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70A -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63470A KR20200063470A KR1020180149160A KR20180149160A KR20200063470A KR 20200063470 A KR20200063470 A KR 20200063470A KR 1020180149160 A KR1020180149160 A KR 1020180149160A KR 20180149160 A KR20180149160 A KR 20180149160A KR 20200063470 A KR20200063470 A KR 2020006347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electrode wire
- module
- electrode line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81 Cu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01R25/145—Details, e.g. end pieces or joi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트랙 몸체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트랙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들을 구비하는 트랙 모듈과,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트랙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 모듈과, 상기 트랙 모듈과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분배 장치에서 상기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상기 외부 전원의 전선을 결합하는 구조로서, 상기 터미널 모듈에 형성되는 전기 비전도성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트랙 모듈로부터 돌출된 상기 전극선이 삽입되어서 접속되는 전기전도성 재질의 전극선 접속 부재; 및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는 상기 전극선이 삽입되는 전극선 삽입 홀과, 상기 고정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전극선 삽입 홀과 연통되는 고정용 볼트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선 삽입 홀에 삽입된 상기 전극선이 상기 고정 볼트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전극선 삽입 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와 같은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는 전원 출력 모듈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도록 전원 출력 모듈을 트랙 모듈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전기 분배 장치에서 트랙 모듈에 구비되는 전극선들을 외부 전원선과 결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공장, 유통 시설 등 산업 현장,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물건의 적치 등을 위해 간편하게 조립, 확장 및 철거할 수 있는 파이프 랙 시스템이 이용되고, 이에 대응하여 작업의 효율성 제고, 편의성 향상, 효율적인 재고 관리 등을 위해, 각종 센서들이 많이 적용된 사물 인터넷(IoT) 플랫폼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생산 및 유통과 연계된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필연적으로 전기 사용이 필요한 부분들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다수 부분에서의 전기 사용을 위하여,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게 만든 콘센트인 멀티탭을 이용하는 등의 방식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멀티탭의 구조 상, 그 멀티탭 주변에서만 국한하여 전기 사용이 가능하여 그 전기 연결을 위한 확장성이 크게 떨어지고, 서로 이격된 다수의 부분에서 전기 사용이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멀티탭을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므로 멀티탭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케이블 선들이 지저분하게 노출됨은 물론 각 케이블 선들이 서로 꼬이는 등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유통 시설 등 산업 현장,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전기 사용이 필요한 다수 부분들에 간결하고 간편하게 전기 연결을 위한 확장이 가능한 전원 분배 장치에서 전원 분배 장치에 구비되는 전극선들을 외부 전원선과 결합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트랙 몸체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트랙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들을 구비하는 트랙 모듈과,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트랙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 모듈과, 상기 트랙 모듈과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분배 장치에서 상기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상기 외부 전원의 전선을 결합하는 구조로서, 상기 터미널 모듈에 형성되는 전기 비전도성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트랙 모듈로부터 돌출된 상기 전극선이 삽입되어서 접속되는 전기전도성 재질의 전극선 접속 부재; 및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는 상기 전극선이 삽입되는 전극선 삽입 홀과, 상기 고정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전극선 삽입 홀과 연통되는 고정용 볼트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선 삽입 홀에 삽입된 상기 전극선이 상기 고정 볼트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전극선 삽입 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랙 모듈에서 돌출되는 전극선이 터미널 모듈에서 전극선 접속 부재에 형성된 전극선 삽입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극선 접속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됨으로써, 결합력 및 전기적 접속 상태가 향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분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기 분배 장치에 연결되는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분배 장치의 주요 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랙 모듈에서 트랙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의 분해 사시도로서, 연결되는 트랙 모듈의 일부분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의 내부에서 외부 전선이 연결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에서 트랙 모듈의 전극 와이어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분배 장치의 주요 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랙 모듈에서 트랙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의 분해 사시도로서, 연결되는 트랙 모듈의 일부분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의 내부에서 외부 전선이 연결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에서 트랙 모듈의 전극 와이어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분배 장치가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로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분배 장치(100)는 트랙 모듈(110)과, 트랙 모듈(110)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P)가 접속되는 전원 출력 모듈(130)과, 트랙 모듈(110)에 결합되어서 외부 전원과 트랙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170)을 포함한다.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P)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 플러그 외에 USB, 카메라, 무선 충전기 등 다양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양한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전원 출력 모듈(130)도 일반적인 전기 플러그 외에 USB, 카메라, 무선 충전기 등 다양한 전원 수요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트랙 모듈(110)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태의 트랙 유닛(111)과, 트랙 유닛(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두 마감체(120a, 120b)를 구비한다.
도 3에는 트랙 유닛(111)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랙 유닛(111)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서, 트랙 유닛(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두 마감체(120a, 120b)가 결합된다. 트랙 유닛(111)은 트랙 몸체(112)와, 트랙 몸체(11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과, 트랙 몸체(11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을 구비한다.
트랙 몸체(112)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고, 금속재질로서 압출과 같은 금속가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트랙 몸체(112)의 일면에는 주 결합홈(115)과, 주 결합홈(115)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두 보조 결합홈(118)들이 형성된다.
주 결합홈(115)은 트랙 몸체(112)의 일면에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트렌치(trench) 홈으로서, 주 결합홈(115)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과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이 수용되는 제1 수용홈(115a)과 제2 수용홈(115b)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수용홈(115a)과 제2 수용홈(115b)은 서로 마주보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제1 수용홈(115a)의 폭(주 결합홈(115)의 깊이방향 길이)은 제2 수용홈(115b)의 폭(주 결합홈(115)의 깊이방향 길이)보다 크며, 제2 수용홈(115b)의 중심이 제1 수용홈(115a)의 중심보다 아래에(즉, 주 결합홈(115)의 바닥(115c)에 가깝게) 위치한다.
두 보조 결합홈(118)들 각각은 주 결합홈(115)이 형성된 트랙 몸체(112)의 일면에 주 결합홈(115)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보조 결합홈(118)은 트랙 몸체(112)의 일면에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주 결합홈(115)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트렌치 홈으로서, 보조 결합홈(118)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19)이 형성된다. 걸림홈(119)은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트렌치 홈이다.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은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에 의해 감싸인 상태로 트랙 몸체(112)에 고정된다.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은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접지 전극선(113b)와,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구비한다.
제1 전원 전극선(113a)은 절연부재(114a)에 감싸인 상태로 트랙 몸체(112)의 제1 수용홈(115a) 내에 위치하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제1 전원 전극선(113a)은 구리 합금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터미널 모듈(170)을 통해 외부 전원의 양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 전극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전원 전극선(113a)의 일단은 터미널 모듈(170)과의 연결을 위해 두 마감체(120a, 120b) 중 하나의 마감체(120a)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접지 전극선(113b)은 절연부재(114a)에 감싸인 상태로 트랙 몸체(112)의 제1 수용홈(115a) 내에 위치하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접지 전극선(113b)은 제1 수용홈(115a) 내에서 제1 전원 전극선(113a)보다 주 결합홈(115)의 바닥(115c) 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즉, 제1 수용홈(115a) 내에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접지 전극선(113b)이 주 결합홈(115)의 깊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배치되는데, 접지 전극선(113b)이 제1 전원 전극선(113a)보다 주 결합홈(115)의 바닥(115c) 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접지 전극선(113b)은 구리 합금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터미널 모듈(170)을 통해 외부 전원의 접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전극선(113c)의 일단은 터미널 모듈(170)과의 연결을 위해 두 마감체(120a, 120b) 중 하나의 마감체(120a)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제2 전원 전극선(113c)은 절연부재(114b)에 감싸인 상태로 트랙 몸체(112)의 제2 수용홈(115b) 내에 위치하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그에 따라, 제2 전원 전극선(113c)은 주 결합홈(115)을 사이에 두고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1 전원 전극선(113a)보다 주 결합홈(115)의 바닥에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제2 전원 전극선(113c)은 구리 합금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터미널 모듈(170)을 통해 외부 전원의 양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 전극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2 전원 전극선(113c)의 일단은 터미널 모듈(170)과의 연결을 위해 두 마감체(120a, 120b) 중 하나의 마감체(120a)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은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을 감싸며, 트랙 몸체(112)에 결합된다.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에 의해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과 트랙 몸체(112) 사이가 절연된다.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은 트랙 몸체(112)의 제1 수용홈(115a)에 수용되는 제1 절연부재(114a)와, 트랙 몸체(112)의 제2 수용홈(115b)에 수용되는 제2 절연부재(114b)를 구비한다.
제1 절연부재(114a)는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접지 전극선(113b)을 감싸며 트랙 몸체(112)의 제1 수용홈(115a)에 끼워져서 수용된다. 제1 절연부재(114a)에는 제1 수용홈(115a)을 통해 제1 전원 전극선(113a)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1a)와, 제1 수용홈(115a)을 통해 접지 전극선(113b)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지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2a)가 형성된다. 제1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1a)와 접지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2a)는 슬릿 형태로서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제2 절연부재(114b)는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감싸며 트랙 몸체(112)의 제2 수용홈(115b)에 끼워져서 수용된다. 제2 절연부재(114b)에는 제2 수용홈(115b)을 통해 제2 전원 전극선(113c)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1b)가 형성된다. 제2 전원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1b)는 슬릿 형태로서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두 마감체(120a, 120b)들은 트랙 유닛(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마감체(120a)와 제2 마감체(120b)를 구비한다. 두 마감체(120a, 130b)는 절열재질이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두 마감체(120a, 120b) 중 제1 마감체(120a)에는 트랙 유닛(111)으로부터 제1 전원 전극선(113a), 접지 전극선(113b) 및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각각 통과할 수 있는 통로구멍들이 형성되며, 이 통로구멍들을 통해 제1 전원 전극선(113a), 접지 전극선(113b) 및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돌출되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마감체(120a)는 터미널 모듈(170)과 결합되어서 고정된다. 외부로 노출된 제1 전원 전극선(113a)의 단부, 외부로 노출된 제2 전원 전극선(113c)의 단부 및 외부로 노출된 접지 전극선(113b)의 단부는 터미널 모듈(170)에서 두 외부 전원 전극 및 외부 접지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전원 출력 모듈(130)은 트랙 모듈(110)의 트랙 유닛(111)의 길이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는 전원 출력 모듈(130)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전원 출력 모듈(130)이 측면도로서 도시되 있으며, 도 7에는 전원 출력 모듈(130)이 저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원 출력 모듈(130)은 고정체(140)와, 고정체(140)에 대해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회전체(150)를 구비한다.
고정체(140)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서, 그 중심을 회전축선(X)이 통과하며,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체(150)가 고정체(140)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고정체(140)에 결합된다. 고정체(140)는 회전축선(X)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 반대편에 위치하는 두 삽입 다리(141)를 구비한다. 두 삽입 다리(141)는 트랙 몸체(112)에 형성된 두 보조 결합홈(118)에 각각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두 삽입 다리(141)의 내측 끝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는데, 이는 두 삽입 다리(141)들이 두 보조 결합홈(118)들 각각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또한, 고정체(140)는 트랙 몸체(112)에 형성된 두 걸림홈(119)들 각각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개의 볼 부재(145)들을 더 구비한다. 복수개의 볼 부재(145)들은 탄성지지되어서 걸림홈(119)과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트랙 몸체(112)에 대한 전원 출력 모듈(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회전체(150)는 고정체(140)에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90도의 범위 내에서 왕복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전체(150)는 전원 수용 장치용 단자(P)가 결합되는 접속부(151)와, 회전축선(X)을 따라 돌출된 결합 기둥부(160)와, 접속부(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을 구비한다.
접속부(151)는 고정체(140)에 구비되는 두 삽입 다리(141)들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전기 플러그 또는 USB 등의 일반적인 전원 수요 장치의 단자(P)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속부(151)가 전기 플러그가 접속되는 구조인 경우, 플러그의 두 전원 플러그 핀과 연결되는 두 소켓 전원 단자와, 플러그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소켓 접지 단자를 구비하게 된다. 접속부(151)에 구비되는 두 전원 단자와 접지 단자들 각각은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합 기둥부(160)는 접속부(151)의 반대편에 회전축선(X)을 따라서 기둥형태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며, 두 삽입 다리(141)들의 사이에 위치한다. 결합 기둥부(160)는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하는 장방형의 기둥 형태로서, 네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라운드진다. 그에 따라, 결합 기둥부(160)는 두 변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결합 기둥부(160)는 트랙 몸체(112)의 주 결합홈(115)에 삽입되는데, 상대적으로 짧은 변부가 주 결합홈(115)의 양 측면과 대향하면 꽉 끼워져서 결합력이 향상되여 콘센트 모듈(130)의 트랙 모듈(110)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이 억제되고, 상대적을 긴 변부가 주 결합홈(115)의 양 측면과 대향하는 상태가 되면 콘센트 모듈(130)이 트랙 모듈(110)에 대해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 기둥부(160)는, 회전체(15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주 결합홈(115)의 양 측면과 접촉하거나 비접촉하도록, 상대적으로 긴 장축 방향 길이(D1)와 장축 방향 길이(D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단축 방향 길이(D2)를 갖는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을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에 따라, 결합 기둥부(160)의 횡단면 형상은 장방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은 결합 기둥부(160)의 장축 방향 양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결합 기둥부(16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이 지나가는 복수개의 단자 연결 통로(162a, 162b, 162c)들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단자 연결 통로(162a, 162b, 162c)들에 대해서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될 것이다.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은 접속부(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합 기둥부(16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트랙 모듈(110)의 복수개의 전극선(113a, 133b, 113c)과의 전기적 연결이 전환된다.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은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와 접지 연결 단자(155b)와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이 복수개의 전극선(113a, 133b, 113c)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전원 출력 모듈(130)이 트랙 유닛(110)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결합 기둥부(16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551a)와, 수직 연장부(1551a)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꺾여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552a)를 구비한다. 수평 연장부(1552a)가 외부로 노출되어서 수평 연장부(1552a)의 끝단이 트랙 모듈(110)의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접촉할 수 있다. 결합 기둥부(160)에는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가 통과하는 제1 전원 단자 연결 통로(162a)가 형성되는데, 수평 연장부(1552a)가 외력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연장부(1551a)의 탄성변형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원 단자 연결 통로(162a)에서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직 연장부(1551a)의 끝단에 대응하는 부분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여유 공간(1621a)이 형성된다.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와 제1 전원 전극선(113a) 사이의 전기적 기계적 연결 상태가 향상된다. 수평 연장부(1552a)는 결합 기둥부(160)에서 단변부 쪽에서 돌출된다.
접지 연결 단자(155b)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결합 기둥부(160)의 측면으로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접지 연결 단자(155b)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551b)와, 수직 연장부(1551b)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꺾여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552b)를 구비한다. 수평 연장부(1552b)는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평 연장부(1552a)보다 결합 기둥부(160)의 끝단 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수평 연장부(1552b)가 외부로 노출되어서 수평 연장부(1552b)의 끝단이 트랙 모듈(110)의 접지 전극선(113b)과 접촉할 수 있다. 결합 기둥부(160)에는 접지 연결 단자(155b)가 통과하는 접지 단자 연결 통로(162a)가 형성되는데, 수평 연장부(1552b)가 외력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연장부(1551b)의 탄성변형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접지 단자 연결 통로(162b)에서 접지 연결 단자(155b)의 수직 연장부(1551b)의 끝단에 대응하는 부분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여유 공간(1621b)이 형성된다. 접지 연결 단자(155b)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지 연결 단자(155b)와 접지 전극선(113b) 사이의 전기적 기계적 연결 상태가 향상된다.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결합 기둥부(16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551c)와, 수직 연장부(1551c)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꺾여 연장되고 결합 기둥부(160)를 사이에 두고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평 연장부(1552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수평 연장부(1552c)를 구비한다. 수평 연장부(1552c)는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평 연장부(1552a)보다 결합 기둥부(160)의 끝단에 가깝게 위치하여, 결합 기둥부(160)의 연장방향 상에서 위치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평 연장부(1552c)는 외부로 노출되어서 수평 연장부(1552c)의 끝단이 트랙 모듈(110)의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접촉할 수 있다. 결합 기둥부(160)에는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가 통과하는 제2 전원 단자 연결 통로(162c)가 형성되는데, 수평 연장부(1552c)가 외력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연장부(1551c)의 탄성변형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제2 전원 단자 연결 통로(162c)에서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의 수직 연장부(1551c)의 끝단에 대응하는 부분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여유 공간(1621c)이 형성된다.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와 제2 전원 전극선(113c) 사이의 전기적 기계적 연결 상태가 향상된다.
결합 기둥부(160)의 회전에 의해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 접지 연결 단자(155b) 및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 각각이 제1 전원 전극선(113a), 제2 전원 전극선(113b) 및 제3 전원 전극선(113c)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데, 각 전극선(113a, 113b, 113c)은 각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전그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의 수평 연장부(1552a, 1552b, 1552c)의 끝단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가 되는데, 접지 연결 단자(155b)의 수평 연장부(1552b)에 형성된 라운드부(R2)는,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평 연장부(1552a)에 형성된 라운드부(미도시) 및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의 수평 연장부(1552c)에 형성된 라운드부(D3)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는 접지 연결 단자(155b)의 접촉 면적을 더 크게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결합 기둥부(160)의 끝단은 두 삽입 다리(141)들의 끝단보다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두 삽입 다리(141)들에 의해 전원 출력 모듈(130)을 세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두 삽입 다리(141)들의 끝단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전기 분배 장치(100)는 트랙 모듈(110)과 전원 출력 모듈(130) 사이의 오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오결합 방지 구조를 더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결합 방지 구조는, 두 보조 결합홈(119)들 중 하나의 측면에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단턱(119a)과, 두 삽입 다리(141)들 중 하나에 형성되어서 단턱(119a)에 걸리는 걸림턱(141a)을 구비한다. 두 삽입 다리(141)들 중 걸림턱(141a)이 형성된 삽입 다리(141)는 다른 삽입 다리(141)보다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갖게 되어서 다른 보조 결합홈(119)으로는 끼워지지 않고, 걸림턱(141a)이 형성된 보조 걸림홈(119)에만 끼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트랙 모듈(110)에 하나의 전원 출력 모듈(130)이 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서 설명되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트랙 모듈(110)은 더욱 길게 연장되어서 형성될 수 있고, 트랙 모듈(110)에 복수개의 전원 출력 모듈(13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터미널 모듈(170)은 트랙 모듈(110)에 결합되어서 외부 전원과 트랙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터미널 모듈(170)은 트랙 모듈(110)의 두 마감체(120a, 120b) 중 제1 전원 전극선(113a), 접지 전극선(113b) 및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돌출되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마감체(120a)와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170)의 분해 사시도로서, 연결되는 트랙 모듈(110)의 일부분을 함께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의 내부에서 외부 전선이 연결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터미널 모듈(170)은 트랙 모듈(110)로부터 돌출된 제1 전원 전극선(113a)을 결합시키고 제1 외부 전원 전선(w1)과 접속되는 제1 전극선 결합 구조(180a)과, 트랙 모듈(110)로부터 돌출된 접지 전극선(113b)을 결합시키고 외부 접지 전선(w2)과 접속되는 제2 전극선 결합 구조(180b)와, 트랙 모듈(110)로부터 돌출된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결합시키고 제2 외부 전원 전선(w3)과 접속되는 제3 전극선 결합 구조(180c)를 구비한다. 3개의 전극선 결합 구조(180a, 180b, 180c)는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제3 전극선 결합 구조(180c)의 구성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에는 제3 전극선 결합 구조(180c)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전극선 결합 구조(180c)는 지지대(181)와, 지지대(181)에 고정되고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와, 전극선 접속 부재(182)를 지지대(181)에 고정시키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기적 접속력을 향상시키는 고정 볼트(186)와, 전극선 접속 부재(182)에 결합되고 외부 전선(w3)이 접속되는 단자 부재(187)와, 단자 부재(187)를 전극선 접속 부재(182c)에 결합시키는 결합 볼트(188)를 구비한다.
지지대(181)는 터미널 모듈(170)의 케이스(171)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지지대(181)에 전극선 접속 부재(182)가 고정 볼트(186)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대(181)에는 고정 볼트(186)가 통과하는 볼트 구멍(181b)이 형성된다 지지대(181)에는 평평한 지지면(181a)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181)에 인접하여 터미널 모듈(170)의 케이스(171)에는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통과하는 통로구(171)가 형성된다. 트랙 모듈(110)과 터미널 모듈(17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마감체(120a)에는 통로구(171)에 꼭 맞게 끼워지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삽입 돌출부(121a)가 형성된다.
전극선 접속 부재(182)는 지지대(181)에 고정되고, 전극선 접속 부재(182)에는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단자 부재(18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전극선 접속 부재(182)는 대체로 사각 막대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전극선 삽입 홀(183)이 형성된다. 전극선 삽입 홀(183)에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평평한 일측면에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배치되는 고정용 볼트 구멍(184a)과 단자 결합용 볼트 구멍(184b)이 형성된다. 고정용 볼트 구멍(184a)과 단자 결합용 볼트 구멍(184b)은 전극선 삽입 홀(183)과 연결된다.
고정 볼트(186)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를 지지대(181)에 고정시키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기적 접속력을 향상시킨다. 고정 볼트(186)는 지지대(181)의 볼트 구멍(181b)과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고정용 볼트 구멍(184a) 거쳐 결합되어서 전극선 접속 부재(182)를 지지대(181)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고정 볼트(186)의 기둥부(186a) 끝단은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극선 삽입 홀(183) 내부로 돌출되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가압함으로써,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향상시키게 된다.
단자 부재(187)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에 결합 볼트(188)에 의해 결합된다. 단자 부재(187)에는 결합 볼트(188)를 위한 볼트 구멍(187a)이 형성된다. 단자 부재(87)에는 제2 전원 전극선(113c)에 대응하는 외부 전선(w)이 접속된다. 트랙 모듈(110)의 접지 전극선(113b)과 결합되는 제2 전극선 결합 구조(180b)의 경우에는 접지 외부 전선이 접속되게 된다. 단자 부재(187)는 판상의 부재로서,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평평한 일측면에 면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결합 볼트(188)는 단자 부재(187)를 전극선 접속 부재(182c)에 결합시킨다. 결합 볼트(188)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c)에 형성된 결합용 볼트 구멍(184b)에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합 볼트(188)의 기둥부(188a)도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극선 삽입 홀(183) 내부로 돌출되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제, 전기 분배 장치(100)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랙 유닛(111)에 제1 마감체(120a)가 결합되는 마감체 결합 단계와, 제1 마감체(120a)에 터미널 모듈(170)을 결합시키는 터미널 모듈 결합 단계와, 고정 볼트(186)를 이용하여 전극선(113a, 113b, 113c)들을 대응하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들 각각에 고정시키는 전극선 고정 단계를 포함한다.
마감체 결합 단계에서는 트랙 유닛(도 2의 111)의 일방향 끝단에 제1 마감체(도 2의 120a)가 결합되어서 고정된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 유닛(111)의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의 끝단이 제1 마감체(120a)의 바깥으로 돌출되어서 노출된다. 마감체 결합 단계를 통해 트랙 유닛(111)에 제1 마감체(120a)가 결합된 후에는 터미널 모듈 결합 단계가 수행된다.
터미널 모듈 결합 단계에서는 제1 마감체(120a)에 터미널 모듈(170)이 결합된다. 제1 마감체(120a)와 터미널 모듈(170)은 결합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이때, 제1 마감체(120a)에 형성된 삽입 돌출부(121a)가 터미널 모듈(170)의 케이스(171)에 형성된 통로구에 꼭 맞게 끼워진다. 또한, 터미널 모듈 결합 단계에서 전극선(113a, 113, 113c)들은 대응하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에 형성된 전극선 삽입 홀(183)에 삽입된다. 터미널 모듈 결합 단계를 통해 제1 마감체(120a)에 터미널 모듈(170)이 결합된 후에는 전극선 고정 단계가 수행된다.
전극선 고정 단계에서는 전극선(113a, 113b, 113c)들이 대응하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에 형성된 전극선 삽입 홀(183)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 볼트(186)에 의해 고정된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기 분배 장치
110 : 트랙 모듈
111 : 트랙 유닛 112 : 트랙 몸체
113a : 제1 전원 전극선 113b : 접지 전극선
113c : 제2 전원 전극선 114a : 제1 절연부재
114b : 제2 절연부재 115 : 주 결합홈
115a : 제1 수용홈 115b : 제2 수용홈
118 : 보조 결합홈 119 : 걸림홈
120a : 제1 마감체 120b : 제2 마감체
130 : 콘센트 모듈 140 : 고정체
141 : 삽입 다리 145 : 볼 부재
150 : 회전체 151 : 접속부
155a : 제1 콘센트 전원 연결 단자 155b : 콘센트 접지 연결 단자
155c : 제2 콘센트 전원 연결 단자 160 : 결합 기둥부
170 : 터미널 모듈 180a : 제1 전극선 결합 구조
180b : 제2 전극선 결합 구조 180c : 제3 전극선 결합 구조
181 : 지지대 182 : 전극선 접속 부재
186 : 고정 볼트 187 : 단자 부재
188 : 결합 볼트
111 : 트랙 유닛 112 : 트랙 몸체
113a : 제1 전원 전극선 113b : 접지 전극선
113c : 제2 전원 전극선 114a : 제1 절연부재
114b : 제2 절연부재 115 : 주 결합홈
115a : 제1 수용홈 115b : 제2 수용홈
118 : 보조 결합홈 119 : 걸림홈
120a : 제1 마감체 120b : 제2 마감체
130 : 콘센트 모듈 140 : 고정체
141 : 삽입 다리 145 : 볼 부재
150 : 회전체 151 : 접속부
155a : 제1 콘센트 전원 연결 단자 155b : 콘센트 접지 연결 단자
155c : 제2 콘센트 전원 연결 단자 160 : 결합 기둥부
170 : 터미널 모듈 180a : 제1 전극선 결합 구조
180b : 제2 전극선 결합 구조 180c : 제3 전극선 결합 구조
181 : 지지대 182 : 전극선 접속 부재
186 : 고정 볼트 187 : 단자 부재
188 : 결합 볼트
Claims (11)
- 일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트랙 몸체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트랙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들을 구비하는 트랙 모듈과,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트랙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 모듈과, 상기 트랙 모듈과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분배 장치에서 상기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상기 외부 전원의 전선을 결합하는 구조로서,
상기 터미널 모듈에 형성되는 전기 비전도성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고 상기 트랙 모듈로부터 돌출된 상기 전극선이 삽입되어서 접속되는 전기전도성 재질의 전극선 접속 부재; 및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를 상기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를 포함하며,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는 상기 전극선이 삽입되는 전극선 삽입 홀과, 상기 고정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전극선 삽입 홀과 연통되는 고정용 볼트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전극선 삽입 홀에 삽입된 상기 전극선이 상기 고정 볼트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전극선 삽입 홀로부터 이탈이 방지되도록 고정되는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선 삽입 홀의 연장 방향과 상기 고정용 볼트 구멍의 연장 방향을 직각을 이루는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는 상기 전극선 삽입 홀의 연장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중공형의 사각 막대 형상인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원의 전선과 접속되고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와 결합되는 전기 전도선 재질의 단자 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와 상기 단자 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 볼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에는 상기 결합 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전극선 삽입 홀과 연통되는 단자 결합용 볼트 구멍이 형성되는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극선 삽입 홀에 삽입된 상기 전극선이 상기 결합 볼트에 의해 가압되는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극선 삽입 홀의 연장 방향과 상기 단자 결합용 볼트 구멍의 연장 방향을 직각을 이루는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은, 두 전원 전극선과 접지 전극선을 포함하는 전기 분재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일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트랙 몸체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트랙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두 마감체들을 구비하는 트랙 모듈과,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트랙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 모듈과, 상기 트랙 모듈과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을 포함하는 전기 분배 장치에서 상기 트랙 모듈과 상기 터미널 모듈을 결합시키는 조립 방법으로서,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 일단에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 각각이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상기 두 마감체들 중 제1 마감체를 결합하는 마감체 결합 단계; 및
상기 터미널 모듈을 상기 제1 마감체에 결합시키는 터미널 모듈 결합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모듈 결합 단계에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 각각이 상기 터미널 모듈에 구비되는 전극선 접속 부재에 형성되는 전극선 삽입 홀에 삽입되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조립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극선이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 볼트에 의해 가압되어서 상기 전극선 접속 부재에 고정되는 전극선 고정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조립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모듈 결합 단계에서, 상기 제1 마감체에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터미널 모듈의 케이스에 형성된 통로구에 맞게 끼워지는 조립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9160A KR102247688B1 (ko) | 2018-11-28 | 2018-11-28 |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9160A KR102247688B1 (ko) | 2018-11-28 | 2018-11-28 |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3470A true KR20200063470A (ko) | 2020-06-05 |
KR102247688B1 KR102247688B1 (ko) | 2021-05-03 |
Family
ID=71088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9160A KR102247688B1 (ko) | 2018-11-28 | 2018-11-28 |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768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5433Y1 (ko) * | 2000-05-27 | 2000-12-01 | 신일철 | 띠벽지형 이동 콘센트 |
KR20030049210A (ko) * | 2001-12-14 | 2003-06-25 | 강성민 | 궤도형 전원공급장치 |
KR20100099483A (ko) * | 2009-03-03 | 2010-09-13 | 한형환 | 이동가능한 전기소켓을 갖는 멀티탭 |
KR20100011330U (ko) * | 2009-05-12 | 2010-11-22 | 김종을 |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
KR101067417B1 (ko) | 2009-05-27 | 2011-09-27 | 강회정 | 전원공급용 레일 |
KR101395091B1 (ko) * | 2013-07-11 | 2014-05-16 | (주)월드라이팅 |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
-
2018
- 2018-11-28 KR KR1020180149160A patent/KR10224768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5433Y1 (ko) * | 2000-05-27 | 2000-12-01 | 신일철 | 띠벽지형 이동 콘센트 |
KR20030049210A (ko) * | 2001-12-14 | 2003-06-25 | 강성민 | 궤도형 전원공급장치 |
KR20100099483A (ko) * | 2009-03-03 | 2010-09-13 | 한형환 | 이동가능한 전기소켓을 갖는 멀티탭 |
KR20100011330U (ko) * | 2009-05-12 | 2010-11-22 | 김종을 |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
KR101067417B1 (ko) | 2009-05-27 | 2011-09-27 | 강회정 | 전원공급용 레일 |
KR101395091B1 (ko) * | 2013-07-11 | 2014-05-16 | (주)월드라이팅 |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7688B1 (ko) | 2021-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196525B1 (ko) | 전기 분배 장치 | |
US9502796B2 (en) | Plug connector for differential data transmission | |
EP0951099B1 (en) | Electrical connector plug | |
US7467978B2 (en) | Connector for pre-fabricated electric cables, having semi-enclosed contact chambers | |
US8827755B2 (en) | High current connector | |
JP5613831B2 (ja) | 電気分配装置 | |
US8859899B2 (en) | Electrical connector for cables | |
US10673049B2 (en) | Bus bar module and power supply device | |
JPS6262026B2 (ko) | ||
JP2009094072A (ja) | 電気接続システム | |
KR102567271B1 (ko) | 전원 커넥터 | |
KR20170041082A (ko) | 차량용 다중 접지 커넥터 | |
CN105580203A (zh) | 具有电流杆的电缆接线头装置以及接线端子 | |
US11705672B2 (en) | Plug-in connector with ground terminal region | |
US6100467A (en) | Water cooled kickless electrical cable | |
US9231338B2 (en) |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 |
US11121483B2 (en) | Terminal holder, wire harness, and fixing structure | |
ES2423510T3 (es) | Dispositivo antiparasitario para motores eléctricos | |
KR20200063470A (ko) |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 |
RU2444822C2 (ru) |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штекерных разъемов, имеющее компактную и упрощен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 |
KR102236981B1 (ko) | 에너지 저장 모듈용 연결 구조체 | |
KR101917756B1 (ko) | 전원 분배 유닛, 전기 출력 유닛 및 상기 전원 분배 유닛과 상기 전기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연결 모듈 | |
RU2723685C2 (ru) | Отвод размещенной в корпусе сборной шины | |
KR20220154197A (ko) |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 |
US20080218012A1 (en) | Terminal board as well as an electrical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