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1330U -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 Google Patents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11330U
KR20100011330U KR2020090005738U KR20090005738U KR20100011330U KR 20100011330 U KR20100011330 U KR 20100011330U KR 2020090005738 U KR2020090005738 U KR 2020090005738U KR 20090005738 U KR20090005738 U KR 20090005738U KR 20100011330 U KR20100011330 U KR 201000113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ic
wire insertion
plu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7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을
Original Assignee
김종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을 filed Critical 김종을
Priority to KR20200900057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11330U/ko
Publication of KR201000113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13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01R13/207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by screw-in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전선(L1)과 연결되고 전기콘센트의 콘센트단자와 접속하는 플러그단자(120)가 내설된 하우징바디(111)와, 상기 하우징바디(111)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으로 전선(L1)을 통과시키기 위한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커버(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단자(120)의 후단에 접속 구비되고, 전선(L1)을 내부에 접촉 구비하기 위한 전선삽입장공(130a)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전선삽입장공(130a)의 입구가 하우징바디(111)와 하우징커버(11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0)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이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하우징커버를 열지 않고도 전선을 전기플러그에 신속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기플러그, 전선, 조립, 관, 도전성 전선삽입관, 작업성

Description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Electric Plug Being Assembled Easily}
본 고안은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우징커버를 열지 않고도 전선을 전기플러그에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플러그(Electric Plug)는 전기전자 기기나 전기전자 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로서 주로 콘센트에 접속되어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플러그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전기플러그(10)는, 전선(L1)과 연결되고 전기콘센트의 콘센트단자(미도시)와 접속하는 플러그단자(12)가 내설된 하우징바디(11a)와, 상기 하우징바디(11a)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으로 전선(L1)을 통과시키기 위한 중공홀(11b')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커버(11b)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러그단자(12)는 통상적으로 한 쌍의 (+)(-) 전기공급을 위한 단자와 접지단자로 구성된다.
그리고, 전선(L1)은 하우징커버(11b)를 하우징바디(11a)로부터 분리한 뒤에 전선체결나사(P1)를 이용하여 전선(L1)을 플러그단자(12)에 볼트 체결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기플러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전선(L1)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완제품인 전기플러그(10)를 준비한 상태에서 하우징커버(11b)를 열고 이후 전선체결나사(P1)를 조금 풀어서 전선(L1)을 전선체결나사(P1)와 플러그단자(12) 사이에 넣고, 전선체결나사(P1)를 플러그단자(12)에 나사 조임한 후, 다시 하우징커버(11b)를 닫으면 전선의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종래의 기술의 경우에는 전선(L1)을 전기플러그(10)에 조립 접속하는 과정이 적어도 4 단계를 거쳐야만 하므로, 전선(L1)을 조립하는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반드시 하우징커버(11b)를 열고 닫아야만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의 목적은,
첫째, 하우징커버를 열거나 닫지 않아도 전선을 도전성 전선삽입관에 끼우기만 하면 전선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전기플러그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스크류삽입공에 구비된 고정스크류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손쉽게 조이거나 풀기만 하면 전선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 조립의 편리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셋째, 복수의 전선삽입관노출공을 구획하여 이격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도전성 전선삽입관 간에 단락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전성 전선삽입관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전기플러그의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넷째, 플러그단자와 도전성 전선삽입관을 하나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수를 줄여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는, 전선과 연결되고 전기콘센트의 콘센트단자와 접속하는 플러그단자가 내설된 하우징바디와, 상기 하우징바디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으로 전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단자의 후단에 접속 구비되고, 전선을 내부에 접촉 구비하기 위한 전선삽입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전선삽입관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전선삽입장공의 입구가 하우징바디와 하우징커버로 이루어지는 하우징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이 하우징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하우징커버를 열거나 닫지 않아도 전선을 도전성 전선삽입관에 끼우기만 하면 전선이 조립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선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전기플러그에 접속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스크류삽입공에 구비된 고정스크류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손쉽게 조이거나 풀기만 하면 전선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전선 조립의 편리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복수의 전선삽입관노출공을 상호 구획하여 이격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도전성 전선삽입관 간에 단락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도전성 전선삽입관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전기콘센트의 하우징에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플러그단자와 도전성 전선삽입관을 하나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수를 줄여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인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에 전선이 접속된 경우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의 일 요부(하우징바디에 플러그단자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된 전선삽입관이 하우징바디에 설치된 구성)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도 5의 A-A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100)는, 전선(L1)과 연결되고 전기콘센트의 콘센트단자(미도시)와 접속하는 플러그단자(120)가 내설된 하우징바디(111)와, 상기 하우징바디(111)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으로 전선(L1)을 통과시키기 위한 중공홀(도면부호 미표시)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커버(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단자(120)의 후단에 접속 구비되고, 전선(L1)을 내부에 접촉 구비하기 위한 전선삽입장공(130a)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전선삽입장공(130a)의 입구가 하우징바디(111)와 하우징커버(11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0)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이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커버(112)를 열리 않고도 전선(L1)을 도 전성 전선삽입관(130)의 전선삽입장공(130a)에 접속할 수 있어서 전선(L1)을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전기플러그(100)에 접속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플러그단자(120)는 통상적으로 한 쌍의 (+)(-) 전기공급을 위한 단자와 접지단자로 구성됨은 종래와 같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의 상면에는 스크류체결공(13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체결공(130b)에 나사체결되어서 상기 전선삽입장공(130a) 내부에 삽설되는 전선(L1)을 고정하는 고정스크류(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하우징커버(112)를 열지 않고도(즉 전기플러그(100)를 분해하지 않고도 완제품 상태에서) 고정스크류(140)를 스크류체결공(130b)에 대하여 나사 체결하기만 하면 전선삽입장공(130a)에 삽설된 전선(L1)을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에 도전되도록 고정시킬 수 있어서, 용이하고도 신속하게 전선(L1)을 전기플러그(100)에 견고하게 접속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100)에 있어서, 하우징커버(112)가 하우징바디(111)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하우징커버(112)를 하우징바디(11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즉 하우징커버(112)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체결공(130b)에 대하여 고정스크류(14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크류(140)가 삽입되는 스크류삽입공(112b)이 상기 스크류체결공(130b)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커버(112)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스크류삽입공(112b)에 구비된 고정스크류(140) 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손쉽게 조이거나 풀 수 있고, 그 결과 전선(L1) 접속 조립을 더욱더 간단 신속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112)에는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의 전선삽입장공(130a)을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선삽입관노출공(11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은 전단이 상기 플러그단자(120)에 접속되도록 고정 구비되고 후단이 상기 전선삽입관노출공(112c)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전선삽입관(130) 상호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전선삽입관노출공(112c)은 상호 구획되어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복수의 도전성 전선삽입관(130) 간에 단락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고, 또한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을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전기플러그(100)의 하우징(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은 상기 플러그단자(12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은 상기 플러그단자(120)의 후단에 프레스 가공 방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단자(120)와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을 하나의 프레스 공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작업 공수를 줄여서 원가절감을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기술한다.
먼저 완제품의 전기플러그(100)를 준비하고, 전선(L1)을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에 끼운 후 고정스크류(140)를 조이기만 하면 전선의 조립 접속이 완료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전선의 조립 공수가 획기적으로 줄어들어서 조립 작업성을 현격하게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본 고안의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전기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에 전선이 접속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의 일 요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본 고안에 의한 전기플러그 110 ; 하우징
111 ; 하우징바디 112 ; 하우징커버
112b; 스크류삽입공 112c; 전선삽입관노출공
120 ; 콘센트단자 130 ; 도전성 전선삽입관
130a; 전선삽입장공 130b; 스크류체결공
140 ; 고정스크류 L1 ; 전선

Claims (6)

  1. 전선(L1)과 연결되고 전기콘센트의 콘센트단자와 접속하는 플러그단자(120)가 내설된 하우징바디(111)와, 상기 하우징바디(111)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으로 전선(L1)을 통과시키기 위한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커버(11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기플러그(100)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단자(120)의 후단에 접속 구비되고, 전선(L1)을 내부에 접촉 구비하기 위한 전선삽입장공(130a)이 형성되어 있는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이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고,
    상기 전선삽입장공(130a)의 입구가 하우징바디(111)와 하우징커버(11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10)에서 노출되도록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이 하우징(110)에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의 상면에는 스크류체결공(13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체결공(130b)에 나사체결되어서 상기 전선삽입장공(130a) 내부에 삽설되는 전선(L1)을 고정하는 고정스크류(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112)를 하우징바디(111)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상기 스크류체결공(130b)에 대하여 고정스크류(14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도록 상기 고정스크류(140)가 삽입되는 스크류삽입공(112b)이 상기 스크류체결공(130b)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커버(112)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커버(112)에는 상기 전선삽입장공(130a)을 노출시키기 위한 복수의 전선삽입관노출공(112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은 전단이 상기 플러그단자(120)에 접속되도록 고정 구비되고 후단이 상기 전선삽입관노출공(112c)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도전성 전선삽입관(130) 상호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 기 전선삽입관노출공(112c)은 상호 구획되어서 이격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에서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전선삽입관(130)은 상기 플러그단자(120)의 후단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KR2020090005738U 2009-05-12 2009-05-12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KR201000113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38U KR20100011330U (ko) 2009-05-12 2009-05-12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738U KR20100011330U (ko) 2009-05-12 2009-05-12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1330U true KR20100011330U (ko) 2010-11-22

Family

ID=4420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738U KR20100011330U (ko) 2009-05-12 2009-05-12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1133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6854A (zh) * 2018-07-12 2019-02-15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快速连接端子
KR20200063470A (ko) * 2018-11-28 2020-06-05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46854A (zh) * 2018-07-12 2019-02-15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快速连接端子
CN109346854B (zh) * 2018-07-12 2024-04-19 天立电机(宁波)有限公司 快速连接端子
KR20200063470A (ko) * 2018-11-28 2020-06-05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2481B2 (e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US20130143450A1 (en) Electrical Connection Bus
US20130189879A1 (en) Device connector
CN102037611A (zh) 引线端子
US7210954B2 (en) Electrical connector plug with lock screws
JP2011100551A (ja) コネクタ構造
WO2011129270A1 (ja) シールド端子の接続構造
US20090296355A1 (en) Assembly comprising electric and/or electronic components
KR100853691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EA200400388A1 (ru) Разъемное контактное соединение с корпусом и зажимным приспособлением
WO2012120805A1 (en) Fuse unit
KR20100011330U (ko)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플러그
KR200461300Y1 (ko) 접지형 매입콘센트
KR100772732B1 (ko) 다공 콘센트의 입,출력선 연결 구조
KR100816282B1 (ko) 배전 선로의 분기슬리브
JP2002238142A (ja) 電子ユニットと電線との防水接続構造及び方法
KR200487155Y1 (ko) 조립이 용이한 전기 플러그
HU222703B1 (hu) Szénkefetartó lap
KR20100011226U (ko) 전선의 조립이 용이한 전기콘센트
JP2007241633A (ja) 端子変換ユニット
KR20100013016U (ko) 전선의 조립 및 해제가 용이한 전기플러그
JP2003304626A (ja) プラグイン分岐構造
CN101635401B (zh) 一种用于狭小安装空间的插孔接触件及电连接器
KR100659024B1 (ko) 저압전선 접속용 분기슬리브
KR200415830Y1 (ko) 통신케이블 취부 단자함을 구비한 전자식 전력량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