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982B1 -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982B1
KR101642982B1 KR1020160000356A KR20160000356A KR101642982B1 KR 101642982 B1 KR101642982 B1 KR 101642982B1 KR 1020160000356 A KR1020160000356 A KR 1020160000356A KR 20160000356 A KR20160000356 A KR 20160000356A KR 101642982 B1 KR101642982 B1 KR 1016429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urrent distribution
control box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임기
Original Assignee
(주)우진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이엔지 filed Critical (주)우진이엔지
Priority to KR1020160000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9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9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9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5B37/0227
    • H05B37/0245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특고압 전류 배전선, 제1 인하선, 제2 인하선 및 배전선의 고장을 상황별로 감지하여 전력회사의 관리센터에 고장신호를 송출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주에 각 고장상황을 표시함으로써 현장순찰자가 현장에서 일견하여 고장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전된 주변의 수용가로서는 정전의 원인을 인지할 수 있어 정전에 대응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의를 줄 수 있고, 고장신호를 송출하는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여 고장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전력회사의 순찰자 또는 주변의 수용가가 고장상황을 관리센터에 신고하여 관리센터로 하여금 고장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 및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을 접속불량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Distribution plate for supporting extra high voltag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특고압용 가공 배전 기술 중에서,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 제1 인하선, 제2 인하선 및 배전선의 고장을 상황별로 감지하여 전력회사의 관리센터에 고장신호를 송출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주에 각 고장상황을 표시함으로써 현장순찰자가 현장에서 일견하여 고장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전된 주변의 수용가로서는 정전의 원인을 인지할 수 있어 정전에 대응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의를 줄 수 있고, 고장신호를 송출하는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여 고장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전력회사의 순찰자 또는 주변의 수용가가 고장상황을 관리센터에 신고하여 관리센터로 하여금 고장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완충함으로써 특고압 전류 배전선과 제1 인하선의 상단 사이의 접속부와 제1 인하선의 하단과 주상변압기의 입력단 사이의 접속부와 주상변압기의 출력단과 제2 인하선의 상단 사이의 접속부 및 제2 인하선의 하단과 상용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의 접속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양측 특고압 배전선을 연결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과 상용전류 배전선을 연결하는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을 중간부에서 완충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 양단과 특고압 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와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 양단과 상용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각 변전소에서는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산업체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전선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된다.
배전과정의 최종 단계인 각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을 위하여 도심이나 주택가의 도로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전주에는 22.9kV의 특고압 전류를 배전하는 특고압 배전선과 230V 또는 380V의 상용전류를 배전하는 상용전류 배전선을 지지함과 아울러 특고압 전류 배전선과 사용전류 배전선의 사이에 주상변압기를 설치하여 특고압 전류를 상용전류로 감압하여 상용전류 배전선을 통해 각 수용가에 배전하고 있다.
특고압 배전선은 전주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특고압 배전선 지지완철에 양측 특고압 배전선 애자를 통하여 절연상태로 지지하고, 양측 특고압 배전선을 점프선에 의하여 연결하며, 사용전압 배전선은 전주에 설치된 좌우 한 쌍의 상용전류 지지완철에 상용전류 배전선 애자를 통하여 절연상태로 지지하고 양측 상용전류 배전선을 점프선에 의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특고압 전류 배전선과 주상변압기의 입력단은 제1 인하선에 의하여 연결되고 주상변압기의 출력단과 상용전류 배전선은 제2 인하선에 의하여 연결하며, 점프선은 라인포스트애자에 의하여 지지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로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3746호(2008.12.05. 등록)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3520호(2013.12.13. 등록)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계통에서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은 바람의 영향으로 심하게 흔들릴 수 있는바, 제1 인하선이 단순히 특고압 전류 배전선과 주상변압기의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고, 주상변압기의 출력단과 상용전류 배전선 사이에 연결된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인하선의 상단과 특고압 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와 제1 인하선의 하단과 주상변압기의 입력단 사이의 접속부, 제2 인하선의 상단과 주상변압기의 출력단 사이의 접속부와 제1 인하선의 하단과 상용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에서 심각한 접속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계통에서 점프선은 라인포스트애자에 의하여 지지하게 되는데 라인포스트애자는 전주의 좌우 양측에 고정되는 완철 중 어느 한 쪽에 설치하게 되므로 라인포스트애자에 의한 점프선의 지지점이 어느 한 쪽으로 편중된 상태로 되어 라인포스트애자에 의한 지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점프선과 특고압 배전선의 접속점이 한 쪽은 가깝고 다른 쪽은 멀게 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지지점과 접속점 사이의 거리가 먼 쪽에서는 바람의 영향을 더욱 많이 받게 되고 접속점에서의 접속불량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을 바람의 영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의 상, 하단 접속부위에서의 접속불량을 방지하고, 점프선을 중간부에서 정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점프선과 특고압 전류 배전선 간의 접속부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73746호(2008.12.05. 등록)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43520호(2013.12.13. 등록)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고압 전류 배전선, 상용전류 배전선, 제1 인하선, 제2 인하선 및 배전선의 고장을 상황별로 감지하여 전력회사의 관리센터에 고장신호를 송출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전주에 각 고장상황을 표시함으로써 현장순찰자가 현장에서 일견하여 고장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전된 주변의 수용가로서는 정전의 원인을 인지할 수 있어 정전에 대응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의를 줄 수 있고, 고장신호를 송출하는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여 고장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전력회사의 순찰자 또는 주변의 수용가가 고장상황을 관리센터에 신고하여 관리센터로 하여금 고장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완충함으로써 특고압 전류 배전선과 제1 인하선의 상단 사이의 접속부와 제1 인하선의 하단과 주상변압기의 입력단 사이의 접속부와 주상변압기의 출력단과 제2 인하선의 상단 사이의 접속부 및 제2 인하선의 하단과 상용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의 접속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양측 특고압 배전선을 연결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과 상용전류 배전선을 연결하는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을 중간부에서 완충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 양단과 특고압 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와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 양단과 상용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되는 특고압용 완철과, 상기 특고압용 완철에 애자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과, 양측 특고압 전류 배전선을 연결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을 포함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로와, 상기 전주에 고정되는 상용전류용 완철과, 상기 상용전류용 완철에 애자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상용전류 배전선과, 양측 상용전류 배전선을 연결하는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을 포함하는 상용전류 배전선로 및, 전주에 설치되며 입력단이 상기 특고압 전류 배전선에 제1 인하선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상용전류 배전선에 연결되는 주상변압기의 고장을 감시하는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로서, 상기 특고압 전류 배전선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와, 특고압 전류 배전선과 주상변압기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제1 인하선에 설치되는 제2 감지센서와, 주상변압기의 출력단과 상용전류 배전선을 연결하는 제2 인하선에 설치되는 제3 감지센서 및, 상용전류 배전선에 설치되는 제4 감지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와, 각 전주마다 부여된 고유번호인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저장명령을 송출하고, 통신부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송출명령을 출력하는 감시제어부와, 상기 감시제어부의 송출명령에 따라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원격감시서버로 송출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고장감시수단과; 상기 고장감시수단의 감지센서부를 공용으로 하며, 고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감지센서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부에 대한 고장데이터의 저장명령과 램프구동명령을 출력하는 표시제어부와, 상기 표시제어부의 램프구동명령에 따라 램프부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램프구동부를 포함하는 고장표시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고장감시수단을 구성하는 메모리부와 감시제어부 및 통신부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설치하여 전주에 고정되는 제1 컨트롤박스 내에 회로기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컨트롤박스에 설치하고, 상기 제1 컨트롤박스의 내부에는 메모리부, 감시제어부 및 통신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가 내장되며, 회로기판에는 충전회로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컨트롤박스는 제1 컨트롤박스 본체와,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컨트롤박스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부는 상기 특고압 전류 배전선에 설치된 제1 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제1 램프와, 상기 제1 인하선에 설치된 제2 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제2 램프와, 상기 제2 인하선에 설치된 제3 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제3 램프 및, 상기 상용전류 배전선에 설치된 제4 감지센서에 대응하는 제4 램프로 구성되며, 상기 고장표시수단을 구성하는 메모리부와 표시제어부 및 램프구동부는 하나의 회로기판에 설치하여 전주에 고정되는 제2 컨트롤박스 내에 회로기판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컨트롤박스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컨트롤박스의 내부에는 메모리부, 표시제어부 및 램프구동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가 내장되며, 회로기판에는 충전회로를 설치하며, 상기 제2 컨트롤박스는 상용전류용 완철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2 컨트롤박스 본체와, 상기 제2 컨트롤박스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컨트롤박스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램프는 램프판에 장착되며, 상기 램프판은 상기 제2 컨트롤박스 커버의 하단과 램프판의 하단에 고정된 경첩에 의하여 제2 컨트롤박스 커버에 대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램프판은 램프판회동수단에 의하여 수직을 이루며 후면이 제2 컨트롤박스 커버의 전면에 밀착되는 정상상태와 제2 컨트롤박스 커버의 전면에 이격되며 하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의 고장표시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램프판회동수단은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의 하면에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봉을 가지는 리니어액튜에이터와, 상기 작동봉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연결장공이 구비된 연결편과, 상기 램프판의 하면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연결공이 구비된 연결레버와, 상기 연결편의 연결장공과 연결레버의 연결공에 삽입되는 연결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 및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지지수단은 상기 전주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원통형 본체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외주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와, 상기 원통형 본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와, 상기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부에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을 고정하는 인하선고정구가 구비된 인하선고정암과, 상기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와 인하선고정암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완충실린더와, 상기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의 선단부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부에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과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을 고정하는 점프선고정구가 구비된 점프선고정암 및, 상기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와 점프선고정암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완충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에 의하면 특고압 전류 배전선, 제1 인하선, 제2 인하선 및 상용전류 배전선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감시수단에 의하여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원격감시서버에 송출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고장표시수단의 제1 내지 제4 램프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램프판을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현장순찰자 및 수용가로 하여금 고장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특히 특고압 전류 배전선, 제1 인하선, 제2 인하선 및 상용전류 배전선 중 어느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되며, 제1 인하선과 제2 인하선을 완충 가능하게 지지하여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완충함으로써 특고압 전류 배전선과 제1 인하선의 상단 사이의 접속부와 제1 인하선의 하단과 주상변압기의 입력단 사이의 접속부와 주상변압기의 출력단과 제2 인하선의 상단 사이의 접속부 및 제2 인하선의 하단과 상용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의 접속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양측 특고압 배전선을 연결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과 상용전류 배전선을 연결하는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을 중간부에서 완충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 양단과 특고압 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와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 양단과 상용전류 배전선 사이의 접속부의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정상적인 배전 상태를 보인 상면 사시도,
도 2는 정상적인 배전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은 고장발생 상태를 보인 상면 사시도,
도 4는 고장발생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5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정상적인 배전 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7은 고장발생 상태를 보인 확대 측면도,
도 8은 고장감시수단 및 고장표시수단의 기능블록도,
도 9는 케이블지지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케이블지지수단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완철의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하고, 이에 직교하는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전주를 향하는 방향을 내측, 그 반대 방향을 외측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단순히 볼트가 관통되는 볼트관통공과 볼트가 체결되는 볼트체결공, 그리고 힌지핀이 관통되는 힌지공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하되 에에 대한 도면 부호와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4에서 10은 전주이고, 20은 특고압 전류를 송전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로이며, 30은 상용전류를 배전하는 상용전류 배전선로이고, 40은 특고압 전류 배전선로를 통해 송전되는 특고압 전류를 상용전압으로 강압하여 상용전류 배전선로에 공급하는 주상변압기이다.
특고압 전류 배전선로(20)는 전주(10)에 고정되는 특고압용 완철(21)과, 상기 특고압용 완철(21)에 애자(22)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23)과, 양측 특고압 전류 배전선(23)을 연결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용전류 배전선로(30)는 전주(10)에 고정되는 상용전류용 완철(31)과, 상기 상용전류용 완철(31)에 애자(32)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상용전류 배전선(33)과, 양측 상용전류 배전선(33)을 연결하는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3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상변압기(40)의 입력단은 제1 인하선(41)을 통해 특고압 전류 배전선(23)에 연결되고, 주상변압기(40)의 출력단은 제2 인하선(42)을 통해 상용전류 배전선(33)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용전류 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는 고장감시수단(100)과, 고장표시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장감시수단(100)은 감지센서부(110), 메모리부(120), 감시제어부(130)와 통신부(140) 및 원격감시서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부(110)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23)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111)와, 특고압 전류 배전선(23)과 주상변압기(40)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제1 인하선(41)에 설치되는 제2 감지센서(112)와, 주상변압기(40)의 출력단과 상용전류 배전선(33)을 연결하는 제2 인하선(42)에 설치되는 제3 감지센서(113) 및, 상용전류 배전선(33)에 설치되는 제4 감지센서(1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111, 112, 113, 114)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23), 제1 인하선(41), 제2 인하선(42) 및 상용전류 배전선(33)의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20)는 각 전주(10)마다 부여된 고유번호인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저장한다. 고장데이터는 각각 특고압 전류 배전선(23), 제1 인하선(41), 제2 인하선(42) 및 상용전류 배전선(33)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111, 112, 113, 114) 별로 저장한다.
상기 감시제어부(130)는 감지센서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20)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저장명령을 송출하고, 통신부(140)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송출명령을 출력한다.
상기 통신부(140)는 감시제어부(130)의 송출명령에 따라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원격감시서버(150)로 송출한다. 상기 통신부(140)는 후술하는 제1 컨트롤박스(160)의 외부에 설치되는 안테나(141)를 포함한다.
상기 원격감시서버(150)는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입력받아 고장상황을 확인함과 아울러 고장복구를 위한 복구담당자에게 송출하여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장감시수단(100)을 구성하는 메모리부(120)와 감시제어부(130) 및 통신부(140)는 하나의 회로기판(170)에 설치하고, 전주(10)에 고정되는 제1 컨트롤박스(160) 내에 회로기판(17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컨트롤박스(16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트롤박스(160)의 내부에는 메모리부(120), 감시제어부(130) 및 통신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180)가 내장되며, 회로기판(170)에는 충전회로(19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190)는 상용전류 배전선(33)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류를 충전배터리(18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전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컨트롤박스(160)는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와,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컨트롤박스 도어(16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와 제1 컨트롤박스 도어(162)의 일측은 경첩(163)에 의하여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에는 자물쇠(165)에 의하여 잠글 수 있도록 잠금편(164)이 고정된다.
상기 경첩(163)과 잠금편(164)은 용접 또는 나사에 의하여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와 제1 컨트롤박스 도어(16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의 상면에는 상기 통신부(140)의 안테나(141)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는 볼트(B11)와 너트(N11)로 전주에 고정되는 고정밴드(166)의 일측에 결합된 어댑터판(167)에 볼트(B12)와 너트(N12)에 의하여 전주(1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밴드(166)와 어댑터판(167)은 통상적으로 완철을 전주(10)에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장표시수단(200)은 감지센서부와 메모리부(220), 표시제어부(230)와 램프구동부(240) 및 복수개의 램프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센서부는 상기 고장감시수단(100)의 감지센서부(110)를 공용으로 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모리부(220)는 고장데이터를 저장한다. 고장데이터는 각각 특고압 전류 배전선(23), 제1 인하선(41), 제2 인하선(42) 및 상용전류 배전선(33)의 고장여부를 감지하는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111, 112, 113, 114) 별로 저장한다.
상기 표시제어부(230)는 감지센서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20)에 대한 고장데이터의 저장명령과 램프구동명령을 출력한다.
상기 램프구동부(240)는 표시제어부(230)의 램프구동명령에 따라 램프부(250)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상기 램프부(250)는 상기 특고압 전류 배전선(23)에 설치된 제1 감지센서(111)에 대응하는 제1 램프(251)와, 상기 제1 인하선(41)에 설치된 제2 감지센서(112)에 대응하는 제2 램프(252)와, 상기 제2 인하선(42)에 설치된 제3 감지센서(113)에 대응하는 제3 램프(253) 및, 상기 상용전류 배전선(33)에 설치된 제4 감지센서(114)에 대응하는 제4 램프(254)로 구성된다.
상기 고장표시수단(200)을 구성하는 메모리부(220)와 표시제어부(230) 및 램프구동부(240)는 하나의 회로기판(270)에 설치하고, 전주(10)에 고정되는 제2 컨트롤박스(260) 내에 회로기판(27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컨트롤박스(26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컨트롤박스(260)의 내부에는 메모리부(220), 표시제어부(230) 및 램프구동부(2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280)가 내장되며, 회로기판(270)에는 충전회로(29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290)는 상용전류 배전선(33)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류를 충전배터리(28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전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컨트롤박스(260)의 내부에는 메모리부(220), 표시제어부(230) 및 램프구동부(2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280)가 내장되며, 회로기판(270)에는 충전회로(29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충전회로(290)는 상용전류 배전선(33)으로부터 공급되는 상용전류를 충전배터리(280)를 충전할 수 있는 충전전류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 컨트롤박스(260)는 상용전류용 완철(31)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2 컨트롤박스 본체(261)와, 상기 제2 컨트롤박스 본체(261)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컨트롤박스 본체(261)는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는 후면이 개방된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2 컨트롤박스 본체(261)의 상단 후면에는 고정편(263)을 형성하여 상용전류용 완철(31)의 선단부 상면에 걸쳐놓고 고정편(263)과 상용전류용 완철(31)을 관통하는 볼트(B21)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N21)에 의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2 컨트롤박스 본체(261)와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는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를 관통하여 제2 컨트롤박스 본체(261)에 체결되는 복수개의 볼트(B22)에 의하여 결합된다.
상기 램프부(250)의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는 램프판(255)에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램프판(255)은 상기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의 하단과 램프판(255)의 하단에 고정된 경첩(264)에 의하여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에 대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램프판(255)은 램프판회동수단(300)에 의하여 수직을 이루며 후면이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의 전면에 밀착되는 정상상태와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의 전면에 이격되며 하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의 고장표시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램프판회동수단(300)은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의 하면에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봉(311)을 가지는 리니어액튜에이터(310)와, 상기 작동봉(311)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연결장공(321)이 구비된 연결편(320)과, 상기 램프판(255)의 하면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연결공(331)이 구비된 연결레버(330)와, 상기 연결편(320)의 연결장공(321)과 연결레버(330)의 연결공(331)에 삽입되는 연결핀(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리니어액튜에이터(310)는 솔레노이드 또는 리니어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를 사용하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작동봉(311)이 전진한 상태로 유지되고, 전원이 인가되면 작동봉(311)이 후퇴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장감시수단(100)에 필요한 전원과 고장표시수단(200)에 필요한 전원은 하나의 충전배터리로 구성할 수도 있으나, 고정감시수단(100)과 고장표시수단(200)을 감지센서부(11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요소를 독립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어느 고장감시수단(100)과 고장표시수단(200) 중 어느 한 수단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수단은 정상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서 고장감시수단(100)과 고장표시수단(200)을 구성하는 부품간의 전기적 연결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상용전류 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의 고장감시 및 고장표시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특고압 전류 배전선로(10)의 송전과 상용전류 배전선로(20)의 배전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는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111, 112, 113, 114)로부터 고장감지신호가 출력되지 않으므로 고장감시수단(100)의 감시제어부(130)와 표시제어부(230)에는 고장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메모리부(120)와 감시제어부(130) 및 통신부(140)를 통한 고장데이터가 원격감시서버(150)에는 송출되지 않는다.
한편, 고장표시수단(200)의 표시제어부(130)에도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111, 112, 113, 114)로부터 고장감지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램프판회동수단(30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10)에 대한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작동봉(311)은 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작동봉(311)에 연결편(320), 연결레버(330) 및 연결핀(340)으로 연결된 램프판(255)은 수직상태에서 후면이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도 1, 도 2 및 도 6 참조).
이 상태에서는 전주(10)의 높이와 고장표시수단(100)의 설치 높이를 감안하여 볼 때 지상에서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를 쉽게 확인할 수 없게 된다.
풍우나 햇빛 등의 원인으로 특고압 전류 배전선로(10)의 특고압 전류 배전선(23), 제1 인하선(41), 제2 인하선(42) 또는 상용전류 배전선(33)에 고장이 발생하면, 제1 감지센서(111), 제2 감지센서(112), 제3 감지센서(113) 또는 제4 감지센서(114)가 고장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 고장감지신호는 감시제어부(130)에 입력되며, 감시제어부(130)는 감지센서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20)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저장명령을 송출하고, 통신부(140)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송출명령을 출력한다.
통신부(140)는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송출명령에 따라 안테나(141)를 통해 원격감시서버(150)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송출하고, 원격감시서버(150)는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입력받아 고장상황을 확인함과 아울러 고장복구를 위한 복구담당자에게 송출하여 복구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고장표시수단(200)의 표시제어부(230)는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111, 112, 113, 114)의 고장감지신호와 메모리부(220)에 저장된 데이터에 따라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의 점등명령을 출력하게 되고, 램프구동부(240)는 표시제어부(230)의 점등명령에 따라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를 점등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는 지속적으로 점등되도록 하거나 점멸식으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고장표시수단(200)의 리니어액튜에이터(310)에 충전배터리(280)의 전원이 인가되고, 작동봉(311)이 후퇴하게 되며, 작동봉(311)에 연결편(320), 연결레버(330) 및 연결핀(340)으로 연결된 램프판(255)이 반시계방향(도 6 및 도 7 참조)으로 회동하여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된다(도 3, 도 4 및 도 7 참조).
이 상태에서 램프판(255)이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고 있으므로 현장순찰자 또는 수용가가 지상에서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가 설치된 램프판(255)이 지면으로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해당 전주의 밑에서 올려다 볼 경우는 물론 길 건너편에서 볼 경우에도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111, 112, 113, 114)의 고장감지신호는 각각 특고압 전류 배전선(23), 제1 인하선(41), 제2 인하선(42) 및 상용전류 배전선(33)에 대한 신호이므로 현장순찰자는 제1 내지 제4 램프(111, 112, 113, 114) 중 어느 램프가 점등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에 의하여 특고압 전류 배전선(23), 제1 인하선(41), 제2 인하선(42) 및 상용전류 배전선(33) 중 어떠한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즉각적으로 확인하고,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고장에 대한 조치가 완료되면, 다시 정상적인 송전 및 배전 상태로 복귀하여 고장감시수단(100)에 의한 고장데이터 송출이 중단되고, 고장표시수단(200)에 의한 고장표시가 중단된다.
또한 고장표시수단(200)의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가 소등되고, 리니어액튜에이터(310)에는 전원이 차단되어 다시 램프판(255)이 수직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용전류 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에 의하면, 특고압 전류 배전선(23), 제1 인하선(41), 제2 인하선(42) 및 상용전류 배전선(33) 중 어느 하나 또는 그 이상에서 고장이 발생할 경우, 고장감시수단(100)에 의하여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원격감시서버(150)에 송출하여 조치를 취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고장표시수단(200)의 제1 내지 제4 램프(251, 252, 253, 254)를 점등시킴과 아울러 램프판(255)을 지면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로 유지되게 함으로써 현장순찰자 및 수용가로 하여금 고장을 확인할 수 있게 하며, 특히 특고압 전류 배전선(23), 제1 인하선(41), 제2 인하선(42) 및 상용전류 배전선(33) 중 어느 부분에서 고장이 발생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어 신속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장순찰자가 현장에서 일견하여 고장상황을 확인할 수 있으며, 정전된 주변의 수용가로서는 정전의 원인을 인지할 수 있어 정전에 대응할 수 있어 생활의 편의를 줄 수 있고, 고장신호를 송출하는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여 고장신호의 송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도 전력회사의 순찰자 또는 주변의 수용가가 고장상황을 관리센터에 신고하여 관리센터로 하여금 고장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는 제1 인하선(41)과 제2 인하선(42),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24) 및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34)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수단(4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지지수단(400)은 상기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원통형 본체(410)와, 상기 원통형 본체(410)의 외주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와, 상기 원통형 본체(41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와, 상기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의 선단부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부에 제1 인하선(41)과 제2 인하선(42)을 고정하는 인하선고정구(441)가 구비된 인하선고정암(440)과, 상기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와 인하선고정암(440)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완충실린더(450)와, 상기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의 선단부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부에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24)과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34)을 고정하는 점프선고정구(461)가 구비된 점프선고정암(460) 및, 상기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와 점프선고정암(460)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완충실린더(4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통형 본체(410)는 전주(10)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반원통형 분할본체(411, 412)로 구성하고, 이를 볼트/너트에 의하여 조이는 것에 의하여 전주(10)의 외주면에 조여져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원통형 분할본체(411, 412)와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 사이에는 서로 이격되어 조임여유를 부여하기 위한 절곡부(421)가 형성되어 절곡부(421)를 관통하는 조임볼트(422)와 이에 체결되는 조임너트(423)에 의하여 조이는 것에 의하여 반원통형 분할본체(411, 412)가 전주(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인하선고정암(440)은 내측단에 형성된 힌지편(442)을 힌지핀(443)에 의하여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점프선고정암(460)은 내측단에 형성된 힌지편(462)을 힌지핀(463)에 의하여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힌지핀(463)은 도시예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핀과 이탈방지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점프선고정암(460)은 원통형 본체(410)의 설치위치와 점프선(24, 34)의 위치에 따라서 상향 절곡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인하선고정암(440)에 형성된 인하선고정구(441)와 점프선고정암(460)에 형성된 점프선고정구(461)는 도시예에서는 단순히 제1 및 제2 인하선(41, 42)과 점프선(24, 34)이 삽입되는 원통형으로 형성한 예를 들고 있으나, 상하로 분리된 하프파이프 형태로 형성하고 볼트와 너트에 의하여 조일 수 있는 클램프 형태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완충실린더(450, 460)는 실린더와 피스톤 및 로드로 구성되고 실린더의 내부에 완충오일 또는 완충가스가 충전된 통상적인 완충실린더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완충실린더(450)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힌지편(451)을 힌지핀(452)에 의하여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와 인하선고정암(440) 사이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완충실린더(470)는 상단과 하단에 각각 형성된 힌지편(471)을 힌지핀(472)에 의하여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와 점프선고정암(460) 사이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와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의 바깥쪽 단부의 상하단부에는 상기 힌지핀(452, 472)이 끼워지는 힌지편(424, 431)이 형성된다.
상기 힌지핀(443, 463, 452, 472)은 도시예와 같이 볼트와 너트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핀과 이탈방지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블지지수단(400)은 원통형 본체(410)를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1 인하선(41)과 제2 인하선(42)은 인하선고정암(440)의 인하선고정구(441)에 고정하고,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24)과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34)은 점프선고정암(460)의 점프선고정구(461)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및 제2 인하선(41, 42)과 점프선(24, 34)을 바람의 영향에 대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특히 점프선(24, 34)은 점프선고정구(461)와 점프선고정암(460)에 의하여 정확히 중간부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점프선(24, 34)을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인하선고정암(440)과 점프선고정암(460)은 완충실린더(450, 470)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완충작용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으로 인하선(41, 42)과 점프선(24, 34)의 장력이 변화하거나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완충실린더(450, 470)에 의하여 진동을 흡수하여 인하선(41, 42)과 점프선(24, 34)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10 : 전주 20 : 특고압 전류 배전선로
21 : 특고압용 완철 22 : 애자
23 : 특고압 전류 배전선 24 :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
30 : 상용전류 배전선로 31 : 상용전류용 완철
32 : 애자 33 : 상용전류 배전선
34 :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 40 : 주상변압기
41 : 제1 인하선 42 : 제2 인하선
100 : 고장감시수단 110 : 감지센서부
111, 112, 113, 114 : 제1 내지 제4 감지센서
120 : 메모리부 130 : 감시제어부
140 : 통신부 141 : 안테나
150 : 원격감시서버 160 : 제1 컨트롤박스
161 : 제1 컨트롤박스 본체 162 : 제1 컨트롤박스 도어
163 : 경첩 164 : 잠금편
165 : 자물쇠 166 : 고정밴드
167 : 어댑터판 170 : 회로기판
180 : 충전배터리 190 : 충전회로
200 : 고장표시수단 220 : 메모리부
230 : 표시제어부 240 : 램프구동부
250 : 램프부 251, 252, 253, 254 : 제1 내지 제4 램프
255 : 램프판 260 : 제2 컨트롤박스
261 : 제2 컨트롤박스 본체 262 : 제2 컨트롤박스 커버
263 : 고정편 264 : 경첩
270 : 회로기판 280 : 충전배터리
290 : 충전회로 300 : 램프판회동수단
310 : 리니어액튜에이터 311 : 작동봉
320 : 연결편 321 : 연결장공
330 : 연결레버 331 : 연결공
340 : 연결핀 400 : 케이블지지수단
410 : 원통형 본체 420 :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
430 :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
440 : 인하선고정암 460 : 점프선고정암
450, 470 : 완충실린더

Claims (1)

  1. 전주(10)에 고정되는 특고압용 완철(21)과, 상기 특고압용 완철(21)에 애자(22)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23)과, 양측 특고압 전류 배전선(23)을 연결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24)을 포함하는 특고압 전류 배전선로(20)와, 상기 전주(10)에 고정되는 상용전류용 완철(31)과, 상기 상용전류용 완철(31)에 애자(32)를 통해 절연상태로 지지되는 상용전류 배전선(33)과, 양측 상용전류 배전선(33)을 연결하는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34)을 포함하는 상용전류 배전선로(30) 및, 전주(10)에 설치되며 입력단이 상기 특고압 전류 배전선(23)에 제1 인하선(41)에 연결되고 출력단이 상기 상용전류 배전선(33)에 연결되는 주상변압기(40)의 고장을 감시하는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로서,
    상기 특고압 전류 배전선(23)에 설치되는 제1 감지센서(111)와, 특고압 전류 배전선(23)과 주상변압기(40)의 입력단을 연결하는 제1 인하선(41)에 설치되는 제2 감지센서(112)와, 주상변압기(40)의 출력단과 상용전류 배전선(33)을 연결하는 제2 인하선(42)에 설치되는 제3 감지센서(113) 및, 상용전류 배전선(33)에 설치되는 제4 감지센서(114)를 포함하는 감지센서부(110)와, 각 전주(10)마다 부여된 고유번호인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20)와, 상기 감지센서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부(120)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저장명령을 송출하고, 통신부(140)에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의 송출명령을 출력하는 감시제어부(130)와, 상기 감시제어부(130)의 송출명령에 따라 전주번호와 고장데이터를 원격감시서버(150)로 송출하는 통신부(140)를 포함하는 고장감시수단(100)과;
    상기 고장감시수단(100)의 감지센서부(110)를 공용으로 하며, 고장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20)와, 상기 감지센서부(110)의 감지신호에 따라 메모리부(220)에 대한 고장데이터의 저장명령과 램프구동명령을 출력하는 표시제어부(230)와, 상기 표시제어부(230)의 램프구동명령에 따라 램프부(250)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램프구동부(240)를 포함하는 고장표시수단(200); 을 포함하며,
    상기 고장감시수단(100)을 구성하는 메모리부(120)와 감시제어부(130) 및 통신부(140)는 하나의 회로기판(170)에 설치하여 전주(10)에 고정되는 제1 컨트롤박스(160) 내에 회로기판(17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컨트롤박스(160)에 설치하고, 상기 제1 컨트롤박스(160)의 내부에는 메모리부(120), 감시제어부(130) 및 통신부(1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180)가 내장되며, 회로기판(170)에는 충전회로(190)를 설치하고,
    상기 제1 컨트롤박스(160)는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와,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컨트롤박스 도어(162)를 포함하며,
    상기 램프부(250)는 상기 특고압 전류 배전선(23)에 설치된 제1 감지센서(111)에 대응하는 제1 램프(251)와, 상기 제1 인하선(41)에 설치된 제2 감지센서(112)에 대응하는 제2 램프(252)와, 상기 제2 인하선(42)에 설치된 제3 감지센서(113)에 대응하는 제3 램프(253) 및, 상기 상용전류 배전선(33)에 설치된 제4 감지센서(114)에 대응하는 제4 램프(254)로 구성되며,
    상기 고장표시수단(200)을 구성하는 메모리부(220)와 표시제어부(230) 및 램프구동부(240)는 하나의 회로기판(270)에 설치하여 전주(10)에 고정되는 제2 컨트롤박스(260) 내에 회로기판(270)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2 컨트롤박스(260)에 설치하고, 상기 제2 컨트롤박스(260)의 내부에는 메모리부(220), 표시제어부(230) 및 램프구동부(24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배터리(280)가 내장되며, 회로기판(270)에는 충전회로(290)를 설치하며,
    상기 제2 컨트롤박스(260)는 상용전류용 완철(31)의 일단에 고정되는 제2 컨트롤박스 본체(261)와, 상기 제2 컨트롤박스 본체(261)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램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램프는 램프판(255)에 장착되며, 상기 램프판(255)은 상기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의 하단과 램프판(255)의 하단에 고정된 경첩(264)에 의하여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에 대하여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램프판(255)은 램프판회동수단(300)에 의하여 수직을 이루며 후면이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의 전면에 밀착되는 정상상태와 제2 컨트롤박스 커버(262)의 전면에 이격되며 하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의 고장표시상태로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램프판회동수단(300)은 상기 제1 컨트롤박스 본체(161)의 하면에 고정되며 전후방향으로 작동하는 작동봉(311)을 가지는 리니어액튜에이터(310)와, 상기 작동봉(311)의 선단부에 결합되며 상하로 길게 형성되는 연결장공(321)이 구비된 연결편(320)과, 상기 램프판(255)의 하면에 하향 돌출되게 설치되며 연결공(331)이 구비된 연결레버(330)와, 상기 연결편(320)의 연결장공(321)과 연결레버(330)의 연결공(331)에 삽입되는 연결핀(34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인하선(41)과 제2 인하선(42),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24) 및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34)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수단(4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지지수단(400)은 상기 전주(1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원통형 본체(410)와, 상기 원통형 본체(410)의 외주면에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와, 상기 원통형 본체(410)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와, 상기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의 선단부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부에 제1 인하선(41)과 제2 인하선(42)을 고정하는 인하선고정구(441)가 구비된 인하선고정암(440)과, 상기 전후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20)와 인하선고정암(440)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완충실린더(450)와, 상기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의 선단부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선단부에 특고압 전류 배전 점프선(24)과 상용전류 배전 점프선(34)을 고정하는 점프선고정구(461)가 구비된 점프선고정암(460) 및, 상기 좌우방향 방사상 플레이트(430)와 점프선고정암(460) 사이에 연결설치되는 완충실린더(4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20160000356A 2016-01-04 2016-01-04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6429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56A KR101642982B1 (ko) 2016-01-04 2016-01-04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356A KR101642982B1 (ko) 2016-01-04 2016-01-04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982B1 true KR101642982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356A KR101642982B1 (ko) 2016-01-04 2016-01-04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98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4325B1 (ko) 2017-05-08 2017-08-14 우성기업(주)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 시스템
KR101799036B1 (ko) 2017-03-30 2017-12-20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893076B1 (ko) * 2017-03-31 2018-08-29 (주)혜광 특고압 배전선로의 경완금 구조
KR102171047B1 (ko) 2020-06-05 2020-10-28 주식회사 상신 특고압 배전선로의 케이블 고정지지 시스템
KR102332300B1 (ko) 2021-05-10 2021-12-01 육지영 특고압 배전선로 전신주
CN113866567A (zh) * 2021-10-27 2021-12-31 上海锐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故障预警快速定位系统
KR102490270B1 (ko) 2021-12-20 2023-01-20 김호이앤씨(주)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고정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12-18 (주)협동전기감리단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1343520B1 (ko) 2013-10-21 2013-12-20 공은옥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12-18 (주)협동전기감리단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1343520B1 (ko) 2013-10-21 2013-12-20 공은옥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9036B1 (ko) 2017-03-30 2017-12-20 주식회사 전진이엔지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893076B1 (ko) * 2017-03-31 2018-08-29 (주)혜광 특고압 배전선로의 경완금 구조
KR101764325B1 (ko) 2017-05-08 2017-08-14 우성기업(주)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 시스템
KR102171047B1 (ko) 2020-06-05 2020-10-28 주식회사 상신 특고압 배전선로의 케이블 고정지지 시스템
KR102332300B1 (ko) 2021-05-10 2021-12-01 육지영 특고압 배전선로 전신주
CN113866567A (zh) * 2021-10-27 2021-12-31 上海锐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故障预警快速定位系统
CN113866567B (zh) * 2021-10-27 2024-01-26 上海锐测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电缆故障预警快速定位系统
KR102490270B1 (ko) 2021-12-20 2023-01-20 김호이앤씨(주)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고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982B1 (ko)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626141B1 (ko) 가공배전선로의 고장 감시 장치
KR101764325B1 (ko) 배전선로의 고장지점 탐지 시스템
KR102402793B1 (ko) 고전압 배선선로용 온도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KR101612747B1 (ko) 배전선로의 접지 공법 시스템
KR100943428B1 (ko) 배전선 지지용 절연애자
KR101943372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차단 장치
CN102354928A (zh) 架空线路故障指示器安装工具
KR101028142B1 (ko) 지중 매설용 송전선로의 전선연결대
WO2016156309A1 (en) Energy supply system with power meter and selective load shedding
KR101802502B1 (ko) 배전선로의 고장구간선로 감시장치
KR101395091B1 (ko)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KR100960153B1 (ko) 특고압 송전용 가공선 고정애자
KR20120004286U (ko) 전차선의 접지 및 급전경보장치를 구비하는 클램프
CN207396742U (zh) 一种气体绝缘开关设备gis设备北斗安全监测系统
CN202712107U (zh) 跌落式熔断器
WO2015135939A1 (en) Electrical sensor
KR101713311B1 (ko) 구간 배전선로 차단 장치
KR101124616B1 (ko) 전신주에 설치되는 가공전선 지지용 완금
CN106356790A (zh) 一种无线电能传输系统安装装置
CN202134398U (zh) Gis外置式电流互感器
KR100861915B1 (ko) 계기용 변성기가 외부 설치된 수전반을 구비한 수변전 장치
CN102538498A (zh) 窑炉断辊位置检测装置
CN210838741U (zh) 一种输变电设备绝缘支架
KR101544186B1 (ko) 특고압 전용 변전처리를 위한 변전소의 내설 케이블 안착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