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8603B1 -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 Google Patents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8603B1
KR101978603B1 KR1020180078659A KR20180078659A KR101978603B1 KR 101978603 B1 KR101978603 B1 KR 101978603B1 KR 1020180078659 A KR1020180078659 A KR 1020180078659A KR 20180078659 A KR20180078659 A KR 20180078659A KR 101978603 B1 KR101978603 B1 KR 10197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m
camshaft
switch
fron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8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 주 박
Original Assignee
채 주 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 주 박 filed Critical 채 주 박
Priority to KR1020180078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86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단자가 설치되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단자부와, 상기 다수개의 단자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캠축과, 상기 캠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캠축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단자부의 단자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단자부 내측에 설치되는 캠과, 상기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의 단자 외측으로 보호벽을 형성하여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캠축이 일정 이상으로 회전되더라도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단자부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캠축이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쇼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Cam switch for power shutdown}
본 발명은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각의 단자가 설치되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단자부와, 상기 다수개의 단자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캠축과, 상기 캠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캠축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단자부의 단자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단자부 내측에 설치되는 캠과, 상기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의 단자 외측으로 보호벽을 형성하여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캠축이 일정 이상으로 회전되더라도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단자부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캠축이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쇼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캠 스위치는 다수의 단자가 배치되는 블록을 관통하여 작동축을 배치하고, 작동축상에 캠을 장착하여 캠의 위상변화에 따라 스위칭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산업용 전기설비, 자동개폐기등의 조작과 전류, 전압등의 계기류 배전반 및 전기회로의 절환스위치용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캠 스위치는, 전면에 전면플레이트와 일체로 구성되며, 걸림턱을 제공하는 메인블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걸림턱은 메인블록의 내측단에 축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메인블록에는 복수의 단위블록이 중첩되어 나사체결되어 있다
각각의 단위블록에는 전선이 연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단자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메인블록과 단위블록을 관통하며 주위에 캠이 고정되는 캠축이 제공되고, 상기한 캠축의 선단에는 작동노브가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블록 및 단위블록을 보호하는 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는 최후의 단위블록을 커버하는 후면밀폐부와, 후면밀폐부로부터 메인블록을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면밀폐부가 일체로 구성된 커버가 제공된다.
상기한 측면밀폐부에는 각각 단자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수용하는 복수의 구분홈이 형성된다 구분홈은 측면밀폐부의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일정깊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수 및 위치는 단자 및 전선의 수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메인블록의 걸림턱에 걸리는 적어도 두 개의 훅크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후면밀폐부에는 단위블록 체결용 나사의 수용을 위한 두 개의 돌기 및 구조적 강도를 위해 모서리부를 함몰하여서 이루어진 보강부가 형성된다.
상기 훅크는 탄성을 보유하며 후방으로 분리손잡이가 연장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분리손잡이는 훅크의 단부에서 후방으로 미량 연장되고, 다시 그 단부로부터 후면밀폐부를 향하여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단자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여러 개의 단자를 배치해야 하므로 단자에 연결되는 전선들이 상호 간섭하게 되고, 심하게는 단락의 우려를 갖고 있었다.
즉, 단자는 캠의 둘레에 배치되어야 하는바 허용되는 공간이 크지 않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캠의 크기를 무한하게 크게 구성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었다.
특히 갈수록 다양해지는 캠스위치의 용도의 다양성 및 제어의 다양성을 위해 단자의 수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위에서 언급한 문제에 대한 시급한 대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캠 스위치는 단자를 커버로 전체를 감싸 보호하므로 내부에서 전선들이 상호 간섭되어 단락되거나 합선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1998-0007369호로 전원 자동차단용 스위치를 출원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전원 자동차단용 스위치는, 본체의 좌우에 형성한 입력단자홈과 출력단자홈의 내측에 형성한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의 사이에 장설한 회동축에 삽착한 홈을 갖는 가동캠과 상기 가동캠의 하부에 스프링의 탄성을 받도록 장설한 승강구 및 가동단자와, 상기한 회동축의 끝단에 연결한 정지홈을 갖는 캠과 상기 캠의 저부측 본체에 굴설한 구멍에 로울러를 연결한 지지봉을 스프링의 탄성을 받도록 장설하여서 되는 전원연결 및 차단수단을 구성하여서 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원 자동차단용 스위치는, 가동캠이 단일체로 형성되어 구비되므로 파손시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전원 자동차단용 스위치는 입력단자홈과 출력단자홈에 각각 설치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외측부분이 노출되므로 인해 이물질 유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물체가 입력 또는 출력단자와 쉽게 접촉될 수 있는 문제점 있었다.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1998-0007369호, 출원일;1998년05월07일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각각의 단자가 설치되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되는 다수개의 단자부와, 상기 다수개의 단자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캠축과, 상기 캠축 상에 설치되어 상기 캠축이 회전하는 것에 의해 단자부의 단자를 온/오프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각의 단자부 내측에 설치되는 캠과, 상기 외부로 노출된 단자부의 단자 외측으로 보호벽을 형성하여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를 구성함으로써, 캠축이 일정 이상으로 회전되더라도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단자부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캠축이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쇼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가능하게 입력단자설치대와 출력단자설치대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자설치대와 출력단자설치대 사이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의 내측면에는 캠축용 관통홀이 천공된 하나의 단자대가 다수개 포개어져 구비되는 단자부와, 상기 단자부의 각 단자대에 형성된 수용홈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중심축 방향으로는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캠과, 상기 캠의 홀을 일단이 각각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른 타단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캠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캠축과, 상기 단자부의 단자대에 형성된 수용홈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캠축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는 캠에 의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접속 및 단락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접속스위치수단과, 상기 다수의 단자대가 서로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자부의 전면에 결합되면서 막음하도록 중앙부에는 캠축을 관통시키기 위한 전면커버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용 홀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단자부와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면커버부와, 상기 전면커버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캠축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여 캠축의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축가압지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단자대의 입력단자설치대와 출력단자설치대의 상면 각 일측에는 상기 입력단자설치대와 출력단자설치대에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각각 고정 설치됨에 따른 상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가 입력단자설치대와 출력단자설치대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력 및 출력차단판이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에 따르면, 캠축이 일정 이상으로 회전되더라도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단자부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캠축이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쇼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를 도시한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의 단자부의 단자대와 접속스위치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의 전면커버부재와 캠축가압지지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는, 캠축이 회전되더라도 스위치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단자부측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캠축이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쇼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100)는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를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가능하게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 사이에는 수용홈(111c)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111c)의 내측면에는 캠축용 관통홀(111d)이 천공된 하나의 단자대(111)가 다수개 포개어져 구비되는 단자부(110)와, 상기 단자부(110)의 각 단자대(111)에 형성된 수용홈(111c)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중심축 방향으로는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캠(120)과, 상기 캠(120)의 홀을 일단이 각각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른 타단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캠(12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캠축(130)과, 상기 단자부(110)의 단자대(111)에 형성된 수용홈(111c)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캠축(13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는 캠(120)에 의해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를 접속 및 단락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접속스위치수단(140)과, 상기 다수의 단자대(111)가 서로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자부(110)의 전면에 결합되면서 막음하도록 중앙부에는 캠축(130)을 관통시키기 위한 전면커버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용 홀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단자부(110)와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면커버부(150)와, 상기 전면커버부(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캠축(130)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여 캠축(130)의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단자부(110)의 각 단자대(111) 양측 하단부에는 다수의 스크류를 매개로 전원 차단장치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용 요홈(도면부호 생략)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의 단자부(110)의 단자대(111)는,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을 갖는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를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 일단이 각각 노출되게 고정 설치시키기 위한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가 전면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 사이에는 상기 캠(120)을 회전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111c)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111c)의 내측면에는 상기 캠(120)을 관통한 캠축(13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캠축용 관통홀(111d)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단자대(111)의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의 상면 각 일측에는 상기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에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가 각각 고정 설치됨에 따른 상기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가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력 및 출력차단판(111e,111f)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단자대(111)에 형성된 수용홈(111d) 하부에는 상기 접속스위치수단(14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홈(111g)이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설치홈(111g)의 상부는 상기 수용홈(111d)과 연통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캠(1 20)은 단자부(110)의 각 단자대(111)에 형성된 수용홈(111d)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캠축(130)이 회전함과 동시에 회전하여 접속스위치수단(140)을 각각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캠(12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110)의 각 단자대(111)에 형성된 수용홈(111d)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원기둥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후술할 접속스위치수단(140)의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을 걸림시킬 수 있도록 요홈(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고, 중심축 방향으로는 캠축(13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홀(도면부호 생략)이 천공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캠축(13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부(의 전면커버용 홀과, 캠(120)에 형성된 홀과 상기 캠(120)을 수용가능하게 형성된 단자대(111)의 수용홈(111c)에 형성된 캠축용 관통홀(111d)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C"링을 매개로 캠(120)을 고정시키도록 축상에는 걸림홈(도면부호 생략)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고, 타단에는 레버가 결합될 수 있도록 사각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를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캠과 함께 동시에 회전하여 접속스위치수단(140)이 작동하는 것에 의해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를 단락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한 접속스위치수단(140)은 도 1 및 도 3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대(111)의 설치홈(111g)에 각각 설치되어 캠축(13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는 캠(120)에 의해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를 접속 및 단락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접속스위치수단(140)은 단자대(111)의 설치홈(111g)에 설치되되, 일단은 캠(120)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걸림부(141a)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은 수용부(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과,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수용부측으로 중앙부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일단과 타단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각 타단에 접속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속스위치단자(142)와,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수용부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접속스위치단자(142)의 중앙부를 가압 지지하고, 타단은 설치홈(111g)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을 항상 가압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속스위치용 가압부재(14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접속스위치수단(140)은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승,하강시 가이드가능하도록 단자대(111)의 설치홈(111g) 내측면에는 가이드홈(144)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전,후면 각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44)에 삽입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144b)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전면커버부(150)는 단자대(111)가 서로 포개어져 형성된 단자부(110)의 전면에 결합되면서 막음하도록 중앙부에는 캠축(130)을 관통시키기 위한 전면커버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용 홀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단자부(110)와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을 내부에 설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전면커버부(150)는 도 1 및 도 2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축(130)의 일단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중앙 상부에 전면커버용 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용 홀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단자부(110)와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을 내부에 설치시킬 수 있도록 일면이 개구된 공간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면커버용 하우징(151)과, 상기 전면커버용 하우징(150)의 개구된 부분을 덮어 스크류를 매개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을 보호할 수 있도록 전면커버용 홀과 일치되게 덮개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면커버용 덮개부(153)로 구성된다.
상기한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은 상기 전면커버부(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캠축(130)이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하도록 하여 쇼트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부(15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앙부로 캠축(13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캠축가압지지용 캠축홀(161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방사방향으로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홈(161b)이 형성된 것에 의해 별 모양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는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와, 상기 전면커버부(15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에 의해 각 일단은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의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홈(161b)에 걸림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과, 상기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의 타단에 일단이 삽입 지지되고, 타단은 전면커버부(150)의 내측면에 걸림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함에 따른 상기 캠축(1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의 외주면을 상기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이 각각 가압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압축스프링(16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의 전면과 후면에는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가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을 각각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압편용 가이드돌기(162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150)의 전면커버용 하우징(151)과 전면커버용 덮개부(153)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 전,후면에 돌출 형성된 가압편용 가이드돌기(162a)를 수용하여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가압편용 가이드홈(164,164')이 각각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를 건축현장의 승강기레일 일측에 설치하여 승강기에 연결한 작동봉이 캠축과 연결된 레버를 위에서 밑으로 누르도록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을 일 예로 들어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작업승강기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승강기의 작동봉이 레버를 누르면 캠축(130)이 회동하게 된다.
상기 캠축(130)의 회동으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커버부재(150)의 내부에 설치된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의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와 단자부(110)의 각 단자대(111) 내부에 설치된 캠(12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전면커버부재(150)의 내부에 설치된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의 회전으로 캠축(130)의 회전으로 위치가 변경된 상태를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이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므로 인해 캠축(130)이 유동됨 없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단자대(111) 내부에 각각 설치된 캠(120)의 회전으로 접속스위치수단(140)의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이 하향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이동으로 일단과 타단이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의 각 타단을 접속 연결하고 있던 접속스위치단자(142)가 상기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의 각 타단으로부터 떨어지면서 전원이 차단 된다.
이때, 작업자의 실수로 상기 캠축에 연결된 레버를 회동시키게 되더라도, 상기 캠축이 360도로 회전하지 않는 이상 접속스위치단자(142)가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의 각 타단을 접속 연결하지 못하므로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입력단자 20 ; 출력단자
100 ;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110 ; 단자부
120 ; 캠 130 ; 캠축
140 ; 접속스위치수단 150 ; 전면커버부
160 ; 캠축가압지지수단

Claims (5)

  1.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는,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를 상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고정 설치가능하게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가 형성되고, 상기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 사이에는 수용홈(111c)이 형성되되, 상기 수용홈(111c)의 내측면에는 캠축용 관통홀(111d)이 천공된 하나의 단자대(111)가 다수개 포개어져 구비되는 단자부(110)와;
    상기 단자부(110)의 각 단자대(111)에 형성된 수용홈(111c)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중심축 방향으로는 홀이 천공되어 구비되는 캠(120)과;
    상기 캠(120)의 홀을 일단이 각각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른 타단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캠(120)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캠축(130)과;
    상기 단자부(110)의 단자대(111)에 형성된 수용홈(111c)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캠축(130)의 회전과 동시에 회전하는 캠(120)에 의해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를 접속 및 단락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접속스위치수단(140)과;
    상기 다수의 단자대(111)가 서로 포개어지는 것에 의해 형성된 단자부(110)의 전면에 결합되면서 막음하도록 중앙부에는 캠축(130)을 관통시키기 위한 전면커버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용 홀의 하단 양측에는 상기 단자부(110)와 고정가능하도록 고정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전면커버부(150)와;
    상기 전면커버부(150)의 내부에 설치되어 캠축(130)의 외주면을 가압 지지하여 캠축(130)의 회전됨에 따른 유동을 방지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대(111)의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의 상면 각 일측에는 상기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에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가 각각 고정 설치됨에 따른 상기 입력단자(10)와 출력단자(20)가 입력단자설치대(111a)와 출력단자설치대(111b)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입력 및 출력차단판(111e,111f)이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스위치수단(140)은, 단자대(111)의 설치홈(111g)에 설치되되, 일단은 캠(120)의 요홈에 삽입되도록 걸림부(141a)가 돌출 형성되고, 타단은 수용부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과,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수용부측으로 중앙부가 슬라이드 삽입되고 일단과 타단은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각 타단에 접속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속스위치단자(142)와,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수용부측으로 일단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 접속스위치단자(142)의 중앙부를 가압 지지하고, 타단은 설치홈(111g)의 바닥면에 지지되어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을 항상 가압가능하게 구비되는 접속스위치용 가압부재(143)로 구성되며, 상기 단자대(111)의 설치홈(111g) 내측면에는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승,하강시 가이드가능하도록 가이드홈(144)이 형성되고, 상기 접속스위치용 이동편(141)의 전면 또는 후면 또는 전,후면 각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44)에 삽입가능하도록 가이드돌기(144b)가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가압지지수단(160)은, 전면커버부(15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앙부로 캠축(130)을 관통시킬 수 있도록 캠축가압지지용 캠축홀(161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방사방향으로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홈(161b)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와, 상기 전면커버부(150)의 내부에 각각 설치되는 것에 의해 각 일단은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의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홈(161b)에 걸림 지지가능하게 구비되는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과, 상기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의 타단에 일단이 삽입 지지되고, 타단은 전면커버부(150)의 내측면에 걸림 지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함에 따른 상기 캠축(13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의 외주면을 상기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이 각각 가압지지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다수의 압축스프링(16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의 전면과 후면에는 캠축가압지지용 위치결정부재(161)가 회전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을 각각 가이드할 수 있도록 가압편용 가이드돌기(162a)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면커버부(150)의 전면커버용 하우징(151)과 전면커버용 덮개부(153)의 내측면에는 상기 다수개의 캠축가압지지용 가압편(162) 전,후면에 돌출 형성된 가압편용 가이드돌기(162a)를 수용하여 가이드시킬 수 있도록 가압편용 가이드홈(164,164')이 각각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KR1020180078659A 2018-07-06 2018-07-06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KR101978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59A KR101978603B1 (ko) 2018-07-06 2018-07-06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8659A KR101978603B1 (ko) 2018-07-06 2018-07-06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8603B1 true KR101978603B1 (ko) 2019-05-14

Family

ID=66581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8659A KR101978603B1 (ko) 2018-07-06 2018-07-06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86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369U (ko) 1996-07-18 1998-04-30 한인석 승용차용 보조 시트
KR200400338Y1 (ko) * 2005-08-05 2005-11-04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보호커버를 갖는 캠스위치 조립체
KR100842066B1 (ko) * 2007-02-01 2008-06-30 이원재 리미트 스위치의 플러저 작동캠
KR100842065B1 (ko) * 2007-02-13 2008-06-30 이원재 캠스위치
US20080158788A1 (en) * 2004-09-13 2008-07-03 Matthew Rain Darr Panelboard for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devices
KR20090114867A (ko) * 2008-04-30 2009-11-04 이원재 캠스위치의 단자부 보호커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369U (ko) 1996-07-18 1998-04-30 한인석 승용차용 보조 시트
US20080158788A1 (en) * 2004-09-13 2008-07-03 Matthew Rain Darr Panelboard for fusible switching disconnect devices
KR200400338Y1 (ko) * 2005-08-05 2005-11-04 성호제어기기 주식회사 보호커버를 갖는 캠스위치 조립체
KR100842066B1 (ko) * 2007-02-01 2008-06-30 이원재 리미트 스위치의 플러저 작동캠
KR100842065B1 (ko) * 2007-02-13 2008-06-30 이원재 캠스위치
KR20090114867A (ko) * 2008-04-30 2009-11-04 이원재 캠스위치의 단자부 보호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265B1 (ko) 고압배전반 변압기실 도어 인터록 장치
CN1096695C (zh) 带有改进接触臂机架的电气开关装置
JP6793190B2 (ja) 小型連動型電気ソケット
ITTO20011143A1 (it) ,,portafusibili modulare,,.
US5842560A (en) Breaker device
EP1982341A2 (de) Elektrischer schalter
RU2467424C2 (ru) Блок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ключателей, комплект деталей, включающий такое устройство, и многополюсный выключатель
CA2961724A1 (en) Rotating contact apparatus for a switch
KR101978603B1 (ko) 전원 안전차단용 캠 스위치
CN201230079Y (zh) 具有插座和断路器的装置
US2748208A (en) Oiltight rotary selector switch
EP2743951B1 (en) Push-switch
EP2811500A1 (en) A switch, in particular a battery cutout switch for vehicles and the like
JP2020004512A (ja) 電気コネクタ
US5296663A (en) Electric switch
US5147988A (en) Switching electrical receptacle
US6727450B2 (en) Electric switch
US8158898B2 (en) Elastic pressing unit and molded case circuit breaker having the same
KR101542100B1 (ko) 단로기의 스위칭장치
EP2019406B1 (en) Fixing device for a circuit breaker
KR100857012B1 (ko) 기중차단기용 인터록장치
KR100351301B1 (ko) 회로차단기의 접지접속장치
KR20130094779A (ko) 개폐 스위칭 기능을 포함한 스위치 차단기용 드라이브
CN110120326A (zh) 模块、电气开关和电气开关的开关方法
JP2014006966A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