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170Y1 - 부싱 - Google Patents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170Y1
KR200483170Y1 KR2020160004023U KR20160004023U KR200483170Y1 KR 200483170 Y1 KR200483170 Y1 KR 200483170Y1 KR 2020160004023 U KR2020160004023 U KR 2020160004023U KR 20160004023 U KR20160004023 U KR 20160004023U KR 200483170 Y1 KR200483170 Y1 KR 2004831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ing
bushing
mandrel
insulating oil
bush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40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무
Original Assignee
권태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무 filed Critical 권태무
Priority to KR20201600040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1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1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1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58Tubes, sleeves, beads, or bobbins through which the conductor passes
    • H01B17/583Grommets; Bush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0Composite insulating bod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56Insulating bodies
    • H01B17/64Insulating bodies with conductive admixtures, inserts or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부분 방전 및 누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싱에 관한 것으로, 외관을 형성하는 부싱 바디부; 상기 부싱 바디부의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되는 샤프트 형상의 심봉부; 및 상기 부싱 바디부와 상기 심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충진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싱 {bushing}
본 고안은 부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분 방전 및 누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부싱에 관한 것이다.
부싱은 금속관 부속품의 하나로, 관 끝에 두어 전선의 인입, 인출을 하는 경우 전선의 절연물을 다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사용 장소에 따라서 금속제의 부싱과 절연성의 부싱이 있다.
이러한 부싱은 부싱은 외관을 이루는 부싱 바디 내에 샤프트(shaft) 형태의 심봉이 배치되어 밀봉되는 구조를 갖는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15627호(2007.05.01 등록)는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부싱 관통 도체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부싱 관통 도체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면서 판넬 걸림부를 갖춘 절연애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절연애관의 표면에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절연 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절연애관의 양쪽 선단에 절연 돌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의 가장자리 선단에 절연애관 내부의 부싱 관통 도체와 연결된 부싱 접속 도체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부싱 접속 도체에 형성된 부스바 접속 터미널 나사구멍에 모선 1, 2차 부스바를 접속할 수 있으며 퓨즈링크를 끼우기 위한 가동자 홀더프레임 또는 퓨즈홀더 프레임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219호(2013.07.24 등록)는 배전용 부싱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부싱 바디; 상기 부싱 바디의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되는 샤프트(shaft) 형상의 심봉; 및 상기 부싱 바디와 상기 심봉 간의 간극에 배치되어 방전(partial discharge)이 발생되는 것을 저지시키는 방전방지용 팩을 포함하며, 상기 방전 방지용 팩은 절연유 주머니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부싱 바디와 심봉 간의 간극 사이에서 절연이 잘 되지 않아 부분 방전(partial discharge)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부분 방전이 일어나면 부싱 본연의 기능인 절연기능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며, 기계의 수명이 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전용 부싱은, 내부에 절연유가 충전되는 방전 방지용 팩이 터져 절연유가 새어나갈 위험이 있으며, 절연유가 새지 않도록 방전 방지용 팩의 테두리 부분을 마감처리 해야하므로 제작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15627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68219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싱 바디부와 심봉부 사이에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충진부를 형성하여 부분 방전 및 누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 부싱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외관을 형성하는 부싱 바디부; 상기 부싱 바디부의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되는 샤프트 형상의 심봉부; 및 상기 부싱 바디부와 상기 심봉부 사이에 형성되어,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충진부를 포함하는 부싱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진부는, 스펀지, 양모, 부직포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충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충진부재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재에 절연유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흡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충진부재의 내측면에 다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심봉부에 밀착시키기 위한 엠보싱 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엠보싱 돌기는, 상기 충진부재의 내측면 상단 및 하단에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진부재는, 다수겹으로 적층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진부재는, 다수겹으로 적층 형성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심봉부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심봉부는, 심봉; 상기 심봉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심봉을 상기 부싱 바디부에 결합시키기 위한 덮개 플랜지; 및 상기 심봉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심봉부는, 상기 심봉과 상기 나사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싱 바디부와 심봉부 사이에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충진부를 형성함으로써, 부분 방전 및 누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부싱 바디부와 심봉부 사이에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충진부를 형성함으로써, 별도의 마감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절연유가 새어나갈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 및 제조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5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심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있는 심봉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에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를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부싱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부싱을 설명하는 분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부싱(10)은, 부싱 바디부(100), 심봉부(200), 충진부(300)를 포함한다.
부싱 바디부(100)는, 부싱(10)의 외관을 형성한다.
일 실시 예에서, 부싱 바디부(100)는, 충격에 강하면서도 절연할 수 있도록 고분자 합성고무, 즉 폴리머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부싱 바디부(100)는,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개의 연장날개(10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연장날개(101)로 인하여 표면거리가 커짐으로써 절연 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연장날개(101)는, 우산처럼 단부가 하부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우수를 낙하시키는 데에도 탁월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심봉부(200)는, 부싱 바디부(100)의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되며, 외측에 충진부(300)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심봉부(200)는, 내구성이 우수한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봉부(200)는, 하부에 너트(N)를 체결하여 충진부(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심봉(120)과 너트(N) 사이에 와셔를 더 체결하여 너트(N)가 헐거워지지 않도록 더욱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심봉부(200)는, 외측에 충진부(300)를 위치시킨 후에 심봉부(200)와 부싱 바디부(100) 사이 틈새를 완전히 밀폐하기 위하여 패킹(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킹은, 충진부(300)의 하단에 해당하는 심봉부(2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충진부(300)의 하단에 밀착되어 밀폐시킴으로써 누유 방지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이때, 패킹은, 내유성이 우수한 NBR(Nitrile Butadiene Rubber) 등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패킹의 하부로 너트(N)를 체결하여 패킹을 가압 밀착시킬 수 있다.
충진부(300)는, 부싱 바디부(100)와 심봉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상태(충진된 상태)로 형성되어 부분 방전(partial discharge)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충진부(300)는, 흡습성을 가지는 스펀지, 양모, 부직포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부싱(10)은, 배전반, 변성기, 변압기 등 배전기기 관련 기구에 설치할 수 있으며, 심봉부(200)의 부싱 바디부(100)와 심봉부(200) 사이에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충진부(300)를 형성함으로써, 부분 방전 및 누유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싱 바디부(100)와 심봉부(200) 사이에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충진부(300)를 형성함으로써, 충진부(300)의 테두리 부분에 별도의 마감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 충진부가(300)가 터져 절연유가 새어나갈 위험이 없을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 및 제조공정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충진부(300)는, 충진부재(310)를 포함한다.
충진부재(310)는, 부싱 바디부(100)와 심봉부(200) 사이에 구비되고, 스펀지, 양모, 부직포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며,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상태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충진부재(310)는, 심봉부(200)의 외측을 삽입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이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충진부(300)는, 충진부재(310), 흡수부재(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충진부재(31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흡수부재(320)는, 충진부재(310)의 내부에 삽입 형성되어, 충진부재(310)에 절연유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흡수부재(320)는, 흡수성을 가지며 열에 강한 재질(예를 들어, 스펀지, 양모, 부직포, 세라믹직물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흡수부재(320)는, 흡수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그물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의 직선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흡수부재(320)에 절연유가 흡수되도록 하여 충진부재(310)에 절연유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3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충진부(300)는, 충진부재(310), 흡수부재(320), 엠보싱 돌기(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충진부재(310), 흡수부재(320)는 도 5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엠보싱 돌기(330)는, 충진부재(310)의 내측면에 다수개로 돌출 형성되며, 심봉부(200)에 밀착시켜 충진부재(310)가 심봉부(200)로부터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엠보싱 돌기(330)는, 충진부재(310)의 내측면 상단 및 하단에만 다수개로 형성하여 밀착력을 높이면서 충진부재(310)에 절연유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4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충진부재(310)는, 다수겹으로 적층 형성할 수 있으며, 다수겹으로 적층 형성되는 경우에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진부재(310)가 제1 충진부재(311), 제2 충진부재(312), 제3 충진부재(312) 총 3겹으로 형성된 경우에 제1 충진부재(311)는 양모로 형성하고 제2 충진부재(312)는 스펀지로 형성하고 제3 충진부재(312)는 부직포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충진부를 제5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충진부(300)는, 충진부재(310), 흡수부재(320), 홀(3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충진부재(310), 흡수부재(320)는 도 5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홀(350)은, 충진부재(310)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내부에 절연유가 고이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것이며, 도 5에 있는 흡수부재(320)와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홀(350)에 절연유가 고이게 하여 충진부재(310)에 절연유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도 1에 있는 심봉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있는 심봉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심봉부(200)는, 심봉(210), 덮개 플랜지(220), 나사(230)를 포함한다.
심봉(210)은, 샤프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부싱 바디부(100)의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된다.
덮개 플랜지(220)는, 심봉(2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심봉(210)을 부싱 바디부(100)에 결합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덮개 플랜지(220)는, 금구(250)가 형성되어, 이웃된 소자 또는 전력선 등과 연결되는 장소를 이룰 수 있다.
나사(230)는, 심봉(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너트(N)를 체결시킬 수 있다. 심봉(120)의 상부에는 덮개 플랜지(121)가 결합 형성되고, 심봉(120) 하부의 나사(230)에는 너트(N)가 체결되어 충진부(3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심봉부(200)는, 단턱(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단턱(240)은, 심봉(210)과 나사(230) 사이에 형성되며, 충진부(300)가 아래로 미끄러지 않도록 고정시켜준다. 이에 따라, 나사(230)에 너트(N)를 체결하지 않더라도 충진부(300)가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너트(N) 등의 다른 부속품을 더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 방전 우려도 줄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단턱(240)은, 충진부(300)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고정시키기 위해 충진부(3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길게 형성할 수 있으며, 충진부(300) 뿐만 아니라 부싱 바디부(100)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부싱
100 : 부싱 바디부
101 : 연장날개
200 : 심봉부
210 : 심봉
220 : 덮개 플랜지
230 : 나사
240 : 단턱
250 : 금구
300 : 충진부
310 : 충진부재
311 : 제1 충진부재
312 : 제2 충진부재
313 : 제3 충진부재
320 : 흡수부재
330 : 엠보싱 돌기
350 : 관통공
N : 너트

Claims (10)

  1. 외관을 형성하는 부싱 바디부(100);
    상기 부싱 바디부(100)의 내부를 통과하게 배치되는 샤프트 형상의 심봉부(200); 및
    상기 부싱 바디부(100)와 상기 심봉부(200) 사이에 형성되어, 절연유를 흡수하여 머금고 있는 충진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심봉부(200)는,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바디부(100)와의 사이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을 포함하며,
    상기 충진부(300)는,
    스펀지, 양모, 부직포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형성되는 충진부재(310)를 포함하며,
    상기 충진부재(310)는,
    서로 다른 재질로 다수겹으로 적층 형성되며,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절연유가 고이도록 하기 위한 다수개의 홀(3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300)는,
    상기 충진부재(3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재(310)에 절연유가 충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흡수부재(3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는,
    상기 충진부재(310)의 내측면에 다수개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심봉부(200)에 밀착시키기 위한 엠보싱 돌기(3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돌기(330)는,
    상기 충진부재(310)의 내측면 상단 및 하단에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부(200)는,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 또는 탄소섬유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부(200)는,
    심봉(210);
    상기 심봉(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심봉(210)을 상기 부싱 바디부(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덮개 플랜지(220); 및
    상기 심봉(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나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봉부(200)는,
    상기 심봉(210)과 상기 나사(23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충진부(300)가 아래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단턱(2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싱.
KR2020160004023U 2016-07-12 2016-07-12 부싱 KR2004831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23U KR200483170Y1 (ko) 2016-07-12 2016-07-12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4023U KR200483170Y1 (ko) 2016-07-12 2016-07-12 부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3170Y1 true KR200483170Y1 (ko) 2017-04-11

Family

ID=58605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4023U KR200483170Y1 (ko) 2016-07-12 2016-07-12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170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7219A (ja) * 1991-04-17 1993-12-27 Aichi Electric Co Ltd 巻鉄心変圧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8219A (ko) 2001-12-14 2004-07-3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펨토초 레이저를 사용하는 유리의 굴절률 조절
JP2005302802A (ja) * 2004-04-07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入電気機器
KR100715627B1 (ko) 2007-02-26 2007-05-08 대원계전주식회사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101102100B1 (ko) * 2010-11-11 2012-01-02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복합 전력케이블
JP2014127659A (ja) * 2012-12-27 2014-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静止誘導機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47219A (ja) * 1991-04-17 1993-12-27 Aichi Electric Co Ltd 巻鉄心変圧器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0068219A (ko) 2001-12-14 2004-07-30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펨토초 레이저를 사용하는 유리의 굴절률 조절
JP2005302802A (ja) * 2004-04-07 200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油入電気機器
KR100715627B1 (ko) 2007-02-26 2007-05-08 대원계전주식회사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101102100B1 (ko) * 2010-11-11 2012-01-02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복합 전력케이블
JP2014127659A (ja) * 2012-12-27 2014-07-07 Mitsubishi Electric Corp 静止誘導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8255B1 (ko) 통기 마개
KR102189163B1 (ko) 통기 부재
JP2009521900A5 (ko)
WO2014155269A1 (en) Waterproof structure of operating device of gas stove and gas stove
CN203102065U (zh) 防打滑旋钮组件及具有该防打滑旋钮组件的家用电器
BRPI0710276A2 (pt) elemento de filtro de ar com tampa terminal moldada composta
US20140305924A1 (en) Heatable Current Collector for Establishing an Electrical Contact Between a Current Carrying Line and an Electric Vehicle
KR200483170Y1 (ko) 부싱
CN109642695A (zh) 隔热片及其制造方法
KR101062296B1 (ko) 멀티 콘센트
JP2012157216A (ja) ワイヤーハーネス止水構造部
KR101077497B1 (ko) 열선 내장형 동파방지장치
CN205752473U (zh) 大功率同轴负载
CN206023170U (zh) 冷缩式电缆附件
KR101520875B1 (ko) 차량용 플렉시블 리저버의 와셔액 주입기 및 이를 구비한 플렉시블 리저버
CN205606917U (zh) 防干烧的水阻式防触电装置及热水器
CN206628293U (zh) 一种承载能力强的硅胶线
CN206516387U (zh) 一种电缆保护套
CN210074291U (zh) 防水交联电缆
CN206271485U (zh) 一种上下层电阻片宽度不同的电阻器
KR200407770Y1 (ko) 파이프 단열용 발포단열관
CN201573607U (zh) 具有防水功能的汽车电器盒
CN220684683U (zh) 洗涤加液组件和车辆
CN218183853U (zh) 一种导电泡棉
US9034778B2 (en) Fail safe protective wrapp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