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777B1 -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777B1
KR101165777B1 KR1020120012371A KR20120012371A KR101165777B1 KR 101165777 B1 KR101165777 B1 KR 101165777B1 KR 1020120012371 A KR1020120012371 A KR 1020120012371A KR 20120012371 A KR20120012371 A KR 20120012371A KR 101165777 B1 KR101165777 B1 KR 1011657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rd
prevention device
landing prevention
warning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2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천돈
김용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일
Priority to KR1020120012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7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7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7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 전주 등 기둥 형태의 시설물에 설치되는 조류착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새, 까치, 비둘기 등 조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조류가 시설물에 착지하지 못하도록 하여 시설물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조류착지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착지방지장치는 전원부와; 조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소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와 연결되며, 조류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적 신호값을 입력받고, 조류의 착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낮 시간동안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모듈과,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태양전지모듈에 연결되며 전기를 충전하고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류착지방지장치는 하부에 회전식 거치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회전식 거치대가 고정되는 시설물로부터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Birds Landing Prevention Equipment with Motion Sense}
본 발명은 가로등, 전주 등 기둥 형태의 시설물에 설치되는 조류착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참새, 까치, 비둘기 등 조류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조류가 시설물에 착지하지 못하도록 하여 시설물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허수아비와 같이 사람 형상의 인형을 세우고 바람에 의해 옷깃이 날리도록 하는 전통적인 방법, 확성기의 소음이나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주로 전주나 가로등과 같은 기둥 형상의 시설물에 장착된다.
한편, 가로등은 차도나 인도를 밝히는 전기 시설물로서, 주로 고속도로, 시가지의 주요도로, 상업지구 도로, 주택지구 도로, 공원 등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로 설치된다. 설치된 가로등의 아암과 등기구에는 그 상부면이 평면 내지 완만한 곡선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조류가 내려앉아 쉬거나 집을 짓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특히, LED를 이용한 가로등기구는 기존광원의 등기구와는 달리 가로등기구를 구성하는 소자인 LED모듈이 구동되면서 상당한 고열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LED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고, LED조명기구의 요구 수명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LED모듈 용량에 따른 최적의 방열면적을 설계하게 되는데, 소비 전력이 비교적 큰 LED가로등기구의 경우 더욱더 넓은 면적의 방열판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LED가로등기구의 발열판은 넓은 면적의 알루미늄판에 수십 개의 얇은 날개를 삽입하는 형태로 등기구를 제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로 제작된 LED가로등기구는, 기존의 가로등기구에 비해 조류가 착지할 수 있는 상당히 넓은 면적을 제공하게 되어 조류가 내려앉아 쉬거나 집을 짓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때 등기구의 상부면은 조류의 배설물이나 집을 짓는데 사용되는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더럽혀짐과 동시에 배설물로 인해 등기구 표면이 서서히 부식되기도 하며, 특히 LED가로등기구는 방열날개의 구성으로 인한 수십의 홈이 형성되는데 조류의 배설물이나 이물질이 홈에 쌓이게 되면 방열판의 방열 능력을 상실하게 되어 결국 LED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은 조류의 착지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8-256666호를 살펴보면 절연체로 형성된 홈 안에 고전압 도체와 접지 도체의 두 개의 도체를 설치해 역시 새가 앉았을 때로 전기 쇼크에 의해 새를 쫓아버리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며, 단면이 삼각형의 막대 모양의 재료를 사용해 이 삼각형의 정점의 위치에 긴 방향에 고전압의 도전체를 달아 저변의 양단의 위치에 긴 방향에 어스전극을 매달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이 경우 전류의 흐름은 다른 한쪽의 다리와 또 다른 한쪽의 다리 사이에서 충분한 전기적 흐름을 제공할 수 없어 실용적인 효과를 가져오기 어렵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4-017235호를 살펴보면, 건축물, 교량, 철탑 등의 건조물에 설치되고 이들 건조물에 조류의 착지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각각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서로 독립되게 구성되며, 철탑 형상의 고전압 전극과 어스전극을 기초로 하여 하나 이상을 한조로 구성하여 교대로 선상 또는 면상에 배치되도록 구성하되, 이들의 고전압 전극과 어스전극이 각각 병렬로 고전압 펄스 발생원에 접속하기 위한 도전성 부재를 따라서 연이어 연결되어 있는 조류비래 방지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즉 고전압 전극과 어스 전극과의 사이에 고전압 펄스 발생원으로부터 고전압의 펄스 전류를 흘려, 전극에 착지하는 조류에 전기 쇼크를 주도록 하여 조류의 착지를 방지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적 쇼크는 조류에 심각한 장애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가로등과 같은 시설물에 조류가 서식하거나 착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효과적인 조류착지 방지 장치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종래 조류퇴치장치가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가로등 또는 시설물의 구조 개선이 없이도 조류가 착지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퇴치기능 수행 시에도 조류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기존 가로등 또는 시설물의 구조변형이나, 특별한 설치 작업이 없이도 용이하게 접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설치가 용이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상기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기존 전원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에너지절약형 조류착지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전원부와; 조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소음을 발생시키는 스피터; 및 동작감지센서와 연결되며, 조류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적 신호 값을 입력받고, 조류의 착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원부는 낮 시간 동안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모듈과,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태양전지모듈에 연결되며 전기를 충전하고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전원 전원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류착지방지장치는 하부에 회전식 거치대를 더욱 구비하고, 상기 회전식 거치대가 고정되는 시설물로부터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식 거치대는 볼과 지지대를 포함하는 회동부와, 시설물에 고정되고 상기 볼이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볼의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류방지장치의 하측에는 영구자석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영구자석이 부착되어 위치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는 조도비교부와 경고처리부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조도비교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서 출되는 센싱 신호값를 입력받고 변화값을 생성한 후 미리 입력된 기준변화값을 비교하며, 상기 경고처리부는 스피커로 미리 저장된 경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조도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로등 또는 시설물의 구조개선 없이, 조류가 착지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퇴치기능 수행 시에도 조류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별한 설치작업이 없이도 기존 시설물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최대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기존 전원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 장치의컨트롤러의 블록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회전식 거치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전원부(100), 조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200), 소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300) 및 컨트롤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가로등에 설치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일반적으로, 가로등은 지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로등주와, 상기 가로등주의 상측단부에 마련되는 가로등과, 상기 가로등을 지지하고 가로등의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가로등, 아암 및 가로등주의 상측 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가로등에 설치하는 것을 일예로 하였으나, 조류의 착지를 방지하기 위한 어떤 시설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100)는 태양전지모듈(110), 배터리(120) 및 전원제어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태양전지모듈(Solar Module)은 사각 형상의 프레임 상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판으로 형성되며, 하루 중 낮시간 동안에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집광하여 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한다. 태양전지판은 PN접합 구조를 갖는 반도체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Si 결정형 태양전지, Si 박막형 태양전지, CdTe 박막 태양전지, CIGS(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박막 태양전지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태양전지판의 상부에는 그 보호를 위해 투광커버를 부가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Battery)는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임시적으로 저장한다. 상기 배터리에 저장된 전기는 상기 조류착지방지장치를 이루는 구성들 즉, 동작감지센서, 스피커 및 컨트롤러의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조류착지방지장치가 설치되는 시설물이 가로등이라면, 낮시간 동안 태양전지판으로부터 생산된 전기를 저장하였다가 어두운 날씨나 해가 진 밤시간 동안에 가로등의 전원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이 원활하지 않는 지역에서는 시설물에 개별적인 에너지의 공급원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로 한다.
이로 말미암아 조류착지 방지장치에 필요한 전력을 기존의 전원을 사용하지 아니하고, 신재생에너지인 태양광 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전원 케이블 등 별도의 에너지를 인가하는 부가시설이나 장치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인가 전원을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특별한 설치작업이 없이도 기존 시설물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Power controller)는 태양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를 배터리로 충전시키거나, 충전된 전기를 전기를 필요로 하는 구성에 전원으로 제공하여 방전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제공되는 전기는 각각의 구성에 따른 정격전압으로 변환되어 공급되어야 한다.
한편, 동작감지센서(Motion Sense)는 조류의 움직임에 기인한 조도값의 변화에 반응한다. 외부 환경의 조도값 변화는 전기적 신호 즉 센싱 신호값을 생성하여 컨트롤러로 출력한다. 만약, 조류가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인근에서 날아다니게 되면, 센싱하는 영역의 조도값이 변화하게 되므로 출력되는 센싱 신호값이 달라지게 된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로부터 상당히 이격되어 있는 영역에서 조류가 날아다니거나 멈추게 되면 상기 동작감지센서에서 조도값의 변화는 거의 미미하다. 그러나 동작감지센서가 위치하고 있는 영역 인근에서 날아다니거나 앉게 된다면 조도값은 큰 변화가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동작감지센서의 센싱 방향은 조류가 앉기에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지점을 향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동작감지센서는 조도 센서인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조류의 몸체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센서를 동작감지센서로 하여도 상기 조도 센서에서와 동일하게 센서에서 검출되는 전류값의 변화를 기초로 하여 조류의 착지와 이동을 검출한다.
상기 스피커(Speaker)는 동작감지센서에서 센싱되는 조도값이 변화되어 인근 영역에서 조류가 움직인다고 판단하면 소정의 음파로 소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스피커의 방향은 동작감지센서가 센싱하는 영역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조류착지 방지장치는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전선이나 케이블로 동작감지센서, 태양전지모듈, 스피커, 배터리 및 전원제어부가 상호 연결되므로 특별한 배치관계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배치관계에 관한 것은 별도로 설명하지 않고, 전기적인 연결관계만을 설명할 뿐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동작감지센서, 태양전지모듈, 스피커, 배터리 및 전원제어부로 구성되는 조류착지 방지장치에는 동작 제어를 위한 컨트롤러가 부가형성된다. 상기 동작 제어는 조류가 동작감지센서의 센싱 영역에서 움직일 때 발생되는 조류착지 방지장치에서의 전기를 변화 및 흐름을 의미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 장치의 컨트롤러 블록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컨트롤러(400)는 조류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조도비교부(410)와 경고 소음을 발생시키는 경고처리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도비교부(410)는 미분기(411)와 기준변화값(412)를 포함한다. 미분기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서 출력하는 센싱 신호값을 입력받아 조도의 변화값을 출력하고 미리 입력된 조도의 기준변화값과 비교한다. 조도의 변화값이 기준변화값보다 높을 경우 조류가 센싱 영역에 있다고 판단하고 경고처리부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조도의 변화값이 기준변화값보다 낮을 경우 센싱 영역에 조류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조도의 변화값에서 기준변화값을 차감한 값이다.
한편 경고처리부(420)에는 여러 가지 종류의 경고 소음을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421)와 경고소음 선택부(422)가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경고 소음은 초음파, 매의 울음소리, 단속적인 소음, 점점 커지는 소리 등 일 수 있다. 만약 이들 경고 소음이 4가지라면 상기 메모리에는 각각의 경고 소음에 대응하는 소음이 저장되어 있다. 예컨대 초음파는 제1 경고 소음, 매의 울음소리는 제2 경고 소음, 단속적인 소음은 제3 경고 소음, 점점 커지는 소리는 제4 경고 소음으로 저장되어 있다.
상기 경고소음 선택부는 조도비교부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의 크기 정도에 따라 각각 상이한 경고 소음을 스피커로 출력한다. 따라서 제어신호의 크기 정도는 4가지 영역값으로 분할하여야 한다. 예컨대 제1 경고 기준값과, 제1 경고 기준값보다 높은 제2 경고 기준값 및 제2 경고 기준값보다 높은 제3 경고 기준값을 갖는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기준값은 4개의 영역범위로 구분되어진다. 상기 제어신호가 제1 경고 기준값 미만일 경우 제1 경고 기준값일 경우 제1 경고 소음을 출력시키고, 제1 경고 기준값 이상에서 제2 경고 기준값 미만일 경우 제2 경고 소음을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가 제2 경고 기준값 이상에서 제3 경고 기준값 미만일 경우 제3 경고 소음을 출력하고, 제3 경고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제4 경고 소음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경고 기준값을 설정하고 각각의 경고 기준값에 따라 정하여지는 영역범위에 따라 4개의 경고 소음을 출력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였으나, 상기 영역범위의 세분화된 변화를 통해 여러 가지 다양한 경고 소음의 출력도 가능하다.
또한 하루 중 시간적 변화를 발생시키는 타이머를 더욱 구비하여 시간적 흐름에 따라 상기 경고 소음의 선택도 달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침에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제1 내지 제4 경고 소음을 입력되는 신호값의 크기에 따라 순차적으로 선택되게 하고, 오후에는 제1 경고소음, 제3 경고소음, 제4 경고소음 및 제2 경고소음으로 선택되게 하며, 저녁에는 제4 경고소음, 제1 경고소음, 제3경고소음 및 제2 경고소음으로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에서 나오는 경고 소음은 제어신호값의 크기에 따라 각각 상이한 경고 소음을 출력한다. 조류착지방지장치가 설치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조류는 학습효과에 의해 동일한 종류의 소음에 무감해져 착지방지효과가 지속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착지방지장치는 상이한 종류의 소리를 발생시키므로 착지방지라는 효과의 지속되는 기간을 늘리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조류착지방지장치는 시설물의 위치고정을 위해 또는 조류착지방지장치의 방향선택을 위해 그 설치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회전식 거치대를 구비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 장치를 시설물에 고정하기 위한 회전식 거치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회전식 거치대(500)는 회전시키고자 하는 회전 대상물이 결합되는 회동부(510)와, 시설물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는 고정부(520)와, 상기 회동부와 고정부를 탄성 결합하는 판 스프링(5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동부(510)는 상측에 회전 대상물이 면접촉하는 지지대(511)와 둥근 형상의 볼(513) 그리고 상기 지지대와 볼을 연결하는 지지봉(512)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고정부(520)는 상측에 원형의 개구부(522)가 형성되어 있는 내부가 빈 공간을 갖는 사각 형태의 몸체(52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개구부에서는 내측으로 일정각도 절곡되어 있다. 상기 절곡된 부분에는 돌기(523)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볼의 외표면과 면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몸체부의 내측 바닥과 회동부의 볼을 탄성적으로 이격시키는 판 스프링(53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판 스프링에 의해 상기 몸체 내부의 바닥로부터 볼을 밀어올리게 되므로 상기 몸체의 돌기와 견고히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동부를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도 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결합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가로등의 아암이나 가로등의 상측 단부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를 위해 별도로 마련된 고정수단을 구비하며, 이러한 고정수단은 기존에 알려진 통상적인 고정장치를 사용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가로등주는 철을 포함하는 금속재료로 이루어진다. 조류착지 방지 장치의 하측에 영구자석(미도시)을 장착하여 설치자가 용이하게 그 위치를 선택하여 고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의 하측에 영구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영구자석에 의해 조류착지방지장치의 장착과 탈착이 자유롭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조류착지 방지장치에 따르면, 가로등 또는 시설물의 구조적인 변화 없이도 조류가 착지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으며, 기본적인 퇴치기능 수행으로 인해 감전 등 조류의 안정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장치에는 장치의 동작 시험을 위해 별도의 점검부(미도시)를 부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류착지 방지장치에는 관리자로부터 시험 동작을 위한 신호를 무선으로 입력받는 수신기와, 상기 수신기에서 입력받은 신호를 컨트롤러에서 작동가능한 수준으로 높이는 승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검장치가 부가 형성된다. 상기 수신기에서 입력받은 신호는 조도비교부와 경고처리부에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압기에서 나오는 신호는 조류가 착지하였다는 것을 감지하였을 때 상기 컨트롤러에서 출력하는 신호와 동일한 신호가 되어야 한다.
관리자로부터 최초의 신호가 보내졌을 때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종류와 이후에 신호가 보내졌을 때 스피커에서 나오는 소리의 종류는 달라야 한다. 경고처리부에서 생성되는 소리의 종류는 서로 다르게 선택되기 때문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점검부는 컨트롤러와 스피커가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할 수 있다. 물론 설치위치를 달리함에 따라 승압기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크기 또한 달라져야 한다.
상기 점검부는 하나 이상의 가로등에 본 발명에 따른 조류착지 방지장치를 설치하였을 때, 관리자가 동작을 정상적으로 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0 : 전원부
110 : 태양전지모듈
120 : 배터리
130 : 전원제어부
200 : 동작감지센서
300 : 스피커
400 : 컨트롤러
410 : 조도비교부
411 : 미분기
412 : 기준변화값
420 : 경고처리부
421 : 메모리
422 : 경고소음 선택부
500 : 회전식 거치대
510 : 회동부
511 : 지지대
512 : 지지봉
513 : 볼
520 : 고정부
521 : 몸체
522 : 개구부
523 : 돌기
530 : 판 스프링

Claims (4)

  1. 가로등이나 전주와 같은 시설물에 설치되는 조류착지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전원부와, 조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감지센서와, 소음을 발생시키는 스피커; 및 상기 동작감지센서와 연결되며, 조류의 움직임에 따라 전기적 신호값을 입력받고, 조류의 착지 여부를 판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컨트롤러는 조도비교부와 경고처리부를 포함하여 구비되고, 상기 조도비교부는 상기 동작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센싱 신호값을 입력받고 변화값을 생성한 후 미리 입력된 기준 변화값을 비교하며, 상기 경고처리부는 스피커로 미리 저장된 경고 소음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원부는 낮 시간 동안 태양광을 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모듈과,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와 태양전지모듈에 연결되며 전기를 충전하고 방전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조류착지 방지 장치는 하부에 회전식 거치대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식 거치대가 고정되는 시설물로부터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식 거치대는 볼과 지지대를 포함하는 회동부와, 시설물에 고정되고, 상기 볼이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부 및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회동부의 볼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착지 방지 장치의 하측에는 영구자석을 더욱 구비하고, 상기 시설물에 영구자석을 부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류착지 방지 장치.
  4. 삭제
KR1020120012371A 2012-02-07 2012-02-07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KR1011657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371A KR101165777B1 (ko) 2012-02-07 2012-02-07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2371A KR101165777B1 (ko) 2012-02-07 2012-02-07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777B1 true KR101165777B1 (ko) 2012-07-13

Family

ID=46716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2371A KR101165777B1 (ko) 2012-02-07 2012-02-07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7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93B1 (ko) * 2012-11-23 2014-08-21 (주)대한엔지니어링 해역표시용 부표
KR101990587B1 (ko) * 2018-03-15 2019-06-18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필요 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까치집 조성 방지 장치
KR102065731B1 (ko) * 2019-09-06 2020-01-13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가공 배전선 지지완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2193B1 (ko) * 2012-11-23 2014-08-21 (주)대한엔지니어링 해역표시용 부표
KR101990587B1 (ko) * 2018-03-15 2019-06-18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필요 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까치집 조성 방지 장치
KR102065731B1 (ko) * 2019-09-06 2020-01-13 주식회사 종합전기기술사사무소 가공 배전선 지지완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5609B2 (ja) 街路灯
JP5197866B1 (ja) カラスの営巣防止装置
CN107062146B (zh) 一种基于智能电线杆的节能环保型路灯
WO2013024515A1 (ja) ハイブリッド発電式街路灯
KR101506439B1 (ko) 추적식 태양광 가로등
US20140062188A1 (en) Solar Retrofit Pole
KR20160000660A (ko) 주·야간 충전이 가능한 태양광 가로등 시스템
KR101165777B1 (ko)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KR200460230Y1 (ko) 양면 수광 태양전지를 구비한 가로등
JP2010218808A (ja) 太陽電池照明装置
KR102316596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보행등이 구비된 가로등 장치
KR101269473B1 (ko) 반구형 태양전지 모듈을 갖는 엘이디 가로등
JP2014160630A (ja) 照明装置
CN104092927A (zh) 一种太阳能仿真摄像头
CN208487565U (zh) 一种多功能太阳能庭院灯
RU154975U1 (ru) Автономный уличный осветитель
KR20100116899A (ko) 원형곡면 테이퍼형 태양광모듈과 원통기둥형 태양광모듈 및 엘이디조명등장치가 된 가로등시스템 및 그 제조방법
KR101990587B1 (ko) 필요 시 이동 설치가 가능한 까치집 조성 방지 장치
Oke et al. Design and construction of solar power-based lighting system
KR101213920B1 (ko) 다면구체형 태양광모듈과 플렉시블 태양광모듈 발전 및 무소음 풍력발전 시스템 가로등
KR20160124653A (ko) 리튬 배터리를 구비한 가로등 및 상기 리튬 배터리를 구비한 가로등을 제어하는 방법
CN104806953A (zh) 一种路灯系统
RU2394183C2 (ru) Автоно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освещения дорог, улиц, дворов
Fathi et al. LEDs application to the photovoltaic street lighting
JP3175447U (ja) ソーラバッテリ付の工事現場用の仮囲い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