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2890B1 - 퓨즈 홀더 - Google Patents

퓨즈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2890B1
KR101452890B1 KR1020130149867A KR20130149867A KR101452890B1 KR 101452890 B1 KR101452890 B1 KR 101452890B1 KR 1020130149867 A KR1020130149867 A KR 1020130149867A KR 20130149867 A KR20130149867 A KR 20130149867A KR 101452890 B1 KR101452890 B1 KR 101452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e
shaft
rotated
sto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량범
김민형
정해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9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28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2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2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055Fusible members
    • H01H85/12Two or more separate fusible members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01H85/175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composit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72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particular to three-phase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 H01H2085/209Modular assembly of fuses or holders, e.g. side by side;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identical fuse uni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Abstract

퓨즈 섹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퓨즈 설치대와, 상기 퓨즈 설치대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퓨즈에 각각 설치되며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퓨즈 하우징과, 상기 퓨즈 설치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퓨즈 섹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 설치대와, 상기 회전축 설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축 설치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타단이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퓨즈 연결 와이어를 포함하는 퓨즈 홀더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퓨즈 홀더{Fuse holder}
본 발명은 퓨즈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를 공급받아 가동되거나 운전되는 배전기기 즉, 배전반, 제어기 등에는 과전류나 과전압에 의한 소손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정 용량을 갖는 퓨즈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퓨즈는 용단 여부를 확인하거나 용단된 퓨즈를 신속하고 안정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퓨즈 홀더에 장착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퓨즈 홀더는 크게 중간에 퓨즈 하단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전,후면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통하여 체결부재에 의해 배전반에 체결 고정되는 퓨즈 홀더 몸체와, 퓨즈 홀더 몸체 상부에 설치되고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퓨즈 케이스와, 퓨즈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퓨즈캡과, 퓨즈 홀더 몸체의 하단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 블럭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퓨즈 홀더는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연결되지 않고 단순히 배전반에 퓨즈를 설치하는 역할만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퓨즈의 용단과 동시에 3상 스위치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8-0000531호
복수개의 퓨즈에 연결되어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퓨즈 홀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는 퓨즈 섹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퓨즈 설치대와, 상기 퓨즈 설치대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퓨즈에 각각 설치되며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퓨즈 하우징과, 상기 퓨즈 설치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퓨즈 섹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 설치대와, 상기 회전축 설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와,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축 설치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타단이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퓨즈 연결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퓨즈 설치대는 상기 퓨즈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퓨즈 하우징이 설치되는 퓨즈 설치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퓨즈 설치판에는 상기 퓨즈 하우징의 고정 설치를 위한 고정부재 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퓨즈 하우징은 상기 퓨즈의 외주면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의 스트라이크 핀이 상부로 노출되는 중앙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중앙판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 설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스트라이크 핀에 접촉되며 타단이 상기 링크부재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퓨즈 설치대에의 설치를 위한 제1,2 고정부재 삽입홀이 형성되며, 제1,2 고정부재 삽입홀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를 통해 복수개의 퓨즈 중 적어도 하나의 퓨즈가 끊어지는 경우에도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가 설치되는 퓨즈용 배전부스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의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의 도 4 및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1 동력전달부와 제1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1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동력전달부를 도 9와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 13과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설명도이다.
도 1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구동부에 의한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가 설치되는 퓨즈용 배전부스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퓨즈용 배전부스(10)는 일예로서, 퓨즈 섹션 본체(20),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 및 퓨즈 홀더(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퓨즈 섹션 본체(20)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내부에 3상 스위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퓨즈 섹션 본체(20)에는 퓨즈(30)의 일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퓨즈(30)는 퓨즈 홀더(300)에 설치되어 일단부가 퓨즈 섹션 본체(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퓨즈 홀더(300)는 퓨즈 연결 와이어(370)를 통해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퓨즈(30)의 작동 시 퓨즈 홀더(300)에 의해 퓨즈 연결 와이어(370)가 당겨지고, 퓨즈 연결 와이어(370)에 의해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는 3상 스위치를 통전 상태에서 단로 상태로 구동시킬 수 있다.
한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는 퓨즈 섹션 본체(20)에 고정 설치되며, 퓨즈 홀더(300)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홀더를 나타내는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퓨즈 홀더(300)는 일예로서, 퓨즈 설치대(310), 퓨즈 하우징(320), 회전축 설치대(330), 회전축(340), 링크부재(350), 코일 스프링(360) 및 퓨즈 연결 와이어(3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퓨즈 설치대(310)는 퓨즈 섹션 본체(2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퓨즈 설치대(310)는 퓨즈(30)가 관통되는 관통홀(312a)이 형성되는 바닥판(312)과, 바닥판(312)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퓨즈 하우징(320)이 설치되는 퓨즈 설치판(314)을 구비할 수 있다.
바닥판(312)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3개의 관통홀(312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퓨즈 설치판(314)은 퓨즈(3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바닥판(312)으로부터 4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퓨즈 설치판(314)에는 퓨즈 하우징(320)의 고정 설치를 위한 고정부재 설치홀(314a)이 형성될 수 있다.
퓨즈 하우징(320)은 퓨즈 설치대(310)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퓨즈(30)에 각각 설치되며, 가압부재(322)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퓨즈 하우징(320)은 퓨즈(30)의 외주면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부(324)와, 측면부(324)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덮개부(326) 및 덮개부(326)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측면부(324)에 설치되며 퓨즈(30)의 스트라이크 핀(32)이 상부로 노출되는 중앙판(328)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측면부(324)에는 퓨즈 설치대(314)에의 설치를 위한 제1,2 고정부재 삽입홀(324a,324b)이 형성되며, 제1,2 고정부재 삽입홀(324a,324b)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2 고정부재 삽입홀(324a,324b)은 퓨즈 설치대(314)로부터의 분리를 방지토록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중앙판(328)에는 가압부재(32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 설치부(328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가압부재(322)는 가압부재 설치부(328a)에 설치되어 퓨즈(30)의 스트라이크 핀(32)이 튀어 나올 경우 스트라이크 핀(32)에 의해 회동된다.
다시 말해, 가압부재(322)는 일단이 스트라이크 핀(32)에 접촉되며 타단이 링크부재(350)에 접촉될 수 있다.
회전축 설치대(330)는 퓨즈 설치대(310)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퓨즈 섹션 본체(20)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회전축 설치대(330)에는 회전축(34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축(340)의 적어도 일단부에는 회전축 설치대(330)에 연결되어 회전축(340)의 회전시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36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350)는 회전축(340)에 고정 설치되며, 가압부재(322)에 의해 회전축(340)과 함께 회전된다. 한편, 링크부재(350)는 가압부재(322)에 접촉되는 누름판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350)는 퓨즈(30)의 갯수에 대응되는 갯수로 회전축(34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예로서 링크부재(350)는 3개가 회전축(340)에 설치될 수 있다.
즉, 퓨즈(30)의 스트라이크 핀(32)이 튀어 나올 경우 가압부재(322)가 회전되며, 가압부재(322)의 회전에 의해 링크부재(350)가 회전축(340)과 함께 회전된다.
한편, 링크부재(350) 중 적어도 하나에는 퓨즈 연결 와이어(370)가 설치되는 설치홀(354)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36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축(340)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회전축 설치대(330)에 연결되어 회전축(34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즉, 링크부재(350)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340)이 회전되는 경우 회전축(340)이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코일 스프링(360)이 제공한다.
한편, 회전축(340)은 코일 스프링(36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퓨즈 연결 와이어(370)는 일단이 링크부재(350)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타단이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에 연결된다.
즉, 링크부재(350)의 회전 되면, 퓨즈 연결 와이어(370)가 당겨지게 되고, 이에 따라, 퓨즈 연결 와이어(370)에 의해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가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세개의 퓨즈(30) 중 어느 하나의 퓨즈(30)의 스트라이크 핀(32)이 튀어 나올 경우 링크부재(350)가 회전되어 퓨즈 연결 와이어(370)가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퓨즈 연결 와이어가 연결된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의 도 4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의 도 4 및 도 5와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는 일예로서, 전방 플레이트(110), 후방 플레이트(120), 고정축부(130), 제1 동력전달부(140), 제1 회전부(150), 제2 동력전달부(170), 제2 회전부(180), 회전축(195), 스토퍼부(200), 스토퍼 유닛(210), 구동부(220), 솔레노이드(230), 연동플레이트(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110)는 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전방 플레이트(110)에는 상기한 회전축(195)과 고정축부(130)가 노출되는 노출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플레이트(110)에는 노출홀(112)에 인접 배치되며, 연장선이 원호를 이루도록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동력전달부(150)의 회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이 노출홀(112)에 인접 배치되도록 전방 플레이트(110)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을 통해 전방 플레이트(110)로 노출된 제1 동력전달부(150)에 구동바 등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직접 제1 동력전달부(15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한편, 전방 플레이트(110)에는 상기한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과 이격 배치되며, 제2 동력전달부(170)의 회전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제2 회전상태 인지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회전상태 인지홀(116)을 통해 전방 플레이트(110)로부터 노출된 제2 동력전달부(170)에 구동바 등을 연결하여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2 동력전달부(17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후방 플레이트(120)는 전방 플레이트(110)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전방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후방 플레이트(120)에는 상기한 회전축(195)이 외부로 돌출 배치될 수 있도록 회전축(195)이 관통되는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방 플레이트(120)의 내부면에는 상기한 스토퍼부(20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플레이트(110)와 후방 플레이트(120)는 결합부재(102)를 통해 결합되며, 결합부재(102)의 길이만큼 전,후방 플레이트(120)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고정축부(130)는 전,후방 플레이트 중 적어도 일측에 연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축부(130)는 도 5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4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중심축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고정축부(130)는 복수개의 부재가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면에의 도시 및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1 동력전달부와 제1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제1 동력전달부(140)는 도 7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150)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제1 회전부(150)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제1 동력전달부(140)는 고정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동력전달부재(142)와, 제1 동력전달부재(142)에 설치되어 제1 회전부(150)를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바(144)를 구비할 수 있다.
더하여, 제1 동력전달부(140)는 제2 회전부(180)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는 연동회전판(146)이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연동회전판(146)은 제1 동력전달부(142)와는 별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 동력전달부(142)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동력전달부재(142)에는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을 통해 노출되는 구동바 설치홀(142a)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1 동력전달부재(142)의 회전시 구동바 설치홀(142a)은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 내에 배치되거나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바 설치홀(142a)은 회전축(195)에 의해 3상 스위치(미도시)가 단로 상태에 있거나 접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 내에 배치되며, 3상 스위치가 통전 상태에 있는 경우 구동바 설치홀(142a)은 제1 회전상태 인지홀(114)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따라서, 3상 스위치가 통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구동바를 통해 작업자가 제1 동력전달부재(142)를 회전시킬 수 없다.
다시 말해, 제1 동력전달부재(142)는 3상 스위치가 단로 상태로부터 접지 상태로 또는 접지 상태로부터 단로 상태로 변경되도록 회전축(195)을 회전시키는 경우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1 회전부(150)는 상기한 고정축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160)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회전부(150)는 도 8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암유닛(151), 스프링 유닛(15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암유닛(151)에 대하여 살펴보면, 암유닛(151)은 고정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 동력전달부(140,170)에 의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암유닛(151)은 제1 암부재(152), 제2 암부재(153), 제3 암부재(154), 제4 암부재(15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암부재(152)는 고정축부(1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동력전달부(140)에 의해 회전되며 일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암부재(152)는 제1 동력전달부(140)의 제1 동력전달부재(14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이와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암부재(152)는 스프링 유닛(156)과의 연결을 위해 일측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암부재(152)는 고정축부(130)에 결합 시 대략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단부에 고정축부(130)에 결합되기 위한 제1 암부재 결합홀(15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암부재(152)의 타단부는 스프링 유닛(156)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 암부재(152)의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부분에는 동력전달바(144)가 삽입되는 제1 동력전달바 삽입홈(15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바(144)가 제1 동력전달바 삽입홈(152b)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동력전달바(144)의 일 방향으로의 회전시 제1 암부재(152)가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하지만, 동력전달바(144)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동력전달바(144)가 제1 동력전달바 삽입홈(152b)으로부터 이탈되므로 동력전달바(144)의 타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제1 암부재(152)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제1 암부재(152)의 회전 시 스프링 유닛(156)도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결국 코일 스프링(160)이 제1 암부재(152)의 회전에 의해 압축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암부재(153)는 고정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2 동력전달부(140,170)에 의해 회전되며, 제1 암부재(152)의 구부러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암부재(153)는 고정축부(130)에 결합 시 대략 'ㄴ'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제2 암부재(153)의 중앙부에는 고정축부(130)에의 결합을 위한 제2 암부재 결합홀(15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암부재(153)의 일단부에는 스프링 유닛(156)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암부재(153)의 일단부는 제1 암부재(152)가 연결된 부분의 타측에서 스프링 유닛(156)에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암부재(152)가 코일 스프링(160)의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에 연결되는 경우 제2 암부재(153)는 코일 스프링(160)의 타측을 지지하는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암부재(153)의 회전 시 스프링 유닛(156)도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으며, 결국 스프링 유닛(156)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160)이 제2 암부재(143)의 회전에 의해 압축될 수 있다.
또한, 제2 암부재(153)의 중앙부에는 동력전달바(144)가 삽입되는 제2 동력전달바 삽입홈(153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1,2 동력전달바 삽입홈(152b,153b)은 동력전달바(144)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2 암부재(152,153)가 고정축부(130)에 설치되는 경우 제1,2 동력전달바 삽입홈(152b,153b)는 하나의 삽입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2 동력전달바 삽입홈(152b,153b)는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동력전달바(144)가 제2 동력전달바 삽입홈(153b)에 삽입 배치됨으로써 동력전달바(144)의 타방향으로의 회전시 제2 암부재(153)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며, 동력전달바(144)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시에는 제2 암부재(153)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 암부재(153)에는 제2 동력전달부(170)와의 연결을 위한 제2 동력전달부 연결부(153c)를 구비될 수 있다. 제2 동력전달부 연결부(153c)에는 제2 동력전달부(170)와의 연결을 위한 장착홀(153d)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암부재(153)는 제2 동력전달부(170)에 의해서도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2 암부재(152,153)는 전방 플레이트(110)에 인접 배치되도록 고정 축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3 암부재(154)는 고정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이 스프링유닛(156)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이 제2 동력전달부(170)에 연결되어 제2 암부재(153)의 회전시 제2 암부재(153)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먼저 제3 암부재(154)에는 고정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3 암부재 결합홀(154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축부(130)가 제3 암부재 결합홀(154a)을 관통하도록 제3 암부재(154)가 고정축부(13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3 암부재(154)는 고정축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3 암부재(154)의 중앙부에는 하부측으로 돌출되는 제3 암부재 스토퍼(154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암부재(154)에는 동력전달 시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암부재 스토퍼(154b)가 제3 암부재 결합홀(154a)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3 암부재 스토퍼(154b)는 반원 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3 암부재(154)에는 상기한 제3 암부재 스토퍼(154b)가 형성되는 측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3 암부재 라운드부(154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암부재 라운드부(154c)의 내주면은 상기한 제2 회전부(18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더하여, 제3 암부재(154)의 제3 암부재 라운드부(154c)가 형성되는 반대측에는 제3 암부재 라운드(154c)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프링 유닛 연결부(154d)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 암부재(154)는 제2 암부재(153)와 함께 코일 스프링(160)의 타측을 지지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제2 암부재(153)의 회전시 스프링 유닛(156)을 매개로 하여 제2 암부재(153)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3 암부재(153,154)가 회전됨으로써 스프링 유닛(156)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160)이 압축될 수 있다.
나아가, 제3 암부재(154)는 제2 암부재(153)와 같이 제2 동력전달부(170)와의 연결을 위한 제2 동력전달부 연결부(154e)가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동력전달부 연결부(154e)에는 제2 동력전달부(170)와의 연결을 위한 장착홀(154f)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3 암부재(154)가 제2 동력전달부 연결부(154e)를 통해 제2 동력전달부(170)에 연결됨으로써, 제2 동력전달부(170)에 의해서도 제3 암부재(154)가 제2 암부재(153)와 함께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제4 암부재(155)는 고정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끝단이 스프링유닛(156)에 고정 설치되어 제1 암부재(152)의 회전시 제1 암부재(152)와 연동하여 회전된다.
한편, 제4 암부재(155)에는 고정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제4 암부재 결합홀(155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축부(130)가 제4 암부재 결합홀(155a)을 관통하도록 제4 암부재(155)가 고정축부(130)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4 암부재(155)는 고정축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4 암부재(155)의 중앙부에는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제4 암부재 스토퍼(155b)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 암부재(155)에는 동력전달 시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 암부재 스토퍼(155b)가 제4 암부재 결합홀(155a)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제4 암부재 스토퍼(155b)는 반원 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4 암부재(155)에는 상기한 제4 암부재 스토퍼(155b)가 형성되는 측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4 암부재 라운드부(155c)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 암부재 라운드부(155c)의 내주면은 상기한 제2 회전부(18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더하여, 제4 암부재(155)의 제4 암부재 라운드부(155c)가 형성되는 반대측에는 제4 암부재 라운드(155c)가 연장 형성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프링 유닛 연결부(155d)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 암부재(155)는 제1 암부재(152)와 함께 코일 스프링(160)의 일측을 지지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제1 암부재(152)의 회전시 스프링 유닛(156)을 매개로 하여 제1 암부재(152)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4 암부재(152,155)가 회전됨으로써 스프링 유닛(156)에 구비되는 코일 스프링(160)이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제4 암부재(155)는 제3 암부재(154)보다 후방 플레이트(120) 측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고정축부(130)에 결합될 수 잇다.
스프링 유닛(156)은 암유닛(151)에 연결되며, 암유닛(151)의 회전에 의해 신축되는 코일 스프링(160)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스프링 유닛(156)은 상부 지지부재(157), 하부 지지부재(158), 가이드부재(159) 및 코일 스프링(160)을 구비할 수 있다.
상부 지지부재(157)는 제2,3 암부재(153,154)의 끝단에 연결되어 제2,3 암부재(153,154)의 회전 시 코일 스프링(160)을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부 지지부재(157)은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코일 스프링(160)의 일단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157a)와, 상부 지지대(157a)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부 지지축(157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2 암부재(153)은 상부 지지축(157b)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3 암부재(154)는 상부 지지축(157b)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시 상부 지지부재(157)를 회전시키면서 코일 스프링(160)을 압축시키는 것이다.
하부 지지부재(158)는 제1,4 암부재(152,155)의 끝단에 연결되어 제1,4 암부재(152,155)의 회전 시 코일 스프링(160)을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하부 지지부재(158)도 원형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코일 스프링(160)의 타단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158a)와, 하부 지지대(158a)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지지축(158b)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1 암부재(151)은 하부 지지축(158b)의 일측에 연결되고 제4 암부재(155)는 하부 지지축(158b)의 타측에 연결되어 회전 시 하부 지지부재(158)를 회전시키면서 코일 스프링(160)을 압축시키는 것이다.
가이드부재(159)는 상부 지지부재(157)와 하부 지지부재(158)를 연결한다.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가이드부재(159)는 상부 지지축(157b)과 하부 지지축(158b)에 설치된다. 그리고, 가이드부재(159)에는 상,하부 지지부재(157,158)가 코일 스프링(160)을 압축하는 경우 상,하부 지지축(157b,158b)의 이동을 위한 상,하부 가이드홀(159a,159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부 지지부재(157)에 의해 코일 스프링(160)이 압축되는 경우 상부 지지축(157b)은 상부 가이드홀(159a)을 통해 이동되며, 하부 지지부재(158)에 의해 코일 스프링(160)이 압축되는 경우 하부 지지축(158b)은 하부 가이드홀(159b)을 통해 이동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60)은 일단이 상부 지지부재(157)에 지지되며 타단이 하부 지지부재(158)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2,3 암부재(153,154)에 의해 상부 지지부재(157)가 회전되는 경우 상부 지지부재(157)에 의해 압축되며, 제1,4 암부재(152,155)에 의해 하부 지지부재(158)가 회전되는 경우 하부 지지부재(158)에 의해 압축된다.
여기서, 제1 회전부(150)의 작동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회전부(150)는 3상 스위치(미도시)가 단로, 접지, 통전 상태로 변경되도록 회전축(195)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동력전달부(140)는 3상 스위치가 단로상태로부터 접지 상태로 또는 접지 상태로부터 단로 상태로 변경되도록 회전축(195)을 회전시키는 경우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제1 동력전달부(140)를 통해 제1 회전부(150)가 작동되는 경우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작업자에 의해 제1 동력전달부재(142)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동력전달부재(142)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바(144)가 고정축부(130)를 중심으로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바(144)의 회전에 의해 암유닛(151)의 제1 암부재(152)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제2 암부재(153)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축부(1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1 암부재(152)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유닛(156)의 하부 지지축(158b)이 제1 암부재(152)와 함께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하부 지지축(158b)이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158)가 제1 암부재(152)와 함께 회전된다. 이때, 하부 지지축(158b)은 스프링 유닛(156)의 가이드부재(159)에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홀(159b)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하부 지지축(158)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4 암부재(155)도 하부 지지축(158b)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암유닛(151)의 제2 암부재(153)와 제3 암부재(154)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160)을 지지하는 하부 지지대(158)만이 회전되고 상부 지지대(157)는 원위치를 유지하므로, 코일 스프링(160)이 압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에 의해 동력전달부재(142)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 동력전달부재(142)에 구비되는 동력전달바(144)가 고정축부(130)를 중심으로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동력전달바(144)의 회전에 의해 암유닛(151)의 제2 암부재(153)가 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암유닛(151)의 제1 암부재(152)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축부(13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제2 암부재(153)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유닛(156)의 상부 지지축(157b)이 제2 암부재(153)와 함께 회전되며, 이와 동시에 상부 지지대(157)가 제2 암부재(153)와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부 지지축(157b)은 스프링 유닛(156)의 가이드부재(159)에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홀(159a)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축(157b)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3 암부재(154)도 상부 지지축(157b)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암유닛(156)의 제1 암부재(152)와 제4 암부재(155)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160)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158)만이 회전되고 하부 지지대(162)가 원위치를 유지하므로, 코일 스프링(150)이 압축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3 암부재(153,154)는 제2 동력전달부(170)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제2 동력전달부(170)에 의해서도 제2,3 암부재(153,154)는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제1,4 암부재(152,155)는 제2 동력전달부(170)에 연결되지 않으며, 제1,4 암부재(152,155)는 제1 동력전달부(140)에 의해서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동력전달부(170)에 의한 제2,3 암부재(153,154)의 회전 작동은 상기한 제1 동력전달부(140)에 의한 작동과 동일한 방식이다.
즉, 제2 동력전달부(170)에 의해 제2,3 암부재(153,154)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이와 동시에 상부 지지대(157)가 제2 암부재(153)와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부 지지축(157b)은 스프링 유닛(156)의 가이드부재(159)에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홀(159a)을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상부 지지축(157b)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3 암부재(154)도 상부 지지축(157b)과 함께 회전된다.
이때, 암유닛(156)의 제1 암부재(152)와 제4 암부재(155)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코일 스프링(160)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158)만이 회전되고 하부 지지대(162)가 원위치를 유지하므로, 코일 스프링(150)이 압축될 수 있다.
제2 동력전달부(170)에 의한 회전 작동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동력전달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동력전달부를 도 9와는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설명도이다.
제2 동력전달부(170)는 제1 회전부(150)에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제1 회전부(150)를 회전시킨다.
한편, 제2 동력전달부(170)는 도 9 및 도 10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축(171), 제2 동력전달부재(172), 제1 회전부재(173), 제2 회전부재(174),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 링크축(176), 걸림부재(177), 제2 동력전달부 스프링유닛(178)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축(171)은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축(171)은 제1 회전부(150)와 이격 배치되도록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축(171)은 작업자, 구동부(220), 퓨즈(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 동력전달부재(172)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동력전달축(171)과 연동하여 회전된다. 한편, 제2 동력전달부재(172)는 원판부(172a)와 캠부(172b)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원판부(172a)에는 전방 플레이트(110)의 제2 회전상태 인지홀(116)을 통해 노출되는 구동바 설치홀(172c)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2 동력전달부재(172)의 원판부(172a)의 회전시 구동바 설치홀(172c)은 제2 회전상태 인지홀(116) 내에 배치되거나 제2 회전상태 인지홀(116)로부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즉, 구동바 설치홀(172c)은 회전축(195)에 의해 3상 스위치(미도시)가 단로 상태에 있어나 통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제2 회전상태 인지홀(116) 내에 배치되며, 3상 스위치가 접지 상태에 있는 경우 구동바 설치홀(172c)은 제2 회전상태 인지홀(116)로부터 이격 배치된다.
결국, 작업자에 의한 제2 동력전달부재(172)의 회전은 3상 스위치가 단로 상태나 통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만 가능할 수 있다.
캠부(172b)는 원판부(172a)에 설치되어 원판부(172a)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캠부(172b)는 구동부(220)에 의해 제2 동력전달부재(172)가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구동부(220)에 의해 캠부(172b)가 회전되어 제2 동력전달부재(172)가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회전부재(173)는 동력전달축(171)에 고정 설치되어 동력전달축(171)과 함께 회전된다. 한편, 제1 회전부재(173)는 동력전달부재(172) 및 제2 회전부재(174)에 연결되어 동력전달부재(172,174)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회전부재(173)에는 연결축(175a)를 매개로 하여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부재(173)가 동력전달축(171)과 함께 회전되는 경우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가 제1 회전부재(173)와 함께 이동된다.
제2 회전부재(174)는 제1 회전부재(173)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제2 동력전달부 고정축(174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제2 회전부재(174)는 제1 회전부재(173)와 연결되어 제1 회전부재(173)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회전부재(174)에는 연결축(175a)를 매개로 하여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회전부재(174)가 제2 동력전달부 고정축(174a)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가 제2 회전부재(174)와 함께 이동된다.
또한, 제2 회전부재(174)는 스토퍼 유닛(210)에 지지되어 제2 회전부재(174)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걸림부(174b)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부(174b)는 제2 회전부재(174)의 일측, 다시 말해 제2 동력전달부 고정축(174a)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즉, 제2 회전부재(174)는 대략 'V'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걸림부(174b)의 일측면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타측면은 스토퍼 유닛(210)에 지지되는 경우 스토퍼 유닛(2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모서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걸림부(174b)의 끝단에는 보다 용이하게 스토퍼 유닛(210)에 지지될 수 있도록 연장부(174c)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걸림부(174)의 끝단의 두께가 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연장부(174c)는 별개의 부재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도 있으며, 걸림부(174b)의 나머지 부분보다 두께가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걸림부(174b)의 끝단과 연장부(174c)가 스토퍼 유닛(210)에 지지되어 제2 동력전달부재(172)에 의해 3상 스위치가 통전 상태에 있는 경우 제2 동력전달부재(172)가 회전되지 않고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는 연결축(175a)을 매개로 제1,2 회전부재(173,174)에 연결된다. 즉,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의 일단에는 연결축(175a)이 결합되며, 연결축(175a)에는 제1,2 회전부재(173,174)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제1,2 회전부재(173,174)의 회전 시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가 제1,2 회전부재(173,174)의 회전시 연동하여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의 타측에는 링크축(176)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과 제1,2 회전부재(173,174)에 의해 이동되는 경우 링크축(176)이 고정축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링크축(176)은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어 제1 회전부(140)를 회전시킨다. 한편, 링크축(176)은 일단이 암유닛(151)의 제2 암부재(153)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3 암부재(154)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링크축(176)이 고정축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175)가 이동되면, 링크축(176)에 의해 제2,3 암부재(153,154)가 고정축부(13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걸림부재(177)는 링크축(176)에 접촉되는 고리부(177a)가 구비되며, 고정축부(1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리부(177a)는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링크축(176)이 삽입되는 링크축 결합홈(177b)이 고리부(177a)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고리부(177a)의 끝단에는 걸림부재 와이어(179)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홀(177c)이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재 와이어 연결부재(179a)와 연결축(미도시)을 통해 결합하기 위한 연결홀(177c)가 고리부(177a)의 끝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동력전달부 스프링 유닛(178)은 걸림부재(177)에 걸림부재 와이어(179)를 통해 연결되며 퓨즈의 작동 시 제1 회전부(150)를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제2 동력전달부 스프링 유닛(178)은 설치판(178a), 도르레(178b), 하우징(178c), 스프링(178d) 및 지지부재(178e)를 구비할 수 있다.
설치판(178a)은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설치판(178)은 제1 회전부(150)와 제2 회전부(180)에 인접 배치되도록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설치판(178a)에는 일면에 도르레(178b)가 설치되고 타면에 하우징(178c)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부재 와이어(179)는 설치판(178a)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도르레(178b)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판(178a)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걸림부재 와이어(179)를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걸림부재 와이어(179)가 도르레(178b)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되어 걸림부재(177)의 이동 시 안정적으로 걸림부재 와이어(179)가 이동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하우징(178c)은 설치판(178a)의 타면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 공간을 가진다. 일예로서, 하우징(178c)은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일측은 설치판(178a)에 의해 폐쇄되며 타측은 지지부재(178e)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78d)는 하우징(178c)의 내부에 삽입 배치되며, 일단이 설치판(178a)에 지지되며 타단은 지지부재(178e)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78e)는 하우징(178c)의 끝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걸림부재 와이어(179)의 이동 시 하우징(178c)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어 스프링(178d)을 압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걸림부재(177)의 회전에 의해 걸림부재(177)에 연결되는 걸림부재 와이어(179)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걸림부재 와이어(179)가 연결되는 지지부재(178e)가 하우징(178c)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어 스프링(178d)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후, 제2 동력전달부(170)가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한 스프링(178d)의 복원력에 의해 걸림부재(177)가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제1 회전부(140)가 회전되는 것이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구비되는 제2 회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2 회전부(180)는 코일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부(180)는 도 11 및 도 12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유닛(181), 제1 스토퍼부재(182) 및 제2 스토퍼부재(1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 유닛(181)은 회전축(195)에 고정 설치된다. 즉, 플레이트 유닛(181)의 회전에 의해 회전축(195)은 플레이트 유닛(181)과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플레이트 유닛(181)은 제1 플레이트(184), 제2 플레이트(185), 원형 플레이트(186), 제3 스토퍼부재(187), 제4 스토퍼부재(188), 제1 연결부재(189), 제2 연결부재(190), 지지축(191) 및 판스프링(1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84)는 회전축(195)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플레이트(184)에는 회전축(195)이 관통되는 회전축 결합홀(184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축 결합홀(184a)을 중심으로 연장선이 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 스토퍼부재 관통홀(184b)과, 제4 스토퍼부재 결합홀(184c)이 제1 플레이트(178)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플레이트(184)에는 제3 스토퍼부재 관통홀(184b)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 연결부재 관통홀(184d)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제4 스토퍼부재 관통홀(184c)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2 연결부재 관통홀(184e)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184)에는 상기한 제2 플레이트(185)와의 고정 설치를 위한 지지축(191)이 설치되는 지지축 설치홀(184f)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85)는 제1 플레이트(148)와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회전축(195)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85)에도 회전축(195)이 관통되는 회전축 결합홀(185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회전축 결합홀(185a)을 중심으로 연장선이 원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제3 스토퍼부재 설치홀(185b)과, 제4 스토퍼부재 설치홀(185c)이 제2 플레이트(185)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185)에는 제3 스토퍼부재 설치홀(185b)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 연결부재 설치홀(185d)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아가 제4 스토퍼부재 설치홀(185b)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2 연결부재 설치홀(185e)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플레이트(185)는 지지축(191)을 통해 제1 플레이트(184)와 연결될 수 있다.
원형 플레이트(186)는 제1,2 플레이트(184,185) 사이 공간에 배치되도록 회전축(195)에 설치된다.
한편, 원형 플레이트(186)는 제3,4 스토퍼부재(187,188)가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회전축(195)과 연동하여 회전된다.
또한, 원형 플레이트(186)는 결합부재(미도시)에 의해 제1,2 플레이트(184,185)에 연결되어 제1,2 플레이트(184,185)와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제3 스토퍼부재(187)는 제1 플레이트(184)를 관통하여 전,후방 플레이트(110,120) 사이 공간으로 돌출 배치되며, 제1 회전부(150)의 회전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3 스토퍼부재(187)는 상기한 제1 회전부(150)의 제3 암부재 스토퍼(154b)를 지지하여 제4 암부재(155)의 동력전달 시 제3 암부재(154)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제1 회전부(150) 전체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3 스토퍼부재(187)가 제3 암부재 스토퍼(154b)를 밀면서 제1 회전부(150) 전체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4 스토퍼부재(188)도 제1 플레이트(184)를 관통하여 전,후방 플레이트(110,120) 사이 공간으로 돌출 배치되며, 제1 회전부(150)의 회전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4 스토퍼부재(188)는 상기한 제1 회전부(150)의 제4 암부재 스토퍼(155b)을 지지하여 제3 암부재(154)의 동력전달 시 일방향으로 제4 암부재(155)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나아가, 제1 회전부(150) 전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4 스토퍼부재(188)가 제4 암부재 스토퍼(155b)를 밀면서 제1 회전부(150) 전체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 연결부재(189)는 상기한 제3,4 스토퍼부재(187,188) 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제1 동력전달부(140)에 구비되는 연동회전판(146)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재(189)는 일단이 제1,2 플레이트(184,185)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이 제1 동력전달부(140)의 연동 회전판(146)에 연결되어 제2 회전부(180)의 회전 시 제1 동력전달부(140)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연결부재(190)는 제1 연결부재(189)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제1 동력전달부(140)에 구비되는 연동회전판(146)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부재(190)는 일단이 제1,2 플레이트(184,185)에 고정 설치되며, 타단이 제1 동력전달부(140)의 연동 회전판(146)에 연결되어 제2 회전부(180)의 회전 시 제1 동력전달부(140)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축(19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 플레이트(184,185)를 연결하며, 판 스프링(192)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판 스프링(192)은 지지축(191)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지지축(191)을 중심으로 판 스프링(192)이 가압되도록 한다.
한편, 판 스프링(192)은 지지축(191)에 조립되며, 양단부가 제1,2 스토퍼부재(182,183)에 접촉될 수 있다. 즉, 판 스프링(192)은 제1,2 스토퍼부재(182,183)가 회전된 후 제1,2 스토퍼부재(182,183)가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스토퍼부재(182)는 플레이트 유닛(181) 내부에 배치되며, 제1 피벗축(182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스토퍼부재(182)는 제1 피벗축(182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피벗부(182b)와 제1 피벗부(182b)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회전부(150)에 의해 제1 피벗부(182b)를 회동시키는 제1 연장바(182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1 연장바(182c)는 제3 암부재(154)의 제3 암부재 라운드부(154c)에 지지된다. 그리고, 제3 암부재(154)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1 연장바(182c)가 제3 암부재 라운드부(154c)를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1 피벗부(182b)가 제1 피벗축(182a)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후, 제1 피벗부(182b)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제1 피벗부(182b)가 스토퍼부(200)를 구성하는 스토퍼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부(180) 전체가 코일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195)과 함께 일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제1 피벗부(182b)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제1 피벗부(182b)는 판 스프링(192)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1 피벗부(182b)는 상기한 스토퍼부(200)를 구성하는 다른 스토퍼에 구속되어 더 이상 제2 회전부(180)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스토퍼 부재(183)도 플레이트 유닛(181) 내부에 배치되며, 제2 회전축(183a)을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스토퍼부재(183)는 제2 피벗축(183a)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피벗부(183b)와 제2 피벗부(183b)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제1 회전부(150)에 의해 제1 피벗부(183b)를 회동시키는 제2 연장바(183c)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2 연장바(183c)는 제4 암부재(155)의 제4 암부재 라운드부(155c)에 지지된다. 그리고, 제4 암부재(155)가 타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제2 연장바(183c)가 제4 암부재 라운드부(155c)를 따라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 피벗부(183b)가 제2 피벗축(183a)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후, 제2 피벗부(183b)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제2 피벗부(183b)가 스토퍼부(200)를 구성하는 스토퍼 중 어느 하나로부터 구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부(180) 전체가 코일 스프링(160)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축(195)과 함께 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후, 제2 피벗부(183b)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면, 제2 피벗부(183b)는 판 스프링(192)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원되도록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2 피벗부(183b)는 상기한 스토퍼부(200)를 구성하는 다른 스토퍼에 구속되어 더 이상 제2 회전부(180)가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회전축(195)은 제2 회전부(180)에 조립되어 제2 회전부(180)와 연동하여 회전되다. 그리고, 회전축(195)의 일단부는 3상 스위치(미도시)에 연결되어 3상 스위치가 접지, 통전, 단로 상태를 구현하도록 한다.
즉, 회전축(195)은 제2 회전부(180)와 함께 소정 각도로 회전되어 3상 스위치가 접지, 통전, 단로 상태를 구현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스토퍼부(200)는 후방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며, 제2 회전부(180)의 회전을 조절한다. 한편, 스토퍼부(200)는 제1,2 스토퍼부(202, 20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부(200)는 제1 스토퍼부재(182)를 지지하기 위한 제1 스토퍼부(212)와, 제2 스토퍼부재(183)를 지지하기 위한 제2 스토퍼부(20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스토퍼부(202)는 3개의 스토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2 스토퍼부(204)는 2개의 스토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신, 3상 스위치가 통전 상태로부터 단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를 규제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100)는 스토퍼유닛(210)이 구비된다.
스토퍼유닛(210)은 제2 동력전달부(170)에 인접 배치되도록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에 설치되며, 퓨즈(30)의 작동 시 제2 동력전달부(170)가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스토퍼유닛(210)은 스토퍼축(211), 손잡이부(212), 스프링부재(213), 설치핀(214), 와이어 설치부재(215)를 구비할 수 있다.
스토퍼축(211)은 전,후방 플레이트(110,1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 동력전달부(170)의 회전을 위한 통과홈(211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통과홈(211a)을 통해 제2 동력전달부(170)의 제2 회전부재(174)가 통과되어 제2 회전부재(174)가 스토퍼축(211)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제2 동력전달부(170)의 제2 회전부재(174)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경우,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스토퍼축(211)의 통과홈(211a)을 통과한다. 이때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스토퍼축(211)을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이후,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통과홈(211a)을 통과하면 스토퍼축(211)은 스프링부재(213)에 의해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에 의해 회전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스토퍼축(211)의 외주면에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지지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스토퍼축(211)에 지지되도록 회전되는 경우 제2 동력전달부 스프링 유닛(178)의 스프링(178d)은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후,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면, 제2 동력전달부 스프링 유닛(178)의 스프링(178d)의 복원력에 의해 제2 회전부재(174)가 회전되는 것이다.
손잡이부(212)는 전방 플레이트(110)로부터 돌출 배치되도록 스토퍼축(211)의 일측에 연결된다. 즉, 작업자가 손잡이부(212)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손잡이부(212)는 전방 플레이트(110)로부터 돌출 배치된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상기한 바와 같이 스토퍼축(211)의 외주면에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지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부(212)를 통해 스토퍼축(211)을 회전시키면, 스토퍼축(211)의 통과홈(211a)이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 측을 향하도록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제2 동력전달부 스프링 유닛(178)의 스프링(178d) 복원력에 의해 통과홈(211a)을 통과하도록 회전된다.
이와 같이,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2 회전부재(17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손잡이부(212)가 기능한다.
스프링 부재(213)는 스토퍼축(211)의 타단에 삽입 배치되며, 후방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지지핀(129)에 일단부가 지지된다. 즉, 스프링 부재(213)는 스토퍼축(211)이 원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제2 동력전달부(170)의 제2 회전부재(174)에 의해 스토퍼축(211)이 회전되는 경우, 또는 수동으로 손잡이부(212)에 의해 스토퍼축(211)이 회전된 후 스프링 부재(213)는 원래 위치로 스토퍼축(211)이 복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설치핀(214)는 스토퍼축(211)에 고정 설치되어 스프링 부재(213)의 타단부가 설치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설치핀(214)에 스프링 부재(213)가 지지되어 스프링 부재(213)가 압축 신축될 수 있는 것이다.
와이어 설치부재(215)는 전방 플레이트(110)에 인접 배치되도록 스토퍼축(211)에 고정 설치되며, 퓨즈(30)와의 연결을 위한 퓨즈 연결 와이어(370)가 설치된다. 즉, 와이어 설치부재(215)는 퓨즈 연결 와이어(370)가 당겨지는 경우 스토퍼축(21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와이어 설치부재(215)는 스토퍼축(21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즉, 퓨즈 연결 와이어(370)가 퓨즈(30)의 작동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 스토퍼축(211)은 와이어 설치부재(215)에 의해 스토퍼축(211)의 외주면에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지지된 상태에서 스토퍼축(211)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토퍼축(211)의 통과홈(211a)이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 측을 향하도록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제2 동력전달부 스프링 유닛(178)의 스프링(178d) 복원력에 의해 스토퍼축(211)의 통과홈(211a)을 통과하도록 회전된다.
구동부(220)는 전,후방 플레이트(110,120)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 설치되며, 제2 동력전달부(170)를 회전시킨다. 즉, 구동부(220)는 전원에 의해 제2 동력전달부(170)를 회전시킨다.
이를 위해 구동부(220)는 도 15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부 설치판(221), 제2 구동부 설치판(222), 구동모터(223), 복수개의 기어부재(224), 동력전달기어(225), 캠부재(22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구동부 설치판(221)은 후방 플레이트(120)에 고정 설치되며, 일예로서 사격형 플레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구동부 설치판(222)은 제1 구동부 설치판(221)으로부터 이격부재(221a)를 통해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제1 구동부 설치판(221)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구동부 설치판(222)은 제1 구동부 설치판(221)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223)는 상기 제2 구동부 설치판(2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구동모터(223)의 구동축(미도시)이 제2 구동부 설치판(222)을 관통하도록 구동모터(223)가 제2 구동부 설치판(222)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기어부재(224)는 상기한 제1,2 구동부 설치판(221,222) 사이 공간에 배치되도록 제1,2 구동부 설치판(221,2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기어부재(224)는 구동모터(223)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동력전달기어(225)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동력전달기어(225)는 복수개의 기어부재(224)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기어부재 회전축(227)에 고정 설치된다. 즉, 복수개의 기어부재(224)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동력전달기어(225)가 전달받아 기어부재 회전축(227)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캠부재(226)는 기어부재 회전축(227)에 고정 설치되어 기어부재 회전축(227)과 연동하여 회전된다.
즉, 캠부재(226)가 기어부재 회전축(227)과 함께 회전되는 경우 캠부재(226)의 끝단은 제2 동력전달부(170)를 회전시킨다.
이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캠부재(226)의 끝단은 회전 시 제2 동력전달부재(172)의 캠부(172b)에 접촉되어 캠부(172b)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제2 동력전달부재(172)가 캠부재(226)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결국 제2 동력전달부(170)가 회전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제2 동력전달부(170)가 제1 회전부(150)를 회전시켜 종국적으로 회전축(195)이 3상 스위치(미도시)를 단로 상태로부터 통전 상태로 변경시키는 것이다.
다시 말해, 구동부(220)에 의해 3상 스위치는 단로 상태로부터 통전 상태로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2 동력전달부(170)는 외부 전원에 의해 또는 작업자에 의해 제1 회전부(150)를 회전시켜 3상 스위치가 단로 상태로부터 통전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3상 스위치가 통전 상태에서 단로 상태로의 변경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부(212)를 통해, 또는 퓨즈(30)의 작동 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솔레노이드(230)는 도 13 및 도 14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 유닛(210)의 인접 배치되도록 후방 플레이트(120)에 설치되는 장착 플레이트(232)에 고정 설치되며, 푸쉬핀(234)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연동플레이트(240)는 푸쉬핀(234)의 작동 시 접촉되도록 스토퍼축(21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솔레노이드(230)에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푸쉬핀(234)이 이동되어 푸쉬핀(2340이 연동플레이트(240)를 밀어낸다. 이 경우 연동플레이트(240)는 스토퍼축(211)을 소정 각도 회전시킨다.
다시 말해, 스토퍼축(211)은 연동 플레이트(240)에 의해 스토퍼축(211)의 외주면에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가 지지된 상태에서 스토퍼축(211)을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스토퍼축(211)의 통과홈(211a)이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 측을 향하도록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2 회전부재(174)의 걸림부(174b) 끝단 및 연장부(174c)의 구속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솔레노이드(230)를 통해서도 스토퍼축(211)을 회전시켜 종국적으로 회전축(195)이 3상 스위치(미도시)를 통전 상태로부터 단로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 퓨즈용 배전부스 30 : 퓨즈
100 :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 110 : 전방 플레이트
120 : 후방 플레이트 130 : 고정축부
140 : 제1 동력전달부 142 : 제1 동력전달부재
144 : 동력전달바 150 : 제1 회전부
151 : 암유닛 152 : 제1 암부재
153 : 제2 암부재 154 : 제3 암부재
155 : 제5 암부재 156 : 스프링 유닛
157 : 상부 지지부재 158 : 하부 지지부재
159 : 가이드부재 160 : 코일 스프링
170 : 제2 동력전달부 171 : 동력전달축
172 : 제2 동력전달부재 173 : 제1 회전부재
174 : 제2 회전부재 175 : 제2 동력전달부 링크부재
176 : 링크축 177 : 걸림부재
178 : 제2 동력전달부 스프링유닛 180 : 제2 회전부
181 : 플레이트 유닛 182 : 제1 스토퍼부재
183 : 제2 스토퍼부재 184 : 제1 플레이트
185 : 제2 플레이트 186 : 원형 플레이트
187 : 제3 스토퍼부재 188 : 제4 스토퍼부재
189 : 제1 연결부재 190 : 제2 연결부재
191 : 지지축 192 : 판스프링
195 : 회전축 200 : 스토퍼부
202 : 제1 스토퍼부 204 : 제2 스토퍼부
210 : 스토퍼유닛 211 : 스토퍼축
212 : 손잡이부 213 : 스프링부재
214 : 설치핀 215 : 와이어 설치부재
220 : 구동부 221 : 제1 구동부 설치판
222 : 제2 구동부 설치판 223 : 구동모터
224 : 기어부재 225 : 동력전달기어
226 : 캠부재 230 : 솔레노이드
240 : 연동 플레이트 300 : 퓨즈 홀더
310 : 퓨즈 설치대 320 : 퓨즈 하우징
330 : 회전축 설치대 340 : 회전축
350 : 링크부재 360 : 코일 스프링
370 : 퓨즈 연결 와이어

Claims (7)

  1. 퓨즈 섹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퓨즈 설치대;
    상기 퓨즈 설치대에 고정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퓨즈에 각각 설치되며, 가압부재를 구비하는 퓨즈 하우징;
    상기 퓨즈 설치대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퓨즈 섹션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 설치대;
    상기 회전축 설치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
    상기 회전축의 적어도 일단부에 배치되며, 일단이 상기 회전축 설치대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 및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며 타단이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퓨즈 연결 와이어;
    를 포함하는 퓨즈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설치대는 상기 퓨즈가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퓨즈 하우징이 설치되는 퓨즈 설치판을 구비하는 퓨즈 홀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설치판에는 상기 퓨즈 하우징의 고정 설치를 위한 고정부재 설치홀이 형성되는 퓨즈 홀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퓨즈 하우징은 상기 퓨즈의 외주면 양측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퓨즈의 스트라이크 핀이 상부로 노출되는 중앙판을 구비하는 퓨즈 홀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에는 상기 가압부재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압부재 설치부가 구비되는 퓨즈 홀더.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일단이 상기 스트라이크 핀에 접촉되며 타단이 상기 링크부재에 접촉되는 퓨즈 홀더.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퓨즈 설치대에의 설치를 위한 제1,2 고정부재 삽입홀이 형성되며, 제1,2 고정부재 삽입홀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는 퓨즈 홀더.
KR1020130149867A 2013-12-04 2013-12-04 퓨즈 홀더 KR101452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867A KR101452890B1 (ko) 2013-12-04 2013-12-04 퓨즈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867A KR101452890B1 (ko) 2013-12-04 2013-12-04 퓨즈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2890B1 true KR101452890B1 (ko) 2014-10-22

Family

ID=5199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867A KR101452890B1 (ko) 2013-12-04 2013-12-04 퓨즈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289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348A (ja) * 1993-12-27 1995-10-03 Cooper Ind Inc ヒューズおよびヒューズホルダ
KR100715627B1 (ko) 2007-02-26 2007-05-08 대원계전주식회사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101282713B1 (ko) 2013-02-20 2013-07-05 (주) 금성시스템 3상의 퓨즈 동시개폐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4348A (ja) * 1993-12-27 1995-10-03 Cooper Ind Inc ヒューズおよびヒューズホルダ
KR100715627B1 (ko) 2007-02-26 2007-05-08 대원계전주식회사 배전용 고압 부싱형 퓨즈홀더와 이를 이용한 배전 구조
KR101282713B1 (ko) 2013-02-20 2013-07-05 (주) 금성시스템 3상의 퓨즈 동시개폐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40046B (zh) 透镜驱动装置
CN100380156C (zh) 透镜镜筒
CN112145542B (zh) 折叠模组及折叠式电子设备
WO2016099652A1 (en) Break away door, trip unit and circuit breaker assembly including same
KR20110130422A (ko) 회전형 스위치
US20160231688A1 (en) Transmission device for photosensitive drum and drum device having same
US11495910B2 (en) Rotatable electric plug
CN110553121A (zh) 旋转装置
KR20190085663A (ko) 절삭 휠 탈부착장치
KR101452890B1 (ko) 퓨즈 홀더
EP2806447B1 (en) Coupling device for circuit breaker
KR101922152B1 (ko) 퓨즈 연결 3상 스위치 구동 장치
US10566149B2 (en) Locking/unlocking structure of a pushbutton switch actuator
CN109209982B (zh) 用于风叶的轴套组件、风道组件和空调器
AU4086000A (en) Waveguide twist
KR20110129953A (ko) 엔진 및 본 기기의 접속 분리 구조
US20170133907A1 (en) Actua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FI115949B (fi) Järjestely komponenttien kiinnittämiseksi irrotettavasti runko-osaan
KR101563319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WO2022084769A1 (ko) 장착형 보빈을 포함하는 줄자
KR101956718B1 (ko) 접이식 도어의 힌지 장치
KR101680718B1 (ko) 스위치 구동 장치
KR101877134B1 (ko) 차량용 클락스프링
CN113944698B (zh) 传动组件、旋转机构以及闸机
KR20140084716A (ko) 토크 가변형 로봇 관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