선(L)을 중공(121a)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송전선(L)이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보조 조임부(1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서 보조 조임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보조 조임부(124)는 케이스부(121)의 적어도 일단에 마련되어 2차적으로 송전선(L)을 케이스부(121)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조임부(124)는 일부가 케이스부(121)의 외면을 감싸고, 나머지가 송전선(L)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 다른 말로 표현하면, 케이스부(121)의 외면과 송전선(L)의 외면을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즉, 송전선(L) 및 케이스부(121)의 상부를 감싸는 제1 보조 조임부(124a)와 송전선(L)의 하부를 감싸는 제2 조임부(124b)로 마련되고, 제1 조임부(124a)와 제2 조임부(124b)의 연결되는 일단에는 힌지(124c)가 마련되고, 타단은 나사결합됨으로써 송전선(L)을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송전선(L)이 훼손된 상태에서 조임부(123)에 의한 고정력이 약화되어도 보조 조임부(124)를 통해 2차적으로 송전선(L)을 케이스부(12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송전선(L)이 훼손되면, 송전선(L)으로부터 자기장이 발생되지 않거나, 그 세기는 현저히 감소하므로 조임부(123)에 의한 송전선(L)의 고정은 약해질 수 있고, 송전선(L)의 무게에 의해 자연적으로 케이스부(121)로부터 이탈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보조 조임부(124)는 송전선(L)의 무게에 의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송전선(L)에 추가적인 고정력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보조 조임부(124)는 연결 케이블(12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내경이 작아지도록 마련됨으로써 송전선(L)을 중공(121a) 상에 고정하되 송전선(L)을 연결 케이블(122)에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부(120)와 송전탑(110) 사이의 전기적인 연결을 차단하기 위해, 연결부(120)와 송전탑(110) 사이에 애자(125)를 개재할 수 있다.
여기서, 애자(125)는 주지한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도 1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에서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30)는 연결 케이블(122)에서의 자기장 및 송전전(L)에서의 자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거나, 연결 케이블의 온도를 측정하여 송전선의 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다시 설명하면,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자기장이 발생할 것이며,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면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 모두에서 자기장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이다.
따라서,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면,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연결 케이블(122)의 발열 상태, 다시 설명하면, 연결 케이블(122)에서의 온도를 측정하면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는 송전선(L)에서 연결 케이블(122)로 전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연결 케이블(122)이 발열되므로, 연결 케이블(12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 이상, 더 정확히 설명하면, 발열을 고려한 온도 이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면,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가 끊어졌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센서부(140)를 구비하여 이를 측정한다.
즉, 연결 케이블(122)과 송전전(L)에서 자기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측정하는 제1 센서(141)와 연결 케이블(122)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센서(142)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송신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상술한 상태를 발전소 등으로 송전선(L)의 훼손 위치를 송신할 수 있다.
가령, 제3 송전탑으로부터 상기 신호가 송신된다면, 송전선(L)은 제2 송전탑과 제3 송전탑 사이에서 훼손되었음을 예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현수암부(113)와 애자(125) 사이에는 송전선(L)의 움직임을 완충하는 장력 완화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완화부(미도시)는 현수암부(113)와 연결부(120) 사이에 마련되어, 송전선(L)에 작용하는 장력을 완화시키는 것으로서, 제1 몸체(미도시)와 제2 몸체(미도시)와 제1 스프링(미도시)과 제2 스프링(미도시)과 케이스부(미도시)와 결합부(미도시)와 제3 스프링(미도시)과 에어 댐퍼(미도시)와 제4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몸체(미도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의 장력 완화 장치(100)의 메인 프레임 역할을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미도시)는 원통형으로 마련되며, 연결부(120)에 인접한 일단에는 방사방향을 따라 확장되는 확장부(미도시)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후술할 결합부(미도시)가 장착되는 복수개의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몸체(미도시)는 제1 몸체(미도시)의 타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제1 몸체(미도시)의 단면적보다 작은 단면적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미도시)와 제2 몸체(미도시)는 일체로 형성되며, 동일한 중심축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제1 몸체(미도시)와 제2 몸체(미도시)의 경계면에는 제1 몸체(미도시)와 제2 몸체(미도시)의 단면적 차이에 따른 단차(123)가 형성되며, 후술할 제2 스프링(미도시)이 연결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 스프링(미도시)은 제1 몸체(미도시)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되 일단이 확장부(121)에 연결된다. 한편, 제1 스프링(미도시)의 타단은 케이스부(미도시)의 일단과 연결되며, 케이스부(미도시)와 제1 몸체(미도시)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되어 케이스부(미도시)와 제1 몸체(미도시)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인접하는 것을 완충시킨다.
다시 설명하면, 제1 몸체(미도시)의 일단은 송전선(L)과 간접적으로 연결되므로, 송전선(L)의 진동에 영향을 받아 후술할 케이스부(미도시)에 대하여 상대적인 움직임을 가진다.
가령, 송전선(L)이 상하방향을 따라 진동하는 경우, 제1 몸체(미도시)도 케이스부(미도시)에 대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진동한다. 이러한 경우, 제1 스프링(미도시)은 제1 몸체(미도시)와 케이스부(미도시)에 동시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적절히 압축 및 팽창됨으로써 송전선(L)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완충시킨다.
상기 제2 스프링(미도시)은 제2 몸체(미도시)의 외주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일단은 제1 몸체(미도시)의 타단, 더 정확히 설명하면, 제1 몸체(미도시)와 제2 몸체(미도시)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미도시)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할 케이스부(미도시) 내부의 단차(미도시)와 연결되어 케이스부(미도시)와 제1 몸체(미도시)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라 압축 또는 팽창되어 케이스부(미도시)와 제1 몸체(미도시)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거나 인접하는 것을 완충시킨다.
즉, 제1 스프링(미도시)과 제2 스프링(미도시)은 병렬로 배치됨으로써, 탄성 계수를 증가시켜 송전선(L)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을 완충시킨다.
다만, 일반적으로 제1 스프링(미도시)이 제2 스프링(미도시)보다 크게 마련되므로, 제1 스프링(미도시)의 탄성계수가 제2 스프링(미도시)의 탄성계수보다 크게 마련될 것이다.
한편, 제1 스프링(미도시)와 제2 스프링(미도시)은 사용자가 요구하는 탄성계수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 몸체(미도시) 및 제2 몸체(미도시)의 외주면을 감싸는 제1 스프링(미도시)과 제2 스프링(미도시)을 통해 탄성력을 제공하나, 필요에 따라 제3 몸체(미도시) 등을 구비하고, 이에 대응하여 스프링을 더 추가함으로써 송전선(L)의 움직임을 더 크게 완충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부(미도시)는 제1 몸체(미도시), 제2 몸체(미도시), 제1 스프링(미도시) 및 제2 스프링(미도시)의 외면을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는 부재로서, 내부에 제1 몸체(미도시), 제2 몸체(미도시), 제1 스프링(미도시) 및 제2 스프링(미도시)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외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되어 중공(141)을 개방하며, 삽입홈(미도시)이 형성되는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슬라이딩홈(미도시)이 형성되며, 제2 스프링(미도시)의 타단 및 에어 댐퍼(미도시)의 일단이 연결되는 단차(미도시)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딩홈(미도시)은 케이스부(미도시)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나선방향을 따라 연장됨으로써 송전선(L)의 상하방향의 움직임시 케이스부(미도시)에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스프링(미도시)은 케이스부(미도시)와의 접촉 부위 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미도시)는 제1 몸체(미도시)와 케이스부(미도시)를 체결하는 것으로서, 케이스부(미도시)의 슬라이딩홈(미도시)을 관통하여 제1 몸체(미도시)의 삽입홈(미도시)까지 진입한다.
이에 따라, 케이스부(미도시)와 제1 몸체(미도시)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결합부(미도시)에 의해 안내되어 슬라이딩홈(미도시)의 연장방향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결합부(미도시)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는 슬라이딩홈(미도시)의 폭보다 크게 마련되고, 중앙부는 슬라이딩홈(미도시)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 이하로 마련되며, 삽입홈(미도시)에 삽입되는 단부는 나사산이 마련되어 삽입홈(미도시)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3 스프링(미도시)은 후술할 에어 댐퍼(미도시)에 내장되되 제2 몸체부(미도시)의 단부와 현수암부(113) 사이에 마련되어 케이스부(미도시)와 제1 몸체(미도시)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움직임에 따른 제1 스프링(미도시) 및 제2 스프링(미도시)의 탄성력을 흡수하거나 방출한다.
상기 에어 댐퍼(미도시)는 제3 스프링(미도시)을 내부에 수용하며, 일단에는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제2 몸체부(미도시)의 단부가 에어 댐퍼(미도시) 내부로 출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에어 댐퍼(미도시)는 제1 몸체(미도시) 및 제2 몸체(미도시)가 급격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결국, 송전선(L)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4 스프링(미도시)은 현수암부(113)와 에어 댐퍼(미도시) 사이에 마련되어, 에어 댐퍼(미도시)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다.
즉, 제1 스프링(미도시) 및 제2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에어 댐퍼(미도시)가 단차(143)로부터 멀어지더라도 제4 스프링(미도시)은 에어 댐퍼(미도시)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단차(143)에 밀착시킨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장력 완화부(미도시)는 제4 스프링(미도시)과 인접한 일단은 현수암부(113)에 연결되고, 제1 몸체(미도시)의 일단은 연결부(120)와 연결되도록 마련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내용과 반대되게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장력 완화부(미도시)는 송전선(L)과 현수암부(113)과 전기적으로 절연되도록 절연체로 마련될 수 있으며, 더 자세히 설명하면, 제1 몸체(미도시)와 제2 몸체(미도시)와 케이스부(미도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의 일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와 수요처 사이에는 복수개의 송전탑이 설치되고, 송전선(L)은 복수개의 송전탑 사이에 연결되어 장력을 유지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100)은 발전소와 수요처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송전탑에 모두 적용되고 무방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낙뢰 등의 사고가 빈번하여 송전선(L)의 훼손이 잦은 지역에만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송전선(L)의 이상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송전선(L)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 더 정확히 송전선(L)의 일부가 훼손된 경우, 제1 센서(131) 또는 제2 센서(132)를 통해 연결 케이블(122) 또는 송전선(L)에서의 자기장을 측정하거나 또는 연결 케이블(122)의 온도를 측정하여 이상 여부를 확인한다.
가령, 연결 케이블(122) 또는 송전선(L)에서 일정 시간동안 자기장을 측정할 수 없거나 자기장의 세기가 송전선(L)으로 제공되는 전압에 대응하는 자기장의 범위보다 현저히 차이나는 경우 또는 연결 케이블(122)의 온도가 기설정된 온도보다 낮은 경우에는 송전선(L)이 훼손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제어부(130)의 송신부(133)가 발전소 또는 송전탑 관리국의 수신부(미도시) 측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수신부(미도시)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전탑과 인접한 송전탑에서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송전선(L)이 훼손된 영역의 위치를 추정한다.
다음으로, 훼손된 송전선(L)을 교체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훼손된 송전선(L)을 연결부(120)로부터 이탈시키는 방법은 송전선(L)을 연결부(120)에 장착시키는 과정의 역순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송전선(L)을 가압하여, 중공(121a) 측으로 진입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공(121a)의 내경은 송전선(L)의 외경 이하로 마련되므로 소정의 가압력이 요구될 것이다.
송전선(L)을 연결 케이블(122)에 밀착시킨 후, 보조 조임부(124)를 이용하여 송전선(L)을 연결부(120)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보조 조임부(124)는 연결부(120)로부터 멀어질수록 내경이 감소하는 형태로 마련되므로 송전선(L)이 연결부(120)로부터 이탈하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송전선(L)의 교체 과정에서 송전선(L)으로 전력이 유입되지는 않으므로, 조임부(123)에 의한 고정력을 제공되지 않으므로, 보조 조임부(124)에 의한 고정력에 의해 송전선(L)과 연결부(120)가 연결된다.
송전선(L)과 연결부(120)의 연결이 완료되면, 송전선(L) 및 연결 케이블(122) 측으로 전력이 유동하며, 조임부(123)는 송전선(L) 또는 연결 케이블(122)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작동되어 송전선(L)을 연결부(120)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은 상술한 것과 같이 송전탑에 송전선을 착탈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훼손 부위의 발생시 보다 용이하게 수리 및 보수가 가능하다.
또한, 현장 방문 없이도 송전선의 훼손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수리 및 보수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례 또는 변형례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볼 것이다.
100: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110: 송전탑 120: 연결부
130: 제어부 140: 센서부

Claims (10)

  1.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마련되어 송전선이 현수되는 현수암부를 구비하는 송전탑;
    상기 현수암부에 마련되며, 상기 현수암부의 전단 및 후단으로부터 상기 현수암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한 쌍의 송전선과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상기 현수암부의 전방 및 후방으로 연장되되 중공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중공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한 쌍의 송전선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연결 케이블; 상기 케이스부의 적어도 일단에 내장되는 전자석으로 마련되며, 상기 송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송전선으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상기 송전선 측에 밀착하여 상기 송전선을 고정하는 조임부; 상기 케이스부의 일단에 상기 송전선 및 상기 케이스부를 동시에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며, 상기 케이스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내직경이 감소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송전선을 상기 연결 케이블 측에 밀착시키는 보조 조임부;를 구비하며,
    상기 보조 조임부는 상기 송전선 및 상기 케이스부의 일면을 감싸는 제1 보조 조임부; 상기 송전선 및 상기 케이스부의 타면을 감싸는 제2 보조 조임부; 상기 제1 보조 조임부와 상기 제2 보조 조임부가 연결되는 일단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보조 조임부 및 상기 제2 보조 조임부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 상에서 회동가능하게 안내하는 힌지부;를 구비하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은 구리와 알루미늄을 이중 코팅하여 형성되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암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현수암부와 상기 연결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애자;를 더 포함하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중공은 상기 연결 케이블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절연성 소재로 마련되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케이블에서의 자기장 및 송전선에서의 자기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측정하거나, 상기 연결 케이블의 온도를 측정하여 송전선의 훼손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50139666A 2015-10-05 2015-10-05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KR101597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66A KR101597256B1 (ko) 2015-10-05 2015-10-05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9666A KR101597256B1 (ko) 2015-10-05 2015-10-05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256B1 true KR101597256B1 (ko) 2016-03-08

Family

ID=55534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9666A KR101597256B1 (ko) 2015-10-05 2015-10-05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25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578A1 (ko) * 2017-09-18 2019-03-21 한국전력공사 전선낙하 방지장치
KR102160517B1 (ko) * 2020-05-30 2020-09-28 (유)남양기술단 송전선이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 송전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611A (ja) * 1994-11-14 1996-08-13 Nippon Cable Syst Inc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中間ロック装置
KR200346884Y1 (ko) * 2003-10-16 2004-04-03 조남준 조립식 통신케이블 접속관의 구조
KR20120130857A (ko) * 2011-05-24 2012-12-04 변남섭 송전용 구리코팅 알루미늄선
KR101222499B1 (ko) * 2012-08-10 2013-01-16 조성전력 주식회사 전력선 접속개소의 열화 감지장치
KR200478092Y1 (ko) 2014-04-16 2015-08-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7611A (ja) * 1994-11-14 1996-08-13 Nippon Cable Syst Inc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中間ロック装置
KR200346884Y1 (ko) * 2003-10-16 2004-04-03 조남준 조립식 통신케이블 접속관의 구조
KR20120130857A (ko) * 2011-05-24 2012-12-04 변남섭 송전용 구리코팅 알루미늄선
KR101222499B1 (ko) * 2012-08-10 2013-01-16 조성전력 주식회사 전력선 접속개소의 열화 감지장치
KR200478092Y1 (ko) 2014-04-16 2015-08-26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송전선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578A1 (ko) * 2017-09-18 2019-03-21 한국전력공사 전선낙하 방지장치
KR102160517B1 (ko) * 2020-05-30 2020-09-28 (유)남양기술단 송전선이 착탈되는 구조를 갖는 송전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0857B2 (en) Portable self powered line mountable device for measuring and transmitting ambient temperature
KR100867214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1597256B1 (ko) 송전선이 착탈되는 송전탑
US20090015239A1 (en) Transmission Line Sensor
US20110140446A1 (en) Wind energy system having busbars
AU2010312878B2 (en) Power switching device
CN101027568A (zh) 实时跟踪导体蠕变以建立在净空距离极限下最大容许导体负载的动态线路定额系统
KR101642982B1 (ko)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20170025757A (ko) 에너지 하베스팅 라인포스트 애자
KR100933937B1 (ko) 특고압용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배전플레이트
CN212434450U (zh) 一种具备多参量全光纤感知的变压器
CN214125368U (zh) 管道检测潜望镜装置
CN201398022Y (zh) 高落差竖井中超高压气体绝缘金属封闭输电线路固定机构
CN208140993U (zh) 一种覆冰监测系统集中通信箱
KR101597259B1 (ko) 송전선의 장력 완화 장치
CN110425369A (zh) 减震阻尼调节抗震支架
CN201570821U (zh) 电抗器抗振型端子箱
CN210486948U (zh) 一种接触网补偿装置状态监测及预警终端
CA2883581C (en) Electrode line monitoring unit
CN211425650U (zh) 一种变压器振动电力运行维护监测装置
KR100865763B1 (ko) 송전선의 절연식 지지애자
CN209581204U (zh) 一种复合材料接触网腕臂定位装置
CN219085185U (zh) 一种用于光缆敷设的接线盒
KR102325540B1 (ko) 변압기용 부싱의 유면계 확대 장치
CN211481662U (zh) 一种具有内部平移调节机构的柴油机控制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