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3469A - 전기 분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분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3469A
KR20200063469A KR1020180149159A KR20180149159A KR20200063469A KR 20200063469 A KR20200063469 A KR 20200063469A KR 1020180149159 A KR1020180149159 A KR 1020180149159A KR 20180149159 A KR20180149159 A KR 20180149159A KR 20200063469 A KR20200063469 A KR 20200063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electrode line
track
electrod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9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6525B1 (ko
Inventor
김자이
장영일
하승두
배정환
공주식
Original Assignee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에이스산업(주) filed Critical 금성에이스산업(주)
Priority to KR1020180149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6525B1/ko
Priority to PCT/KR2019/013572 priority patent/WO2020111509A1/ko
Publication of KR20200063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14Rails or bus-bars constructed so that the counterparts can be connected thereto at any point along their leng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트랙 몸체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트랙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들을 구비하는 트랙 모듈; 및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트랙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출력 모듈은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대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도록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가 상기 트랙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이 대응하는 상기 전극선들과의 접촉 상태가 전환되는 전기 분배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기 분배 장치 {ELECTRICAL DISTRIBUTION DEVICE}
본 발명은 전기 분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러그와 같은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는 전원 출력 모듈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고 복수개의 전원 출력 모듈들을 설치하여 사용함으로써 활용성이 향상된 전기 분배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장, 유통 시설 등 산업 현장,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물건의 적치 등을 위해 간편하게 조립, 확장 및 철거할 수 있는 파이프 랙 시스템이 이용되고, 이에 대응하여 작업의 효율성 제고, 편의성 향상, 효율적인 재고 관리 등을 위해, 각종 센서들이 많이 적용된 사물 인터넷(IoT) 플랫폼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이러한 생산 및 유통과 연계된 사물인터넷 플랫폼 기반의 시스템에서는, 필연적으로 전기 사용이 필요한 부분들이 다수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러한 다수 부분에서의 전기 사용을 위하여, 여러 개의 플러그를 꽂을 수 있게 만든 콘센트인 멀티탭을 이용하는 등의 방식이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멀티탭의 구조 상, 그 멀티탭 주변에서만 국한하여 전기 사용이 가능하여 그 전기 연결을 위한 확장성이 크게 떨어지고, 서로 이격된 다수의 부분에서 전기 사용이 필요한 경우 복수개의 멀티탭을 서로 이격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므로 멀티탭과 외부 전원을 연결하는 케이블 선들이 지저분하게 노출됨은 물론 각 케이블 선들이 서로 꼬이는 등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67417호 (2011.09.27.)
본 발명의 목적은 공장, 유통 시설 등 산업 현장, 가정 등 다양한 환경에서 전기 사용이 필요한 다수 부분들에 간결하고 간편하게 전기 연결을 위한 확장이 가능한 전원 분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트랙 몸체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트랙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들을 구비하는 트랙 모듈; 및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트랙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출력 모듈은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대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도록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가 상기 트랙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이 대응하는 상기 전극선들과의 접촉 상태가 전환되는 전기 분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해결 수단에 기재된 본 발명의 전기 분배 장치의 구성에 의해, 길게 연장되는 트랙 모듈의 길이방향 임의의 위치에 복수개의 전원 출력 모듈들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원 출력 모듈과 트랙 모듈이 견고하게 결합되어서 전원 출력 모듈의 이동이 방지되고, 전원 출력 모듈과 트랙 모듈의 전기적 접속 상태도 향상된다.
그리고, 전원 출력 모듈이 트랙 모듈에 거치된 상태에서 용이하게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분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전기 분배 장치에 연결되는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를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분배 장치의 주요 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트랙 모듈에서 트랙 유닛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원 출력 모듈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의 분해 사시도로서, 연결되는 트랙 모듈의 일부분을 함께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의 내부에서 외부 전선이 연결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에서 트랙 모듈의 전극 와이어가 결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분배 장치가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로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분배 장치(100)는 트랙 모듈(110)과, 트랙 모듈(110)에 탈착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P)가 접속되는 전원 출력 모듈(130)과, 트랙 모듈(110)에 결합되어서 외부 전원과 트랙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터미널 모듈(170)을 포함한다.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P)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기 플러그 외에 USB, 카메라, 무선 충전기 등 다양한 것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다양한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를 포함한다. 이에 대응하여, 전원 출력 모듈(130)도 일반적인 전기 플러그 외에 USB, 카메라, 무선 충전기 등 다양한 전원 수요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트랙 모듈(110)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태의 트랙 유닛(111)과, 트랙 유닛(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두 마감체(120a, 120b)를 구비한다.
도 3에는 트랙 유닛(111)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1의 A-A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랙 유닛(111)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는 막대 형태로서, 트랙 유닛(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두 마감체(120a, 120b)가 결합된다. 트랙 유닛(111)은 트랙 몸체(112)와, 트랙 몸체(11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과, 트랙 몸체(112)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을 구비한다.
트랙 몸체(112)은 직선으로 길게 연장되고, 금속재질로서 압출과 같은 금속가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트랙 몸체(112)의 일면에는 주 결합홈(115)과, 주 결합홈(115)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는 두 보조 결합홈(118)들이 형성된다.
주 결합홈(115)은 트랙 몸체(112)의 일면에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트렌치(trench) 홈으로서, 주 결합홈(115)의 양측면에는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과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이 수용되는 제1 수용홈(115a)과 제2 수용홈(115b)이 각각 형성된다. 제1 수용홈(115a)과 제2 수용홈(115b)은 서로 마주보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제1 수용홈(115a)의 폭(주 결합홈(115)의 깊이방향 길이)은 제2 수용홈(115b)의 폭(주 결합홈(115)의 깊이방향 길이)보다 크며, 제2 수용홈(115b)의 중심이 제1 수용홈(115a)의 중심보다 아래에(즉, 주 결합홈(115)의 바닥(115c)에 가깝게) 위치한다.
두 보조 결합홈(118)들 각각은 주 결합홈(115)이 형성된 트랙 몸체(112)의 일면에 주 결합홈(115)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보조 결합홈(118)은 트랙 몸체(112)의 일면에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주 결합홈(115)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트렌치 홈으로서, 보조 결합홈(118)의 내측면에는 걸림홈(119)이 형성된다. 걸림홈(119)은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직선으로 연장되는 트렌치 홈이다.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은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에 의해 감싸인 상태로 트랙 몸체(112)에 고정된다.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은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접지 전극선(113b)와,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구비한다.
제1 전원 전극선(113a)은 절연부재(114a)에 감싸인 상태로 트랙 몸체(112)의 제1 수용홈(115a) 내에 위치하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제1 전원 전극선(113a)은 구리 합금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터미널 모듈(170)을 통해 외부 전원의 양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 전극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 전원 전극선(113a)의 일단은 터미널 모듈(170)과의 연결을 위해 두 마감체(120a, 120b) 중 하나의 마감체(120a)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접지 전극선(113b)은 절연부재(114a)에 감싸인 상태로 트랙 몸체(112)의 제1 수용홈(115a) 내에 위치하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접지 전극선(113b)은 제1 수용홈(115a) 내에서 제1 전원 전극선(113a)보다 주 결합홈(115)의 바닥(115c) 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즉, 제1 수용홈(115a) 내에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접지 전극선(113b)이 주 결합홈(115)의 깊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서 배치되는데, 접지 전극선(113b)이 제1 전원 전극선(113a)보다 주 결합홈(115)의 바닥(115c) 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접지 전극선(113b)은 구리 합금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터미널 모듈(170)을 통해 외부 전원의 접지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접지 전극선(113c)의 일단은 터미널 모듈(170)과의 연결을 위해 두 마감체(120a, 120b) 중 하나의 마감체(120a)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제2 전원 전극선(113c)은 절연부재(114b)에 감싸인 상태로 트랙 몸체(112)의 제2 수용홈(115b) 내에 위치하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그에 따라, 제2 전원 전극선(113c)은 주 결합홈(115)을 사이에 두고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반대편에 위치하고, 제1 전원 전극선(113a)보다 주 결합홈(115)의 바닥에 더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제2 전원 전극선(113c)은 구리 합금 등의 도체로 이루어지며, 터미널 모듈(170)을 통해 외부 전원의 양극 중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 전극과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2 전원 전극선(113c)의 일단은 터미널 모듈(170)과의 연결을 위해 두 마감체(120a, 120b) 중 하나의 마감체(120a)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은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을 감싸며, 트랙 몸체(112)에 결합된다.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에 의해 복수개의 전극선(113a, 113b, 113c)들과 트랙 몸체(112) 사이가 절연된다.
복수개의 절연부재(114a, 114b)들은 트랙 몸체(112)의 제1 수용홈(115a)에 수용되는 제1 절연부재(114a)와, 트랙 몸체(112)의 제2 수용홈(115b)에 수용되는 제2 절연부재(114b)를 구비한다.
제1 절연부재(114a)는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접지 전극선(113b)을 감싸며 트랙 몸체(112)의 제1 수용홈(115a)에 끼워져서 수용된다. 제1 절연부재(114a)에는 제1 수용홈(115a)을 통해 제1 전원 전극선(113a)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1a)와, 제1 수용홈(115a)을 통해 접지 전극선(113b)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지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2a)가 형성된다. 제1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1a)와 접지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2a)는 슬릿 형태로서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제2 절연부재(114b)는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감싸며 트랙 몸체(112)의 제2 수용홈(115b)에 끼워져서 수용된다. 제2 절연부재(114b)에는 제2 수용홈(115b)을 통해 제2 전원 전극선(113c)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2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1b)가 형성된다. 제2 전원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1141b)는 슬릿 형태로서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두 마감체(120a, 120b)들은 트랙 유닛(111)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1 마감체(120a)와 제2 마감체(120b)를 구비한다. 두 마감체(120a, 130b)는 절열재질이며, 트랙 몸체(112)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나사 결합된다.
두 마감체(120a, 120b) 중 제1 마감체(120a)에는 트랙 유닛(111)으로부터 제1 전원 전극선(113a), 접지 전극선(113b) 및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각각 통과할 수 있는 통로구멍들이 형성되며, 이 통로구멍들을 통해 제1 전원 전극선(113a), 접지 전극선(113b) 및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돌출되어서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마감체(120a)는 터미널 모듈(170)과 결합되어서 고정된다. 외부로 노출된 제1 전원 전극선(113a)의 단부, 외부로 노출된 제2 전원 전극선(113c)의 단부 및 외부로 노출된 접지 전극선(113b)의 단부는 터미널 모듈(170)에서 두 외부 전원 전극 및 외부 접지 전극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전원 출력 모듈(130)은 트랙 모듈(110)의 트랙 유닛(111)의 길이방향의 적절한 위치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는 전원 출력 모듈(130)이 사시도로서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전원 출력 모듈(130)이 측면도로서 도시되 있으며, 도 7에는 전원 출력 모듈(130)이 저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전원 출력 모듈(130)은 고정체(140)와, 고정체(140)에 대해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는 회전체(150)를 구비한다.
고정체(140)는 대체로 원통형상으로서, 그 중심을 회전축선(X)이 통과하며,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회전체(150)가 고정체(140)에 대해 축회전하도록 고정체(140)에 결합된다. 고정체(140)는 회전축선(X)을 사이에 두고 원주방향 반대편에 위치하는 두 삽입 다리(141)를 구비한다. 두 삽입 다리(141)는 트랙 몸체(112)에 형성된 두 보조 결합홈(118)에 각각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두 삽입 다리(141)의 내측 끝단부는 끝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지는데, 이는 두 삽입 다리(141)들이 두 보조 결합홈(118)들 각각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조이다. 또한, 고정체(140)는 트랙 몸체(112)에 형성된 두 걸림홈(119)들 각각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개의 볼 부재(145)들을 더 구비한다. 복수개의 볼 부재(145)들은 탄성지지되어서 걸림홈(119)과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트랙 몸체(112)에 대한 전원 출력 모듈(130)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회전체(150)는 고정체(140)에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90도의 범위 내에서 왕복 축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회전체(150)는 전원 수용 장치용 단자(P)가 결합되는 접속부(151)와, 회전축선(X)을 따라 돌출된 결합 기둥부(160)와, 접속부(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을 구비한다.
접속부(151)는 고정체(140)에 구비되는 두 삽입 다리(141)들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전기 플러그 또는 USB 등의 일반적인 전원 수요 장치의 단자(P)가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는 통상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접속부(151)가 전기 플러그가 접속되는 구조인 경우, 플러그의 두 전원 플러그 핀과 연결되는 두 소켓 전원 단자와, 플러그의 접지 단자와 연결되는 소켓 접지 단자를 구비하게 된다. 접속부(151)에 구비되는 두 전원 단자와 접지 단자들 각각은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결합 기둥부(160)는 접속부(151)의 반대편에 회전축선(X)을 따라서 기둥형태로 돌출되어서 형성되며, 두 삽입 다리(141)들의 사이에 위치한다. 결합 기둥부(160)는 회전축선(X)을 중심으로 하는 장방형의 기둥 형태로서, 네 모서리 부분은 둥글게 라운드진다. 그에 따라, 결합 기둥부(160)는 두 변부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된다. 결합 기둥부(160)는 트랙 몸체(112)의 주 결합홈(115)에 삽입되는데, 상대적으로 짧은 변부가 주 결합홈(115)의 양 측면과 대향하면 꽉 끼워져서 결합력이 향상되여 콘센트 모듈(130)의 트랙 모듈(110)에 대한 슬라이드 이동이 억제되고, 상대적을 긴 변부가 주 결합홈(115)의 양 측면과 대향하는 상태가 되면 콘센트 모듈(130)이 트랙 모듈(110)에 대해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결합 기둥부(160)는, 회전체(15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주 결합홈(115)의 양 측면과 접촉하거나 비접촉하도록, 상대적으로 긴 장축 방향 길이(D1)와 장축 방향 길이(D1)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단축 방향 길이(D2)를 갖는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장축 방향과 단축 방향을 직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에 따라, 결합 기둥부(160)의 횡단면 형상은 장방형뿐만 아니라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은 결합 기둥부(160)의 장축 방향 양단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결합 기둥부(16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이 지나가는 복수개의 단자 연결 통로(162a, 162b, 162c)들이 형성된다. 복수개의 단자 연결 통로(162a, 162b, 162c)들에 대해서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을 설명하면서 함께 설명될 것이다.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은 접속부(15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결합 기둥부(16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트랙 모듈(110)의 복수개의 전극선(113a, 133b, 113c)과의 전기적 연결이 전환된다.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은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와 접지 연결 단자(155b)와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를 구비한다.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들이 복수개의 전극선(113a, 133b, 113c)과 분리된 상태에서는 전원 출력 모듈(130)이 트랙 유닛(110) 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결합 기둥부(16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551a)와, 수직 연장부(1551a)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꺾여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552a)를 구비한다. 수평 연장부(1552a)가 외부로 노출되어서 수평 연장부(1552a)의 끝단이 트랙 모듈(110)의 제1 전원 전극선(113a)과 접촉할 수 있다. 결합 기둥부(160)에는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가 통과하는 제1 전원 단자 연결 통로(162a)가 형성되는데, 수평 연장부(1552a)가 외력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연장부(1551a)의 탄성변형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제1 전원 단자 연결 통로(162a)에서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직 연장부(1551a)의 끝단에 대응하는 부분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여유 공간(1621a)이 형성된다.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와 제1 전원 전극선(113a) 사이의 전기적 기계적 연결 상태가 향상된다. 수평 연장부(1552a)는 결합 기둥부(160)에서 단변부 쪽에서 돌출된다.
접지 연결 단자(155b)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결합 기둥부(160)의 측면으로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접지 연결 단자(155b)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551b)와, 수직 연장부(1551b)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꺾여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552b)를 구비한다. 수평 연장부(1552b)는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평 연장부(1552a)보다 결합 기둥부(160)의 끝단 쪽에 가깝게 위치한다. 수평 연장부(1552b)가 외부로 노출되어서 수평 연장부(1552b)의 끝단이 트랙 모듈(110)의 접지 전극선(113b)과 접촉할 수 있다. 결합 기둥부(160)에는 접지 연결 단자(155b)가 통과하는 접지 단자 연결 통로(162a)가 형성되는데, 수평 연장부(1552b)가 외력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연장부(1551b)의 탄성변형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접지 단자 연결 통로(162b)에서 접지 연결 단자(155b)의 수직 연장부(1551b)의 끝단에 대응하는 부분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여유 공간(1621b)이 형성된다. 접지 연결 단자(155b)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접지 연결 단자(155b)와 접지 전극선(113b) 사이의 전기적 기계적 연결 상태가 향상된다.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내부를 통과하여 결합 기둥부(160)의 측면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된다.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는 접속부(151)로부터 결합 기둥부(160)의 연장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551c)와, 수직 연장부(1551c)의 끝단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꺾여 연장되고 결합 기둥부(160)를 사이에 두고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평 연장부(1552a)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수평 연장부(1552c)를 구비한다. 수평 연장부(1552c)는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평 연장부(1552a)보다 결합 기둥부(160)의 끝단에 가깝게 위치하여, 결합 기둥부(160)의 연장방향 상에서 위치 차이가 발생한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평 연장부(1552c)는 외부로 노출되어서 수평 연장부(1552c)의 끝단이 트랙 모듈(110)의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접촉할 수 있다. 결합 기둥부(160)에는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가 통과하는 제2 전원 단자 연결 통로(162c)가 형성되는데, 수평 연장부(1552c)가 외력에 의해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연장부(1551c)의 탄성변형을 허용한다. 이를 위하여, 제2 전원 단자 연결 통로(162c)에서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의 수직 연장부(1551c)의 끝단에 대응하는 부분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여유 공간(1621c)이 형성된다.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와 제2 전원 전극선(113c) 사이의 전기적 기계적 연결 상태가 향상된다.
결합 기둥부(160)의 회전에 의해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 접지 연결 단자(155b) 및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 각각이 제1 전원 전극선(113a), 제2 전원 전극선(113b) 및 제3 전원 전극선(113c)과 접촉하거나 분리되는데, 각 전극선(113a, 113b, 113c)은 각 전극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전그선 연결 단자(155a, 155b, 155c)의 수평 연장부(1552a, 1552b, 1552c)의 끝단 모서리는 라운드 처리가 되는데, 접지 연결 단자(155b)의 수평 연장부(1552b)에 형성된 라운드부(R2)는, 제1 전원 연결 단자(155a)의 수평 연장부(1552a)에 형성된 라운드부(미도시) 및 제2 전원 연결 단자(155c)의 수평 연장부(1552c)에 형성된 라운드부(D3)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갖는다. 이는 접지 연결 단자(155b)의 접촉 면적을 더 크게하여 전기적 안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결합 기둥부(160)의 끝단은 두 삽입 다리(141)들의 끝단보다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두 삽입 다리(141)들에 의해 전원 출력 모듈(130)을 세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두 삽입 다리(141)들의 끝단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전기 분배 장치(100)는 트랙 모듈(110)과 전원 출력 모듈(130) 사이의 오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오결합 방지 구조를 더 포함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오결합 방지 구조는, 두 보조 결합홈(119)들 중 하나의 측면에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단턱(119a)과, 두 삽입 다리(141)들 중 하나에 형성되어서 단턱(119a)에 걸리는 걸림턱(141a)을 구비한다. 두 삽입 다리(141)들 중 걸림턱(141a)이 형성된 삽입 다리(141)는 다른 삽입 다리(141)보다 상대적으로 큰 두께를 갖게 되어서 다른 보조 결합홈(119)으로는 끼워지지 않고, 걸림턱(141a)이 형성된 보조 걸림홈(119)에만 끼워지게 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트랙 모듈(110)에 하나의 전원 출력 모듈(130)이 결합되어서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되어서 설명되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트랙 모듈(110)은 더욱 길게 연장되어서 형성될 수 있고, 트랙 모듈(110)에 복수개의 전원 출력 모듈(130)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터미널 모듈(170)은 트랙 모듈(110)에 결합되어서 외부 전원과 트랙 모듈(1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터미널 모듈(170)은 트랙 모듈(110)의 두 마감체(120a, 120b) 중 제1 전원 전극선(113a), 접지 전극선(113b) 및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돌출되어서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마감체(120a)와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170)의 분해 사시도로서, 연결되는 트랙 모듈(110)의 일부분을 함께 도시한 것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터미널 모듈의 내부에서 외부 전선이 연결이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터미널 모듈(170)은 트랙 모듈(110)로부터 돌출된 제1 전원 전극선(113a)을 결합시키고 제1 외부 전원 전선(w1)과 접속되는 제1 전극선 결합 구조(180a)과, 트랙 모듈(110)로부터 돌출된 접지 전극선(113b)을 결합시키고 외부 접지 전선(w2)과 접속되는 제2 전극선 결합 구조(180b)와, 트랙 모듈(110)로부터 돌출된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결합시키고 제2 외부 전원 전선(w3)과 접속되는 제3 전극선 결합 구조(180c)를 구비한다. 3개의 전극선 결합 구조(180a, 180b, 180c)는 모두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여기서는 대표적으로 제3 전극선 결합 구조(180c)의 구성만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에는 제3 전극선 결합 구조(180c)가 단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3 전극선 결합 구조(180c)는 지지대(181)와, 지지대(181)에 고정되고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와, 전극선 접속 부재(182)를 지지대(181)에 고정시키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기적 접속력을 향상시키는 고정 볼트(186)와, 전극선 접속 부재(182)에 결합되고 외부 전선(w3)이 접속되는 단자 부재(187)와, 단자 부재(187)를 전극선 접속 부재(182c)에 결합시키는 결합 볼트(188)를 구비한다.
지지대(181)는 터미널 모듈(170)의 케이스(171)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물로서, 지지대(181)에 전극선 접속 부재(182)가 고정 볼트(186)에 의해 고정된다. 지지대(181)에는 고정 볼트(186)가 통과하는 볼트 구멍(181b)이 형성된다 지지대(181)에는 평평한 지지면(181a)이 형성된다. 또한, 지지대(181)에 인접하여 터미널 모듈(170)의 케이스(171)에는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통과하는 통로구(171)가 형성된다. 트랙 모듈(110)과 터미널 모듈(17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마감체(120a)에는 통로구(171)에 꼭 맞게 끼워지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가 통과하는 관통구가 형성된 삽입 돌출부(121a)가 형성된다.
전극선 접속 부재(182)는 지지대(181)에 고정되고, 전극선 접속 부재(182)에는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단자 부재(187)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된다. 전극선 접속 부재(182)는 대체로 사각 막대 형상으로서, 내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을 관통하는 전극선 삽입 홀(183)이 형성된다. 전극선 삽입 홀(183)에 제2 전원 전극선(113c)이 삽입되어 접속된다.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평평한 일측면에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이격되어서 배치되는 고정용 볼트 구멍(184a)과 단자 결합용 볼트 구멍(184b)이 형성된다. 고정용 볼트 구멍(184a)과 단자 결합용 볼트 구멍(184b)은 전극선 삽입 홀(183)과 연결된다.
고정 볼트(186)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를 지지대(181)에 고정시키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기적 접속력을 향상시킨다. 고정 볼트(186)는 지지대(181)의 볼트 구멍(181b)과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고정용 볼트 구멍(184a) 거쳐 결합되어서 전극선 접속 부재(182)를 지지대(181)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고정 볼트(186)의 기둥부(186a) 끝단은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극선 삽입 홀(183) 내부로 돌출되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가압함으로써, 제2 전원 전극선(113c)과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기적 접속 상태를 향상시키게 된다.
단자 부재(187)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에 결합 볼트(188)에 의해 결합된다. 단자 부재(187)에는 결합 볼트(188)를 위한 볼트 구멍(187a)이 형성된다. 단자 부재(87)에는 제2 전원 전극선(113c)에 대응하는 외부 전선(w)이 접속된다. 트랙 모듈(110)의 접지 전극선(113b)과 결합되는 제2 전극선 결합 구조(180b)의 경우에는 접지 외부 전선이 접속되게 된다. 단자 부재(187)는 판상의 부재로서,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평평한 일측면에 면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결합 볼트(188)는 단자 부재(187)를 전극선 접속 부재(182c)에 결합시킨다. 결합 볼트(188)는 전극선 접속 부재(182c)에 형성된 결합용 볼트 구멍(184b)에 결합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결합 볼트(188)의 기둥부(188a)도 전극선 접속 부재(182)의 전극선 삽입 홀(183) 내부로 돌출되어서 제2 전원 전극선(113c)을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기 분배 장치 110 : 트랙 모듈
111 : 트랙 유닛 112 : 트랙 몸체
113a : 제1 전원 전극선 113b : 접지 전극선
113c : 제2 전원 전극선 114a : 제1 절연부재
114b : 제2 절연부재 115 : 주 결합홈
115a : 제1 수용홈 115b : 제2 수용홈
118 : 보조 결합홈 119 : 걸림홈
120a : 제1 마감체 120b : 제2 마감체
130 : 콘센트 모듈 140 : 고정체
141 : 삽입 다리 145 : 볼 부재
150 : 회전체 151 : 접속부
155a : 제1 콘센트 전원 연결 단자 155b : 콘센트 접지 연결 단자
155c : 제2 콘센트 전원 연결 단자 160 : 결합 기둥부
170 : 터미널 모듈 180a : 제1 전극선 결합 구조
180b : 제2 전극선 결합 구조 180c : 제3 전극선 결합 구조
181 : 지지대 182 : 전극선 접속 부재
186 : 고정 볼트 187 : 단자 부재
188 : 결합 볼트

Claims (16)

  1. 일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트랙 몸체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트랙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전극선들을 구비하는 트랙 모듈; 및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가 접속되고 상기 트랙 모듈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 출력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 출력 모듈은 고정체와, 상기 고정체에 대해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축회전하도록 상기 고정체에 결합되는 회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전원 수요 장치용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가 상기 트랙 몸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가 회전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이 대응하는 상기 전극선들과의 접촉 상태가 전환되는 전기 분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랙 몸체는, 상기 트랙 몸체의 일면에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트렌치 형태의 주 결합홈과, 상기 주 결합홈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은, 상기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제1 전원 전극선과, 상기 제2 수용홈에 위치하는 제2 전원 전극선을 구비하며,
    상기 회전체는 상기 회전축선을 따라 돌출되어서 상기 주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 기둥부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은, 상기 제1 전원 전극선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결합 기둥부의 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돌출된 부분을 구비하는 제1 전원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전극선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결합 기둥부의 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상기 제1 콘센트 전원 연결 단자의 반대편에서 돌출된 부분을 구비하는 제2 전원 연결 단자를 구비하는 전기 분배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둥부는, 상기 회전체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주 결합홈의 양 측면과 접촉하거나 비접촉하도록, 상대적으로 긴 장축 방향 길이와 상기 장축 방향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단축 방향 길이를 갖는 횡단면 형상을 구비하는 전기 분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 각각이 대응하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과 접촉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 기둥부가 상기 주 결합홈의 양 측면과 밀착하여 상기 트랙 모듈에 대한 상기 전원 출력 모듈의 이동이 방지되며,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 각각이 대응하는 수용홈으로부터 이탈한 상태에서는, 상기 결합 기둥부가 상기 주 결합홈의 양 측면과 이격되어서 상기 전원 출력 모듈이 상기 트랙 모듈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하거나 상기 트랙 모듈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전기 분배 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 전극선은 상기 제1 전원 전극선보다 상기 주 결합홈의 바닥에 가깝게 위치하는 전기 분배 장치.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용홈에 위치하는 접지 전극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은 상기 접지 전극선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결합 기둥부의 측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으로 상기 제1 전원 연결 단자와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을 구비하는 접지 연결 단자를 더 구비하는 전기 분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선과 상기 제2 전원 전극선은 상기 제1 전원 전극선보다 상기 주 결합홈의 바닥에 가깝게 위치하는 전기 분배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접지 연결 단자와 상기 접지 전극선 사이의 접촉 면적이, 상기 제1 전원 연결 단자와 상기 제1 전원 전극선 사이의 접촉 면적 및 상기 제2 전원 연결 단자와 상기 제2 전원 전극선 사이의 접촉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는 전기 분배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지 연결 단자의 끝단 모서리에 형성되는 라운드부의 곡률 반경이, 상기 제1 전원 연결 단자 및 상기 제2 전원 연결 단자 각각의 끝단 모서리에 형성되는 라운드부들의 곡률 반경보다 작은 전기 분배 장치.
  10.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랙 모듈은, 상기 제1 전원 전극선을 감싸고 상기 제1 수용홈에 끼워져서 결합되어서 상기 제1 전원 전극선과 상기 트랙 몸체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1 절연부재와, 상기 제2 전원 전극선을 감싸고 상기 제2 수용홈에 끼워져서 결합되어서 상기 제2 전원 전극선과 상기 트랙 몸체 사이를 절연시키는 제2 절연부재를 더 구비하는 전기 분배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부재는 상기 제1 전원 연결 단자가 상기 제1 전원 전극선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절연부재는 상기 제2 전원 연결 단자가 상기 제2 전원 전극선으로 접근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 전원 전극선 접근용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기 분배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들은 상기 트랙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용홈에 상기 제1 전원 전극선과 이격되어서 위치하는 접지 전극선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절연부재는 상기 접지 전극선을 더 감싸서 상기 접지 전극선과 상기 트랙 몸체 사이를 절연시키는 전기 분배 장치.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 기둥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 각각이 통과하는 복수개의 단자 연결 통로들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개의 단자 연결 통로들 각각은 상기 복수개의 전극선 연결 단자들 각각이 탄성변형에 의한 후방으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면에 여유 공간이 형성되는 전기 분배 장치.
  1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트랙 몸체는, 상기 주 결합홈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서 형성되는 트렌치 형태의 두 보조 결합홈들을 더 구비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두 보조 결합홈들 각각에 끼워질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 기둥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두 삽입 다리들을 구비하는 전기 분배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두 보조 결합홈들 각각의 측면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두 걸림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는 상기 두 걸림홈들 각각에 끼워질 수 있는 복수개의 볼 부재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볼 부재는 대응하는 상기 걸림홈 쪽으로 탄성지지되는 전기 분배 장치.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전원 출력 모듈의 오결합을 방지하기 위한 오결합 방지 구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결합 방지 구조는, 상기 두 보조 결합홈들 중 하나의 측면에 상방을 향해 형성되는 단턱과, 상기 두 삽입 다리들 중 하나에 형성되어서 상기 단턱에 걸리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전기 분배 장치.
KR1020180149159A 2018-11-28 2018-11-28 전기 분배 장치 KR10219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59A KR102196525B1 (ko) 2018-11-28 2018-11-28 전기 분배 장치
PCT/KR2019/013572 WO2020111509A1 (ko) 2018-11-28 2019-10-16 전기 분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9159A KR102196525B1 (ko) 2018-11-28 2018-11-28 전기 분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469A true KR20200063469A (ko) 2020-06-05
KR102196525B1 KR102196525B1 (ko) 2020-12-29

Family

ID=7085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9159A KR102196525B1 (ko) 2018-11-28 2018-11-28 전기 분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96525B1 (ko)
WO (1) WO202011150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4125B1 (ko) * 2021-01-11 2021-05-20 구교원 전력분배기
WO2022085828A1 (ko) * 2020-10-23 2022-04-28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78725B (zh) * 2022-01-18 2023-08-18 杭州骏跃科技有限公司 便于导电结构夹紧和稳定的移动插排
CN117374676B (zh) * 2023-12-08 2024-02-23 温州新可兰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可自分断的导轨排插及故障分断控制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744U (ja) * 2006-09-29 2007-07-26 啓文 鄭 配電装置
KR101067417B1 (ko) 2009-05-27 2011-09-27 강회정 전원공급용 레일
CN103762472A (zh) * 2014-01-23 2014-04-30 深圳市科鼎实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插座
KR20160020783A (ko) * 2014-08-14 2016-02-24 김호철 전원공급레일용 이동식 콘센트
KR101917756B1 (ko) * 2017-05-26 2018-11-12 금성에이스산업(주) 전원 분배 유닛, 전기 출력 유닛 및 상기 전원 분배 유닛과 상기 전기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연결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5154Y1 (ko) * 2003-08-25 2003-12-03 강진우 이동식 콘센트
CN2791961Y (zh) * 2005-05-10 2006-06-28 郑启文 方便拆装的滑动式插座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3744U (ja) * 2006-09-29 2007-07-26 啓文 鄭 配電装置
KR101067417B1 (ko) 2009-05-27 2011-09-27 강회정 전원공급용 레일
CN103762472A (zh) * 2014-01-23 2014-04-30 深圳市科鼎实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插座
KR20160020783A (ko) * 2014-08-14 2016-02-24 김호철 전원공급레일용 이동식 콘센트
KR101917756B1 (ko) * 2017-05-26 2018-11-12 금성에이스산업(주) 전원 분배 유닛, 전기 출력 유닛 및 상기 전원 분배 유닛과 상기 전기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연결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828A1 (ko) * 2020-10-23 2022-04-28 금성에이스산업(주) 전기 분배 장치
KR102254125B1 (ko) * 2021-01-11 2021-05-20 구교원 전력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6525B1 (ko) 2020-12-29
WO2020111509A1 (ko) 202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63469A (ko) 전기 분배 장치
ES2637562B1 (es) Módulo para toma de corriente deslizable
US7467978B2 (en) Connector for pre-fabricated electric cables, having semi-enclosed contact chambers
US9847591B2 (en) Electric terminal assembly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US8366463B2 (en) Safety structure for electric receptacles and power strips
US62244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connecting the same with circuit devices
JP6349345B2 (ja) プラグコネクタ及び電源回路遮断装置
JP6126911B2 (ja) バスバー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RU2603424C1 (ru) Кабельная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KR102567271B1 (ko) 전원 커넥터
KR20170041082A (ko) 차량용 다중 접지 커넥터
US8500483B2 (en) Plug of a plug connector
US20140057488A1 (en) Power supply with adjustable plug insertion direction
US20150280359A1 (en) Variable wire strain relief connector
CN105580203A (zh) 具有电流杆的电缆接线头装置以及接线端子
JP5882128B2 (ja) 電線接続構造
ES2423510T3 (es) Dispositivo antiparasitario para motores eléctricos
KR102247688B1 (ko) 전기 분배 장치의 전극선 결합 구조
RU2444822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двух штекерных разъемов, имеющее компактную и упрощенную конструкцию
US11121483B2 (en) Terminal holder, wire harness, and fixing structure
KR20210056408A (ko) 접지 단자 영역을 갖는 플러그-인 커넥터
KR101917756B1 (ko) 전원 분배 유닛, 전기 출력 유닛 및 상기 전원 분배 유닛과 상기 전기 출력 유닛을 포함하는 전원 연결 모듈
JP6262895B2 (ja) コネクタ装置
KR20220154197A (ko) 모듈식 대전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