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927B1 -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927B1
KR101344927B1 KR1020130100402A KR20130100402A KR101344927B1 KR 101344927 B1 KR101344927 B1 KR 101344927B1 KR 1020130100402 A KR1020130100402 A KR 1020130100402A KR 20130100402 A KR20130100402 A KR 20130100402A KR 101344927 B1 KR101344927 B1 KR 101344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line
unit
bracket
insula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우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아
Priority to KR102013010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12Special features of strain ins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02G7/056Dead-end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20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energy storage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의 절연 커버 유닛에 태양광 에너지로 구동되는 장력조절수단이 구비되어 배전선로의 장력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전선로의 전기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전선로의 장력조절에 소모되는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tension control type distribution line fixing assembly using sun ligh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의 장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되는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고압의 전력으로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배전선로를 이용하여 각 지역으로 공급하게 되는 배전과정을 거치게 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이때,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공급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전주를 통해 공급하고, 각 전주에서의 배전선로의 연결은 완철과 같은 고정대의 하방으로 늘어진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배전선로 고정대의 일 예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80465호(2012년08월31일자 등록, 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함)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선로 고정대(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를 갖추고서 전주(5)에 설치되는 완철(7)과, 완철(7)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설플레이트(9)와, 가설플레이트(9) 상에 설치되는 절연애자(10)를 포함한다.
한편, 배전선로(L)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질로 되어서 외부 온도에 따른 팽창과 수축이 빈번하고, 이로 인한 배전선로(L)의 큰 길이변화로 인해 이웃하는 전주들 사이에서 늘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선로 고정대에 의하면 이러한 배전선로의 늘어짐으로 인하여 배전선로 아래를 통과하는 사람이 감전되는 등의 안전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배전선로에 장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경우엔 배전선로의 길이가 영구적으로 늘어나면서 상대적으로 그 단면적이 축소되어 전기저항이 증가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선로 고정대는 이러한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력 조절 수단을 갖추더라도 여기에 별도의 에너지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1180465호(2012년08월31일자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전선로의 전기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에너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는:
전주에 설치되는 고정대 본체;
상기 고정대 본체에 착탈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설플레이트;
상기 가설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
상기 애자 본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애자 본체의 상부로 안착되는 배전선로를 지지하는 브래킷;
상기 애자 본체와 상기 브래킷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에 의해 지지되는 배전선로가 관통되게 케이블 관통구가 형성되며, 단면상으로는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상하 표면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으로 이루어지고, 외관상으로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을 감싸는 브래킷 커버와 상기 브래킷 커버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애자 본체를 감싸는 애자 커버로 구성되며, 상기 애자 커버에는 상기 케이블 관통구를 통해 관통하는 배전선로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브래킷 커버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장력조절 링을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장력조절 구동부가 적어도 상기 케이블 관통구의 입구와 출구 측 방향으로 구비된 절연 커버 유닛;
상기 브래킷 커버에 구비되어 상기 절연 커버 유닛이 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기울어질 경우 상기 브래킷에 구비된 센서 접촉부의 가압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를 갖는 변위 감지부;
상기 브래킷 커버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변위 감지부에서 상기 배전선로의 늘어짐이 감지되면 이를 경고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알람부;
상기 변위 감지부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절연 커버 유닛의 기울어짐이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배전선로가 다시 수평으로 되도록 상기 케이블 관통구의 입구 및 출구 측의 장력조절 구동부 중 어느 일측이 선택적으로 승강되게 상기 장력조절 구동부를 제어하고, 상기 알람부에서는 경고 신호가 발생 되도록 상기 알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축전지; 및
상기 축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을 하도록 구비된 태양 전지판;
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커버 유닛이 상기 애자 본체와 접촉되는 상기 애자 커버의 상부 내 측면에는 반데르발스 접착부가 마련되며,
상기 절연 커버 유닛의 하단에는 하부에서 바라볼 때에 방사상으로 절개된 프린지 형태의 애자 결속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선로의 장력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배전선로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전선로의 전기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전선로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배전선로 고정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연 커버 유닛이 애자 본체 및 브래킷을 감싸도록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절연 커버 유닛의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배전선로의 늘어짐 등으로 절연 커버 유닛이 정 위치로부터 벗어날 경우 알람부가 이를 외부로 알려주는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의 제어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의 제어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1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와 같은 지지체(105)를 갖추고서 전주(101)에 설치되는 고정대 본체(110)와, 고정대 본체(110)에 착탈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설플레이트(111)와, 가설플레이트(111)의 상부에 설치된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120)와, 애자 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애자 본체(120)의 상부로 안착되는 배전선로(L)를 지지하는 브래킷(130)과, 애자 본체(120) 및 브래킷(130)을 감싸도록 구비된 절연 커버 유닛(200)과, 변위 감지부(300)와, 알람부(400)와, 제어부(500)와, 축전지(600)와, 태양 전지판(70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절연 커버 유닛(200)에 의해 애자 본체(120)의 절연 효율을 더욱 높이고, 절연 커버 유닛(200)이 애자 본체(120) 및 브래킷(130)을 보호하는 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벗겨지기 전에 이를 관리자가 쉽게 인지하여 필요한 조치를 미리 취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100)의 애자 본체(120)와 브래킷(130)은 하나의 절연 애자를 구성한다.
애자 본체(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철과 같은 고정대 본체(110) 상에 설치되어 고정대 본체(110)와 배전선로(L)가 전기적으로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위에서 내려다 볼 때에는 원형을 이루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길이방향으로는 볼록하게 튀어나온 볼록부(121)와, 오목하게 들어간 오목부(123)를 갖도록 마련된다.
브래킷(130)은 애자 본체(120)의 상부로 안착되는 배전선로(L)가 수용되어 설치될 수 있게 일측이 타측에 대해 회동 개방 가능한 구조로 마련되고, 배전선로(L)가 수용된 이후에는 일측이 걸림수단 등에 의해 폐쇄되는 구조로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30)의 상부 중간에는 변위 감지부(300)의 후술할 압전소자(320)가 사이에 설치될 수 있게 상호 이격 되게 구비된 한 쌍의 작은 플레이트(plate)로 센서 접촉부(131)가 마련된다.
절연 커버 유닛(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130)에 의해 지지되는 배전선로(L)가 용이하게 관통되게 케이블 관통구(201)가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상으로는 절연층(210)과 절연층(210)의 상하 표면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220)으로 이루어지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상으로는 상부에 구비되어 브래킷(130)을 감싸는 브래킷 커버(230)와, 브래킷 커버(2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애자 본체(120)를 감싸는 애자 커버(240)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절연층(210)과 전자파 차폐층(220)으로 이루어진 절연 커버 유닛(200)에 의해 배전선로(L)에서 발생 되는 전자파를 효과적으로 차폐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근접된 거리에 위치한 사람에게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고, 애자 본체(120)의 절연이 일부 파괴되더라도 코로나로부터 애자 본체(120)를 보호함으로써 애자 본체(120)의 전체적인 파손은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전자파 차폐층(220)은 절연층(210)으로 된 절연 커버 유닛(200)의 외측면과 내측면에 아연용사, 도금, 도전성 도료의 도포 등의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브래킷 커버(230)는 브래킷(130)을 감싸도록 하부가 개방된 대략 원통의 형상으로 마련되고, 애자 커버(240)는 애자 본체(120)에서 최상부에 있는 볼록부(121) 정도를 감쌀 수 있도록 상부와 하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며, 브래킷 커버(230)와 애자 커버(240)는 일체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커버 유닛(200)이 애자 본체(120)와 접촉되는 애자 커버(240)의 상부 내 측면에는 반데르발스 접착부(241)가 마련된다.
반데르발스 접착부(241)는 절연 커버 유닛(200)과 애자 본체(120) 사이에 강력한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접착력이 작용하도록 길이 대략 10 μm, 직경 대략 5 μm 정도로 탄소나노공정 처리된 복수의 강모(剛毛)들로 애자 커버(240)의 상부 내 측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절연 커버 유닛(200)이 애자 본체(120)와 브래킷(130)을 감싸도록 덮게 되면, 절연 커버 유닛(200)의 애자 커버(240)의 상부 내 측면에 마련된 반데르발스 접착부(241)와 애자 본체(120)의 상부면 사이에 반데르발스 접착력이 강하게 작용 되어 절연 커버 유닛(200)의 브래킷 커버(230)의 상부면 중심이 수직선상으로 애자 본체(120)의 중심과 만나는 정 위치(도 4 참고)로부터 절연 커버 유닛(200)이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커버 유닛(200)의 하단에는 하부에서 바라볼 때에 방사상으로 절개된 프린지(fringe) 형태의 애자 결속부(243)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절연 커버 유닛(200)으로 애자 본체(120)와 브래킷(130)을 감싸도록 애자 본체(120)와 브래킷(130)을 덮을 때에 애자 커버(240)의 하단부는 처음에 애자 본체(120)의 볼록부(121)와 접촉되며 각각의 애자 결속부(243)들의 틈들에 의해 벌어지게 되지만 이내 애자 커버(240)의 하단부가 애자 본체(120)의 오목부(123)로 들어서게 되면 애자 커버(240)의 하단부는 탄성적으로 오므라져 애자 본체(120)를 밀착 파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 커버 유닛(200)의 애자 커버(240)에는 케이블 관통구(201)를 통해 관통하는 배전선로(L)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브래킷 커버(23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장력조절 링(245)을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장력조절 구동부(247)가 적어도 케이블 관통구(201)의 입구와 출구 측 방향으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 본체(120)의 상부에 안착되어 브래킷(130)에 의해 지지되는 배전선로(L)가 외부 온도에 따른 팽창과 수축 등으로 인해 늘어짐이 발생되면 배전선로(L)가 기울어져 배전선로(L) 하부의 장력조절 링(245)이 좌우 중 어느 한 편으로 기울어지게 될 때에 좌우로 기울어진 장력조절 링(245)이 다시 수평으로 되어 배전선로(L)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복수의 장력조절 구동부(247)들 중 케이블 관통구(201)의 입구 및 출구 측 중 어느 일측의 장력조절 구동부(247)의 승강 축을 상승시키기 위해 이를 후술할 변위 감지부(300)에서 감지하여 제어부(500)가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장력조절 구동부(247)는 스테핑 모터(stepping motor)와 스테핑 모터에 연계된 승강 축으로 구성되고, 장력조절 링(245)은 장력조절 구동부(247)의 승강 축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과 동시에 장력조절 링(245)은 좌우가 상호 착탈 방식으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마련된 것(도 3 참고)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L)를 지지하는 애자 본체(120) 및 브래킷(130)을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커버 유닛(200)으로 덮어씌운 후에 장력조절 링(245)이 배전선로(L)의 하부에 배치되게 하여 장력조절 구동부(247)의 상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변위 감지부(3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커버(230)의 상부면 중심에 고정된 고정부(310)와, 고정부(310)에 의해 브래킷 커버(230)에 고정되어 절연 커버 유닛(200)이 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기울어질 경우 브래킷(130)에 구비된 센서 접촉부(131)의 가압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320)와, 고정부(310) 및 압전소자(320) 사이를 연결하도록 브래킷 커버(230)의 내부에서 일측이 고정부(310)에 연결되고 타측이 압전소자(320)까지 하향 연장되어 압전소자(320)에 연결된 연결로드(33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L)의 늘어짐 등으로 인해 절연 커버 유닛(200)이 애자 본체(120)의 상부면으로부터 미끄러져 정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브래킷 커버(230)에 고정되게 연결되어 센서 접촉부(131) 사이에 설치되어 있던 압전소자(320)가 센서 접촉부(131)에 의해 가압되어 전기를 발생시켜 감지신호가 제어부(50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압전소자(320)는 결정에 압력이 가해질 때에 전기 분극에 의해서 전압이 발생되는 피에조 효과(Piezo effect)를 이용한 것으로서, 타이타늄산바륨 등과 같은 인공결정을 포함한다.
한편, 변위 감지부(300)는 고정부(310)를 통해 제어부(500)와 유무선으로 송수신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알람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 커버(23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변위 감지부(300)에서 배전선로(L)의 늘어짐이 감지되면 이를 경고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알려준다.
이에 따라, 배전선로(L)가 늘어지게 되어 절연 커버 유닛(200)이 애자 본체(120) 및 브래킷(130)을 보호하는 정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면 이를 관리자가 쉽게 외부에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알람부(400)의 최상부에는 LED 경고등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알람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경고 신호는 빛 신호인 것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알람부(400)에 의해 발생되는 경고 신호는 그 외에도 다양한 음향 신호가 될 수 있으며, 원격지에 있는 관리자에게 보내지는 송신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제어부(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위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절연 커버 유닛(200)의 기울어짐이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배전선로(L)가 다시 수평으로 되도록 케이블 관통구(201)의 입구 및 출구 측의 장력조절 구동부(247) 중 어느 일측이 선택적으로 승강되게 장력조절 구동부(247)를 제어하고, 알람부(400)에서는 경고 신호가 발생 되도록 알람부(400)를 제어한다.
예컨대, 절연 커버 유닛(200)의 기울어짐의 허용 범위는 대략 + 5°~ - 5°정도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절연 커버 유닛(200)이 기울어지는 각도는 변위 감지부(300)의 압전소자(320)에서 발생 되는 전압의 크기에 기초하여 제어부(500)가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는 애자 본체(120)가 설치된 고정대 본체(1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부(500)는 원격지에서 장력조절 구동부(247), 변위 감지부(300) 및 알람부(400)와 유무선 송수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절연 커버 유닛(200)이 애자 본체(120) 및 브래킷(130)을 보호하는 정 위치로부터 벗어난 것을 변위 감지부(300)에서 감지하게 되면 제어부(500)의 제어에 의해 배전선로(L)의 장력이 조절되어 배전선로(L)가 기울어진 상태로부터 수평상태로 팽팽해지도록 장력조절 구동부(247)가 작동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배전선로(L)의 늘어짐으로 인한 절연 커버 유닛(200)의 이탈을 관리자가 외부에서 쉽게 인지하도록 알람부(400)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서 판단하는 절연 커버 유닛(200) 또는 배전선로(L)의 기울어짐의 허용 범위가 조정될 수 있도록 절연 커버 유닛(200) 또는 배전선로(L)의 기울어짐의 허용 범위를 새로 입력받아 제어부(500)에 전달하는 입력부(510)와, 제어부(500)로부터 절연 커버 유닛(200) 또는 배전선로(L)의 기울어짐의 허용 범위를 전달받아 이를 저장하는 저장부(5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어부(500)는 입력부(510)를 통해 절연 커버 유닛(200) 또는 배전선로(L)의 기울어짐의 허용 범위를 두 단계로 나누어 입력받아 절연 커버 유닛(200) 또는 배전선로(L)의 기울어짐이 + 5°~ - 5°정도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장력조절 구동부(247)를 제어하여 배전선로(L)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고, 절연 커버 유닛(200) 또는 배전선로(L)의 기울어짐이 + 10°~ - 10°정도의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알람부(400)를 제어하여 외부로 경고 신호를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축전지(6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부(500)에 연결되게 고정대 본체(110) 상에 구비된다.
태양 전지판(700)은 축전지(600)를 충전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을 하도록 구비되되 축전지(600)에 연결되게 고정대 본체(110) 상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전선로(L)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100)는 고정대 본체(110)의 상부에서 축전지(600) 및 제어부(500)에 연결되어 대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500)가 온도 감지부(35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대기 온도가 미리 설정된 허용 온도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장력조절 구동부(247)를 제어하여 배전선로(L)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하거나 알람부(400)를 제어하여 외부로 경고 신호를 알리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100)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절연 커버 유닛(200)의 브래킷 커버(230)의 상부면 중심이 수직선상으로 애자 본체(120)의 중심과 만나는 정 위치에 있던 상태에서는 알람부(400)에서 아무런 경고 신호가 발생 되지 않는다.
다음에, 배전선로(L)의 늘어짐 등으로 인해 절연 커버 유닛(200)이 정 위치로부터 이탈되면, 절연 커버 유닛(200)의 브래킷 커버(230)가 기울어지게 됨에 따라 브래킷 커버(230)에 고정되게 연결된 압전소자(320)도 함께 기울어지게 되어 한 쌍의 플레이트로 된 센서 접촉부(131)의 플레이트들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압전소자(320)에는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도 5 참고).
그리고, 압전소자(320)에 압력이 작용 되면 압전소자(320)에서는 전기가 발생 되고 이 전기 신호는 제어부(500)로 전달된다.
변위 감지부(300)의 압전소자(320)로부터 감지 신호가 제어부(500)로 전달되면, 제어부(500)는 입력부(510)를 통해 미리 입력되어 저장부(520)에 저장된 절연 커버 유닛(200) 또는 배전선로(L)의 기울어짐의 허용 범위를 저장부(520)에서 끄집어내어 변위 감지부(300)의 압전소자(320)에서 전달된 감지신호를 통한 현재의 절연 커버 유닛(200) 또는 배전선로(L)가 기울어진 각도와 비교하여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배전선로(L)가 다시 수평으로 되도록 케이블 관통구(201)의 입구 및 출구 측의 장력조절 구동부(247) 중 어느 일측이 선택적으로 승강되게 장력조절 구동부(247)를 제어하고, 알람부(400)에서는 경고 신호가 발생 되도록 알람부(400)를 제어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500)가 장력조절 구동부(247)를 제어하여 배전선로(L)의 장력이 용이하게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배전선로(L)의 늘어짐을 방지하여 안전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전선로(L)의 전기저항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태양광 에너지를 이용하여 배전선로(L)의 장력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에 의해 설명되고 첨부된 도면에서 그 기술적인 면이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고, 그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인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을 이하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고정대 본체 111 : 가설플레이트
120 : 애자 본체 130 : 브래킷
131 : 센서 접촉부 200 : 절연 커버 유닛
210 : 절연층 220 : 전자파 차폐층
230 : 브래킷 커버 240 : 애자 커버
241 : 반데르발스 접착부 243 : 애자 결속부
245 : 장력조절 링 247 : 장력조절 구동부
300 : 변위 감지부 320 : 압전소자
400 : 알람부 500 : 제어부
600 : 축전지 700 : 태양 전지판

Claims (1)

  1. 전주(101)에 설치되는 고정대 본체(110);
    상기 고정대 본체(110)에 착탈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설플레이트(111);
    상기 가설플레이트(111)의 상부에 설치된 절연재질의 애자 본체(120);
    상기 애자 본체(120)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애자 본체(120)의 상부로 안착되는 배전선로(L)를 지지하는 브래킷(130);
    상기 애자 본체(120)와 상기 브래킷(130)을 감싸도록 구비되고, 상기 브래킷(130)에 의해 지지되는 배전선로(L)가 관통되게 케이블 관통구(201)가 형성되며, 단면상으로는 절연층(210)과 상기 절연층(210)의 상하 표면에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220)으로 이루어지고, 외관상으로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브래킷(130)을 감싸는 브래킷 커버(230)와 상기 브래킷 커버(2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애자 본체(120)를 감싸는 애자 커버(240)로 구성되며, 상기 애자 커버(240)에는 상기 케이블 관통구(201)를 통해 관통하는 배전선로(L)를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상기 브래킷 커버(230)의 둘레를 따라 마련된 장력조절 링(245)을 하부에서 승강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장력조절 구동부(247)가 적어도 상기 케이블 관통구(201)의 입구와 출구 측 방향으로 구비된 절연 커버 유닛(200);
    상기 브래킷 커버(230)에 구비되어 상기 절연 커버 유닛(200)이 정 위치로부터 벗어나 기울어질 경우 상기 브래킷(130)에 구비된 센서 접촉부(131)의 가압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는 압전소자(320)를 갖는 변위 감지부(300);
    상기 브래킷 커버(230)의 상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변위 감지부(300)에서 상기 배전선로(L)의 늘어짐이 감지되면 이를 경고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알려주는 알람부(400);
    상기 변위 감지부(300)에서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절연 커버 유닛(200)의 기울어짐이 허용 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판단되면 배전선로(L)가 다시 수평으로 되도록 상기 케이블 관통구(201)의 입구 및 출구 측의 장력조절 구동부(247) 중 어느 일측이 선택적으로 승강되게 상기 장력조절 구동부(247)를 제어하고, 상기 알람부(400)에서는 경고 신호가 발생 되도록 상기 알람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
    상기 제어부(5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 축전지(600); 및
    상기 축전지(600)를 충전하기 위해 태양광 발전을 하도록 구비된 태양 전지판(700);
    을 포함하되,
    상기 절연 커버 유닛(200)이 상기 애자 본체(120)와 접촉되는 상기 애자 커버(240)의 상부 내 측면에는 반데르발스 접착부(241)가 마련되며,
    상기 절연 커버 유닛(200)의 하단에는 하부에서 바라볼 때에 방사상으로 절개된 프린지(fringe) 형태의 애자 결속부(2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KR1020130100402A 2013-08-23 2013-08-23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KR101344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02A KR101344927B1 (ko) 2013-08-23 2013-08-23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402A KR101344927B1 (ko) 2013-08-23 2013-08-23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4927B1 true KR101344927B1 (ko) 2013-12-27

Family

ID=49989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402A KR101344927B1 (ko) 2013-08-23 2013-08-23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92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708B1 (ko) 2018-01-31 2018-10-05 이삼종 특고압 배전선로의 지지애자
KR101959495B1 (ko) 2018-10-17 2019-03-18 야베스텍 주식회사 내진 성능을 가진 태양광 배전선로 고정장치
KR102011487B1 (ko) * 2018-10-25 2019-08-16 주식회사 삼성조경 구조강도가 향상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용 지주 조립체
KR102011492B1 (ko) * 2018-10-25 2019-10-21 주식회사 삼성조경 가로대의 연결구조가 개선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24B1 (ko) 2008-10-24 2009-03-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보수단이 구비된 송전선 처짐방지장치
KR100999492B1 (ko) 2010-05-24 2010-12-09 김동자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KR101040166B1 (ko) 2010-12-20 2011-06-16 김종선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
KR101188882B1 (ko) 2012-06-08 2012-10-09 주식회사 타우이엔지 송전 배전 변전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624B1 (ko) 2008-10-24 2009-03-11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경보수단이 구비된 송전선 처짐방지장치
KR100999492B1 (ko) 2010-05-24 2010-12-09 김동자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KR101040166B1 (ko) 2010-12-20 2011-06-16 김종선 특고압 가공배전선지지를 위한 배전플레이트
KR101188882B1 (ko) 2012-06-08 2012-10-09 주식회사 타우이엔지 송전 배전 변전 전력구 케이블 접속부 단자 부식 방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3708B1 (ko) 2018-01-31 2018-10-05 이삼종 특고압 배전선로의 지지애자
KR101959495B1 (ko) 2018-10-17 2019-03-18 야베스텍 주식회사 내진 성능을 가진 태양광 배전선로 고정장치
KR102011487B1 (ko) * 2018-10-25 2019-08-16 주식회사 삼성조경 구조강도가 향상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용 지주 조립체
KR102011492B1 (ko) * 2018-10-25 2019-10-21 주식회사 삼성조경 가로대의 연결구조가 개선된 목재외관을 갖는 난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92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KR101348319B1 (ko) 특고압 배전용 가공전선의 절연애자
KR100867214B1 (ko) 전주의 가공선로 고정용 지지애자
CN101589523B (zh) 电气化吊顶框架下侧的连接器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KR101626147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US9966207B1 (en) Motorized high voltage in-line disconnect switch with communication system controls
JP5438428B2 (ja) バスバーを備えた風力発電システム
KR101149831B1 (ko) 송전탑 애자 교체용 송전선 지지장치
JP2005506488A (ja) 電流バスを有する風力エネルギープラント
KR100861795B1 (ko) 전주의 배전식 가공전선 이음구조
KR100947095B1 (ko) 원격송전 가공전선의 고정용 절연애자
KR101321834B1 (ko) 배전가공전선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정식 완철
KR101455679B1 (ko) 공동주택용 지중선로 케이블 지지장치
KR101710347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장치
KR100811033B1 (ko) 배전용 전선의 고정식 애자
KR102070722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KR100873746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CN102844888A (zh) 用于太阳能瓦片的连接器组件
KR101924115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KR101344928B1 (ko) 태양광 발전 수배전반
KR100933936B1 (ko) 가공배전선용 절연형 배전체
RU2012121822A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тока из солнечного излучения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безопасности здания, оборудованного такой установкой
KR100935939B1 (ko)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CN105822131A (zh) 一种输电横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