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9809B1 -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 - Google Patents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9809B1
KR100719809B1 KR1020070014344A KR20070014344A KR100719809B1 KR 100719809 B1 KR100719809 B1 KR 100719809B1 KR 1020070014344 A KR1020070014344 A KR 1020070014344A KR 20070014344 A KR20070014344 A KR 20070014344A KR 100719809 B1 KR100719809 B1 KR 100719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panel
connecting plate
wall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진
Original Assignee
대원계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계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계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98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9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9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0Bus-bar or other wiring layouts, e.g. in cubicles, in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의 전류를 송전하는 벽관통형 부싱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도체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도체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애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애관은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에 판넬의 관통구멍속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판넬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애관의 직경이 판넬 걸림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점진적으로 적어지며, 상기 애관의 표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절연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벽관통형 부싱에서, 상기 애관의 선단에 상기 다수개의 절연돌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턱의 가장자리 선단에 도체로 이루어진 접속판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된 접속판은 수직 밀착형 접속판 또는 수평 돌출형 접속판으로 이루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압배전용 벽관통형 부싱은 상기 돌출턱을 형성시킴으로써, 판넬 걸림부의 중심에서부터 양쪽 가장자리까지의 길이가 길어져 절연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가 있는 한편, 판넬에서부터 부싱의 선단에 설치된 접속판까지의 표면 절연거리가 길어지게 함으로써 애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줄 수 있게 하여 절연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장자리의 선단에 노출 설치되는 도체의 직경을 크게 할 수가 있어 다수개의 연결홈을 형성시켜 줄 수가 있으므로, 원판형 접속판 또는 브라켓형 접속판을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배전구조를 이루게 할 수가 있다.
벽관통형 부싱, 고압배전용 부싱, 배전용 부싱

Description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A WALL THROUGH PIERCING TYPE BUSHING FOR SUPPLYING HIGH VOLTAGE POW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에 따른 고압 배전용 부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의 정면도,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1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2실시예에 따른 고압 배전용 부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2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2실시예의 정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2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3실시예에 따른 고압 배전용 부싱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3실시예의 좌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3실시예의 정면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3실시예의 우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관통형 부싱의 선단에 수직 밀착형 접속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구비된 수직 밀착형 접속판에 퓨즈홀더를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벽관통형 부싱의 선단에 수평 돌출형 접속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에 구비된 수평 돌출형 접속판에 동력전달용 부스바를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벽관통형 부싱을 배전판의 판넬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
도 9는 종래의 일반적인 벽관통형 부식을 배전반의 판넬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부싱 3 - 도체
5 - 애관 7 - 판넬 걸림부
9 - 절연돌기 11 - 돌출턱
13 - 접속판 15 - 나사구멍
17 - 휴즈 홀더 19 - 부스바
21 - 관통구멍 23 - 판넬
25 - 관통구멍 27 - 볼트
본 발명은 고압의 전류를 송전할 때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배전반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벽관통형 부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싱의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배전반의 구조를 소형화할 수가 있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게 하는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나 변압기에서 전류를 여러 곳으로 보내거나 받을 때, 전압과 전력 등을 점검하고 제어하여 발전기나 변압기를 보호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구 또는 계기 등을 한 곳에 모아 장치한 것을 배전반(配電盤)이라 한다.
이러한 배전반의 내부에는 기구 또는 계기의 안전을 위해 여러 개의 방으로 구획지워져 있고, 이들 각각의 방 사이에는 판넬이 설치되어 격벽을 이루도록 되어 있으며, 이들 판넬에는 벽관통형 부싱이 설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격실사이에 통전이 이루어지게 하고 있다.
한편, 배전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벽관통형 부싱은 도면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전류가 흐르는 도체(101)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도체(101) 주위에 세라믹 등과 같은 절연체로 이루어진 애관(10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애 관(103)의 표면에는 판넬의 관통구멍속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판넬 걸림부(105)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판넬 걸림부(105)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선단까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절연돌기(107)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벽관통형 부싱은 배전반의 판넬(109)에 형성된 관통구멍속에 삽입한 상태에서 볼트(111)를 사용하여 조여 줌으로써 상기 판넬 걸림부(105)와 볼트(111)가 부싱을 지지해 주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벽관통형 부싱은 통상적으로 금속판으로 이루어진 배전반의 판넬(109)에 관통 설치된 상태에서,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애관(103)이 부싱의 내부에 설치된 도체(101)와 외부를 절연시켜 주게 함으로써, 도체(101)를 통하여 전류가 흐를 때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넬(109) 사이가 절연되어지게 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애관(103)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절연돌기(107)는 애관(103)의 표면길이를 증대시켜 줌으로써 부싱의 선단에 연결되는 동력선과 상기 판넬(109) 사이에 고압의 전류가 통전되지 못하게 절연거리를 증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공칭 전압이 22.9KV이하의 옥내형 배전반에서는 상기 판넬(109)과 부싱의 선단(113)에 연결되는 동력선(115)사이의 간격이 210mm이상을 유지하게 되어 있는바, 대부분 통상적으로 일반적인 벽관통형 부싱은 상기 판넬 걸림부(107)에서부터 선단(113)까지의 길이(L)가 210mm로 되어 있고, 상기 부싱이 설치되는 판넬(109)에는 보강을 위해 양쪽 선단에 보강리브(117)가 직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부싱을 판넬(109)에 설치할 때 보강리브(117)가 설치되지 않은쪽 (도면에서 왼쪽)은 판넬(109)에서 부싱의 선단(113)까지의 거리가 210mm를 제대로 확보할 수 있지만, 상기 판넬(109)에 보강리브(117)가 형성된 쪽(도면에서 오른쪽)은 보강리브(117)의 선단에서부터 부싱의 선단(113)까지의 거리가 210mm를 제대로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보강리브(117)가 형성된 쪽에는 부싱의 길이가 210mm의 안전거리를 제대로 확보할 수 없게 되는 이유는 보강리브(117)의 폭(G)에 해당하는 길이만큼 짧아지기 때문인 것이다.
이와 같이 부싱의 거리가 안전거리를 완전하게 확보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보강리브(117)의 앞쪽에 절연재를 소정 두께로 설치한 후에 부싱을 고정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벽관통형 부싱은 판넬에 고정 설치할 때 반드시 판넬의 한쪽에는 절연재를 설치하여야 함으로 인하여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벽관통형 부싱은 도체(101)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애관(103)의 직경이 판넬(109)에 직접 고정 부착되는 중앙부에서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갈수록 작아지게 되어 있고, 이렇게 작은 직경의 선단에 도체가 노출 설치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싱의 양쪽 선단 직경을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시키는 이유는, 판넬(109)에 고정 부착되는 부싱의 중앙부는 금속체인 판넬(109)과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짧은 거리에서 충분한 절연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애 관(103)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야 하므로 중앙부의 직경이 커지지만, 부싱의 양쪽 선단부는 판넬(109)에서부터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애관(103)의 두께를 두껍게 하지 않아도 중앙부와 동일한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애관(103)의 재료를 적게 절감하기 위해서 직경을 적게 만들고 있기 때문인 것이다.
이와 같이 벽관통형 선단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애관(103)의 선단으로 노출되는 도체 접속단의 직경 역시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도체 접속단에 스위치 홀더와 같은 큰 구조물을 직접 설치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적인 벽관통형 부싱의 도체 접속단에는 전선만을 직접 연결 설치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배전반을 형성시킬 때 여러 가지로 설치상에 제약이 따르는 등의 문제점이 많았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벽관통형 부싱에서 양쪽 선단의 직경을 적게함으로써 여러 가지 설치상의 문제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앙부에 비하여 양쪽 선단부의 직경을 작게 만드는 또 다른 이유는, 통상 도자기를 이루는 세라믹 재질로 만들어지는 애관의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판넬에 직접 고정 부착되는 중앙부의 직경은 크게 만들어도 지지하는데 별 문제가 없지만,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점이 없이 단지 연결단자만 연결되어 있으면서 외발보(cantilever)의 형태로 뻗어 있는 부싱의 양쪽 선단부가 무거우면 구조상으로 안정되지 못하여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부싱의 양쪽 선단 직경을 함부로 크게 만들 수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벽관통형 부싱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별도의 보조절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고압의 절연에 필요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싱의 선단에 전선의 연결에 필요한 기타 다른 연결부재를 장착할 수 있게 하는 충분한 연결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면서, 구조적으로 안정된 고압배전용 벽관통형 부싱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싱은, 내부에 도체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도체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애관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애관은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에 판넬의 관통구멍속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판넬 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애관의 직경이 판넬 걸림부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점진적으로 적어지며, 상기 애관의 표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절연돌기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벽관통형 부싱에서, 상기 애관의 선단에 상기 다수개의 절연돌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턱의 가장자리 선단에 도체로 이루어진 접속판이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노출된 접속판은 수직 밀착형 접속판 또는 수평 돌출형 접속판으로 이루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고압배전용 관통형 부싱은 상기 판넬 걸림부의 중심에서부터 양쪽 가장자리까지의 길이가 22.9KV이하의 절연에 필수적인 210mm 보다 긴 240mm 이상으로 되어 배전반의 판넬에 설치할 때 판넬의 가장자리에서부터 부싱의 선단에 설치된 접속판까지의 거리를 210mm이상으로 유지할 수가 있 어 별도의 절연 부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싱은 애관의 선단에 돌출턱을 형성시킴으로써, 판넬에서부터 부싱의 선단에 설치된 접속판까지의 표면 길이가 길어져 절연거리를 길어지게 함으로써 애관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전류의 흐름을 차단시켜 줄 수 있게 하여 절연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장자리의 선단에 노출 설치되는 접속판의 직경을 크게 할 수가 있어 다수개의 나사구멍을 형성시켜 줄 수가 있으므로, 직선으로 이루어진 부스바 또는 브라켓 형태로 이루어진 휴즈 홀더를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가 있어 다양한 형태의 배전구조를 이루게 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내지 도면 3은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고압 배전용 부싱을 나타내는 것이고, 도면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관통형 부싱을 배전판의 판넬에 설치한 상태의 측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배전용 부싱(1)은 내부에 도체(3)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도체(3)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애관(5)이 배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애관(5)은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판넬 걸림부(7)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판넬 걸림부(7)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갈수록 애관(5)의 직경이 점차 적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애관(5)의 표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절연돌기(9)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싱은 상기 애관(5)의 양쪽 선단에 상기 절연돌기(9)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11)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출턱(11)의 가장자리 선단에 애관(5) 내부의 도체(1)와 연결된 접속판(13)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접속판(13)은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할 수가 있는바, 도면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싱(1)에 돌출 형성된 돌출턱(11)의 선단벽면을 따라 수직으로 밀착 설치된 밀착형 접속판(13a)으로 형성시킬 수도 있고,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턱(11)의 선단에 수평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돌출형 접속판(13b)으로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들 접속판(13)의 형태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가 달라지는바, 예컨대 도면 1에 나타낸 1실시예의 부싱은 양쪽 선단이 모두 수직 밀착형 접속판(13a)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나타낸 것이고, 도면 2에 나타낸 부싱은 한쪽 선단에는 수직 밀착형 접속판(13a)을 설치하고 다른 한쪽에는 수평 돌출형 접속판(13b)을 설치한 구조를 나타낸 것이며, 도면 3에 나타낸 부싱에서는 양쪽 선단 모두에 수평 돌출형 접속판(13b)이 설치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 밀착형 접속판(13a)에는 도면 1과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나사가 형성된 다수개의 나사구멍(15)을 형성시켜 상기 나사구멍(15)속에 도면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퓨즈홀더(17)를 설치하거나 도면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용 부스바(19)를 설치하여 배전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고, 상기 수평 돌출형 접속판(13b)에는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21)을 통하여 동력 전달용 부스바(19)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 1에 도시한 1실시예에서부터 도면 3 까지에 도시한 3실시예의 벽관통형 부싱을 배전반의 설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벽관통형 부싱은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반의 격벽을 이루는 판넬(23)에 관통 형성된 관통구멍(25)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판넬 걸림부(7)를 판넬(23)에 밀착시킨 다음, 판넬 걸림부(7)의 반대쪽에서 볼트(27)를 끼워 넣어 판넬 걸림부(7)에 형성된 결합구멍(29)에 결속시키면 판넬(23)에 단단하게 결속되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면 4에서부터 도면 7까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부싱(1)의 선단에 형성된 접속판(13)에 부스바(19)나 휴즈 홀더(15)와 같은 배전기구를 연결함으로써, 배전판의 구조를 다양하고 편리하게 구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싱(1)에서 선단의 접속판(13a)에 휴즈 홀더(15)를 직접 연결시킬 수 있는 이유는, 부싱(1)의 양쪽 선단에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확장된 돌출턱(11)을 형성시킴으로써, 부싱(1)의 양쪽 선단면이 넓어지게 되고, 이러한 부싱(1)의 넓은 선단면에 접속판(13a)을 넓게 형성시킬 수가 있으며, 상기 접속판(13a)이 넓기 때문에 도면 1과 도면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나사구멍(15)을 형성시킬 수가 있고, 이러한 여러 개의 나사구멍(15)을 통하여 휴즈 홀 더(15)를 단단하게 결속시킬 수 있기 때문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싱(1)은 양쪽 선단에 절연돌기(9)보다 직경이 큰 돌출턱(1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부싱(1)의 길이 방향을 따른 표면거리가 길어나게 되므로, 부싱(1)의 양쪽 접속판(13)에 연결되는 휴즈 홀더(15) 또는 부스바(19)와 같은 노출 접속부에서부터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넬(23)까지의 절연거리가 길어져 절연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일반적인 부싱에서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부싱(1)에서도 양쪽 접속판(13)에 연결된 배전기구의 노출 접속부에서 누설되는 누설전류가 표면효과에 의해 부싱(1)의 표면을 따라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넬(23)쪽으로 흘러가게 되는데,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부싱은 선단에 돌출 형성된 돌출턱(11)에 의해 표면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므로 절연 효과가 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턱(11)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단으로 형성시켜 그 표면적이 더욱 증대되게 할 수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벽관통형 부싱(1)은 양쪽 선단에 돌출턱(11)을 형성시킴으로써 중앙의 판넬 걸림부(7)에서부터 양쪽 선단까지의 거리가 길어지게 되므로, 본 발명에 따른 부싱(1)을 도면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전반의 판넬(23)에 설치하였을 때, 판넬(23)의 보강을 위해 양쪽 선단을 접어 형성시킨 보강리브(23a)가 부싱의 한쪽으로 돌출되어 부싱(1)의 유효거리가 줄어들게 되어도,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넬(23)에서부터 부싱(1)의 양쪽 선단에 연결되는 휴즈 홀더(15) 또는 부스바(19)와 같은 노출 접속부까지의 절연간격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싱을 사용하여 배전반을 구성시킬 때, 부싱(1)을 설치하면서 보강리브(23a)가 형성된 쪽의 판넬(23) 표면에 절연부재를 덧대거나 기타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므로 배전반에 부싱을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은 부싱의 양쪽 선단에 애관(5)의 평균적인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11)을 연장 형성시킴으로써, 돌출턱(11)의 길이만큼 부싱(1)의 길이가 길어져 금속으로 이루어진 판넬(23)에 설치할 때 부싱(1)의 양쪽 선단에 연결되는 도체의 노출 접속부와 판넬(23)사이의 절연거리를 증대시킴으로써, 별도의 다른 보조부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충분한 절연거리를 확보할 수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부싱을 배전반의 격벽을 이루는 금속판넬에 간단히 부착 설치하기만 하면 절연상태를 이룰 수가 있기 때문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벽관통형 부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양쪽 선단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돌출턱(11)을 형성시킴으로써, 접속판(13)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넓은 접속판(13)에 여러 개의 나사구멍(15)을 형성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휴즈 홀더(15)와 같은 전기 연결부재를 직접 결속시킬 수가 있으므로 배전반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벽관통형 부싱은 양쪽 선단에 돌출턱(11)이 확장 설치되 어 있음으로 인하여, 부싱(1)의 양쪽 선단에 연결되는 휴즈 홀더(15) 또는 부스바(19)와 같은 노출 접속부와 중심부의 판넬걸림부(7)에 설치되는 금속의 판넬(23)사이의 표면 절연거리를 증대시켜, 부싱의 표면을 통하여 부싱의 선단 연결부와 판넬(23)사이에 전류가 통전되는 현상을 방지해 주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삭제
  2. 내부에 도체(3)가 삽입 배치되고, 상기 도체(3)의 주변에 전류가 통전되지 않는 절연체로 이루어진 애관(5)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애관(5)에는 길이 방향을 따른 중앙에 판넬(23)의 관통구멍(25)속에 끼워 결합하기 위한 판넬 걸림부(7)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상기 애관(5)의 직경이 판넬 걸림부(7)를 중심으로 하여 양쪽 가장자리를 따라 점진적으로 적어지며, 상기 애관(5)의 표면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절연돌기(9)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애관(5)의 양쪽 선단에 상기 다수개의 절연돌기(9)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돌출턱(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턱(11)의 가장자리 선단면에 내부의 도체(3)와 연결된 접속판(13)이 설치된 벽관통형 부싱에 있어서,
    상기 돌출턱(11)의 양쪽 선단면에 설치되는 접속판(13)이 다수개의 나사구멍(15)이 형성된 수직 밀착형 접속판(13a)과 다수개의 관통구멍(21)이 형성된 수평 돌출형 접속판(13b)이 선택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수직 밀착형 접속판(13a)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4개의 나사구멍(15)을 형성시켜 상기 나사구멍(15) 속에 퓨즈홀더(17)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 돌출형 접속판(13b)에는 2개의 관통구멍(21)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구멍(21)을 통하여 동력 전달용 부스바(19)를 연결하여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관통형 부싱
KR1020070014344A 2007-02-12 2007-02-12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 KR100719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344A KR100719809B1 (ko) 2007-02-12 2007-02-12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4344A KR100719809B1 (ko) 2007-02-12 2007-02-12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9809B1 true KR100719809B1 (ko) 2007-05-18

Family

ID=38277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344A KR100719809B1 (ko) 2007-02-12 2007-02-12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9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647B1 (ko) 2017-03-22 2018-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발전 플랜트의 송전 케이블 보호 설비
KR102276045B1 (ko) * 2020-10-06 2021-07-12 주식회사 서우일렉트 절연 부스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542Y1 (ko) 2006-08-17 2006-12-22 대원계전주식회사 벽관통 부싱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4542Y1 (ko) 2006-08-17 2006-12-22 대원계전주식회사 벽관통 부싱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647B1 (ko) 2017-03-22 2018-07-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부유식 해상 발전 플랜트의 송전 케이블 보호 설비
KR102276045B1 (ko) * 2020-10-06 2021-07-12 주식회사 서우일렉트 절연 부스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7897B2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cable junction box
KR101343520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US5847921A (en) Bus bar insulation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distribution
WO2019010890A1 (zh) 一种gis设备及其三相共箱母线筒体
KR100309322B1 (ko) 배전반
JPH0670431A (ja) 高圧用バスダクト
KR100719809B1 (ko) 고압 배전용 벽관통형 부싱
JPH11318011A (ja) 補償要素を備えたガス絶縁高圧開閉設備のカプセル装置
KR100715627B1 (ko)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20130137467A (ko) 가스절연모선의 지지물 고정구조
KR101189520B1 (ko) 전압 감지 기능을 내장한 고?저압 벽관통형 부싱
KR20050109051A (ko) 전기회로기판을 이용한 배선 분기장치
US4413307A (en) Bus bar extensions to outside of busway for external connections
CN210273038U (zh) 一种便于安装的主变管母线结构
CN208478848U (zh) 一种配电柜母排安装结构
EP3731356B1 (en) Gas-insulated open/close device
KR101333569B1 (ko) 삼각모선부를 이용한 고ㆍ저압 배전반
KR101931786B1 (ko) 배전반 및 그 조립 방법
JP2010206894A (ja) 配電盤
KR101029293B1 (ko) 착탈식 멀티 어댑터 조립체를 이용한 배전반
CN217740987U (zh) 一种开关柜伸缩式母线桥构造
KR102595685B1 (ko) 모듈형 멀티 부스바 분기 장치
JP5145870B2 (ja) 分電盤の内器ユニット
CN220122467U (zh) 空气绝缘计量柜及开关柜并柜结构
KR200405949Y1 (ko) 다단식 배전반의 부스 바 절연지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