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746B1 -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 Google Patents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746B1
KR100873746B1 KR1020080078583A KR20080078583A KR100873746B1 KR 100873746 B1 KR100873746 B1 KR 100873746B1 KR 1020080078583 A KR1020080078583 A KR 1020080078583A KR 20080078583 A KR20080078583 A KR 20080078583A KR 100873746 B1 KR100873746 B1 KR 100873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drum
detection sensor
unit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8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곤
Original Assignee
(주)협동전기감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협동전기감리단 filed Critical (주)협동전기감리단
Priority to KR1020080078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7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에 관한 것으로, 안착홀(h)을 갖추고서 드럼설치부(12)와 스프링설치부(13)를 구획하는 고정판(11)과, 안착홀(h)과 연통되어 고정판(11) 상부에 배치되는 드럼설치부(12)와, 안착홀(h)과 연통되어 고정판(11)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설치부(13)를 갖추고서, 완철(F)에 고정되는 케이스(10)와; 측방으로 돌출된 돌부(22)를 갖추고서, 케이스(10)의 안착홀(h)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피봇 회전구(20)와; 케이스(10)의 스프링설치부(13)로 삽입되어 피봇 회전구(20)에 고정되는 절연재질의 애자본체(30)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된 애자본체(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점퍼선(J)에 맞물려 고정되는 고정기구(40)와; 케이스(10)의 스프링설치부(13)에 설치되어, 애자본체(30)와 이에 고정된 고정기구(40)가 정위치되도록, 애자본체(30)를 사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프링(S)으로 구성된 완충기구(50)와; 탄성재질의 터치부(61a)를 갖추고서 케이스(10)의 드럼설치부(12)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드럼(61)과, 드럼(6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62)과, 일단이 드럼(61)에 감기고 타단이 피봇 회전구(20)에 고정되는 와이어(63)로 구성된 낙하방지기구(60)와; 케이스(10)의 드럼설치부(12)에 내설되어, 드럼(61)의 터치부(61a)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70)와; 케이스(10)의 고정판(11)에 설치되며, 피봇 회전구(20)의 돌부(22)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80)와; 완철본체(F)에 설치되며, 제1감지센서(70) 및 제2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감지센 서(70) 및 제2감지센서(80)에 의해 점멸 작동제어되는 표시등(90); 를 포함하여, 애자본체(30) 및 고정기구(40)에 충분한 완충력을 줌으로써, 고정기구(40)에 고정된 점퍼선(J)의 단선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Support insulator of a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케이블을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를 통해 공급하고, 각 전주에서의 가공전선의 연결은 완철의 하방으로 늘어진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가공전선 연결은 풍압에 따른 전주와의 접촉으로 인해 가공전선로의 고장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점퍼선을 고정하는 애자가 완철에 설치되었다
하지만, 완철에 점퍼선을 고정하기 위한 애자가 설치되면, 풍력이 발생할 시 풍력을 충분히 흡수하지 못해, 애자에 고정된 점퍼선에 응력이 집중하게 됨으로, 점퍼선이 단선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점퍼선을 충분히 지지하면서도 풍력에 의한 단선을 방지하는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안착홀을 갖추고서 드럼설치부와 스프링설치부를 구획하는 고정판과, 안착홀과 연통되어 고정판 상부에 배치되는 드럼설치부와, 안착홀과 연통되어 고정판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설치부를 갖추고서, 완철에 고정되는 케이스와; 측방으로 돌출된 돌부를 갖추고서, 케이스의 안착홀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피봇 회전구와; 케이스의 스프링설치부로 삽입되어 피봇 회전구에 고정되는 절연재질의 애자본체와; 케이스 외부로 노출된 애자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점퍼선에 맞물려 고정되는 고정기구와; 케이스의 스프링설치부에 설치되어, 애자본체와 이에 고정된 고정기구가 정위치되도록, 애자본체를 사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프링으로 구성된 완충기구와; 탄성재질의 터치부를 갖추고서 케이스의 드럼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드럼과, 드럼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과, 일단이 드럼에 감기고 타단이 피봇 회전구에 고정되는 와이어로 구성된 낙하방지기구와; 케이스의 드럼설치부 에 내설되어, 드럼의 터치부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와; 케이스의 고정판에 설치되며, 피봇 회전구의 돌부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와; 완철본체에 설치되며,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감지센서 및 제2감지센서에 의해 점멸 작동제어되는 표시등;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애자본체 및 고정기구에 충분한 완충력을 줌으로써, 고정기구에 고정된 점퍼선의 단선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의 고정기구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의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는, 완철본체(F)에 고정되는 케이스(10)와, 케이스(10)에 설치되는 피봇 회전구(20)와, 일단이 피봇 회전구(20)에 고정되는 절연재질의 애자본체(30)와, 애자본체(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점퍼선(J)을 고정하는 고정기구(40)와, 애자본체(30)를 탄발지지하는 완충기구(50) 와,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낙하방지기구(60)와, 낙하방지기구(60)에 설치되는 제1감지센서(70)와, 케이스(10)에 설치되는 제2감지센서(80)와, 제1감지센서(70) 및 제2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표시등(9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완철본체(F)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사각 케이스 형상으로, 볼트 등에 의해 전주(P)에 고정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체결부재(B)를 매개로 완철본체(F)의 하단에 설치된다. 이때, 체결부재(B)는 긴 볼트로서, 완철본체(F)와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완철본체(F)와 케이스(10) 각각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완철본체(F)와 케이스(10)를 상호 고정한다. 여기서, 케이스(10) 내부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판(11)에 의해 드럼설치부(12)와 스프링설치부(13)로 구획된다.
한편, 상기 고정판(11)은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안착홀(h)이 형성된다. 이때, 안착홀(h)은 안쪽을 향해 라운드지는데, 이는 피봇 회전구(20)의 하면이 안착홀(h)에 삽입될 시, 피봇 회전구(20)와 안착홀(h)이 최대한의 면접촉을 하여, 고정판(11)이 피봇 회전구(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피봇 회전구(20)는 하부가 반구형상을 이루며,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21)을 갖추고서, 하면이 케이스(10)의 안착홀(h)에 안착되고, 상면이 드럼설치부(12)로 노출되어, 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관통홀(21)은, 애자본체(30)의 상단과 나사결합되는 체결부(21a)가 하부에 구비되고, 체결부(21a)와 연통된 와이어고정부(21b)가 체결부(21a)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피봇 회전구(20)의 상부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패널형상의 돌부(22)가 구비된다.
상기 애자본체(30)는 절연재질로, 상단에 피봇 회전구(20)가 고정되고, 하단에 고정기구(40)가 연결된다. 이때, 애자본체(30)의 상·하단은 피봇 회전구(20)와 고정기구(40)에 각각 나사결합된다.
상기 고정기구(40)는 바닥면에 점퍼선(J)이 안착되는 홈(g)이 형성된 'ㄷ' 자 형상의 지지부재(41)와, 별도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지지부재(41)에 체결되어 지지부재(41)의 홈(g)에 안착된 점퍼선(J)을 밀착 고정하는 고정부재(42)로 구성되어, 애자본체(30)의 하단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점퍼선(J)은 별도의 애자(A)를 매개로 완철본체(F)에 고정되는, 변전소로부터의 가공전선(L)과 수용가로부터의 가공전선(L)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완철본체(F)의 하방으로 늘어진다.
상기 완충기구(50)는 케이스(10)의 스프링설치부(13)에 설치되어, 애자본체(30)와 이에 고정된 고정기구(40)가 정위치 되도록, 애자본체(30)를 사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프링(S)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S)은 스프링설치부(13)의 면을 따라 4개가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스프링(S)은 일단이 케이스(10)의 스프링설치부(13) 하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스프링고정부재(K)를 매개로 애자본체(30)의 상단에 연결되어, 애자본체(30)를 수평방향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낙하방지기구(60)는 케이스(10)의 드럼설치부(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 되는 드럼(61)과, 드럼(61)을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62)과, 일단이 드럼(61)에 감기고 타단이 피봇 회전구(20)에 고정되는 와이어(6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드럼(61)은 측방으로 돌출된 터치부(61a)가 외면에 구비되어, 회전축(T)을 매개로 케이스(10)의 드럼설치부(12)에 내설되되, 피봇 회전구(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부(61a)는 탄성재질로서, 드럼(61)의 일면에 설치되어, 드럼(61)과 연동하여 회전한다.
상기 토션스프링(62)은 일단이 드럼(61)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축(T)에 고정되어, 드럼(61)을 일방향으로 탄발지지한다.
상기 와이어(63)는 일단이 드럼(61)에 고정되어 감기고, 타단이 피봇 회전구(20)의 와이어고정부(21b)에 고정된다.
상기 제1감지센서(70)는 케이스(10)의 드럼설치부(12)에 내설되어, 드럼(61)의 상부에 배치되며, 드럼(61)의 터치부(61a)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감지센서(70)는 통상의 ON-OFF 스위치로, 드럼(61)의 터치부(61a)와 접촉되면 표시등(90)을 점등시킨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감지센서(70)는 스프링(S)과 대응되도록 4개가 설치된다.
상기 제2감지센서(80)는 케이스(10)의 고정판(11)에 삽입설치되어, 완충기구(50)의 스프링(S)과 상하로 배치되며, 피봇 회전구(20)의 돌부(22)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감지센서(80)는 통상적인 ON-OFF 스위치로, 피봇 회전구(20)의 돌부(22)가 접촉되면 표시등(90)을 점등시킨다.
상기 표시등(90)은, 빛을 발하는 일반적인 등으로서, 완철(F)의 상면에 설치되며, 제1감지센서(70) 및 제2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감지센서(70) 및 제2감지센서(80)에 의해 점멸 작동제어된다. 이때, 표시등(90)은 전주(P) 주위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전주(P)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로서, 도 6 및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와 같은 상태에서, 풍력이 애자본체(30)에 작용하면, 애자본체(30)는 피봇 회전구(20)를 중심으로 바람 방향을 따라 회동하여 도 6과 같이 된다. 이때,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의 스프링(S)은 인장되고 반대편의 스프링(S)은 수축하면서, 각각의 스프링(S)이 상호 작용하여, 애자본체(30) 및 고정기구(40)에 작용하는 풍력이 상쇄된다.
한편, 상기 피봇 회전구(20)가 장기간 사용되다 보면, 피봇 회전구(20)의 회전으로 피봇 회전구(20) 또는 케이스(10)의 안착홀(h)에 마모가 발생해 애자본체(30)가 낙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애자본체(30)가 낙하하면, 도 7과 같이 와이어(63)가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와이어(63)에 의해 드럼(61)이 회전하고, 드럼(61)과 연동하는 터치부(61a)가 제1감지센서(70)와 접촉한다.
이때, 상기 제1감지센서(70)는 드럼(61)의 터치부(61a)를 감지하여, 표시등(90)을 점등시킨다.
또한, 도 8과 같이 강한 바람으로 인해 애자본체(30)가 심하게 흔들리면, 애자본체(30)가 기준이상 흔들리게 되고, 제2감지센서(80)가 기준이상 기울어진 피봇 회전구(20)의 돌부(22)를 감지하여, 표시등(90)을 점등시킨다.
또한, 장기간의 사용으로 상기 완충기구(50)의 스프링(S)이 탄성력을 잃게 되면, 도 8과 같이 스프링(S)이 애자본체(30)을 충분히 탄발지지하지 못해, 애자본체(30)가 기준 이상 회전하게 되고, 제2감지센서(80)가 기준이상 기울어진 피봇 회전구(20)의 돌부(22)를 감지하여, 표시등(90)을 점등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는, 애자본체(30) 및 고정기구(40)를 회전시키면서, 완충기구(50)를 통해 애자본체(30) 및 고정기구(40)에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하여, 고정기구(40)에 고정된 점퍼선(J)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점퍼선(J)이 전주(P)와 접촉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면서도, 응력집중에 의한 점퍼선(J)의 단선을 방지하여, 전력이 각 수용가로 안전하게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피봇 회전구(20)의 장기간 사용으로, 애자본체(30)가 낙하할 위험에 노출되더라도, 낙하방지기구(60)에 의해 애자본체(30)가 낙하하지 않아, 전주(P) 주위를 지나는 통행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등(90)을 통해 애자본체(30)의 흔들림 정도 및 스프링(S)의 결함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의 고정기구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를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 단면도이고,
도 6 내지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의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이다.
-첨부도면이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10; 케이스 20; 피봇 회전구
30; 애자본체 40; 고정기구
50; 완충기구 60; 와이어
70; 제1감지센서 80; 제2감지센서
90; 표시등

Claims (1)

  1. 안착홀(h)을 갖추고서 드럼설치부(12)와 스프링설치부(13)를 구획하는 고정판(11)과, 안착홀(h)과 연통되어 고정판(11) 상부에 배치되는 드럼설치부(12)와, 안착홀(h)과 연통되어 고정판(11) 하부에 배치되는 스프링설치부(13)를 갖추고서, 완철(F)에 고정되는 케이스(10)와;
    측방으로 돌출된 돌부(22)를 갖추고서, 케이스(10)의 안착홀(h)에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피봇 회전구(20)와;
    케이스(10)의 스프링설치부(13)로 삽입되어 피봇 회전구(20)에 고정되는 절연재질의 애자본체(30)와;
    케이스(10) 외부로 노출된 애자본체(30)의 하단에 구비되어, 점퍼선(J)에 맞물려 고정되는 고정기구(40)와;
    케이스(10)의 스프링설치부(13)에 설치되어, 애자본체(30)와 이에 고정된 고정기구(40)가 정위치되도록, 애자본체(30)를 사방으로 탄발지지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스프링(S)으로 구성된 완충기구(50)와;
    탄성재질의 터치부(61a)를 갖추고서 케이스(10)의 드럼설치부(12)에 회전가능하게 내설되는 드럼(61)과, 드럼(61)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62)과, 일단이 드럼(61)에 감기고 타단이 피봇 회전구(20)에 고정되는 와이어(63)로 구성된 낙하방지기구(60)와;
    케이스(10)의 드럼설치부(12)에 내설되어, 드럼(61)의 터치부(61a)와 접촉되 면 이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70)와;
    케이스(10)의 고정판(11)에 설치되며, 피봇 회전구(20)의 돌부(22)와 접촉되면 이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80)와;
    완철본체(F)에 설치되며, 제1감지센서(70) 및 제2감지센서(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감지센서(70) 및 제2감지센서(80)에 의해 점멸 작동제어되는 표시등(9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20080078583A 2008-08-11 2008-08-11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087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83A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08-11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8583A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08-11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746B1 true KR100873746B1 (ko) 2008-12-18

Family

ID=40372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8583A KR100873746B1 (ko) 2008-08-11 2008-08-11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74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10B1 (ko) 2015-07-31 2016-02-25 김기동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626337B1 (ko) 2015-08-14 2016-06-01 임정구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642982B1 (ko) 2016-01-04 2016-07-27 (주)우진이엔지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809227B1 (ko) 2017-03-13 2017-12-14 대한기술단(주)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KR101886368B1 (ko) 2018-04-24 2018-09-10 미래전기기술단(주)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 장치
KR102490270B1 (ko) 2021-12-20 2023-01-20 김호이앤씨(주)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고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53B1 (ko) 2007-11-27 2008-05-07 (주) 나우엔지니어링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0840351B1 (ko) 2008-01-17 2008-06-20 대한기술단(주) 고압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고정장치
KR100841466B1 (ko) 2008-01-10 2008-06-25 (주)소연이엔지 특고압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7753B1 (ko) 2007-11-27 2008-05-07 (주) 나우엔지니어링 전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구조
KR100841466B1 (ko) 2008-01-10 2008-06-25 (주)소연이엔지 특고압전용 가공전선의 지지완철
KR100840351B1 (ko) 2008-01-17 2008-06-20 대한기술단(주) 고압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고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610B1 (ko) 2015-07-31 2016-02-25 김기동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626337B1 (ko) 2015-08-14 2016-06-01 임정구 배전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배전선로 구조
KR101642982B1 (ko) 2016-01-04 2016-07-27 (주)우진이엔지 특고압용 가공 배전선 지지를 위한 배전 플레이트
KR101809227B1 (ko) 2017-03-13 2017-12-14 대한기술단(주)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KR101886368B1 (ko) 2018-04-24 2018-09-10 미래전기기술단(주)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 장치
KR102490270B1 (ko) 2021-12-20 2023-01-20 김호이앤씨(주) 변압기에 연결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고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14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873746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0861795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KR100889042B1 (ko) 배전선로의 지지용 완금
KR10086496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구조
KR102343417B1 (ko) 전주 고정형 가공배전라인용 지지기구
KR101002422B1 (ko)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0865356B1 (ko) 배전선로 지지형 애자
KR101934741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US8876075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medical equipment
KR101809227B1 (ko)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KR102073163B1 (ko) 철탑의 배전선로 설치구조
KR100999492B1 (ko)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KR100907747B1 (ko) 매설 배전선의 누전방지용 절연대
KR100879126B1 (ko) 가공송전선로의 연결구조
US20150176760A1 (en) Hanger System for Suspendible Illuminated Fixtures
KR100943428B1 (ko) 배전선 지지용 절연애자
KR101801158B1 (ko) 송배전용 가공전선의 철탑내 고정구조
KR100882338B1 (ko) 송전용 절연전선 연결식 지지완금 구조
KR100881704B1 (ko) 배전선의 위치확보용 애자 고정식 완철
KR100865763B1 (ko) 송전선의 절연식 지지애자
KR102348864B1 (ko) 피뢰기능을 갖춘 안전형 가공배전용 고정기구
KR100881443B1 (ko)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KR200443787Y1 (ko) 애자용 전력케이블 고정장치
KR101976592B1 (ko) 배전선로의 철탑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