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492B1 -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 Google Patents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492B1
KR100999492B1 KR1020100047834A KR20100047834A KR100999492B1 KR 100999492 B1 KR100999492 B1 KR 100999492B1 KR 1020100047834 A KR1020100047834 A KR 1020100047834A KR 20100047834 A KR20100047834 A KR 20100047834A KR 100999492 B1 KR100999492 B1 KR 10099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main gear
support
distribution line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자
Original Assignee
김동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자 filed Critical 김동자
Priority to KR1020100047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4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4Arrangements or devices for damping mechanical oscillations of lines, e.g. for reducing production of soun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14Supporting insulators
    • H01B17/16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02B13/065Means for detecting or reacting to mechanical or electrical defe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2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mounted on pole, e.g. pole transformer sub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에 관한 것으로, 전주(P)에 설치되며, 전기를 분배하는 배전반(D)이 설치되는 수평부(110); 수평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 수평부(110)에 설치되는 수직바(131)와, 다각형상을 갖추고서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홀(132a)이 형성되며 수직바(131)에 의해 지지되어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패널(132)로 구성된 지지부(130); 지지부(130)에 이웃되게 수평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를 갖춘 완철본체(100),
완철본체(100)의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211)과, 스크류축(2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체(212)와, 지지체(2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213)를 구비한 애자지지부(210); 상방으로 개구된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패널형상의 체결부(221a)가 구비되어 회동체(2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애자부본체(221)와, 하방으로 개구된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패널형상의 체결부(222a)가 구비되어 애자부본체(22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애자부커버(22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애자부(220); 스크류축(211)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홀(231)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둘레면이 다각형상을 이뤄 수평패널(132)의 가이드홀(132a)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스크류축(211)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여 회동체(213)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부(230)를 갖춘 전선고정장치(200),
지지부(130)의 수평패널(132) 및 애자부본체(221)의 체결부(221a)에 설치되는 두 개 이상의 스프링수용부(310)와, 스프링수용부(310)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320)를 갖추고서, 전선고정장치(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장치(300),
애자부(220)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이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400),
완철본체(100)에 설치되며, 배전반(D)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크류축(211)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장치(500),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711)이 형성되며, 관통홀(711)의 둘레면이 스프링수용부(310)의 외면과 맞대어지도록 지지부(130)의 수평패널(132)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종동치차(710);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종동치차(710)를 회전시키는 주동치차(720);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설치되며, 배전반(D)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주동치차(720)를 회전시키는 주동치차구동장치(730);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종동치차(7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선고정장치(200)로의 조류 접근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돌출부(740)를 갖춘 조류퇴치장치(700),
압력감지센서(4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크류구동장치(500)를 작동제어하며, 입력유닛(800)의 입력신호에 따라 주동치차구동장치(73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600),
제어유닛(600)을 작동제어하는 입력유닛(800),
소화분말을 수용하며, 완철본체(100)의 수평패널(132) 및 조류퇴치장치(700)의 주동치차(72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화염에 의해 연소될 시 소화분말을 분출하는 가연성 재질의 다수의 소화기구(900)를 포함하여,
구성부품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전선고정장치로 조류의 접근을 막아 전선고정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가공배전선의 유동각을 넓혀줌과 동시에 가공배전선에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써, 강한 바람 등에 의해 가공배전선에 허용치 이상의 장력이 작용할 시, 이를 적절하게 완충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Overhead Line Fixing Rack}
본 발명은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에는 완철이 설치되고, 완철에 설치된 애자에 의해 가공배전선이 지지된다.
이때 상기 완철에는 여러가지 부품 등이 설치된다.
하지만 상기 부품은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된 화재는 가공전선에 치명적인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가공전선으로부터 전기가 누전되어 인명피해가 발생하거나, 수용가로의 전력공급이 차단되어 많은 불편함이 초래되었다.
또한 상기 완철에는 조류 등이 쉽게 접근할 수 있어, 완철에 설치되는 부품 또는 가공전선이 조류에 의해 쉽게 손상되어, 부품 및 가공전선의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또한 상기 가공배전선은 애자에 놓여진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기구에 의해 애자에 고정되어, 애자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가공배전선이 애자에 고정되는 경우, 바람에 의해 가공배전선에 흔들릴 시, 가공배전선이 고정된 단부에 응력이 집중하면서, 단선될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발명된 것으로,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조류의 접근을 막을 수 있으며, 가공배전선을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가공배전선의 단선을 방지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려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에 설치되며, 전기를 분배하는 배전반이 설치되는 수평부; 수평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 수평부에 설치되는 수직바와, 다각형상을 갖추고서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수직바에 의해 지지되어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패널로 구성된 지지부; 지지부에 이웃되게 수평부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를 갖춘 완철본체,
완철본체의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과, 스크류축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체와, 지지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를 구비한 애자지지부; 상방으로 개구된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패널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되어 회동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애자부본체와, 하방으로 개구된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패널형상의 체결부가 구비되어 애자부본체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애자부커버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애자부; 스크류축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홀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둘레면이 다각형상을 이뤄 수평패널의 가이드홀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스크류축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여 회동체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부를 갖춘 전선고정장치,
지지부의 수평패널 및 애자부본체의 체결부에 설치되는 두 개 이상의 스프링수용부와, 스프링수용부에 양단이 각각 설치되는 스프링를 갖추고서, 전선고정장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장치,
애자부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이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
완철본체에 설치되며, 배전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크류축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장치,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의 둘레면이 스프링수용부의 외면과 맞대어지도록 지지부의 수평패널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종동치차;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종동치차를 회전시키는 주동치차;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에 설치되며, 배전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주동치차를 회전시키는 주동치차구동장치;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종동치차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선고정장치로의 조류 접근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돌출부를 갖춘 조류퇴치장치,
압력감지센서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크류구동장치를 작동제어하며, 입력유닛의 입력신호에 따라 주동치차구동장치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
제어유닛을 작동제어하는 입력유닛,
소화분말을 수용하며, 완철본체의 수평패널 및 조류퇴치장치의 주동치차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화염에 의해 연소될 시 소화분말을 분출하는 가연성 재질의 다수의 소화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구성부품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전선고정장치로 조류의 접근을 막아 전선고정장치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가공배전선의 유동각을 넓혀줌과 동시에 가공배전선에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써, 강한 바람 등에 의해 가공배전선에 허용치 이상의 장력이 작용할 시, 이를 적절하게 완충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이 전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자지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이 전주에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을 나타낸 부분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애자지지부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 간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은 완철본체(100), 전선고정장치(200), 완충장치(300), 압력감지센서(400), 스크류구동장치(500), 조류퇴치장치(700), 제어유닛(600), 입력유닛(800) 및, 소화기구(900)를 포함한다.
상기 완철본체(100)는 전주(P)에 설치되는 수평부(110)와, 수평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박스 형상의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와, 수평부(110)에 설치되는 지지부(130)와, 지지부(130)와 이웃되게 설치되는 박스 형상의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를 갖춘다.
상기 지지부(130)는 수직바(131)와 수평패널(132)를 갖추고서, 전선고정장치(200)를 지지한다.
상기 수직바(131)는 완철본체(100)의 수평부(110)에 상방으로 입설되며, 수평패널(132)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패널(132)은 양단부가 수직바(131)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직바(131)에 의해 지지된다. 이때 수평패널(132)은 중앙부에 내면이 다각 형상을 이루는 가이드홀(132a)이 형성된다.
상기 전선고정장치(200)는 애자지지부(210), 애자부(220) 및, 고정부(230)를 갖추고서, 가공배전선(L)을 고정한다.
상기 애자지지부(210)는 스크류축(211), 지지체(212), 회동체(213), 회동축(214)을 갖추고서, 가공배전선(L)의 회동을 제한 및 해제한다.
상기 스크류축(211)은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완철본체(100)의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스크류축(211)의 상부에는 지지체삽입홈(211a)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212)는 삽입부(212a)과 연결부(212b)를 갖추고서, 애자부(220)를 지지한다.
상기 삽입부(212a)는 원기둥형상을 가지며, 스크류축(211)의 지지체삽입홈(211a)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지지체(212)는 스크류축(211)가 회전하더라도 스크류축(211)을 따라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연결부(212b)는 바 형상을 가지며, 삽입부(212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회동체(213)는 바 형상으로 회동축(214)을 매개로 지지체(21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체(213)가 상호 대향되도록 한 쌍을 이룬다.
상기 애자부(220)는 절연재질인 애자부본체(221)와 애자부커버(222)를 갖추고서, 가공배전선(L)을 안정적으로 고정한다.
상기 애자부본체(221)는 상방으로 개구된 반원통형상을 가지고,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패널형상의 체결부(221a)가 구비되며, 하부가 회동체(213)의 상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애자부본체(221)은 가공배전선(L)을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애자부커버(222)는 하방으로 개구된 반원통형상을 가지고,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패널형상의 체결부(222a)가 구비되어, 애자부본체(221)와 맞대어진다. 이때 애자부커버(222)와 애자부본체(221)의 체결부(221a,222a)가 상호 맞대어진 상태에서 체결부재(B)가 체결부(221a,222a)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애자부커버(222)와 애자부본체(221)이 상호 결합된다.
상기 고정부(230)는 둘레면이 다각을 이루며, 내부에 상하로 관통되어 애자지지부(221)의 스크류축(221)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홀(231)이 형성되어, 수평패널(132)의 가이드홀(132a)에 삽입된다. 이때 고정부는 둘레면이 다각으로 이루어져, 스크류축(221)이 회전할 시 스크류축(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직선왕복이동을 한다. 또한 고정부(230)는 상단이 애자지지부(210)의 회동축(221)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애자지지부(210)의 회동체(213)의 회동을 제한한다.
상기 완충장치(300)는 스프링수용부(310)와 스프링(320)을 갖춘다.
상기 스프링수용부(310)는 상방으로 개구된 형상을 가지며, 다수개의 스프링수용부(310)가 수평패널(132)의 상부 및 애자부본체(221)의 체결부(221a) 하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각각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320)은, 일단이 수평패널(132)에 설치된 스프링수용부(310)에 삽입고정되고, 타단이 애자부본체(221)의 체결부(221a)에 설치된 스프링수용부(310)에 삽입고정되어, 애자부(220)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한다. 이때 완충장치(300)는 애자지지부(210)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되어 애자부(220)가 수평을 이루면서 탄발지지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장치(300)로 스프링을 사용하였지만 일정한 탄성을 가지고서 애자부(220)를 상방으로 탄발지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완충장치(300)는 가공배전선(L)의 하중을 충분히 견디면서 완충작용을 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지지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감지센서(400)는 애자부(220)의 애자부본체(221) 또는 애자부커버(221)의 내면에 설치되어, 애자부(220)에 수용되는 가공배전선(L)이 애자부(220)의 내면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압전소자를 이용한 압력감지센서(400)를 사용하지만, 가공배전선(L)이 애자부(220)의 내면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구동장치(500)는 완철본체(100)의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에 설치되어 애자지지부(210)의 스크류축(21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스크류구동장치(500)는 완철본체(100)의 수평부(110)에 설치된 배전반(D)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스크류구동장치(500)로 모터를 사용하지만, 스크류축(211)을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조류퇴치장치(700)는 종동치차(710), 주동치차(720), 주동치차구동장치(730) 및, 돌출부(740)을 갖춘다.
상기 종동치차(710)는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711)이 형성되어, 수평패널(132)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관통홀(711)을 이루는 면이 스프링수용부(310)의 외면과 맞닿아, 종동치차(710)이 회전가능해진다.
상기 주동치차(720)는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치차가 종동치차(710)의 치차와 맞물려 종동치차(710)가 회전하도록 한다. 이때 주동치차(720)의 하부에는 돌기(721)가 형성되어, 주동치차(720)가 돌기(721)를 매개로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주동치차구동장치(730)는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내설되어 돌기(721)를 매개로 주동치차(720)을 회전시킨다. 이때 주동치차구동장치(730)는 배전반(D)으로부터 전력공급을 받는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주동치차구동장치(730)로 모터를 사용하지만, 주동치차(7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740)는 종동치차(7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돌출된다. 또한 돌출부(740)는 탄성재질을 가지며, 다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부(740)는, 종동치차(710)가 회전할 시 전선고정장치(200)에 간섭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유닛(600)은 압력감지센서(400), 스크류구동장치(500) 및, 주동치차구동장치(730)를 작동제어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600)은 압력감지센서(4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크류구동장치(500)를 구동시킨다. 즉 제어유닛(600)은 압력감지센서(400)로부터 가공배전선(L)이 기준값 이상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크류구동장치(500)를 구동시켜, 고정부(230)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가공배전선(L)의 흔들림이 정상으로 복귀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스크류구동장치(500)를 구동시켜, 고정부(230)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600)은 입력유닛(800)의 입력신호에 따라 주동치차구동장치(730)을 작동제어한다. 즉 제어유닛(600)은 입력유닛(800)에 의해 일정시간 마다 주동치차구동장치(730)를 구동시키라는 신호가 설정되면, 입력된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주동치차구동장치(730)을 구동시킨다. 이때 제어유닛(600)은 주동치차구동장치(730)의 구동축이 일정각을 회전하고, 이후 역방향으로 일정각 만큼 회전하는 것을 반복하도록 주동치차구동장치(730)을 작동제어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유닛(600)이 완철본체(100)의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설치되지만, 제어유닛(600)의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유닛(800)은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설치되어 제어유닛(600)을 작동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유닛(800)이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설치되었지만, 입력유닛(800)의 설치위치는 필요에 따라 여러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소화기구(900)는 상부에 상방으로 돌출된 체결부(910)가 구비되어, 체결부(910)를 매개로 지지부(130)의 수평패널(132) 및 종동치차(71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된다. 이때 소화기구(900)는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소화분말이 수용된다. 따라서 소화기구(900)에 화염이 접근할 시, 소화기구(900)가 연소되면서 찢어져, 내부에 수용된 소화분말이 화염으로 분출된다. 한편, 소화분말이 원거리까지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 소화기구 내부는 일정의 고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화기구는(900)는 다수 개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는 화재가 발생한 지점만 소화하고, 사용된 소화기구(900)만 분리 교환함으로써, 소화기구(900)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소화분말은 소화기 등에 사용되는 통상의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의 작용을 나타낸 작용도로서, 도 7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을 전주(P)에 설치한다. 이때 전선고정장치(200)의 고정부(230)는 상단이 애자지지부(210)의 회동축(214) 보다 상부에 배치되어 회동체(213)가 자유롭게 회동하지 못하도록 제한한다. 즉 애자지지부(210)의 회동체(213) 및 회동축(214)가 고정부(230)에 삽입되어, 회동체(213)가 회동축(214)을 매개로 회동할 시, 회동체(213)가 고정부(230)의 내면에 맞닿으면서 회동각이 제한된다. 또한 상기 조류퇴치장치(700)의 돌출부(740)는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 7과 같이 애자부(220)의 애자부본체(221)로부터 애자부커버(222)를 분리하고, 가공배전선(L)을 애자부본체(221)의 내부에 안착시킨 후, 애자부본체(221)에 애자부커버(222)를 결합함으로써, 도 8과 같이 가공배전선(L)을 애자부(22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압력감지센서(400)는 가공배전선(L)에 의해 눌려지면서 일정압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유닛(600)으로 출력한다.
이후, 상기 관리자는 입력유닛(800)을 매개로 일정시간마다 주동치차구동장치(730)을 구동하도록 제어유닛(600)을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600)에 의해 주동치차구동장치(730)가 구동되면, 주동치차(720)이 회전하고, 종동치차(710)가 주동치차(720)과 연동하여 회전하며, 조류퇴치장치(700)의 돌출부(740)가 주동치차(720)를 따라 회전하여, 도 9와 같이 돌출부(740)의 위치가 변한다. 이때 제어유닛(600)은 주동치차(720)이 일정각 회전한 후 역방향으로 일정각 회전하는 것을 반복할 수 있도록 주동치차구동장치(730)을 작동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조류가 전선고정장치(200)에 접근하려고 하면, 돌출부(740)의 이동에 의해 조류가 놀람으로써, 전선고정장치(200)로 조류의 접근이 쉽지 않다. 따라서 전선고정장치(200)가 조류에 의해 고장 나거나 새집이 지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가공배전선(L)이 설치된 상태에서, 바람이 불면, 애자부(220)에 고정된 가공배전선(L)이 흔들리면서, 가공배전선(L)은 애자부(220)의 내면을 가압함과 동시에 압력감지센서(400)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압력감지센서(400)는 가공배전선(L)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유닛(600)에 감지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600)은 애자부(220)의 내면에 가해지는 압력을 판독하여, 가공배전선(L)의 흔들림 정도를 판단한다.
한편, 상기 가공배전선(L)이 강한 바람에 의해 허용치 이상 흔들리게 되고, 이러한 흔들림이 지속될 경우 가공배전선(L)이 단선될 위험이 있다.
이때, 상기 가공배전선(L)이 허용치 이상 흔들리면, 압력감지센서(400)는 가공배전선(L)으로부터 기준값 이상의 압력을 받고, 이를 감지한 압력감지센서(400)는 제어유닛(600)으로 가공배전선(L)이 허용치 이상 흔들리고 있다는 신호를 출력하며, 이를 수신한 제어유닛(600)은 스크류구동장치(500)를 구동시켜 애자지지부(210)의 스크류축(211)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전선고정장치(200)의 고정부(230)가 스크류축(211)의 길이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고정부(230)의 상단이 애자지지부(210)의 회동축(214)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면서, 도 10과 같이 애지지지부(210)의 회동체(213)의 회동반경이 커진다.
상기와 같이 회동체(213)의 회동반경이 커지면, 회동체(213)는 도 11과 같이 흔들리고, 이때 완충장치(300)는 흔들리는 애자부(220)를 탄발지지하면서 완충시킨다.
따라서, 상기 가공배전선(L)은, 강한 바람에 의해 흔들리면서 발생한 장력이 가공배전선(L)의 단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아, 가공배전선(L)을 통한 전력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류퇴치장치(700)의 돌출부(74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전선고정장치(200)의 회동을 간섭하지 않는다.
이후, 상기 바람이 잦아들어 가공배전선(L)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 압력감지센서(400)에 작용하는 압력이 기준값 이하로 떨어지면, 압력감지센서(400)는 이에 따른 신호를 제어유닛(600)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신호를 수신한 제어유닛(600)이 스크류구동장치(500)를 구동시키면, 스크류축(211)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부(230)가 상부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여, 도 1과 같이 된다.
한편, 상기 스크류구동장치(500) 또는 주동치차구동장치(730)에 과부하가 걸려 화재가 발생하면, 각각의 구성 부품에 화재로 인해 훼손을 입게된다.
하지만, 예를 들어 도 12과 같이 상기 주동치차구동장치(730)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주동치차구동장치(730)에서 발생한 화염이 주동치차구동장치(730)의 상부에 위치한 소화기구(900)을 연소한다. 이때, 상기 소화기구(900)의 하부가 개방되어, 소화기구(900)의 내부에 수용된 소화분말이 하방으로 분출된다. 따라서, 소화분말에 의해 화염이 소화되어, 화재가 조기에 진압된다.
한편, 상기 소화기구(900)는 화재가 발생한 지점만 작동하도록 되어 있어, 도 13와 같이 화염에 의해 손상된 소화기구(900)만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소화기구(900)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공배전선 고정 랙은, 구성부품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시, 이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으며, 전선고정장치로 조류의 접근을 막아 전선고정장치(200)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하고, 가공배전선(L)의 유동각을 넓혀줌과 동시에 가공배전선(L)에 완충력을 제공함으로써, 강한 바람 등에 의해 가공배전선(L)에 허용치 이상의 장력이 작용할 시, 이를 적절하게 완충할 수 있어, 가공배전선(L)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100; 완철본체 200; 전선고정장치
210; 애자지지부 220; 애자부
230; 고정부 300; 완충장치
400; 압력감지센서 500; 스크류구동장치
600; 제어유닛 700; 조류퇴치장치
800; 입력유닛 900; 소화기구

Claims (1)

  1. 전주(P)에 설치되며, 전기를 분배하는 배전반(D)이 설치되는 수평부(110); 수평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 수평부(110)에 설치되는 수직바(131)와, 다각형상을 갖추고서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홀(132a)이 형성되며 수직바(131)에 의해 지지되어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수평패널(132)로 구성된 지지부(130); 지지부(130)에 이웃되게 수평부(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를 갖춘 완철본체(100),
    완철본체(100)의 스크류구동장치설치부(1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축(211)과, 스크류축(211)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지지체(212)와, 지지체(212)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체(213)를 구비한 애자지지부(210); 상방으로 개구된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에 패널형상의 체결부(221a)가 구비되어 회동체(213)의 상부에 설치되는 애자부본체(221)와, 하방으로 개구된 반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양단에 패널형상의 체결부(222a)가 구비되어 애자부본체(221)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애자부커버(22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애자부(220); 스크류축(211)과 나사결합되는 나사홀(231)이 상하로 관통형성되고, 둘레면이 다각형상을 이뤄 수평패널(132)의 가이드홀(132a)에 승강가능하게 삽입되어, 스크류축(211)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여 회동체(213)의 회동을 제한하는 고정부(230)를 갖춘 전선고정장치(200),
    지지부(130)의 수평패널(132)의 상부 및 애자부본체(221)의 체결부(221a) 하부에 상호 대향되도록 설치되는 두 개 이상의 스프링수용부(310)와, 대향되는 스프링수용부(310) 간에 설치되는 스프링(320)를 갖추고서, 전선고정장치(200)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충하는 완충장치(300),
    애자부(220)에 설치되어, 가공배전선이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400),
    완철본체(100)에 설치되며, 배전반(D)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스크류축(211)를 회전시키는 스크류구동장치(500),
    중심부에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711)이 형성되며, 관통홀(711)의 둘레면이 스프링수용부(310)의 외면과 맞대어지도록 지지부(130)의 수평패널(132)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종동치차(710);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종동치차(710)를 회전시키는 주동치차(720); 주동치차구동장치설치부(140)에 설치되며, 배전반(D)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주동치차(720)를 회전시키는 주동치차구동장치(730);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종동치차(7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전선고정장치(200)로의 조류 접근을 방지하는 탄성재질의 돌출부(740)를 갖춘 조류퇴치장치(700),
    압력감지센서(400)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스크류구동장치(500)를 작동제어하며, 입력유닛(800)의 입력신호에 따라 주동치차구동장치(730)를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600),
    제어유닛(600)을 작동제어하는 입력유닛(800),
    소화분말을 수용하며, 완철본체(100)의 수평패널(132) 및 조류퇴치장치(700)의 주동치차(72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결합되어, 화염에 의해 연소될 시 소화분말을 분출하는 가연성 재질의 다수의 소화기구(9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KR1020100047834A 2010-05-24 2010-05-24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KR10099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34A KR100999492B1 (ko) 2010-05-24 2010-05-24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34A KR100999492B1 (ko) 2010-05-24 2010-05-24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9492B1 true KR100999492B1 (ko) 2010-12-09

Family

ID=43512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834A KR100999492B1 (ko) 2010-05-24 2010-05-24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49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755B1 (ko) 2012-05-17 2012-10-16 (주)한빛기술단 배전선로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344927B1 (ko) 2013-08-23 2013-12-27 주식회사 대아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KR101348319B1 (ko) 2013-08-22 2014-01-07 (주)에스케이이에스그룹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KR101840033B1 (ko) * 2017-12-15 2018-03-19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
CN112447343A (zh) * 2020-11-20 2021-03-05 江西红星瓷业有限公司 一种带有驱鸟装置的电瓷瓷绝缘子
KR102233766B1 (ko) * 2020-09-29 2021-03-31 (주)대광 배전선로의 전주 낙뢰방지 시스템
KR20220153296A (ko) * 2021-05-11 2022-11-18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33B1 (ko) 2007-12-13 2008-03-06 송인자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KR100867214B1 (ko) 2008-08-11 2008-11-06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940521B1 (ko) 2009-08-19 2010-02-10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송전선로 연결용 점퍼선 고정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033B1 (ko) 2007-12-13 2008-03-06 송인자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KR100867214B1 (ko) 2008-08-11 2008-11-06 주식회사 유진전기감리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0940521B1 (ko) 2009-08-19 2010-02-10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송전선로 연결용 점퍼선 고정대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755B1 (ko) 2012-05-17 2012-10-16 (주)한빛기술단 배전선로 위치조절용 전신주
KR101348319B1 (ko) 2013-08-22 2014-01-07 (주)에스케이이에스그룹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KR101344927B1 (ko) 2013-08-23 2013-12-27 주식회사 대아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KR101840033B1 (ko) * 2017-12-15 2018-03-19 상진기술엔지니어링(주) 배전선로의 자동화 시스템
KR102233766B1 (ko) * 2020-09-29 2021-03-31 (주)대광 배전선로의 전주 낙뢰방지 시스템
CN112447343A (zh) * 2020-11-20 2021-03-05 江西红星瓷业有限公司 一种带有驱鸟装置的电瓷瓷绝缘子
KR20230029732A (ko) * 2021-05-11 2023-03-03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502728B1 (ko) 2021-05-11 2023-02-23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20220153296A (ko) * 2021-05-11 2022-11-18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20230029733A (ko) * 2021-05-11 2023-03-03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20230029731A (ko) * 2021-05-11 2023-03-03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20230029730A (ko) * 2021-05-11 2023-03-03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507995B1 (ko) 2021-05-11 2023-03-10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507997B1 (ko) 2021-05-11 2023-03-10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507996B1 (ko) 2021-05-11 2023-03-10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507994B1 (ko) 2021-05-11 2023-03-10 한국전력공사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9492B1 (ko)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KR101002422B1 (ko) 가공 배전선의 장력조절을 위한 애자고정식 완철
KR100867214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KR101934741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KR101194832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CN205882449U (zh) 一种具有驱鸟和灭火功能的配电柜
KR100861795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KR100873746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1809227B1 (ko)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KR20160126260A (ko) 내진구조를 갖는 배전함
KR102588618B1 (ko) 낙뢰 회피용 안전형 가공배전선 지지기구
EP3608284B1 (en) Winch
KR101000031B1 (ko) 가공전선 배전용 배전반 지지완철
KR102195835B1 (ko) 검출기를 기반으로 한 누설 전류의 실시간 감시 및 위치 정보의 실시간 식별이 허용되는 높이 조절형 내진 구조물
CN113066677A (zh) 一种家用自动化控制设备的保护装置过载智能测试系统
KR100881443B1 (ko) 전주 연결형 가공선로 연결구조
KR100882338B1 (ko) 송전용 절연전선 연결식 지지완금 구조
KR100918689B1 (ko) 지중매설형 배전 전선 스토퍼
JP3198442U (ja) 配電用ブレーカーの通電遮断装置
CN202404995U (zh) 一种电线电缆设备断线自动停机控制装置
RU5810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слабины тяговых канатов лифта
KR102452093B1 (ko) 가공송전선로의 처짐방지장치
KR100960154B1 (ko)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JP3234813U (ja) 感震ブレーカー
CN102227056B (zh) 一种低压负荷开关箱的抽屉联锁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