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091B1 -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091B1
KR101395091B1 KR1020130081404A KR20130081404A KR101395091B1 KR 101395091 B1 KR101395091 B1 KR 101395091B1 KR 1020130081404 A KR1020130081404 A KR 1020130081404A KR 20130081404 A KR20130081404 A KR 20130081404A KR 101395091 B1 KR101395091 B1 KR 1013950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erminal
horizontal hole
vertical femal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1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재성
Original Assignee
(주)월드라이팅
조병운
이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월드라이팅, 조병운, 이웅주 filed Critical (주)월드라이팅
Priority to KR1020130081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0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 H01R9/24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 H01R9/243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components with built-in switc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을 개시한다. 길이방향으로 제1 수평홀이 형성되고, 일단부의 상측에 상기 제1 수평홀과 연결되는 제1 수직 암나사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2 수직 암나사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입력단자와, 제1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상기 제1 수평홀의 일단으로 삽입된 입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1 고정나사를 구비한 입력단자부, 길이방향으로 제2 수평홀이 형성되고, 제2 수평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제4 수직 암나사가 형성되고, 제4 수직 암나사와 인접한 제2 수평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5 수직 암나사가 형성된 입력단자보다 긴 막대형상의 출력단자와, 제4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제2 수평홀의 일단으로 삽입된 출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2 고정나사와, 제5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제2 수평홀의 타단으로 삽입된 부하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3 고정나사를 구비한 출력단자부 및 일단부가 상기 입력단자의 제2 수직 암나사와 치합되고, 타단부가 출력단자의 상측에 접속되는 접속나사가 구비된 단위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Cable access terminal strip and street light access case thereof}
본 발명은 케이블 접속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로등을 제어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가로등이나 신호등과 같은 가로시설물은 제어를 위하여 주변에 제어함이 설치되는데, 통상의 형태는 지주와 지주 상단에 케이스 형태의 제어함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함의 내부에는 계량기, 점멸기, 차단기 등 각종 전기 및 전자 기기들이 설치되며, 지면에 고정되는 지주의 내부로부터 전원선이 제어함의 내부로 입력되어 전기 및 전자 기기(통상 계량기에 먼저 연결됨)에 연결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종래 제어함의 중요한 문제점의 하나는 차량이 충돌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여 지주를 포함한 제어함 전체가 쓰러지거나 상부의 제어함이 지주로부터 분리 또는 절곡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때, 전기 및 전자 기기에 물려 있던 전원 선이 분리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면 끝단의 피복을 벗겨져 계량기에 물려 두었던 전원선의 끝단이 전기 및 전자 기기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가로등이 고장이 나면 다음 가로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밖에 가로등용 전주는 하측 내부에 가로등 제어함으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입력측 전선과 가로등용 전주의 하측에서 상측 가로등으로 연결된 부하측 전선 및 다른 가로등에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연결 전선의 단부 피복을 벗긴 후, 이들 전선의 단부를 서로 꼬아 결합되도록 하여 결선할 수 있다. 또한 결선된 부위는 절연 테이프를 감아서 절연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가로등용 전주는 부하측 전선이나 입력측 전선 중 어느 한 전선에 누전 차단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에 의하여 전원이 입력측 전선을 통하여 출력측 전선으로 인가되어 가로등을 점등시킴은 물론, 연결전선을 통하여 다른 가로등을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며, 인가되는 전류나 전선에 이상이 있을 경우, 누전 차단기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방식은 절연상태가 불량하고, 점검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결선 부위를 절연 테이프로 감아 절연하였으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절연 테이프의 경년 변화, 침수, 결로 현상 및 빗물침투에 의하여 결선 부위에서 절연 테이프가 벗겨져 절연이 파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기적 접속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관리를 위하여 절연 저항을 측정할 때, 절연 테이프를 벗겨낸 상태에서 케이블 접속을 분리한 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를 하는데 있어서도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가로등용 접속 단자대를 개선해야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로등의 상시등 및 격등 제어를 케이블 접속 단자대의 연결과 분리를 통하여 용이하게 하고, 절체 스위치를 내장시켜 유지관리 및 보수를 원활하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기존 방식의 케이블 끝단결선을 마감할 경우, 절연체가 벗겨져서 생길 수 있는 누전사고를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하여 높은 내구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는 길이방향으로 제1 수평홀이 형성되고, 일단부의 상측에 상기 제1 수평홀과 연결되는 제1 수직 암나사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2 수직 암나사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상기 제1 수평홀의 일단으로 삽입된 입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1 고정나사를 구비한 입력단자부, 길이방향으로 제2 수평홀이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자의 제2 수직 암나사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측에 제3 수직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수직 암나사와 인접한 부분의 상측에 상기 제2 수평홀과 연결되도록 제4 수직 암나사가 형성되고, 타단부의 상측에 상기 제2 수평홀과 연결되는 제5 수직 암나사가 형성된 상기 입력단자보다 긴 막대형상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4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상기 제2 수평홀의 일단으로 삽입된 출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2 고정나사와, 상기 제5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상기 제2 수평홀의 타단으로 삽입된 부하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3 고정나사를 구비한 출력단자부 및 양 단부가 상기 입력단자의 제2 수직 암나사와 상기 출력단자의 제3 수직 암나사에 각각 치합되는 접속나사가 구비된 단위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접속나사는 Cu, Au, Ag, Al 및 상기 금속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나사, 상기 제2 고정나사, 상기 제3 고정나사 및 상기 접속 나사는 상면에 조여주거나 풀어주기 위해 드라이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4개의 단위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단위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베이스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입력단자가 삽입되는 제1 수평공, 상기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제2 수평공, 상기 제1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1 수직공, 상기 접속나사가 삽입되는 제2 수직공, 상기 제2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3 수직공 및 상기 제3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4 수직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몸체는 고전압 및 고전류가 다른 구성 요소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은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에 삽입된 입력 케이블 중 2개에는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고, 나머지 2개에는 격등의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의 출력 단자부에 삽입된 부하 케이블 및 안전기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절체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체 스위치는,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의 출력 단자부에 삽입된 부하 케이블 중 상기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부하 케이블의 접점 및 상기 격등의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부하 케이블의 접점 사이를 토글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는 나머지 부하 케이블의 접점 및 상기 격등의 전류가 흐르는 나머지 부하 케이블의 접점 사이를 토글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른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에 의하면, 가로등의 상시등 및 격등 제어를 케이블 접속 단자대의 연결과 분리를 통하여 용이하게 하고, 절체 스위치를 내장시켜 유지관리 및 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방식의 케이블 끝단결선을 마감할 경우, 절연체가 벗겨져서 생길 수 있는 누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접속 단자대가 막대형 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되어 높은 내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의 일단 측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의 구동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접속단자의 연결 접속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접속단자의 연결 분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변형예에 따른 단위 접속단자의 연결 접속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변형예에 따른 단위 접속단자의 연결 분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몸체의 일단 측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의 내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에 설치된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의 연결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당업자에게 자명하거나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접속” 또는 “연결”을 언급할 때에는 상기 표현들이 서로 동일하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은 입출력 케이블 삽입구(8구)(510), 케이스 (520), 케이블 접속 단자대 뚜껑(530), 누전 차단기(ELB: Earth Leakage Breaker)(540), 케이스 뚜껑(550), 전원표시 램프(560), 고장표시 램프(570), 절체 스위치(580) 및 2차 부하 케이블 삽입구(5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케이블 삽입구(510)는 4구의 입력구 및 4구의 출력구로 분류될 수 있고, 4구의 상시등구 및 4구의 격등구로 분류될 수 있다. 입출력 케이블 삽입구(510)는 고무재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방수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케이스(520)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내부 부속품들을 외부의 환경 및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520)는 절연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방수 기능 및 밀폐 기능이 있을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 뚜껑(530)은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덮고 있는 뚜껑으로써, 개폐가 가능하여 케이블 접속 단자대만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ELB(540)는 누전차단기로써,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누전피해를 막아줄 수 있다.
케이스 뚜껑(550)은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을 덮고 있는 뚜껑으로써, 개폐가 가능하여 만약 케이스 뚜껑(550)을 개방 시에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전체 구성 요소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전원표시 램프(560)는 전원표시를 할 수 있고, 고장표시 램프(570)는 안정기 및 전등 램프 고장을 확인할 수 있다.
절체 스위치(580)는 가로등의 상시등 또는 격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절체 스위치(580)는 토글(toggle) 스위치 같은 모든 절체 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2차 부하 케이블 삽입구(590)는 2차 부하로 나가는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이다. 2차 부하는 가로등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의 일단 측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은 4개의 입력구(610, 620, 630, 640) 및 4구의 출력구(650, 660, 670, 680)로 분류될 수 있고, 4개의 상시등구(630, 640, 670, 680) 및 4개의 격등구(610, 620, 650, 660)로 분류될 수 있다.
상시등구(630, 640) 및 격등구(610, 620)는 입력구일 수 있다. 입력구(610, 620, 630, 640)는 입력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상시등구(670, 680) 및 격등구(660, 650)는 출력구일 수 있다. 출력구(650, 660, 670, 680)는 출력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입력구(610, 620, 630, 640)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의 입력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출력구(650, 660, 670, 680)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의 출력단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의 구동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구동은 입력구(610, 620, 630, 640)에 삽입된 입력 케이블로 들어오는 전류를 입력 받아서 제1 제어(710) 및 제2 제어(720)를 통해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은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포함할 수 있고, 케이블 접속 단자대는 4개의 단위 접속 단자가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4개의 단위 접속단자는 입력구(610, 620, 630, 64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4개의 단위 접속단자는 입력구(610, 620, 630, 640)로 삽입되는 입력 케이블 중 두 개에는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고, 나머지 두 개에는 격등의 전류가 흐를 수 있다.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구동 회로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이용하는 제1 제어(710)와 절체 스위치(580)를 이용하는 제2 제어(7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이 가로등을 켜기 위해서는 제1 제어(710)와 제2 제어(720)의 선택이 상시등 및 격등 중 하나로 동일해야 하며, 만약 제1 제어(710) 또는 제2 제어(720)가 서로 다른 선택을 할 경우 가로등은 켜지지 않는다.
가로등이 상시등일 때, 입력구(630, 640)로 삽입된 케이블의 전류가 상시등 입력이 될 수 있다. 가로등이 격등일 때, 입력구(610, 620)로 삽입된 케이블의 전류가 격등 입력이 될 수 있다. 상시등 입력 및 격등 입력은 제1 제어(710)의 접점(711, 712, 713, 714)으로 전송될 수 있다. 입력구(610, 620, 630, 640)와 제1 제어(710)의 접점(711, 712, 713, 714) 사이는 입력 케이블일 수 있다.
제1 제어(710)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의 구조를 회로로 나타낸 것일 수 있다. 제1 제어(710)의 접점(711, 712, 713, 714)은 접속나사일 수 있다.
제1 제어(710)는 가로등이 상시등일 때, 적어도 접점(711, 712)을 연결하여, 전류를 제2 제어(720)의 접점(722, 726)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710)는 가로등이 격등일 때, 적어도 접점(713, 714)을 연결하여, 전류를 제2 제어(720)의 접점(723, 727)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제어(710)의 접점(711, 712, 713, 714)과 제2 제어(720)의 접점(722, 723, 726, 727) 사이는 제1 부하 케이블일 수 있다.
제1 제어(710)는 다음 순번의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으로 출력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상시등 출력은 접점(711, 712)으로 전송되는 전류를 출력구(670, 680)에 삽입된 케이블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격등 출력은 접점(713, 714)으로 전송되는 전류를 출력구(650, 660)에 삽입된 케이블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접점(711, 712, 713, 714)와 출력구(650, 660, 670, 680) 사이는 출력 케이블일 수 있다.
제2 제어(720)는 제1 부하 케이블 및 안전기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절체 스위치(580)일 수 있다. 제2 제어(720)는 제1 스위치(721) 및 제2 스위치(7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제어(720)의 제1 스위치(721)는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는 접점(722)과 격등의 전류가 흐르는 접점(723) 사이를 토글하는 스위치이다. 제2 제어(720)의 제2 스위치(725)는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는 접점(726)과 격등의 전류가 흐르는 접점(727) 사이를 토글하는 스위치이다.
제1 스위치(721)의 일단은 접점(722, 723)이고, 타단은 접점(724)이다. 제2 스위치(725)의 일단은 접점(726, 727)이고, 타단은 접점(728)이다. 접점(724) 및 접점(728)은 토글을 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접점(724)의 스위치 및 접점(728)의 스위치는 동일한 구동한다. 예를 들면, 접점(724)의 스위치가 상시등으로 토글되면, 접점(728)의 스위치도 상시등으로 토글된다. 또한 접점(724)의 스위치가 격등으로 토글되면, 접점(728)의 스위치도 격등으로 토글된다.
제2 제어(720)는 상시등 및 격등을 선택할 수 있다. 제2 제어(720)는 선택된 결과를 토대로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가로등은 부하측 단자(770)일 수 있다.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이 제1 제어 및 제2 제어를 문제없이 수행하고 가로등을 켤 경우, 전원표시 램프(730)은 불이 켜질 수 있고, ELB(740), 고장표시 회로(750) 및 고장표시 램프(760)는 작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이 가로등을 켜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긴다면 ELB(540)가 작동하여 전원을 차단하거나 고장표시 회로(750)가 동작하여 고장표시 램프(570)에 불이 켤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가로등의 상시등 및 격등을 선택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입력 케이블, 출력 케이블 및 1차 부하 케이블을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4개의 단위 접속단자(10a, 10b, 10c, 10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단위 접속단자(10a, 10b, 10c, 10d)를 4개의 병렬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단위 접속단자(10a, 10b, 10c, 10d)는 일정한 간격의 4줄로 배열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4개의 단위 접속단자에 삽입된 입력 케이블 중 두 개에는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고, 나머지 두 개에는 격등의 전류가 흐르며, 상시등의 전류 및 격등의 전류는 절체 스위치(580)를 통해 상시등 또는 격등으로 선택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교체 및 수리를 용의하게 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고장난 부분이 생기면, 고장난 부분만을 분리하여 교체를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수리를 하는데 있어서도 전류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단위 접속단자(10a)의 제1 고정나사(120)를 제1 수직 암나사(114)와 치합하지 않아서 입력 케이블과 입력단자(110)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단위 접속단자(10a)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위 접속단자(10b, 10c, 10d)의 제1 고정나사도 제1 수직 암나사와 치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 접속 단자대(10)에 고장이 생겨서 교체 또는 수리를 할 경우, 입력 케이블로 입력되는 전류를 차단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해줄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제2 고정나사(220)를 제4 수직 암나사(216)와 치합하지 않아서 출력 케이블과 출력단자(210)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단위 접속단자(10a)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위 접속단자(10b, 10c, 10d)의 제2 고정나사도 제4 수직 암나사와 치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음 순번의 가로등에 문제가 생겼을 경우, 출력 케이블로 전류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제3 고정나사(230)를 제5 수직 암나사(218)와 치합하지 않아서 제1 부하 케이블과 출력단자(210)를 연결하지 않을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단위 접속단자(10a)와 동일한 방법으로 단위 접속단자(10b, 10c, 10d)의 제3 고정나사도 제5 수직 암나사와 치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ELB(540), 전원표시 램프(560), 고장표시 램프(570) 및 절체 스위치(580) 중 적어도 하나가 고장이 났을 경우, 제1 부하 케이블을 분리하여 부하단으로 전류를 보내지 않을 수 있다.
하기는 단위 접속단자(10a)의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이다.
단위 접속단자(10a)는 전류를 입력받고 출력할 수 있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의 최소 단위일 수 있다. 단위 접속단자(10a)는 전류를 전송하기 위해 전도성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위 접속단자(10a)는 입력 단자부(100), 출력 단자부(200) 및 접속나사(30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단자부(100)는 입력 케이블이 삽입되어서 전류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입력 단자부(100)는 입력단자(110) 및 제1 고정나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자(110)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입력구(61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입력단자(110)는 입력구(610)로 들어오는 입력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다. 입력단자(110)은 막대형상의 전도성 물체일 수 있다. 또한 입력단자(110)은 제1 수평홀, 제1 수직 암나사 및 제2 수직 암나사(1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홀은 입력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고, 제1 수직 암나사는 제1 고정나사(120)가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는 구멍이며, 제2 수직 암나사(116)는 접속 나사(300)가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는 구멍이다.
제1 고정나사(120)는 제1 수평홀을 통해 삽입되는 입력 케이블이 입력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고정시켜주는 나사이다.
출력 단자부(200)는 출력 케이블 및 제1 부하 케이블이 삽입되어서 전류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단자부(200)는 출력단자(210) 및 제3 고정나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단자(210)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출력구(65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출력단자(210)는 출력구(650)로 들어오는 출력 케이블을 삽입할 수 있다. 출력단자(210)는 입력단자(110)보다 긴 막대형상의 전도성 물체일 수 있다. 또한 출력단자(210)는 제2 수평홀(212), 제3 수직 암나사, 제4 수직 암나사 및 제5 수직 암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평홀(212)은 출력 케이블 및 1차 부하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고, 제3 수직 암나사는 접속나사(300)가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는 구멍이다. 제4 수직 암나사는 제2 고정나사(220)가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는 구멍이고, 제5 수직 암나사는 제4 고정나사(230)가 나사산을 따라 삽입되는 구멍이다.
제2 고정나사(220)는 제2 수평홀의 일단을 통해 삽입되는 출력 케이블이 출력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고정시켜주는 나사이고, 제3 고정나사(230)는 제2 수평홀의 타단을 통해 삽입되는 1차 부하 케이블이 출력단자와 접속될 수 있게 고정시켜주는 나사이다.
제1 고정나사(120), 제2 고정나사(220), 제3 고정나사(230) 및 접속나사(300)는 상면에 조여주거나 풀어주기 위해 드라이버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드라이버 홈은 도면에서 나타낸 + 모양에 국한되지 않고, -, 별모양 및 육각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 단위 접속단자(10b, 10c, 10d)는 단위 접속단자(10a)의 구조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또한 단위 접속단자(10b, 10c, 10d)는 단위 접속단자(10a)가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입력구(610)와 출력구(650)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것과 동일하게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입력구(620, 630, 640)와 출력구(660, 670, 680)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접속단자의 연결 접속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접속단자의 연결 분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단위 접속단자(10a)는 전류를 입력받고 출력할 수 있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의 최소 단위일 수 있다. 단위 접속단자(10a)는 전류를 전송하기 위해 전도성 물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단위 접속단자(10a)를 접속나사(300)가 연결하여 입력 단자부(100)와 출력 단자부(200)를 접속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연결이 접속된 단위 접속단자(10a)는 입력 케이블(A)로 입력되는 전류를 출력 케이블(B) 및 제1 부하 케이블(C)에 전송할 수 있다. 단위 접속단자(10a)가 접속을 하기 위해, 접속나사(300)는 제2 수직 암나사(116)의 나사산을 따라 조여지고, 출력 단자(210)의 상측에 접속될 때까지 조여질 수 있다. 또한 접속나사(300)는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일 수 있다.
도 6은 단위 접속단자(10a)가 입력 단자부(100)와 출력 단자부(200)를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연결이 분리된 단위 접속단자(10a)는 접속나사(300)가 치합되지 않을 수 있다. 연결이 분리된 단위 접속단자(10a)는 입력 케이블(A)에서 입력되는 전류를 출력 케이블(B) 및 제1 부하 케이블(C)에 전송할 수 없다. 단위 접속단자(10a)가 접속하지 않기 위해, 접속나사(300)는 제2 수직 암나사(116)의 나사산을 따라 조여지지 않을 수 있다. 접속나사(300)가 입력 단자부(100)와 출력 단자부(200)를 접속시키지 않으면, 입력되는 전류는 입력 단자부(100)에서만 전류가 전송되고 출력 단자부(200)로는 전송되지 않는다.
단위 접속단자(10a)는 입력 단자부(100), 출력 단자부(200) 및 접속나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단자부(100)는 입력단자(110), 제1 수평홀(112), 제1 수직 암나사(114), 제2 수직 암나사(116) 및 제1 고정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자(110)는 막대형상일 수 있다. 입력단자(110)는 길이방향으로 제1 수평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홀(112)는 입력단자(110)을 관통하지 않을 수 있다. 입력단자(110)는 일단부의 상측에 제1 수평홀(112)과 연결되는 제1 수직 암나사(114)가 형성될 수 있고, 타단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2 수직 암나사(116)가 형성될 수 있다. 입력단자(110)는 전류가 흐르는 전도체일 수 있다.
제1 고정나사(120)는 제1 수직 암나사(114)에 치합되고, 제1 수평홀(112)의 일단으로 삽입된 입력 케이블(A)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나사(120)는 입력 케이블(A)의 절연피복을 탈피 후, 동선을 서로 꼬아 연결 및 테이핑 처리 등의 업무를 하지 않아도 입력 케이블(A)를 고정시킬 수 있다.
만약 제1 고정나사(120)가 제1 수직 암나사(114)와 치합되지 않으면 일단으로 삽입된 입력 케이블(A)이 고정되지 않고 접지도 안될 수 있다. 제1 고정나사(120)와 입력 케이블(A)이 연결되지 않으면, 입력단자(110)는 입력 케이블(A)로부터 전류를 입력 받을 수 없다. 또한 입력단자(110)가 전류를 전송받지 못하면 출력 케이블(B) 및 제1 부하 케이블(C)도 전류를 전송받지 못 할 수 있다.
출력 단자부(200)는 출력단자(210), 제2 수평홀(212), 제4 수직 암나사(216), 제5 수직 암나사(218), 제2 고정나사(220) 및 제3 고정나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단자(210)는 입력단자(110)보다 긴 막대형상일 수 있다. 출력단자(210)는 길이방향으로 제2 수평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수평홀(212)는 출력단자(210)을 관통할 수 있다. 출력단자(210)는 제2 수평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제4 수직 암나사(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수직 암나사(216)는 입력단자(110)의 제2 수직 암나사(116)에 대응되는 위치의 출력단자(210)의 상측에 인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출력단자(210)는 제4 수직 암나사(216)와 인접한 제2 수평홀(212)의 상측에 제5 수직 암나사(218)가 형성될 수 있다. 제4 수직 암나사(216)는 입력단자(110)의 제2 수직 암나사(116)에 대응되는 위치와 제5 수직 암나사(218) 사이에 형성할 수 있다.
제2 고정나사(220)는 제4 수직 암나사(216)에 치합되어 제2 수평홀(212)의 일단으로 삽입된 출력 케이블(B)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나사(220)는 출력 케이블(B)의 절연피복을 탈피 후, 동선을 서로 꼬아 연결 및 테이핑 처리 등의 업무를 하지 않아도 출력 케이블(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고정나사(220)가 제4 수직 암나사(216)와 치합되지 않으면 일단으로 삽입된 출력 케이블(B)이 고정되지 않고 접지도 안될 수 있다. 제2 고정나사(220)와 출력 케이블(B)이 연결되지 않으면, 출력단자(210)는 출력 케이블(B)로 전류를 전송할 수 없다. 출력 케이블(B)이 전류를 전송받지 못하면 다음 순번의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에 대응되는 단위 접속단자부터 마지막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대응되는 단위 접속단자까지 전류를 전송받지 못 할 수 있다.
제3 고정나사(230)는 제5 수직 암나사(218)에 치합되어 제2 수평홀(212)의 타단으로 삽입된 제1 부하 케이블(C)을 고정할 수 있다. 제3 고정나사(230)는 부하 케이블(C)의 절연피복을 탈피 후, 동선을 서로 꼬아 연결 및 테이핑 처리 등의 업무를 하지 않아도 부하 케이블(C)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3 고정나사(230)가 제5 수직 암나사(217)와 치합되지 않으면 일단으로 삽입된 제1 부하 케이블(C)이 고정되지 않고 접지도 안될 수 있다. 제3 고정나사(230)와 제1 부하 케이블(C)이 연결되지 않으면, 출력단자(210)는 제1 부하 케이블(C)로 전류를 전송할 수 없다. 제1 부하 케이블(C)이 전류를 전송받지 못하면 제2 부하 케이블로 전류를 전송하지 못 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단위 접속단자(10a)에 국한되지 않고, 단위 접속단자(10b, 10c, 10d)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접속나사(300)는 양단부가 입력단자(110)의 제2 수직 암나사(116)와 출력단자(210)의 제3 수직 암나사(214)에 각각 치합될 수 있다.
입력단자(110), 출력단자(210) 및 접속단자(300)는 Cu, Au, Ag, Al 및 상기 금속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단자(110), 출력단자(210) 및 접속단자(300)이 금속 또는 금속 합금이기 때문에 단위 접속단자(10a)의 내구성이 높을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변형예에 따른 단위 접속단자의 연결 접속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6의 변형예에 따른 단위 접속단자의 연결 분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또는 도 8을 참조하면, 단일 접속단자(10a)는 제3 수직 암나사(214)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제3 수직 암나사(214)는 입력단자(110)의 제2 수직 암나사(116)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4 수직 암나사(214)는 제3 수직 암나사(214)와 제5 수직 암나사(218)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접속나사(300)는 일단부를 제2 수직 암나사(116)와 치합할 수 있다. 또한 접속나사(300)는 타단부를 제3 수직 암나사(214)와 치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속나사(300)는 입력단자부(100)와 출력단자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단일 접속단자(10a)는 제3 수직 암나사(214)를 더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단일 접속단자(10a)는 제2 수직 암나사(116) 및 제3 수직 암나사(214)를 접속나사(300)를 통하여 고정하여 외부충격이나 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내구성을 올릴 수 있다.
또한 단일 접속단자(10a)는 접지되는 지점이 고정됨에 따라 전류의 흐름이 안정적일 수 있다. 도 5의 단일 접속단자(10a)는 접속나사(300)가 출력단자(210)와 접지는 되어 있지만 외부적인 요인에 의해서 접속나사(300)와 출력단자(210)에 틈이 생기면 전류가 흐리지 못 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베이스 몸체(20)는 단일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케이스일 수 있다. 베이스 몸체(20)는 단일 접속단자(10a, 10b, 10c, 10d)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0)는 고전압 및 고전류가 다른 구성 요소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절연체로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0)는 ㄴ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몸체(20)는 제1 수평공(21), 제2 수평공(22), 제1 수직공(23), 제2 수직공(24), 제3 수직공(25) 및 제4 수직공(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공(21)은 입력단자(110)를 삽입할 수 있다. 제1 수평공(21)은 막대 형상의 입력단자(110)가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입력단자(1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공(22)은 출력단자(210)를 삽입할 수 있다. 제2 수평공(22)은 입력단자(110)보다 긴 막대형상인 출력단자(210)의 삽입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출력단자(21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직공(23)은 제1 고정나사(120)를 삽입할 수 있다. 제1 수직공(23)은 입력 케이블(A)을 고정하는 제1 고정나사(120)가 제1 수직 암나사(114)에 치합될 수 있도록 제1 수직 암나사(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직공(24)은 접속나사(300)를 삽입할 수 있다. 제2 수직공(24)은 입력단자(110)와 출력단자(210)을 연결해주는 접속나사(300)가 제2 수직 암나사(116) 및 제3 수직 암나사(214)에 치합될 수 있도록 제2 수직 암나사(116) 및 제3 수직 암나사(2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3 수직공(25)은 제2 고정나사(220)를 삽입할 수 있다. 제3 수직공(25)은 출력 케이블(B)을 고정하는 제2 고정나사(220)가 제4 수직 암나사(21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4 수직공(26)은 제3 고정나사(230)를 삽입할 수 있다. 제4 수직공(26)은 1차 부하 케이블(C)을 고정하는 제3 고정나사(230)가 제5 수직 암나사(218)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공(21), 제2 수평공(22), 제1 수직공(23), 제2 수직공(24), 제3 수직공(25) 및 제4 수직공(26)은 단위 접속단자(10a)에 대응하는 위치의 베이스 몸체(20)의 구성을 보여준 일실시예이다. 따라서 베이스 몸체(20)는 단위 접속단자(10a)와 병렬 관계이고, 구조가 동일한 단위 접속단자(10b, 10c, 10d)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제1 수평공, 제2 수평공, 제1 수직공, 제2 수직공, 제3 수직공, 제4 수직공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몸체의 일단 측면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 몸체(20)의 일단 측면은 제1 수평공(21)과 제2 수평공(2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공(21)은 베이스 몸체(20)의 일단 측면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평공(21)은 입력단자(110)가 삽입될 수 있다. 제1 수평공(21)은 입력단자(110)가 삽입될 수 있게 막대형상일 수 있다.
제2 수평공(22)은 베이스 몸체(20)의 일단 측면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평공(22)은 출력단자(21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 수평공(22)은 출력단자(210)가 삽입될 수 있게 입력단자(110)보다 긴 막대형상일 수 있다.
제1 수평공(21)과 제2 수평공(22)은 단위 접속단자(10a)에 대응하는 수평공이며, 단위 접속단자(10b, 10c, 10d)에 대응하는 위치에도 베이스 몸체(20)은 제1 수평공과 제2 수평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의 내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1를 참조하면,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은 케이블 접속 단자대 뚜껑(530) 및 케이스 뚜껑(550)을 분리하면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내부를 볼 수 있다.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 내부는 가로등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구성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내부는 베이스 몸체(20)를 장착한 케이블 접속 단자대(10), 절체 스위치(580), 전원 표시 램프(560), 고장 표시 램프(570) 및 ELB(54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베이스 몸체(20)를 장착할 수 있다.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베이스 몸체(20)를 장착함으로써 케이블 접속 단자대(10)에 전송되는 전류에 대한 영향을 다른 구성요소에게 미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접속 단자대(10)는 베이스 몸체(20)를 장착하여 위치 고정이 될 수 있고, 외부의 충격에도 내성이 생길 수 있다.
절체 스위치(580)는 상시등과 격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절체 스위치(580)는 토글 스위치일 수 있다.
전원 표시 램프(560)와 고장 표시 램프(570)은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이 구동하는데 이상이 생기면 LED로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ELB(540)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에 전기 누전을 막아주기 위해 설치될 수 있다. ELB(540)는 전기 누전이 발생하면,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의 구성 요소들이 고장나지 않도록 전기를 차단해 줄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주에 설치된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의 연결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210, 1220, 1230)은 가로등주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가로등주에 설치된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210, 1220, 1230)은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1210, 1220, 1230)은 서로 연결되어서 전류를 이어서 전송할 수 있다.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10)은 입력 케이블(1251)로 전류를 입력받아서 출력 케이블(1252)로 다음 순번인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20)에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케이블(1251) 및 출력 케이블(1252)는 각각 4개의 케이블일 수 있다. 상기 4개의 케이블은 상시등 및 격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10)은 부하 케이블(1211)로 전류를 부하인 가로등에 전송하여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10)의 출력 케이블(1252)은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20)의 입력 케이블(1252)일 수 있다.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20)은 입력 케이블(1252)로 전류를 입력받아서 출력 케이블(1253)로 다음 순번인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30)에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케이블(1252) 및 출력 케이블(1253)는 각각 4개의 케이블일 수 있다.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20)은 부하 케이블(1221)로 전류를 부하인 가로등에 전송하여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21)의 출력 케이블(1253)은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30)의 입력 케이블(1253)일 수 있다.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30)은 입력 케이블(1253)로 전류를 입력받아서 출력 케이블(1254)로 다음 순번인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에 전류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케이블(1253) 및 출력 케이블(1254)는 각각 4개의 케이블일 수 있다.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30)은 부하 케이블(1231)로 전류를 부하인 가로등에 전송하여 가로등을 제어할 수 있다.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10, 1220, 1230)은 내장된 절체 스위치를 통해서 상시등 및 격등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가로등주 접속 단자함(1210, 1220, 1230)은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10: 케이블 접속 단자대 10a, 10b, 10c, 10d: 단위 접속단자
20: 베이스 몸체 21: 제1 수평공
22: 제2 수평공 23: 제1 수직공
24: 제2 수직공 25: 제3 수직공
26: 제4 수직공 100: 입력단자부
110: 입력단자 112: 제1 수평홀
114: 제1 수직 암나사 116: 제2 수직 암나사
120: 제1 고정나사 200: 출력단자부
210: 출력단자 212: 제2 수평홀
214: 제3 수직 암나사 216: 제4 수직 암나사
218: 제5 수직 암나사 220: 제2 고정나사
230: 제3 고정나사 300: 접속나사

Claims (10)

  1. 길이방향으로 제1 수평홀이 형성되고, 일단부의 상측에 상기 제1 수평홀과 연결되는 제1 수직 암나사가 형성되며, 타단부에 상하로 관통하는 제2 수직 암나사가 형성된 막대형상의 입력단자와,
    상기 제1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상기 제1 수평홀의 일단으로 삽입된 입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1 고정나사를 구비한 입력단자부;
    길이방향으로 제2 수평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수평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도록 제4 수직 암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제4 수직 암나사와 인접한 상기 제2 수평홀의 상측에 연결되는 제5 수직 암나사가 형성된 상기 입력단자보다 긴 막대형상의 출력단자와,
    상기 제4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상기 제2 수평홀의 일단으로 삽입된 출력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2 고정나사와,
    상기 제5 수직 암나사에 치합되어 상기 제2 수평홀의 타단으로 삽입된 부하 케이블을 고정하는 제3 고정나사를 구비한 출력단자부; 및
    일단부가 상기 입력단자의 제2 수직 암나사와 치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출력단자의 상측에 접속되는 접속나사가 구비된 단위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는 제3 수직 암나사가 더 형성되고, 상기 제3 수직 암나사는 상기 입력단자의 제2 수직 암나사와 대응되는 위치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접속나사의 타단부가 상기 제3 수직 암나사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상기 출력단자 및 상기 접속나사는 Cu, Au, Ag, Al 및 이들 중 선택된 적어도 2 이상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나사, 상기 제2 고정나사, 상기 제3 고정나사 및 상기 접속 나사는 상면에 조여주거나 풀어주기 위해 드라이버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
  5. 제 1항에 있어서,
    일정거리로 이격되며, 병렬로 구성되는 4개의 단위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 중 2개의 단위 접속단자는 4개의 상시등구를 포함하며, 나머지 2개의 단위 접속단자는 4개의 격등구를 포함하고,
    상기 상시등구 및 상기 격등구는,
    각각 입력구 및 출력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접속단자가 장착되는 베이스 몸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몸체는
    상기 입력단자가 삽입되는 제1 수평공;
    상기 출력단자가 삽입되는 제2 수평공;
    상기 제1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1 수직공;
    상기 접속나사가 삽입되는 제2 수직공;
    상기 제2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3 수직공; 및
    상기 제3 고정나사가 삽입되는 제4 수직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몸체는 고전압 및 고전류가 다른 구성 요소에 영향이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절연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
  8. 제 5항에 따른 4개의 단위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에 삽입된 상기 입력 케이블 중 2개에는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고, 나머지 2개에는 격등의 전류가 흐르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포함한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의 출력 단자부에 삽입된 부하 케이블 및 안전기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절체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절체 스위치는,
    상기 4개의 단위 접속단자의 출력 단자부에 삽입된 부하 케이블 중 상기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부하 케이블의 접점 및 상기 격등의 전류가 흐르는 하나의 부하 케이블의 접점 사이를 토글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상시등의 전류가 흐르는 나머지 부하 케이블의 접점 및 상기 격등의 전류가 흐르는 나머지 부하 케이블의 접점 사이를 토글하는 제2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 단자대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KR1020130081404A 2013-07-11 2013-07-11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KR101395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04A KR101395091B1 (ko) 2013-07-11 2013-07-11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1404A KR101395091B1 (ko) 2013-07-11 2013-07-11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5091B1 true KR101395091B1 (ko) 2014-05-16

Family

ID=5089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1404A KR101395091B1 (ko) 2013-07-11 2013-07-11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0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58B1 (ko) 2015-11-05 2016-05-04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전류센서 겸용 대용량 부스바
CN108288773A (zh) * 2018-03-27 2018-07-17 南通市华冠电器有限公司 烤箱用接线端子排
KR20200063470A (ko) * 2018-11-28 2020-06-05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CN112103672A (zh) * 2020-10-23 2020-12-18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接线柱和接线端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967Y1 (ko) * 2005-11-28 2006-02-15 남상민 방수형 가로등용 단자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8967Y1 (ko) * 2005-11-28 2006-02-15 남상민 방수형 가로등용 단자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258B1 (ko) 2015-11-05 2016-05-04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전류센서 겸용 대용량 부스바
CN108288773A (zh) * 2018-03-27 2018-07-17 南通市华冠电器有限公司 烤箱用接线端子排
KR20200063470A (ko) * 2018-11-28 2020-06-05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KR102247688B1 (ko) * 2018-11-28 2021-05-03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CN112103672A (zh) * 2020-10-23 2020-12-18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接线柱和接线端子
CN112103672B (zh) * 2020-10-23 2024-05-14 阳光电源股份有限公司 接线柱和接线端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8974B2 (en) Three phase lighted plugs and connectors for indicating the absence of at least one phase
KR101395091B1 (ko)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KR20080024646A (ko) 지중 배전선로 지상 개폐기의 데드브레이크형 접속 장치
WO2021052053A1 (zh) 气体绝缘金属封闭中性点成套装置
KR101176626B1 (ko) 컴팩트 분전반
WO2015149585A1 (zh) 具有浪涌防护功能的光控器
JP2008226621A (ja) 分岐付ケーブル
KR101905441B1 (ko) 지상변압기 교체용 엘보인서트 및 그 엘보인서트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US5625530A (en) Gas insulated switchgear equipment including a bypass bus and bypass disconnecting switch
KR100715627B1 (ko)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101013587B1 (ko) 절연단자소켓 및 절연단자소켓을 구비한 배전반
JP2011253710A (ja) 端子台装置
KR101013585B1 (ko) 절연모선 및 절연모선을 구비한 배전반
KR100379867B1 (ko) 변압기용 퓨즈내장 엘보접속재
JP2006271134A (ja) バイパス接続装置
KR200465645Y1 (ko) 등기구 제어장치
CN208479156U (zh) 一种用于高压房中高压线路的欧式前接头
KR100861915B1 (ko) 계기용 변성기가 외부 설치된 수전반을 구비한 수변전 장치
KR100207006B1 (ko) 몰드 변압기의 보호장치
US4952898A (en) Transformer secondary buss adapter apparatus
KR101013580B1 (ko) 센서등을 구비한 배전반
KR200340170Y1 (ko) 전력량계의 단자대
KR200314282Y1 (ko) 지상설치용 케이블 접속함
CN203367823U (zh) 一种更换熔丝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