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564B1 -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564B1
KR101906564B1 KR1020180024706A KR20180024706A KR101906564B1 KR 101906564 B1 KR101906564 B1 KR 101906564B1 KR 1020180024706 A KR1020180024706 A KR 1020180024706A KR 20180024706 A KR20180024706 A KR 20180024706A KR 101906564 B1 KR101906564 B1 KR 101906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rotating body
moving block
fixing holes
bi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정우디엔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정우디엔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정우디엔아이
Priority to KR1020180024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38Fittings, e.g. caps; Fastenings there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에 따르면, 전주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캡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체들이 구비됨으로 전주의 상단부로부터 횡방향측으로 설치되는 고압케이블들의 선로방향을 회전체의 회전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폴리머 애자가 체결되는 경완금과 같은 케이블 지지로드를 하향 경사지도록 형상을 제작하여,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적절하지 않은 공간을 제공하여 조류로 인한 정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캡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들 및 케이블 지지로드들의 외면에 세라믹재질과 같은 절연재를 코팅하기 때문에, 낙뢰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나, 고압케이블로 낙뢰가 직접 전달되어 대형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Cable Fixing Apparatus of Electric Pole for Powe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주의 상단부에서 고압케이블을 지지함과 아울러 고압케이블의 선로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조류가 근접할 수 없는 구조를 취하여 조류에 의한 정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전소에서는 송전된 전력을 변압하여 각 수용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전선 케이블에 의해 각 지역으로 공급된다.
그리고 일반 수용가에 대한 전력 공급은 전주를 통해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각 전주에서의 전선 케이블은 배전선로에 따라서 2선식과 3선식이 있으며, 이들 전선 케이블의 연결은 점퍼선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는 것은 이미 주지된 바와 같다.
여기서, 고압 전기는 3상 3선 또는 3상 4선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3개 또는 4개의 케이블이 연결되며, 이들은 합선 사고의 방지를 위해 항상 팽팽한 장력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전주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고 또 전주의 상부에 지지대(이하, "경완금"이라 칭함.)를 설치하여 각 고압 케이블들이 합선되지 않는 간격으로 평행하면서 팽팽한 긴장력을 갖도록 배선하는데 이러한 고압 케이블을 지지하는 케이블지지대는 사각관 형상으로 구성되고 또 밴드형 클램프로 전주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전선 케이블의 연결시공은, 전선케이블의 선로방향에 대하여 직교방향으로 전주 상단 양측면으로 횡설되는 경완금의 양측에서 현수애자를 통해 전선 케이블을 연결 결합하고 양측 현수애자 사이를 점퍼선으로 연결하는 시공이 이루어져 왔다.
여기서, 이와 같이 수개의 현수애자를 전주에 체결하여 전선 케이블의 가설을 가능하게 하는 경완금은 전주에 연결 고정을 취해 줄 수 있는 별개의 "U"자형 결속구를 이용하여 체결 설치하는 단순 시공 방식으로 취해져 왔다.
그러므로 경완금의 설치를 신속 용이하고도 안정되게 이룰 수 없었고, 시공상에 많은 불편 및 애로 사항이 있었다.
이를 구체적으로 보충 설명하면, 경완금을 설치하기 위해서 "U"자형 결속구를 전주의 일측에 위치시킨 후, 이 상태에서 전주의 타측으로부터 "U"자형 결속구에 경완금을 이동 연결시키고, 상기 "U"자형 결속구의 양단이 경완금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고, 이 관통된 상기 양단을 너트들로 상호간을 체결 고정하는 방식을 취하여야만 하였으므로 작업자 단독으로 시공하기가 사실상 불가한 문제점과, 경완금과 "U"자형 결속구 상호간의 연결 구조가 견고하지 아니하여 전주 상에 경완금의 안정된 설치 상태를 유지하기에는 미흡한 구조적 결함이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선로 방향을 전주의 상단부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향하게 하려면, 별도의 지지구를 증설하여 선로의 방향을 전환하여야만 하는 불편사항이 있었다.
그리고 경완금의 외형이 일률적인 사각관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적절한 평면 공간을 제공하여 이로 인한 정전 사고가 자주 발생하였다.
또한, 지금까지의 경완금의 형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것이 주로 이용되고 있어, 사실 도심 경관을 크게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주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캡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체들이 구비됨으로 전주의 상단부로부터 횡방향측으로 설치되는 고압케이블들의 선로방향을 회전체의 회전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폴리머 애자가 체결되는 경완금과 같은 케이블 지지로드를 하향 경사지도록 형상을 제작하여,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적절하지 않은 공간을 제공하여 조류로 인한 정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캡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들 및 케이블 지지로드들의 외면에 세라믹재질과 같은 절연재를 코팅하기 때문에, 낙뢰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나, 고압케이블로 낙뢰가 직접 전달되어 대형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는 전주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그 하단부 둘레에 기준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기준 가이드돌기 주변에 다수개의 기준 위치 고정홀들이 천공된 고정캡; 상기 전주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캡의 하단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그 회전 위치가 가변고정되는 다수개의 회전체들; 및 상기 회전체들 각각의 외측둘레에 일정 길이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되, 그 일단이 상기 외측둘레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일단의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폴리머 애자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홀들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케이블 지지로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들은 상기 고정캡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1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2회전체와, 상기 제 2회전체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3회전체를 구비하되, 상기 제 1회전체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기준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제 1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제 1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측 둘레를 따라 상기 기준 위치고정홀들과 일치되어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과, 상기 하단부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과 제 2고정홀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회전체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제 1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제 2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제 2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 2고정홀들과 일치되어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과 상기 하단부측 둘레를 따라 제 2'고정홀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3회전체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제 2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제 3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 2'고정홀들과 일치되어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에서 체결홀과 체결홀 사이에는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높낮이가 변동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퇴치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따라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회전체들 및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들 각각의 외면에는 절연재가 더 코팅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에 따르면, 전주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캡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체들이 구비됨으로 전주의 상단부로부터 횡방향측으로 설치되는 고압케이블들의 선로방향을 회전체의 회전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폴리머 애자가 체결되는 경완금과 같은 케이블 지지로드를 하향 경사지도록 형상을 제작하여,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적절하지 않은 공간을 제공하여 조류로 인한 정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캡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들 및 케이블 지지로드들의 외면에 세라믹재질과 같은 절연재를 코팅하기 때문에, 낙뢰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나, 고압케이블로 낙뢰가 직접 전달되어 대형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선 Ⅰ-Ⅰ'를 따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의 다른 형태를 이루는 퇴치 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주(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그 하단부 둘레에 기준 가이드돌기(210)가 형성되고, 기준 가이드돌기(210) 주변에 다수개의 기준 위치고정홀들(220)이 천공된 고정캡(200)이 구비된다.
상기 전주(200)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캡(200)의 하단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그 회전 위치가 가변 고정되는 다수개의 회전체들(300)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체들(300)은 그 각각에 외측둘레에 일정 길이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 다수개의 케이블 지지로드들(400)이 구비된다.
상기 다수개의 케이블 지지로드(400)는 그 일단이 상기 외측둘레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일단의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폴리머 애자(430)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홀들(4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체들(300)은 상기 고정캡(200)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1회전체(310)와, 상기 제 1회전체(310)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2회전체(320)와, 상기 제 2회전체(320)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3회전체(330)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상기 제 1회전체(310)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기준 가이드돌기(210)가 끼워지는 제 1가이드홀(312)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 1가이드돌기(311)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313)과 제 2고정홀들(31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2회전체(320)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제 1가이드돌기(311)가 끼워지는 제 2가이드홀(322)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 2가이드돌기(321)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 및 상기 하단부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323)과 제 2'고정홀들(32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 3회전체(330)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제 2가이드돌기(321)가 끼워지는 제 3가이드홀(332)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333)이 형성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3회전체(330)의 하단부에 다른 회전체가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경우에, 상기 제 3회전체(330)의 하단부 외측둘레에는 제 3가이드 돌기가 돌출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하단부측 둘레를 따라 제 2''고정홀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400)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따라 하향경사진다. 즉, 상기 일단에서 타단까지 직선 형상의 경사면을 갖는다.
또 한편, 상기 고정캡(200)과 상기 회전체들(300) 및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들(400) 각각의 외면에는 절연재(500)가 더 코팅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본 발명의 케이블 지지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함을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정캡(200)의 하단에 제 1회전체(310)를 회전되도록 연결한다.
즉, 상기 고정캡(200)의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기준 가이드돌기(210)를 제 1회전체(310)의 상단부 내측에 형성된 제 1가이드홀(312)에 끼운다.
따라서 상기 제 1회전체(310)는 상기 고정캡(200)의 하단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회전체(310)의 하단에 제 2회전체(320)를 회전되도록 연결한다.
즉, 상기 제 1회전체(310)의 하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마련된 제 1가이드돌기(311)를 상기 제 2회전체(320)의 상단부 내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2가이드홀(322)에 끼운다.
따라서 상기 제 2회전체(320)는 상기 제 1회전체(310)의 하단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2회전체(320)의 하단에 제 3회전체(330)를 회전되도록 연결한다.
즉, 상기 제 2회전체(320)의 하단부 외측 둘레를 따라 마련된 제 2가이드돌기(321)를 상기 제 3회전체(330)의 상단부 내측둘레를 따라 형성된 제 3가이드홀(332)에 끼운다.
따라서 상기 제 3회전체(330)는 상기 제 2회전체(320)의 하단에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캡(200)과 상기 회전체들(30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회전될 있도록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회전체들 각각(300)의 외측둘레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블 지지로드들(400)이 서로 하향경사지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200)을 준비된 전주(100)의 상단부에 끼워 고정한다.
즉, 상기 고정캡(200)에 형성된 고정홀들(201)을 전주(100)에 형성된 다른 고정홀들(101)에 위치를 일치시킨 이후에, 고정볼트(10)를 끼워 상기 고정캡(200)을 상기 전주의 상단부에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체들(300)의 내부공간은 상기 전주(100)의 외면을 감싸도록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고정캡(200)은 전주(10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반면에, 상기 고정캡(200)의 하단에 연결된 회전체들(300)은 서로 독립적으로 횡축방향을 따라 회전될 수 있다.
다음은, 상기 회전체들(300)의 회전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 1회전체(310)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킨 이후에, 상기 제 1회전체(310)에 형성된 제 1고정홀들(313)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고정캡(200)에 형성된 기준홀들(220) 중 어느 하나와 일치시킨다.
이어서, 고정볼트(20)를 사용하여, 상기 일치된 제 1고정홀(313)과 기준홀(220)에 끼워, 상기 제 1회전체(310)의 회전 위치를 상기 고정캡(200)의 하단부에서 고정시킨다.
다음, 제 2회전체(320)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위치는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2회전체(320)에 형성된 제 1'고정홀들(323)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1회전체(310)의 제 2고정홀들(314) 중 어느 하나와 일치시키고, 고정볼트(20)를 사용하여, 상기 일치된 제 2고정홀(314)과 제 1'고정홀(323)에 끼워, 상기 제 2회전체(320)의 회전위치를 상기 제 1회전체(310)의 하단부에서 고정시킨다.
다음, 제 3회전체(330)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위치는 회전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 3회전체(330)에 형성된 제 1''고정홀들(333)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제 2회전체(320)의 제 2'고정홀들(324) 중 어느 하나와 일치시키고, 고정볼트(20)를 사용하여, 상기 일치된 제 1''고정홀(333)과 제 2'고정홀(324)에 끼워, 상기 제 3회전체(330)의 회전위치를 상기 제 2회전체(320)의 하단부에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체들(300)의 회전 위치가 각각 조절되어 그 위치가 고정되면, 각 회전체(300)에 연결된 케이블 지지로드들(400)은 그 지시방향이 서로 일치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400)에 마련된 체결홀들(410)에 폴리머 애자(430)를 설치함에 따라, 케이블(440)이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440)의 선로 방향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440) 선로는 다단으로 배치되어 그 선로의 지시방향이 횡축상에서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기 때문에, 전주(100)의 상단부에서 케이블(440) 선로의 배전 방향을 용이하게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케이블 지지로드들 각각(400)의 일단은 타단을 따라 하향경사지도록 된다.
즉, 하향경사진 직선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만일 케이블 지지로드(400)에 이물질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이는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기 때문에, 그 청결이 유지됨과 아울러 조류 등이 둥지를 마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조류로 인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고정캡(200)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들(300) 및 케이블 지지로드들(400)의 외면에는 세라믹재질과 같은 절연재(500)가 코팅되어 있기 때문에, 낙뢰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전 사고나, 고압케이블(440)로 직접 전달되어 대형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의 다른 형태로써,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블 지지로드(400)에 조류 등이 앉은 것을 방지하는 퇴치수단(700)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퇴치수단(700)은 케이블 지지로드(400)에서 폴리머 애자(430)가 체결되는 체결홀(410)과 체결홀(410) 사이에 밀착 구비되어,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구동을 하는 것이다.
상기 퇴치수단(700)은 케이블 지지로드(400)의 상면에 밀착 구비되는 것으로 서로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톱니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랙부(710);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랙부(710)와 기어 연결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730); 상기 한 쌍의 피니언(730) 사이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피니언(730)이 상기 랙부(710)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랙부(710)와 랙부(710)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럭(750), 상기 한 쌍의 랙부(710), 한 쌍의 피니언(730) 및 이동블럭(750)이 덮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의 유동커버부(7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유동커버부(790)의 표면은 뾰족한 모양의 돌기부(795)가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이동블럭(750)의 내부에는 모터(770)가 구비되며, 모터(770)의 양단에서 회전축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피니언(730)에 각각 연결된다.
따라서 모터(770)가 구동되면 이에 따라 피니언(730)이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모터(770)가 내장된 이동블럭(750)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블럭(750)의 상면에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의 엠보싱부(757)가 복수로 구비된다.
아울러 이동블럭(750)에는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51)가 구비되고, 센싱 신호에 의해 감지센서(751)가 작동하면, 이에 따른 경보를 소리로 발생하는 스피커(753)가 더 구비되며, 감지센서(751)가 작동하면 스피커(753)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모터(770)를 구동시켜 피니언(730) 및 이동블럭(750)이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55)가 더 구비된다.
한편 상기 모터(770), 감지센서(751), 스피커(753) 및 제어부(755)를 구동시키기 위한 전원은 배터리 또는 본 분야에서 공지된 유/무선 기술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퇴치수단(700)이 구비되고, 조류 등이 케이블 지지로드(400)에 둥지를 만들기 위해 접근하여 케이블 지지로드(400)를 건드리면, 감지센서(751)가 충격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스피커(753)를 통하여 시끄러운 소리를 일정 시간 발생시키며, 이와 동시에 모터(770)가 구동하여 피니언(730)이 회전하면서 이동블럭(750)이 유동커버부(790)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이동된다.
유동커버부(790)는 플랙시블한 재질이므로, 이동블럭(750)이 위치한 곳의 유동커버부(790)는 상대적으로 높고, 이동블럭(750)이 없는 곳의 유동커버부(790)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가 되므로, 이동블럭(750)이 유동커버부(790)의 하면에 밀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 유동커버부(790)의 표면은 이동블럭(750)에 의한 높이가 높아지는 부분이 이동할 때 그 외의 부분은 높이가 낮아지는 웨이브 형태가 된다.
이때, 이동블럭(750)에 구비된 엠보싱(757)부에 의해 높낮이 차이가 더욱 크게 된다.
따라서 조류 등이 케이블 지지로드(400)에 둥지를 만들기 위해 접근하여 충격을 가하면, 시끄러운 소리를 발생하여 조류가 달아나게 할 수 있으며, 시끄러운 소리에도 조류가 달아나지 않고 유동커버부(790)의 표면에 앉더라도, 이동블럭(750)의 이동으로 유동커버부(790)의 표면에 웨이브가 발생하여 조류가 앉을 수 없게 된다.
아울러, 유동커버부(790)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부(795) 때문에라도, 조류는 유동커버부(790)의 표면에 앉을 수 없게 되므로, 조류 등이 둥지를 마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조류로 인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동블럭(750)에는 풍향계 및 풍속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풍속계를 통하여 미리 설정한 범위를 넘어가는 풍속이 감지되면서, 이와 동시에 감지센서(751)를 통한 충격 감지가 되면, 이는 조류 등에 의한 충격이 아닌, 강한 바람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감지센서(751)가 감지된 것으로 제어부(755)가 판단하도록 하여, 불필요하게 모터(770)가 구동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퇴치수단(700)의 작동 수명이 단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에 따르면, 전주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캡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다단의 회전체들이 구비됨으로 전주의 상단부로부터 횡방향측으로 설치되는 고압케이블들의 선로방향을 회전체의 회전동작만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폴리머 애자가 체결되는 경완금과 같은 케이블 지지로드를 하향 경사지도록 형상을 제작하여, 조류가 둥지를 틀기에 적절하지 않은 공간을 제공하여 조류로 인한 정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고정캡을 포함하여 상기 회전체들 및 케이블 지지로드들의 외면에 세라믹재질과 같은 절연재를 코팅하기 때문에, 낙뢰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감전사고나, 고압케이블로 낙뢰가 직접 전달되어 대형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전주 200 : 고정캡
310 : 제 1회전체 320 : 제 2회전체
330 : 제 3회전체 400 : 케이블 지지로드
500 : 절연재

Claims (3)

  1. 전주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그 하단부 둘레에 기준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기준 가이드돌기 주변에 다수개의 기준 위치 고정홀들이 천공된 고정캡; 상기 전주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고정캡의 하단부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그 회전 위치가 가변고정되는 다수개의 회전체들; 및 상기 회전체들 각각의 외측둘레에 일정 길이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되, 그 일단이 상기 외측둘레에 고정되고 그 타단이 상기 일단의 위치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폴리머 애자가 체결되는 다수개의 체결홀들이 형성되는 다수개의 케이블 지지로드들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체들은 상기 고정캡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1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2회전체와, 상기 제 2회전체의 하단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는 제 3회전체를 구비하되, 상기 제 1회전체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기준 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제 1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제 1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측 둘레를 따라 상기 기준 위치고정홀들과 일치되어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과, 상기 하단부측 둘레를 따라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과 제 2고정홀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회전체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제 1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제 2가이드홀이 형성되고, 하단부 외측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제 2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 2고정홀들과 일치되어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과 상기 하단부측 둘레를 따라 제 2'고정홀들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3회전체는 상단부 내측둘레에 상기 제 2가이드돌기가 끼워지는 제 3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상단부측 둘레를 따라 상기 제 2'고정홀들과 일치되어 고정볼트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제 1''고정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에서 체결홀과 체결홀 사이에는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높낮이가 변동되면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구동되어 케이블 지지로드에 조류가 앉은 것을 방지하는 퇴치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퇴치수단은 케이블 지지로드에서 폴리머 애자가 체결되는 체결홀과 체결홀 사이에 밀착 구비되어 외부 충격이 감지되면 구동을 하는 것으로, 케이블 지지로드의 상면에 밀착 구비되는 것으로 서로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면에 톱니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 쌍의 랙부;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톱니가 형성되어 상기 랙부와 기어 연결되면서 회전하는 한 쌍의 피니언; 상기 한 쌍의 피니언 사이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피니언이 상기 랙부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하면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랙부와 랙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블럭, 상기 한 쌍의 랙부, 한 쌍의 피니언 및 이동블럭이 덮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의 유동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유동커버부의 표면은 뾰족한 모양의 돌기부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이동블럭의 내부에는 모터가 구비되며, 모터의 양단에서 회전축이 돌출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피니언에 각각 연결되고, 모터가 구동되면 이에 따라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모터가 내장된 이동블럭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동블럭의 상면에는 상부로 볼록한 형태의 엠보싱부가 복수로 구비되고, 이동블럭에는 외부 충격 등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센싱 신호에 의해 감지센서가 작동하면, 이에 따른 경보를 소리로 발생하는 스피커가 더 구비되며, 감지센서가 작동하면 스피커로 소리가 출력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모터를 구동시켜 피니언 및 이동블럭이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조류가 케이블 지지로드에 접근하여 케이블 지지로드를 건드리면, 감지센서가 충격을 감지하고, 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하여 시끄러운 소리를 일정 시간 발생시키며, 이와 동시에 모터가 구동하여 피니언이 회전하면서 이동블럭이 유동커버부의 하면에 밀착되면서 이동되고; 유동커버부는 플랙시블한 재질이므로 이동블럭이 위치한 곳의 유동커버부는 상대적으로 높고, 이동블럭이 없는 곳의 유동커버부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태가 되어, 이동블럭이 유동커버부의 하면에 밀착되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 유동커버부의 표면은 이동블럭에 의한 높이가 높아지는 부분에서 높이가 낮아지는 부분으로 웨이브 형태로 높낮이가 변동되며; 조류가 케이블 지지로드에 둥지를 만들기 위해 접근하여 충격을 가하면, 시끄러운 소리를 발생하여 조류가 달아나게 할 수 있으며, 시끄러운 소리에도 조류가 달아나지 않고 유동커버부의 표면에 앉더라도, 이동블럭의 이동으로 유동커버부의 표면에 웨이브가 발생하여 조류가 앉을 수 없게 되며; 유동커버부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의해 조류는 유동커버부의 표면에 앉을 수 없게 되므로, 조류가 둥지를 마련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조류로 인한 감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는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따라 하향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들 및 상기 케이블 지지로드들 각각의 외면에는 절연재가 더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한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80024706A 2018-02-28 2018-02-28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KR101906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06A KR101906564B1 (ko) 2018-02-28 2018-02-28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4706A KR101906564B1 (ko) 2018-02-28 2018-02-28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564B1 true KR101906564B1 (ko) 2018-10-10

Family

ID=6387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4706A KR101906564B1 (ko) 2018-02-28 2018-02-28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56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876B1 (ko) * 2019-10-25 2020-07-09 주식회사 청평 피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20200141313A (ko) 2019-06-10 2020-12-18 한국전력공사 개폐기 리드선 또는 점퍼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장치
KR20200142659A (ko) 2019-06-13 2020-12-23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지지장치
CN115226701A (zh) * 2022-07-04 2022-10-25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弹簧驱鸟装置
KR102535684B1 (ko) * 2023-01-31 2023-05-30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용 전신주의 낙뢰 방지 장치
KR102668844B1 (ko) 2021-07-28 2024-05-24 한국전력공사 저압선 멀티앵글 바인드레스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097B1 (ko) * 2006-10-31 2007-04-18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1471403B1 (ko) * 2014-09-11 2014-12-10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가공배전선의 절연애자 완금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097B1 (ko) * 2006-10-31 2007-04-18 주식회사 우보엔지니어링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KR101471403B1 (ko) * 2014-09-11 2014-12-10 주식회사 창조기술단 가공배전선의 절연애자 완금 구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13A (ko) 2019-06-10 2020-12-18 한국전력공사 개폐기 리드선 또는 점퍼선을 지지하는 전선지지장치
KR20200142659A (ko) 2019-06-13 2020-12-23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지지장치
KR102131876B1 (ko) * 2019-10-25 2020-07-09 주식회사 청평 피뢰기능을 갖춘 가공배전라인 고정기기
KR102668844B1 (ko) 2021-07-28 2024-05-24 한국전력공사 저압선 멀티앵글 바인드레스 지지장치
CN115226701A (zh) * 2022-07-04 2022-10-25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弹簧驱鸟装置
CN115226701B (zh) * 2022-07-04 2023-08-01 国网河南省电力公司宜阳县供电公司 一种弹簧驱鸟装置
KR102535684B1 (ko) * 2023-01-31 2023-05-30 주식회사 이화엔지니어링 변압기가 구비된 배전용 전신주의 낙뢰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564B1 (ko)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US20130014692A1 (en) Bird repeller
US5873324A (en) Bird guard wire protector
US8627613B2 (en) Avian nesting diverters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WO2017132551A1 (en) Radio and power pole
CN101563818A (zh) 电气化吊顶框架
KR101504121B1 (ko) 배전용 전주의 케이블 지지장치
JP2005506488A (ja) 電流バスを有する風力エネルギープラント
KR101152322B1 (ko) 조류 퇴치장치
KR20140049801A (ko) 조류해 방지기
KR101921873B1 (ko) 셀프 크리닝 기능을 갖는 애자 장치
CN106614507B (zh) 驱鸟装置
KR10105351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연결 완금
KR102107598B1 (ko) 풍속 감응형 회전식 조류 퇴치 장치
US6264172B1 (en) Electric fence
KR20180060039A (ko) 전신주 조류 퇴치 장치
KR20080011840A (ko) 전주용 새둥지 방지갓
US8633727B2 (en) Power generation system and sensing system
CN108496955B (zh) 一种带有红外检测的adss光缆驱鸟器及安装方法
KR101329343B1 (ko) 원거리 전주의 특고압 전선 지지 장치
KR101165777B1 (ko)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CN211703396U (zh) 适用于架空输电线路的驱鸟装置
JPH08163758A (ja) 鳥害防止装置
CN212116837U (zh) 一种配电线用智能探测驱鸟装置
RU128456U1 (ru)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птиц насестного типа для электротехническ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