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627B1 -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 Google Patents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627B1
KR100715627B1 KR1020070018900A KR20070018900A KR100715627B1 KR 100715627 B1 KR100715627 B1 KR 100715627B1 KR 1020070018900 A KR1020070018900 A KR 1020070018900A KR 20070018900 A KR20070018900 A KR 20070018900A KR 100715627 B1 KR100715627 B1 KR 100715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bushing
fuse holder
panel
switch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8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진
Original Assignee
대원계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계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계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8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6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18Disposition or arrangement of fu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기의 배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는 내부에 도체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도체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애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애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앙에 배전 판넬에 걸어 결합하기 위한 판넬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애관의 양쪽 선단에 애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의 가장자리 선단에 도체로 이루어진 접속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판이 설치된 부싱의 양쪽 또는 한쪽 선단에 개폐 스위치용 퓨즈를 설치하기 위한 퓨즈 클립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의 배전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금속재로 이루어진 배전반의 격벽 판넬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격벽 판넬을 중심으로 하여 퓨즈홀더의 한쪽 선단에는 동력선(부스바)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 선단에는 퓨즈링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사용하여 배전반을 구성시킴으로써 배전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전반의 내부에 배전기기를 설치할 때 격벽을 사이에 두고 설치할 수가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전한 배전반을 이루게 할 수가 있게 된다.
벽 관통형 부싱,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 배전반, 격벽

Description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A BUSHING TYPE SWITCH FUSE HOLDER FOR SUPPLYING HIGH VOLTAGE POWER AND CONSTRUCTION OF ASSEMBLING AN ELECTRIC POWER DISTRIBUTING BOARD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의 정면도,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사용하여 배전반의 격벽 판넬에 설치한 구조의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사용하여 배전반의 격벽 판넬에 설치한 구조의 2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사용하여 배전반의 격벽 판넬에 설치한 구조의 3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사용하여 배전반의 격벽 판넬에 설치한 구조의 4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단면도,
도 7(a)(b)(c)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 설치구조를 이용하여 배전반에 실제 적용 시킨 경우의 일례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스위치용 퓨즈 홀더를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 3 - 부싱 관통 도체
5 - 판넬 걸림부 7 - 절연애관
9 - 절연돌기 11 - 절연 돌출턱
13 - 접속판 15 - 고압퓨즈링크
17 - 가동자홀더 프레임 19 - 퓨즈 홀더 프레임
21 - 나사구멍 23 - 판넬
25 - 모선 1차 부스바 27 - 모선 2차 부스바
29 - 지지애자 31,33,35 - 격실
본 발명은 고압의 전류를 송전할 때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퓨즈홀더와 배전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전반의 내부에서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데 필요한 개/폐용 퓨즈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배전반의 내부 구조를 콤팩트화하며 안전하게 만들 수 있게 한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나 변압기에서 전류를 여러 곳으로 보내거나 받을 때, 전압과 전력 등을 점검하고 제어하여 발전기나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구 또는 계기 등을 한 곳에 모아 장치한 것을 배전반(配電盤)이라 한다.
이러한 배전반의 내부에는 개폐기와, 퓨즈링크, 피뢰기, 계기용 변압변류기, 차단기 등과 같은 여러 가지 기구 또는 계기들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계기들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계기판의 내부가 여러 개의 격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격실은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된 판넬에 의해 구분 지워진다.
한편, 배전반의 내부에는 선로의 점검이나 보수 또는 안전 등을 위해 필연적으로 스위치 역할을 하는 개폐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배전반에 설치되는 개폐기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길이의 막대형태로 이루어진 퓨즈 링크(101)가 양쪽의 링크 홀더 프레임(103,105)에 탈착할 수 있게 설치되고, 상기 링크 홀더 프레임(103,105)은 배전반의 판넬(107)에 부착된 애자(109)의 선단에 지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기존의 일반적인 배전반의 개폐기를 지지하는 애자(109)는 단순히 전류가 흐르는 링크 홀더 프레임(103,105)을 철판으로 이루어진 판넬(107)에 대하여 소정의 절연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만 하면서 링크 홀더 프레임(103,105)을 지지해줄 뿐이고, 상기 링크 홀더 프레임(103,105)에 전류를 전달하는 부스바(111)가 링크 홀더 프레임(103,105)에 직접 연결되어야 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부스바(111)와 링크 홀더 프레임(103,105)이 연결되는 접속도체 (113,115)가 외부에 노출되게 되므로, 상기 접속도체(113,115)와 연결된 부스 바(111)에 다른 배전기기를 연결하고자 할 때는, 상기 접속도체(113,115)에서부터 소정의 절연거리를 두고 연결하여야 한다.
상기 절연거리는 통상적으로 22.9KV이하의 옥내형 배전반에서 210mm이상을 확보하여야 하는바, 따라서 종래의 배전반에서는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스바(111)에 다른 기기를 연결하고자 할 때 안전한 절연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접속도체(113,115)에서부터 다른 기기까지의 거리를 약 300mm 를 띄운 상태에서 연결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배전반에서는 링크 홀더 프레임(103,105)과 연결되는 배전기기의 연결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해 주어야 하므로, 배전반의 상하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그 결과 배전반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퓨즈 홀더에 따른 문제와 이로 인하여 배전반의 크기가 커진다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배전반의 크기를 줄여 소형으로 만들 수 있게 하는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 홀더와 이 퓨즈 홀더를 이용하여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하는 배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 홀더는 부싱 내부에 도체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도체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에폭시 몰드(EPOXY MOLD)와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진 애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애관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에 배전 판넬에 걸어 결합하기 위한 판넬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애관의 양쪽 선단에 애관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절연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 돌출턱의 가장자리 선단에 도체로 이루어진 접속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접속판이 설치된 부싱의 양쪽 또는 한쪽 선단에 퓨즈링크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의 배전 구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금속재로 이루어진 배전반의 격벽 판넬에 관통 설치하여, 상기 격벽 판넬을 중심으로 하여 부싱의 한쪽 선단에는 동력선(모선 1, 2차 부스바)을 연결하고 다른 한쪽 선단에는 개폐할 수 있는 퓨즈링크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내부에 설치된 도체를 따라 전류가 소통할 수 있게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벽관통 부싱형 퓨즈홀더를 사용하여 배전반을 구성시키되, 배전반의 판넬에 상하 소정의 간격을 두고 2개의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설치하고, 상기 판넬에 의하여 좌우로 구분된 퓨즈 홀더의 한쪽에는 퓨즈링크를 설치하여 전류의 흐름을 단속시킬 수 있게 하는 한편, 다른 한쪽에는 배전기기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퓨즈 홀더의 퓨즈링크가 접속되는 노출 연결부와 배전 기기 사이가 판넬에 의해 절연 차단되어지게 함으로써, 퓨즈링크 상하단에 필요한 소정의 절연거리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그만큼 배전반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를 사용하여 배전반을 구성시킴으로써 배전반의 내부에 배전기기를 설치할 때,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넬을 중간에 끼워 넣어 격벽을 설치함으로써, 격벽에 의해 구분되는 격실 내부의 배선에서 아아크(Arc) 화재가 발생할 때 다른 격실의 주변기기로 화재가 파급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적으로 안전한 배전반을 이루게 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의 정면도이고, 도면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싱형 퓨즈홀더의 사시도이며,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퓨즈 홀더를 판넬에 설치한 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는 부싱내부에 부싱관통도체(3)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부싱관통도체(3)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에폭시 수지와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면서 판넬 걸림부(5)를 갖춘 절연애관(7)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애관(7)의 표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절연 돌기(9)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절연애관(7)의 양쪽 선단에 절연 돌기(9)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절연 돌출턱(1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연 돌출턱(11)의 가장자리 선단에 절연애관(7) 부싱내부의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와 연결된 돌출판(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판(13)에 개폐용 퓨즈링크(15)를 끼우기 위한 가동자 홀더프레임(17) 또는 퓨즈홀더 브라켓(19)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절연애관(7)은 중심부에 형성된 판넬 걸림부(5)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갈수록 절연애관(7)의 직경이 점차 적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연 돌출판(13)은 도면 2의 사시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절연 애관(7)의 선단에 돌출 형성된 절연 돌출턱(11)의 수직 선단벽면을 따라 밀착 설치되어 있고, 상기 돌출판(13)에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개의 부스바 접속 터미널 나사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나사구멍(21)에 상기 퓨즈링크(15)를 장착하기 위한 가동자홀더 프레임(17)과 퓨즈홀더 프레임(19)이 나사 등에 의하여 결합된다.
도면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양쪽에 가동자 홀더프레임(17)과 퓨즈홀더 프레임(19)이 장착된 구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로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가 판넬(23)에 상하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퓨즈링크(15)를 탈착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배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는 여러 가지 실시의 상태로 설치할 수가 있는바, 예컨대 도면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1실시예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를 판넬(23)의 상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관통 삽입 설치하고, 상기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한쪽 선단에는 가동자 홀더프레임(17)과 퓨즈홀더 프레임(19)을 고정설치하여 퓨즈링크(15)를 착탈시킬 수 있게 되어 있는 한편, 판넬(23)을 중심으로 한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반대편에는 전류의 소통을 위한 동력전달용 입출력 모선 1, 2차 부스바(25, 27)가 각각 연결된 구조로 연결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함으로써, 판넬(23)을 중심으로 하여 한쪽에는 모선 1, 2차 부스바(25, 27)가 소통되게 하고, 다른 한쪽에는 퓨즈링크(15)를 통하여 전류의 흐름을 단속시켜 줄 수 있게 하여, 배전반의 격실을 안전하게 형성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면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배전구조에서와 같이, 판넬(23)에 퓨즈 설치용 가동자 홀더프레임(17)을 갖춘 절연용 지지애자(29)를 한쪽으로 돌출 설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를 판넬(23)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애자(29)에 모선 1차 부스바(25)를 연결하는 한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반대편의 모선 2차 부스바(27)를 연결할 수가 있다.
또, 도면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배전구조에서와 같이, 퓨즈홀더 프레임(19)을 갖춘 절연용 지지애자(29)를 한쪽으로 돌출 설치하고,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를 판넬(23)에 설치하며, 상기 지지애자(29)에 출력 모선 2차 부스바(27)를 연결하는 한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반대편의 입력 모선 1차 부스바(25)를 연결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2 및 3실시예에 따른 배전구로 함으로써, 판넬(23)을 중심으로 하여 전류의 입력단과 출력단을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시킬 수가 있으면서, 전류의 흐름을 단속시킬 수가 있어 배전반을 안전하게 구성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 6은 본 발명의 4실시예에 따른 배전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1개의 판넬(23)에 2개의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를 설치하고, 상기 상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한쪽에 입력 모선 1차 부스바(25)를 연결하는 한편, 하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양쪽에 2방향 출력 모선 2차 부스바(27)를 각각 연결한 구조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입력단(A)에 2개의 출력단(B)으로 이루어진 구조로 하여 전류의 흐름을 2방향 부하단에 연결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배전구조를 사용하면 도면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입력단(A)에 격실(31, 33, 35)을 만들 수가 있고, 하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출력단(B)에 격실(31, 33, 35)을 만들 수가 있으므로, 구조적으로 안전할 뿐 아니라, 상하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입출력단(A, B)이 전류의 흐름을 직접적으로 단속하는 퓨즈링크(15)와 판넬(BASE)(23)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상기 입출력단(A, B)에 배전 기기를 직접 연결시킬 수가 있어 기존의 퓨즈홀더를 사용하는 경우와 대비하여 배전반의 상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격실을 갖춘 공기절연 방식의 안전한 배전반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배전반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면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출력단(B)이 퓨즈링크(15)와 판넬(23)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출력단(B)에 배전 기기를 직접 연결하여도 충분한 절연상태를 이룰 수가 있어 별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절연거리에 필요한 만큼 배전반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한편, 상기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출력단(B)에 격실(31, 33, 35)을 형성시킬 수가 있어 구조적으로 안전한 배전반을 만들 수 있는 것이다.
또, 도면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방법으로 배전반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도면 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입력단(A)이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퓨즈링크(15)와 판넬(23)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입력단(A)에 배전 기기를 직접 연결하여도 충분한 절연 상태를 이룰 수가 있어 별도의 절연거리를 확보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절연 거리의 확보에 필요한 만큼 배전반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한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입력단(A)에 격실(31, 33, 35)을 만들 수가 있어 구조적으로 안전한 배전반을 만들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는 양쪽 선단에 돌출턱(11)이 형성된 벽 관통형 부싱에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퓨즈링크(15)를 설치하기 위한 가동자 홀더프레임(17)과 퓨즈홀더 프레임(19)이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를 판넬(23)에 설치하면, 상기 판넬(23)이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양쪽 선단을 절연시켜주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한쪽 선단에는 전류의 흐름을 단속하는 퓨즈링크(15)를 설치하고, 다른 쪽 선단에는 별도의 절연 거리를 확보하지 않고서 배전 기기를 직접 연결할 수가 있으므로, 절연거리에 필요한 만큼 배전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전구조에 따라 배전반을 꾸미면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선단에 배전 기기를 연결하면서 퓨즈링크와 배전 기기 사이에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넬을 누전 염려가 없게 설치하여 격실을 형성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배전반 내부의 인접된 주변기기와의 사고 영향을 주지 않아 독립된 격실로서 유지보수 및 점검이 편리하며 내부 쇼트로 인한 화재발생시 격실 속의 주변기기의 파급을 최소화하므로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내부에 부싱 관통 도체(3)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부싱 관통 도체(3)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면서 판넬 걸림부(5)를 갖춘 절연애관(7)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애관(7)의 표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절연 돌기(9)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절연애관(7)의 양쪽 선단에 절연 돌기(9)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1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11)의 가장자리 선단에 절연애관(7) 내부의 부싱 관통 도체(3)와 연결된 부싱 접속 도체(13)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싱 접속 도체(13)에 형성된 부스바 접속 터미널 나사구멍(21)에 모선 1, 2차 부스바(25, 27)를 접속할 수 있으며 퓨즈링크(15)를 끼우기 위한 가동자 홀더프레임(17) 또는 퓨즈홀더 프레임(19)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
  2. 양쪽 선단에 돌출턱(11)이 구비된 2개의 상 하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가 판넬(23)의 상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삽입 설치되고, 상기 판넬(23)을 중심으로 하여 상 하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한쪽 선단에는 퓨즈링크(15)를 착탈시키기 위한 가동자 홀더프레임(17)과 퓨즈홀더 프레임(19)이 고정 설치되어 있는 한편, 상기 판넬(23)을 중심으로 하여 상 하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반대편에는 전류의 소통을 위한 동력전달용 입출력 모선 1, 2차 부스바(25, 27)가 각각 연 결되어 이루어진 배전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한쪽에 입력 모선 1차 부스바(25)가 연결되는 한편, 하부 퓨즈 홀더(1)의 양쪽에 출력 모선 2차 부스바(27)가 각각 연결되어 이루어진 배전구조
  4. 판넬(23)에 퓨즈 설치용 가동자홀더 프레임(17)을 갖춘 절연용 지지애자(29)가 한쪽으로 돌출 설치되고, 양쪽 선단에 돌출턱(11)을 구비하고 돌출턱(11)의 선단에 퓨즈 설치용 퓨즈홀더 프레임(19)가 장착된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가 판넬(BASE)(23)에 관통 설치되며, 상기 지지애자(29)의 가동자홀더 프레임(17)과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퓨즈홀더 프레임(19)에 퓨즈링크(15)를 분리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지지애자(29)의 선단과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1)의 선단에 전류의 모선 1, 2차 부스바(25,27)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 배전구조
KR1020070018900A 2007-02-26 2007-02-26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100715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900A KR100715627B1 (ko) 2007-02-26 2007-02-26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8900A KR100715627B1 (ko) 2007-02-26 2007-02-26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627B1 true KR100715627B1 (ko) 2007-05-08

Family

ID=3827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8900A KR100715627B1 (ko) 2007-02-26 2007-02-26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6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64B1 (ko) 2008-05-14 2010-07-14 (주) 건일이엔지 수배전반의 전력용 퓨즈
KR101452890B1 (ko) 2013-12-04 2014-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퓨즈 홀더
CN106025884A (zh) * 2016-06-22 2016-10-12 国网安徽省电力公司六安供电公司 一种用于35kV熔管的挂钩式拆装工具
KR200483170Y1 (ko) 2016-07-12 2017-04-11 권태무 부싱
KR101830843B1 (ko) * 2017-03-23 2018-02-21 임현배 수배전반의 전력용 퓨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849A (ko) * 1993-12-17 1995-07-26 제임스 에이. 초키 개량된 전류제한 퓨즈 및 드롭아웃 퓨즈 홀더
KR20020061339A (ko) * 2001-01-16 2002-07-24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류제한 퓨즈홀더 장치
KR20050030475A (ko) * 2003-09-26 2005-03-30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퓨즈 홀더
KR20050050736A (ko) *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퓨즈 동작표시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0849A (ko) * 1993-12-17 1995-07-26 제임스 에이. 초키 개량된 전류제한 퓨즈 및 드롭아웃 퓨즈 홀더
KR20020061339A (ko) * 2001-01-16 2002-07-24 엘지산전 주식회사 전류제한 퓨즈홀더 장치
KR20050030475A (ko) * 2003-09-26 2005-03-30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퓨즈 홀더
KR20050050736A (ko) * 2003-11-26 2005-06-01 주식회사 비츠로테크 퓨즈 동작표시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264B1 (ko) 2008-05-14 2010-07-14 (주) 건일이엔지 수배전반의 전력용 퓨즈
KR101452890B1 (ko) 2013-12-04 2014-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퓨즈 홀더
CN106025884A (zh) * 2016-06-22 2016-10-12 国网安徽省电力公司六安供电公司 一种用于35kV熔管的挂钩式拆装工具
KR200483170Y1 (ko) 2016-07-12 2017-04-11 권태무 부싱
KR101830843B1 (ko) * 2017-03-23 2018-02-21 임현배 수배전반의 전력용 퓨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05766B1 (en) Gas-insulated switchgear assembly
KR100715627B1 (ko)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20050090324A (ko) 고집적형 폐쇄수전반
KR200398675Y1 (ko) 고집적형 간이 폐쇄수전반
KR101336734B1 (ko) 배치 및 연결구조 기법을 개선한 전면 보수 구조의 벽면 부착형 배전반
AU2013201093B2 (en) Medium-voltage distribution substation
KR200435046Y1 (ko)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KR100842413B1 (ko) 변압변류기 분리형 전절연 수변전 장치
EP3731356B1 (en) Gas-insulated open/close device
KR101188633B1 (ko) 피뢰기 일체형 컷 아웃 스위치
KR102295956B1 (ko) 내아크 성능이 향상된 금속 폐쇄 배전반
CN204992319U (zh) 一种电容柜
AU2013201083B2 (en) Gas outlet device for a medium-voltage functional unit and distribution substation comprising same
CN112736661A (zh) 一种高压开关柜
JP2001177932A (ja) ガス絶縁開閉装置及びその耐電圧試験方法
KR101830843B1 (ko) 수배전반의 전력용 퓨즈
KR200447009Y1 (ko) 피뢰기 일체형 파워 퓨즈 및 이를 구비한 수변전 장치
KR100719809B1 (ko)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
KR100755501B1 (ko) 통합 수배전반함을 구비한 수배전반
KR10083528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101847565B1 (ko) 수배전반
KR100573023B1 (ko) 배전반의 콘트롤 엔클로저
KR100807760B1 (ko) 금속피복형 배전반
CN216773943U (zh) 一种便于安装断路器的低压开关柜
US11329457B1 (en) Panelboard an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