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4197A -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 Google Patents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4197A
KR20220154197A KR1020227035609A KR20227035609A KR20220154197A KR 20220154197 A KR20220154197 A KR 20220154197A KR 1020227035609 A KR1020227035609 A KR 1020227035609A KR 20227035609 A KR20227035609 A KR 20227035609A KR 20220154197 A KR20220154197 A KR 202201541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connector
contact
housing member
modular hig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5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난도 호페
벤야민 크뤼거
Original Assignee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filed Critical 하르팅 일렉트릭 슈티프퉁 운트 코우. 카게
Publication of KR2022015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41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Bases or cases for heavy duty; Bases or cases for high voltage with means for preventing corona or a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 부재(7) 및 이에 연결된 제2 하우징 부재(8)를 갖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에 관한 것으로, 이 대전류 커넥터(1)는 핀 콘택(9)을 가지며, 핀 콘택(9)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연결 영역(A')과, 장치 소켓 또는 상대 커넥터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접촉 영역(K')을 가지며, 핀 콘택(9)의 접촉 영역(K')은 플러그인측에서 대전류 커넥터(1) 밖으로 돌출된다.

Description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 제1항의 카테고리에 따른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대전류 커넥터는 대전류 애플리케이션, 특히 변압기의 전력 공급에 사용된다.
DE 1 983 593 U1호는 대전류 커넥터를 보여준다. 플러그인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케이블 콘센트로 인해, 상기 유형의 커넥터를 설치할 때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독일 특허청은 본 출원에 관련된 우선권 출원에서 하기의 선행 기술을 조사하였다: DE 10 2018 127 720 B3 및 DE 10 2016 115 678 A1
본 발명의 과제는,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며 공간 절약적으로 간단히 설치될 수 있는 대전류 커넥터를 제안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독립 청구항들의 대상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하기의 설명부에 명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류 커넥터는 제1 하우징 부재 및 이에 연결된 제2 하우징 부재를 갖는다. 상기 두 하우징 부재의 연결은 나사 연결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부재 내에는 핀 콘택이 보유된다. 핀 콘택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연결 영역과, 장치 소켓 또는 상대 커넥터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접촉 영역을 갖는다. 제1 하우징 부재는 대전류 커넥터의 플러그인 영역 또는 플러그인측을 형성한다. 따라서, 접촉 핀은 소켓, 예를 들어 변압기 소켓을 위한 접촉 수단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핀 콘택의 접촉 영역은 플러그인측에서 대전류 커넥터 밖으로 돌출된다.
바람직하게는, 대전류 커넥터가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를 가지며, 이 절연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 부재 내에 배치되거나 그에 의해 보유된다. 절연체는 플러그인측에서 제1 하우징 부재 밖으로 돌출된다.
플러그인 상태에서 절연체는 변압기 하우징의 장치 벽부 또는 하우징 벽을 통과하여 도달한다. 장치 하우징 또는 변압기 하우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오일 또는 필적하는 윤활제로 채워질 수 있다. 따라서, 핀 콘택이 2개의 주연 홈을 갖고 이들 주연 홈 내에 각각 하나의 밀봉 링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대전류 커넥터가 플러그인측에서 원하지 않는 매체(오일, 물, 먼지 등)의 침투로부터 보호된다.
바람직하게 절연체는 핀 콘택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한다. 이 경우, 절연체는 바람직하게 주연 링으로부터 플러그인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핀 콘택의 연결 영역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접촉 요소의 전기 접촉을 위한 공간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에, 연결 영역이 절연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이지는 않는다.
제2 하우징 부재 내에는 바람직하게 연결될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 접촉 요소가 배치된다. 제2 하우징 부재는 개방된 하우징 벽을 갖는다. 상기 개방된 하우징 면은 하우징 커버로 폐쇄될 수 있다. 하우징 벽은 동시에 추가 하우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연결 지점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에 제3 하우징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제3 하우징 부재는 제2 하우징 부재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하게 나사 연결이 사용된다. 제3 하우징 부재 내에는 제2 하우징 부재와 유사하게, 연결될 추가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추가 연결 접촉 요소가 배치된다.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에 추가 하우징 부재로서 제4, 제5 및/또는 제6 하우징 부재를 장착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하우징 부재 내에는 각각 하나의 연결될 추가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각각 하나의 연결 접촉 요소가 배치된다. 하우징 부재들은 연달아 배열되어 서로 고정된다. 즉, 제3 하우징 부재가 제2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고, 제4 하우징 부재가 제3 하우징 부재에 고정되는 식이다. 각각 마지막 하우징 부재는 위에 언급한 하우징 커버로 닫힘으로써, 대전류 커넥터 또는 그 하우징이 전체적으로 폐쇄되고 매체가 침투할 수 없다. 이를 통해, 대전류 커넥터를 원하는 대로 확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일한 부품을 사용할 수 있다.
개별 연결 접촉 요소에 각각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 접촉 요소가 핀 콘택과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된다. 병렬로 연결된 복수의 케이블을 통해 더 많은 전류가 핀 콘택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대전류 커넥터는 하나의 케이블로 예컨대 400A, 2개의 케이블로 800A, 3개의 케이블로 1200A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대전류 커넥터는 원하는 대로 확장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양한 적용 영역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 접촉 요소는 각각 연결 영역 및 접촉 영역을 갖는다. 연결 영역에는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는 크림프 연결(crimp connection)을 통해 실시된다. 이를 위해 연결 영역은 원통형 개구부를 갖는다. 크림프 연결은 높은 수준의 내진동(vibration protection)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연결 기술은 특히 철도 분야에서 높은 수용도를 얻는다. 연결 접촉 요소의 접촉 영역은 원통형 관통 개구를 갖는다. 연결 접촉 요소의 전기 접촉을 위해 핀 콘택이 연결 접촉 요소의 관통 개구에 삽입된다. 이를 위해, 핀 콘택과 개별 관통 개구의 직경이 서로 일치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 접촉 요소의 개구 또는 크림프 개구 및 관통 개구가 서로 직교하도록 정렬된다. 이로써, 케이블의 연결 방향과 대전류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도 마찬가지로 서로 직교한다. 케이블들은 연결된 장치로부터 평평하게 뻗어나가며, 이는 특히 철도 분야에서 이점을 제공하는데, 그 이유는 케이블들이 철도 벽부 상에 평평하게 연장됨에 따라 공간 절약적으로 매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연결 접촉 요소와 핀 콘택 사이의 최적의 전기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연결 접촉 요소의 원통형 관통 개구 내에 주연 접촉 밴드가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핀 콘택이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연결 영역 및 접촉 영역을 갖는다. 연결 영역은 핀 콘택과 연결 접촉 요소 사이에 전술한 전기 접점을 형성한다. 접촉 영역은 장치 소켓 또는 연결 소켓에 대한 전기 접점을 형성한다.
핀 콘택의 접촉 영역은 주연 나사산을 갖는다. 또한, 핀 콘택의 접촉 영역은 주연 링을 갖는다. 또는, 달리 말하면, 주연 나사산이 주연 링에서 시작하여 핀 콘택의 플러그인 방향으로 연장된다. 주연 나사산은 핀 콘택의 접촉 팁(contact tip)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나사산에 조여진 너트에 의해 플러그인측에서 주연 링에 대해 눌리는 이른바 케이블 슈(cable shoe)와 핀 콘택을 접촉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접촉은 특히 내구성이 뛰어나고 진동에 매우 강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따라서 상기 접촉 기술은 특히 철도 분야에 적합하다.
바람직하게 핀 콘택은 접촉 영역에, 예를 들어 앨런 키(Allen Key)용 리셉터클로서 사용되는 축방향 개구를 갖는다. 이를 통해, 케이블 슈를 위한 로크 너트(lock nut)를 조일 때 접촉 핀을 고정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가 열변색 요소(thermochrome element)를 갖거나 그러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변색 요소 또는 열변색 소재는 대전류 커넥터의 과부하를 광학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예를 들어 상기 요소 또는 소재의 색상 변화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과부하된 커넥터를 신속하게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면들에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대전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전류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2개의 연결 접촉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핀 콘택의 단면도이다.
도 4는 2개의 연결 접촉 요소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핀 콘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연결 접촉 요소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류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대전류 커넥터의 제1 하우징 부재의 사시 단면도이다.
도면들은 부분적으로 단순화된 개략적 도해들을 포함하고 있다. 어떤 경우에는 유사한, 그러나 경우에 따라 동일하지는 않은 요소들에 동일한 참조 부호가 사용된다. 동일한 요소를 상이한 관찰 방향에서 도시한 도해는 상이하게 스케일링될 수도 있다.
"왼쪽", "오른쪽", "위쪽" 및 "아래쪽"과 같은 방향 지시어는 개별 도면과 관련해서 이해되어야 하며, 도시된 대상과 비교하여 개별 도해에서 다를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대전류 커넥터(1, 1')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대전류 커넥터의 소형 버전(1)에서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의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다. 대전류 커넥터의 대형 버전(1')에서는 2개의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다. 따라서 대형 버전의 대전류 커넥터(1')는 더 높은 전류 세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에는 대형 대전류 커넥터 버전(1')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대전류 커넥터(1, 1')에 연결된 전기 케이블은 케이블 글랜드(6, 6')를 통해 고정된다.
대전류 커넥터(1, 1')는 핀 콘택(9)이 배치된 제1 하우징 부재(7)를 갖는다. 핀 콘택(9)은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히 볼 수 있다. 핀 콘택(9)은 접촉 영역(K') 및 연결 영역(A')을 갖는다. 핀 콘택(9)의 접촉 영역(K')은 플러그인 측에서 제1 하우징 부재(7) 밖으로 돌출되며, 플러그인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장치 소켓과의 전기 접점을 형성한다.
핀 콘택(9)의 연결 영역(A')은 대전류 커넥터(1, 1')의 제2 하우징 부재(8) 내로 돌출된다. 여기서 핀 콘택(9)은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접촉 요소(5)와 전기 전도성 접촉 상태에 있다. 연결 접촉 요소(5)에는 크림핑 기술로 (도시되지 않은) 각각 하나의 전기 케이블이 연결된다. 핀 콘택(9)과 연결 접촉 요소(5) 또는 이들의 주 대칭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정렬된다. 이로써, 대전류 커넥터의 플러그인 방향과 케이블 연결 방향도 서로 수직이다.
도 6에서는 제2 하우징 부재(8)가 개방된 하우징 벽(10)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방된 하우징 벽(10)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대전류 커넥터(1, 1')의 매체 밀봉을 위한 (도시되지 않은) 씰이 삽입되는 주연 홈(11)이 제공된다. 상기 개방된 하우징 벽(10)은 하우징 커버(12)로 폐쇄될 수 있다. 대전류 커넥터(1')의 모듈식 확장을 위해, 개방된 하우징 벽(10) 상에 추가 하우징 부재, 즉, 제3 하우징 부재(13)가 올려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3 하우징 부재(13)에도 연결 접촉 요소(5)가 제공됨을 알 수 있으며, 이 연결 접촉 요소의 연결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추가 연결 케이블이 제공될 수 있고 접촉측은 핀 콘택(9)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접촉 요소(5)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 접촉 요소는 양측에 홈(16)을 갖는다. 이 홈(16)에 제2 하우징 부재(8)에 일체로 성형된 웨브(17)가 맞물림에 따라, 연결 접촉 요소의 비틀림 회전 방지가 보장된다. 연결 접촉 요소(5)는 고정 수단(14)을 통해 제2 하우징 부재(8)에 고정된다. 동일한 고정 요소(14)가 다른 하우징 부재, 예를 들어 제3 하우징 부재(13)에도 당연히 사용될 수 있다.
연결 접촉 요소(5)는 연결 영역(A) 및 접촉 영역(K)을 갖는다. 연결 영역(A)은 연결될 전기 케이블과의 크림프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원통형 개구(2)를 갖는다. 연결 접촉 요소(5)의 접촉 영역(K)은 원통형 관통 개구(3)를 갖는다. 연결 접촉 요소(5)와 핀 콘택(9)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핀 콘택(9)이 상기 관통 개구(3) 내에 삽입된다. 관통 개구(3) 내에는 연결 접촉 요소(5)와 핀 콘택(9) 사이의 신뢰성 있는 전기 접촉을 보장하는 접촉 밴드(4)가 배치된다.
크림프 개구(2)와 관통 개구(3)의 주 대칭축은 서로 직교하도록 정렬된다. 이로써, 대전류 커넥터(1, 1')의 플러그인 방향(SR)과 케이블 연결 방향(KA)도 서로 수직으로 정렬된다. 따라서 케이블이 장치로부터 평평하게 뻗어나가고, 그로 인해 케이블 라우팅 또는 케이블 매설이 가능하다.
핀 콘택(9)의 접촉 영역(K')은 주연 링(15)에 의해 폐쇄된다. 접촉 핀(9)은 상기 주연 링(15)으로부터 시작하여 접촉 팁의 방향으로 주연 방향 나사산(20)을 갖는다. 대전류 커넥터(1, 1')를 예를 들어 변압기에 연결할 때, 접촉 핀(9)의 접촉 팁 둘레로 (도시되지 않은) 환형 케이블 슈가 안내된다. 케이블 슈는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나사를 통해 고정되고, 이때 주연 링(15)의 링 표면에 대해 가압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경우 최적의 내진동을 보장하기 위해 제2 나사 또는 로크 너트가 추가로 사용된다.
도 7에서는 대전류 커넥터(1)의 제1 하우징 부재(7)의 사시 단면도를 볼 수 있다. 접촉 핀(9)은 그의 접촉 영역(K')이 절연체(19)로부터 플러그인 방향(SR)으로 돌출하도록 정렬된다. 절연체(19)는 주연 링 상부에 플러그인 방향(SR)에 반하여 대전류 커넥터(1)의 제1 하우징 부재(7)를 향해 연장된다. 이 경우, 절연체(19)는 제1 하우징 부재(7)로부터 돌출되고, 자신의 상부 영역만 제1 하우징 부분(7)에 의해 보유된다. 절연체(19)의 상기 자유 연장부는 차후에 장치 벽부 또는 변압기 하우징 내로 돌출된다.
접촉 핀(9)은 절연체(19) 내부에서 연장되는 영역에 2개의 주연 홈(20, 20')을 갖는다. 이들 홈(20, 20') 내에 각각 하나의 밀봉 링(21, 21')이 삽입된다. 그 결과, 대전류 커넥터(1)는 플러그인측에서 매체 밀봉 방식으로 밀봉된다.
접촉 핀(9)은 플러그인 방향(SR)과 반대 방향으로 제1 하우징 부재(7) 외부로, 적어도 하나의 제2 하우징 부재(8) 내로, 그리고 경우에 따라 제3 하우징 부재(13) 내로도 돌출된다. 이 영역에서 이미 앞서 언급한 연결 접촉 요소(5)가 핀 콘택(9)에 연결된다.
접촉 핀(9)은 연결 방향으로 견부(22)를 갖는다. 이 견부(22)를 통해 핀 콘택(9)은 고정 수단(23)의 도움으로 제1 하우징 부재(7) 내에 고정되거나 클램핑될 수 있다.
핀 콘택(9)은 바람직하게, 상응하는 전류 용량을 보장하기 위해, 순수 구리로 형성된다. 순수 구리는, 재료가 적어도 99중량%의 구리 함량을 가짐을 의미한다. 연결 접촉 요소(들)도 이러한 순수 구리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들에 본 발명의 상이한 양태들 또는 특징들이 각각 조합되어 도시되어 있더라도,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도시되고 논의된 조합이 유일하게 가능한 것은 아니라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하다. 특히, 상이한 실시예들의 상호 대응하는 유닛들 또는 특징 복합체들은 서로 교환될 수 있다.
1 대전류 커넥터
2 개구
3 관통 개구
4 접촉 밴드
5 연결 접촉 요소
6 케이블 글랜드
7 제1 하우징 부재
8 제2 하우징 부재
9 핀 콘택
10 개방된 하우징 벽
11 홈
12 하우징 커버
13 제3 하우징 부재
14 고정 수단
15 주연 링
16 홈
17 웨브
18 나사산
19 절연체
20 홈
21 밀봉 링
22 견부
23 고정 수단
A, A' 연결 영역
K, K' 접촉 영역
KA 케이블 연결 방향
SR 플러그인 방향

Claims (18)

  1. 제1 하우징 부재(7) 및 이에 연결된 제2 하우징 부재(8)를 갖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이며, 상기 대전류 커넥터(1)는 핀 콘택(9)을 가지며, 핀 콘택(9)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연결 영역(A')과, 장치 소켓 또는 상대 커넥터의 전기 접촉을 위한 접촉 영역(K')을 가지며, 핀 콘택(9)의 접촉 영역(K')은 플러그인측에서 대전류 커넥터(1) 밖으로 돌출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2. 제1항에 있어서, 핀 콘택(9)의 접촉 영역(K')은 주연 링(15) 및 주연 나사산(18)을 가지며, 이 주연 나사산은 주연 링(15)에서 시작하여 핀 콘택(9)의 플러그인 방향(SR)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대전류 커넥터(1)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하우징 부재(7) 내에 배치되고 플러그인측에서 제1 하우징 부재(7) 밖으로 돌출되는 절연체(19)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4. 제3항에 있어서, 핀 콘택(9)의 연결 영역(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연체(19)로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5.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절연체(19)는 주연 링(15)에서 시작하여 플러그인 방향(SR)의 반대 방향으로 핀 콘택(9)을 둘러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 콘택(9)은 2개의 주연 홈(20, 20')을 가지며, 이들 주연 홈 내에 각각 하나의 밀봉 링(2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류 커넥터는 연결될 케이블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연결 접촉 요소(5)를 가지며,
    연결 접촉 요소(5) 또는 연결 접촉 요소들(5)이 각각 핀 콘택(9)과 전기 전도성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재(8)는 하우징 커버(12)에 의해 폐쇄될 수 있거나 추가 하우징 부재가 고정될 수 있는 개방된 하우징 벽(10)을 갖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는 제3 하우징 부재(13)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0. 제9항에 있어서,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는 추가 하우징 부재, 특히 제4, 제5 및 제6 하우징 부재를 가지며, 이들 추가 하우징 부재는 제3 하우징 부재(13)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1. 제10항에 있어서, 제2 하우징 부재(8) 내에 그리고/또는 제3 하우징 부재(13) 내에 그리고/또는 제4 하우징 부재 내에 그리고/또는 제5 하우징 부재 내에 그리고/또는 제6 하우징 부재 내에 각각 하나의 연결 접촉 요소(5)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하우징 부재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3. 제3항에 있어서, 절연체(19)는 폴리아미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핀 콘택(9)은 순수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5. 제7항에 있어서, 연결 접촉 요소 또는 연결 접촉 요소들이 순수 구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하우징 부재(7)와 이에 연결된 제2 하우징 부재(8)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 부재가 열변색 요소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변색 요소는 대전류 커넥터(1)의 과부하를 광학적으로 표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1).
KR1020227035609A 2020-03-18 2021-03-08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KR202201541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07393.3A DE102020107393A1 (de) 2020-03-18 2020-03-18 Modularer Hochstromsteckverbinder
DE102020107393.3 2020-03-18
PCT/DE2021/100233 WO2021185406A1 (de) 2020-03-18 2021-03-08 Modularer hochstrom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4197A true KR20220154197A (ko) 2022-11-21

Family

ID=75223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5609A KR20220154197A (ko) 2020-03-18 2021-03-08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94585A1 (ko)
EP (1) EP4122053A1 (ko)
KR (1) KR20220154197A (ko)
CN (1) CN115244791A (ko)
DE (1) DE102020107393A1 (ko)
WO (1) WO20211854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03205A1 (de) * 2022-02-11 2023-08-17 Harting Electric Stiftung & Co. Kg Steckverbindermodul mit Brückfunktion für einen modularen 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593U (de) 1968-01-17 1968-04-18 Harting Elektro W Hochstromsteckvorrichtung.
DE102016115678A1 (de) 2016-08-24 2018-03-01 Harting Ag & Co. Kg Steckverbinder mit kontaktaufgelöster Temperaturüberwachung
DE102018127720B3 (de) 2018-11-07 2019-12-05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und Steckverbinder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94585A1 (en) 2023-03-30
CN115244791A (zh) 2022-10-25
EP4122053A1 (de) 2023-01-25
DE102020107393A1 (de) 2021-09-23
WO2021185406A1 (de) 2021-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86820A (en) Modular connector for power systems
US7766687B2 (en) Connector having different size recesses
US62244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same with circuit devices
US7413478B2 (en) Electric contact for contacting a protecting conductor with conductive housing
US10873153B2 (en) Plug-in connector
KR980012715A (ko) 두 전기 케이블의 신속한 상호연결을 위한 방법 및 장치
MX2007001334A (es) Conector electrico modular y metodo de uso.
US11271342B2 (en) Pin and sleeve devices
KR20110037849A (ko) 전기 기계용 터미널 블록을 포함하는 고정자 어셈블리
US5545060A (en) Clamping terminal unit
CN109643873A (zh) 具有端子的电源连接器
US20220052466A1 (en) Terminal block
KR20220154197A (ko)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KR20200063469A (ko) 전기 분배 장치
US9231338B2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US6142815A (en) Electrical interface connector
CN111149266B (zh) 电缆螺纹接头
KR20210056408A (ko) 접지 단자 영역을 갖는 플러그-인 커넥터
JP5652728B2 (ja) 複合防爆型電動機
KR20220154194A (ko)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시스템
JP5954205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US11296449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dentical electrical connectors
GB2570532A (en) Busbar connection
US6518498B1 (en) Poke-through floor fitting with thermally activated conductor links
AU2007202757A1 (en) Seal for electrical connector blo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