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4115B1 -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4115B1
KR101924115B1 KR1020170172405A KR20170172405A KR101924115B1 KR 101924115 B1 KR101924115 B1 KR 101924115B1 KR 1020170172405 A KR1020170172405 A KR 1020170172405A KR 20170172405 A KR20170172405 A KR 20170172405A KR 101924115 B1 KR101924115 B1 KR 101924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od
fitting
fixed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세찬
Original Assignee
김앤영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앤영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김앤영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1724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4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4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4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전선로의 높낮이 배치를 달리하기 쉽고, 완철의 이동배치가 용이하여 배전선로의 배치 위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편의성, 설치 위치상 발생되는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개선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A ELECTRIC POLE STRUCTURE CHANGING THE POSITION OF LINE}
본 발명은 배전기술 분야 중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신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전선로의 높낮이 배치를 달리하기 쉽고, 완철의 이동배치가 용이하여 배전선로의 배치 위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편의성, 설치 위치상 발생되는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개선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신주는 발전소 및 변전소 등과 통전하는 전선을 지지하면서 가정이나 회사 등 전기가 필요한 곳으로 상기 전선을 안내한다.
그런데, 상기 전선은 비교적 고압의 전류가 흐르므로, 절연체인 전신주를 통해 누전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신주와 상기 전선이 직접 맞닿지 않도록 하고 절연성이 우수한 연결체를 매개로 전선을 고정한다.
이러한 절연체를 애자라고 한다.
결국, 상기 애자를 통해 연결된 전선은 전신주와는 직접 맞닿아 고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신주의 일 지점에 정확히 고정 배치된다.
한편, 전선을 간단히 설명하면, 전도성이 우수한 구리와 같은 금속라인을 합성수지로 감아 절연한 것이다.
따라서, 주변환경의 온도에 따라 상기 금속라인이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이웃하는 전신주 사이에 위치하는 전선은 계절에 따라 아래로 늘어지거나 팽팽하게 당겨져서 그 모습을 달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을 줄이기 위해 종래에는 상기 애자를 장력을 갖는 스프링 또는 일정한 하중을 갖는 중량체와 연결하여서, 여름철 전선이 늘어지면 스프링의 탄발력 또는 중량체의 하중으로 상기 전선을 당기고 겨울철 전선이 팽팽해지면 전선의 장력으로 늘어짐이 해소되면서, 계절변화에 관계없이 전선의 배치가 항시 일정함을 유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스프링과 중량체와 같은 부재를 이용해 전선의 팽창과 수축에 대응할 경우 전선은 지속적인 하중을 받아 금속라인이 조금씩 늘어나게 되고, 결국에는 금속라인의 구경이 줄면서 그 길이는 늘어나게 되어 상기 금속라인의 저항이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물론, 전선의 저항 상승은 송전의 손실률을 높이므로 전선을 일정한 주기로 교체해줘야 하는 불편을 낳았다.
이를 개선한 예가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에 잘 나타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신주 시공시 혹은 배전선로 구축을 위해 완철 설치시 공간적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고, 또 어떤 경우에는 완철의 위치를 가변시켜야 할 필요도 있는데, 현재 구조로는 완철이 특정지점에 완전히 고정되는 구조이므로 배전선로를 가변시키기 어려웠다.
이에 따라, 배선작업상 많은 불편이 따르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714999호(2007.04.27.)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전신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전선로의 높낮이 배치를 달리하기 쉽고, 완철의 이동배치가 용이하여 배전선로의 배치 위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편의성, 설치 위치상 발생되는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도록 개선된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를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베이스포스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포스트(100)는 사각판상의 고정판(11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110)의 중심에는 사각형상의 하부지주(120)가 일체로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하부지주(120)의 상단면에는 제1끼움돌기(130)가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하부지주(120)의 둘레에는 대향하는 면에 각각 하부걸이구(14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주(120)의 제1끼움돌기(130)에 끼워지는 제1포스트(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상기 제1포스트(200)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가 삽입되는 제1끼움홈(232)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하부걸이구(140)가 각각 돌출되며, 상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와 동일한 제2끼움돌기(230)가 돌출되며, 상기 제2포스트(300)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230)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332)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하부걸이구(140)가 각각 돌출되며, 상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와 동일한 제3끼움돌기(330)가 돌출되며, 전신주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부지주(400)는 하단면에 상기 제3끼움돌기(330)가 끼워지는 제3끼움홈(432)이 형성되며,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되어 상호 끼움식으로 적층되고;
상호 끼움된 상기 하부지주(120), 제1,2포스트(200,300), 상부지주(400)는 체결부재(500)로 결속되는데 상기 체결부재(500)는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방으로 관통된 중공부(VOD)를 갖는 부재몸체(510)와, 상기 부재몸체(510)의 상단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고 상기 중공부(VOD)에 일단이 노출된 상부로드(520)와, 상기 부재몸체(510)의 하단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고 상기 중공부(VOD)에 일단이 노출된 하부로드(530)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몸체(510)에는 상기 부재몸체(5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를 삽입하여 걸 수 있는 공구홈(512)이 부재몸체(51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상부로드(520)와 하부로드(530) 각각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로드(520)와 하부로드(530)의 둘레에는 다수의 고정구멍(540)이 형성되어 고정구(550)를 통해 상기 상부로드(520) 및 하부로드(53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550)는 상기 상부로드(520)가 끼워지는 상부걸이구(150)의 측단면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하부로드(530)가 끼워지는 하부걸이구(140)에서도 동일한 구조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지주(400)에는 완철베이스(6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완철베이스(600)는 서포트(SPT)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상부가 개방된 'U' 형상의 하부베이스(610)와,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절곡된 양단에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620)와,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면서 덮어지는 하부가 개방된 '∩' 형상의 상부베이스(630)와,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절곡된 양단 바깥면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620)가 끼워지는 끼움홈(640)과,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상면 폭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T' 형상의 완철고정판(650)을 포함하며;
상기 완철고정판(650)에는 완철(F)이 상기 완철고정판(65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고,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작동실린더(700)가 더 고정되며, 상기 작동실린더(700)에는 실린더로드(710)가 돌출되고, 상기 실린더로드(710)의 선단에는 수직바(720)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실린더로드(710)의 유동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로 관통홀(7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720)의 상단은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천정면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바(720)의 하단은 상기 관통홀(730)에 끼워져 상기 작동실린더(7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수직바(720)가 움직일 때 상기 하부베이스(610)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610)에 대해 상기 상부베이스(63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철(F)을 위치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베이스(610)와 상부베이스(630) 및 완철고정판(650)은 전기 절연성을 유지하면서 내구성도 갖추도록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글래스파이버 5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3중량%와, 모노글리세라이드 2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를 제공한다.
발명에 따르면, 전신주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여 배전선로의 높낮이 배치를 달리하기 쉽고, 완철의 이동배치가 용이하여 배전선로의 배치 위치를 쉽게 가변시킬 수 있어 작업편의성, 설치 위치상 발생되는 제약으로부터 자유로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분해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를 이루기 위한 체결부재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주에서 완철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 완철베이스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는 베이스포스트(1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포스트(100)는 사각판상의 고정판(11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110)의 중심에는 사각형상의 하부지주(120)가 일체로 수직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주(120)의 상단면에는 제1끼움돌기(130)가 일정 길이 돌출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포스트(100)는 내부가 채워져 있는 중실체(中實體)로서, 강화플라스틱(예. FRP)로 성형되거나 혹은 유리섬유 강화 열가소성수지(GMT)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들 수지는 절연체이기 때문에 기존 세라믹 혹은 콘트리트로 된 전신주와 동등 이상의 절연성을 유지하지만, 그들에 비해 중량이 현저히 작기 때문에 경량화가 가능하다.
다만, 너무 경량이면 전신주가 고풍압에 견디기 어려우므로 상기 베이스포스트(100)를 비롯하여 후술되는 다수의 포스트들을 모두 중공체가 아닌 중실체(내부가 채워져 있는 물체)로 구성하여 그러한 단점을 해소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지주(120)의 둘레에는 대향하는 면에 각각 하부걸이구(14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하부걸이구(140)는 일종의 고리라고 생각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주(120)의 제1끼움돌기(130)에 끼워지는 다수의 포스트, 이를 테면 제1,2포스트(200,300)가 구비된다.
상기 제1,2포스트(200,300)는 예시적으로 2개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전신주의 길이에 따라 다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형상과 모양은 동일하다.
때문에, 규격화가 가능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상호 조립하기만 하면 쉽게 시공할 수 있어 잇점이 크다.
아울러, 상기 제1포스트(200)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가 삽입되는 제1끼움홈(232)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하부걸이구(140)가 각각 돌출되며, 상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와 동일한 제2끼움돌기(230)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제2포스트(300)도 하단면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230)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332)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하부걸이구(140)가 각각 돌출되며, 상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와 동일한 제3끼움돌기(330)가 돌출된다.
그리고, 전신주의 최상단을 구성하면서 다수의 애자들이 설치되는 완철(F)을 구비한 상부지주(400)는 하단면에 상기 제3끼움돌기(330)가 끼워지는 제3끼움홈(432)이 형성되며,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된다.
이때, 상기 완철(F)은 후술하는 바와 같은 이동형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부지주(100), 제1,2포스트(200,300), 상부지주(400)를 각각 분리시킨 상태로 이송한 뒤 시공위치에서 서로 적층하여 상호 조립하게 되면 하나의 전신주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들을 서로 끼워 넣어 적층하기만 하면 결속력이 약해 분리될 수 있으므로 체결부재(500)를 이용하여 상호 체결함으로써 쉽게 분리되지 않는 일체형 전신주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부재(500)는 도 2에서와 같이, 일종의 턴버클이다.
즉, 상기 체결부재(500)는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방으로 관통된 중공부(VOD)를 갖는 부재몸체(510)와, 상기 부재몸체(510)의 상단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고 상기 중공부(VOD)에 일단이 노출된 상부로드(520)와, 상기 부재몸체(510)의 하단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고 상기 중공부(VOD)에 일단이 노출된 하부로드(5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부재몸체(510)에는 상기 부재몸체(5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를 삽입하여 걸 수 있는 공구홈(512)이 부재몸체(51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로드(520)와 하부로드(530) 각각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재몸체(510)가 정회전하면 상기 중공부(VOD)에 노출된 각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고, 역회전하면 상기 중공부(VOD)에 노출된 각 단부가 서로 멀어지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로드(520)와 하부로드(530)의 둘레에는 다수의 고정구멍(540)이 형성되어 후술할 고정구(550)를 통해 상기 상부로드(520) 및 하부로드(53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구(550)는 상기 상부로드(520)가 끼워지는 상부걸이구(150)의 측단면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조립되고, 또한 상기 하부로드(530)가 끼워지는 하부걸이구(140)에서도 동일한 구조로 조립된다.
때문에, 부재몸체(510)를 정방향 혹은 역방향으로 회전시켜도 상기 상부로드(520)와 하부로드(530)는 각각 고정구(550)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부재몸체(51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두 개의 로드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당겨지면서 이들이 결속하고 있는 분할된 전주(예. 제1,2포스트)가 서로 가까워지고, 부재몸체(51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분할된 전주는 서로 멀어지면서 벌어지게 되어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도시상 상기 상부로드(520)와 하부로드(530)의 길이를 짧게 하여 설명하고 있기에 분할된 전주의 높낮이 정도가 작아보이지만, 이들 로드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하면 분할된 전주들 사이의 높낮이 조절을 큰 폭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 도 3의 예시와 같이, 완철(F)은 유동될 수 있도록 완철베이스(600) 상에 설치된다.
즉, 상기 완철베이스(600)는 서포트(SPT, 도 1 참조)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상부가 개방된 'U' 형상의 하부베이스(610)와,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절곡된 양단에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620)와,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면서 덮어지는 하부가 개방된 '∩' 형상의 상부베이스(630)와,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절곡된 양단 바깥면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620)가 끼워지는 끼움홈(640)과,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상면 폭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T' 형상의 완철고정판(650)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상부베이스(630)는 상기 하부베이스(6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베이스(6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완철(F, 도 1 참조)은 상기 완철고정판(650) 상에 완철고정판(65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시 상기 완철(F)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작동실린더(700)가 고정되고, 상기 작동실린더(700)에는 실린더로드(710)가 돌출되며, 상기 실린더로드(710)의 선단에는 수직바(720)가 고정되고,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실린더로드(710)의 유동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로 관통홀(730)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바(720)의 상단은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천정면에 고정되고, 상기 수직바(720)의 하단은 상기 관통홀(730)에 끼워져 상기 작동실린더(7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수직바(720)가 움직일 때 상기 하부베이스(610)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610)에 대해 상기 상부베이스(630)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철(F)을 위치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하부베이스(610)와 상부베이스(630) 및 완철고정판(650)은 전기 절연성을 유지하면서 내구성도 갖추도록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글래스파이버 5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3중량%와, 모노글리세라이드 2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은 반응성이 강한 염소계 물질로서 조성물의 반응 안정화를 위해 첨가되고,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은 소수성에 의해 유화물질들간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내구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은 내산성과 내약품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성분간 결합력을 높이기 위함이며, 실리콘수지는 규소와 산소 결합을 주체로 하는 고분자로서 접착력을 증대시켜 구성성분간 바인딩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트리에탄올아민은 약알카리성으로서 산도 조절을 위해 첨가되는 완충제이며, 페트롤라툼은 비결정성인 고체탄화수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모양의 물질로서 방수 기능이 있어 제형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며, 글래스파이버는 치수안정화와 인장강도 증대를 위해 첨가되고,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는 신축변형성과 굴신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며, 모노글리세라이드는 유화를 촉진하여 표면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억제하므로 방오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첨가되고, 폴리카보네이트수지는 베이스수지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은 완철(F)의 위치 가변까지 가능하게 되어 배전선로의 선로 공사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분절된 다수의 포스트들을 시공현장으로 이송한 다음, 기초를 완료한 후 베이스포스트(100)를 지면에 설치한다.
그런 다음, 제1포스트(200), 제2포스트(300) 등 다수의 포스트들을 전신주 길이에 맞춰 조립설치하고, 최상단에는 상부지주(400)를 끼워 맞춘다.
이때, 끼워 맞추는 작업은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하면 더욱 편리하고, 이후 설명되는 체결부재(500)의 체결작업도 지면에 눕힌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체결 완료 후에는 와이어나 줄을 상부지주(400)에 묶고 몇 사람이 당기게 되면 전신주를 쉽게 세울 수 있게 된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기존처럼 콘크리트로 만든 중량물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 대비 현저히 경량화되어 있어 줄걸이만 해서 당겨도 쉽게 세울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500)의 체결작업은 앞서 구성설명시 설명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신주 자체의 높낮이 조절도 가능하면서 완철의 위치 가변도 가능하게 된다.
100: 베이스포스트 200: 제1포스트
300: 제2포스트 400: 상부지주
500: 체결부재

Claims (1)

  1. 베이스포스트(100)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포스트(100)는 사각판상의 고정판(110)이 마련되고, 상기 고정판(110)의 중심에는 사각형상의 하부지주(120)가 일체로 수직하게 고정되며, 상기 하부지주(120)의 상단면에는 제1끼움돌기(130)가 일정 길이 돌출되고, 상기 하부지주(120)의 둘레에는 대향하는 면에 각각 하부걸이구(14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주(120)의 제1끼움돌기(130)에 끼워지는 제1포스트(20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1포스트(200)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가 삽입되는 제1끼움홈(232)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하부걸이구(140)가 각각 돌출되며, 상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와 동일한 제2끼움돌기(230)가 돌출되며, 제2포스트(300)의 하단면에는 상기 제2끼움돌기(230)가 삽입되는 제2끼움홈(332)이 형성되고, 하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하부걸이구(140)가 각각 돌출되며, 상단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되고, 상단면에는 상기 제1끼움돌기(130)와 동일한 제3끼움돌기(330)가 돌출되며, 전신주의 최상단을 이루는 상부지주(400)는 하단면에 상기 제3끼움돌기(330)가 끼워지는 제3끼움홈(432)이 형성되며, 둘레에는 서로 대향하는 면 상에 상부걸이구(150)가 각각 돌출되어 상호 끼움식으로 적층되고;
    상호 끼움된 상기 하부지주(120), 제1,2포스트(200,300), 상부지주(400)는 체결부재(500)로 결속되는데 상기 체결부재(500)는 내부가 중공되고 일측방으로 관통된 중공부(VOD)를 갖는 부재몸체(510)와, 상기 부재몸체(510)의 상단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고 상기 중공부(VOD)에 일단이 노출된 상부로드(520)와, 상기 부재몸체(510)의 하단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고 상기 중공부(VOD)에 일단이 노출된 하부로드(530)를 포함하며;
    상기 부재몸체(510)에는 상기 부재몸체(5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공구를 삽입하여 걸 수 있는 공구홈(512)이 부재몸체(510)의 둘레를 따라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고, 상기 상부로드(520)와 하부로드(530) 각각에 형성된 나사산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로드(520)와 하부로드(530)의 둘레에는 다수의 고정구멍(540)이 형성되어 고정구(550)를 통해 상기 상부로드(520) 및 하부로드(53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고정되고, 상기 고정구(550)는 상기 상부로드(520)가 끼워지는 상부걸이구(150)의 측단면을 관통하여 나사체결되는 형태로 조립되며, 상기 하부로드(530)가 끼워지는 하부걸이구(140)에서도 동일한 구조로 조립되고;
    상기 상부지주(400)에는 완철베이스(60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완철베이스(600)는 서포트(SPT)에 의해 고정지지되는 상부가 개방된 'U' 형상의 하부베이스(610)와,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절곡된 양단에 안쪽면에 돌출 형성된 끼움돌기(620)와,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면서 덮어지는 하부가 개방된 '∩' 형상의 상부베이스(630)와,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절곡된 양단 바깥면에 요입 형성되어 상기 끼움돌기(620)가 끼워지는 끼움홈(640)과,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상면 폭 중앙에 일체로 형성된 'T' 형상의 완철고정판(650)을 포함하며;
    상기 완철고정판(650)에는 완철(F)이 상기 완철고정판(650)의 길이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되고,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내부 바닥면 일측에는 작동실린더(700)가 더 고정되며, 상기 작동실린더(700)에는 실린더로드(710)가 돌출되고, 상기 실린더로드(710)의 선단에는 수직바(720)가 고정되며, 상기 하부베이스(610)의 바닥면에는 상기 실린더로드(710)의 유동거리와 대응되는 길이로 관통홀(730)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720)의 상단은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천정면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바(720)의 하단은 상기 관통홀(730)에 끼워져 움직일 수 있게 구성되어 상기 작동실린더(700)의 동작에 따라 상기 수직바(720)가 움직일 때 상기 하부베이스(610)는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610)에 대해 상기 상부베이스(630)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상부베이스(63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완철(F)을 위치가변시킬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하부베이스(610)와 상부베이스(630) 및 완철고정판(650)은 전기 절연성을 유지하면서 내구성도 갖추도록 1-클로로-2,3-에폭시프로페인 5중량%와, 메틸트리메톡시실란 5중량%와, 폴리비닐알코올 10중량%와, 실리콘수지 10중량%와,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2.5중량%와, 페트롤라툼(petrolatum) 1.5중량%와, 글래스파이버 5중량%와,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우즈 3중량%와, 모노글리세라이드 2중량% 및 나머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로 이루어진 조성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KR1020170172405A 2017-12-14 2017-12-14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KR101924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05A KR101924115B1 (ko) 2017-12-14 2017-12-14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405A KR101924115B1 (ko) 2017-12-14 2017-12-14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4115B1 true KR101924115B1 (ko) 2019-02-22

Family

ID=65584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405A KR101924115B1 (ko) 2017-12-14 2017-12-14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41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82B1 (ko) * 2021-08-19 2021-12-15 김달회 높이 조절형 내진 전신주
CN117039773A (zh) * 2023-10-08 2023-11-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信县供电公司 一种电缆搭建用位移调节支架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49Y1 (ko) * 2005-05-06 2005-08-17 동보케미칼산업(주) 탄성 반발 수단과 그네 줄 길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그네
KR100714999B1 (ko) 2006-11-15 2007-05-09 미래컨설턴트(주)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20100086151A (ko) * 2009-01-22 2010-07-30 박순동 풀림방지턴버클
KR101580277B1 (ko) * 2015-04-14 2015-12-24 (주)와이앤제이이앤씨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1583368B1 (ko) * 2015-10-05 2016-01-08 (주)이림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2649Y1 (ko) * 2005-05-06 2005-08-17 동보케미칼산업(주) 탄성 반발 수단과 그네 줄 길이 조절장치를 구비한 그네
KR100714999B1 (ko) 2006-11-15 2007-05-09 미래컨설턴트(주)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KR20100086151A (ko) * 2009-01-22 2010-07-30 박순동 풀림방지턴버클
KR101580277B1 (ko) * 2015-04-14 2015-12-24 (주)와이앤제이이앤씨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1583368B1 (ko) * 2015-10-05 2016-01-08 (주)이림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0182B1 (ko) * 2021-08-19 2021-12-15 김달회 높이 조절형 내진 전신주
CN117039773A (zh) * 2023-10-08 2023-11-10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信县供电公司 一种电缆搭建用位移调节支架
CN117039773B (zh) * 2023-10-08 2024-02-02 国网山东省电力公司阳信县供电公司 一种电缆搭建用位移调节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9934B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KR101707758B1 (ko) 파워 그리드의 송전선을 위한 합성의 탑 및 그의 합성의 크로스 암 구조물
KR101583368B1 (ko) 배전선로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전신주
KR101924115B1 (ko) 배전선로의 위치조절용 전신주 구조
KR20100032245A (ko) 송전용 철탑
EP3492674B1 (en) Cross arm for angle towers
WO2011026310A1 (en) Composite insulated tower for grid
US20200325700A1 (en)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electrical power lines
US20190115740A1 (en) Method for expanding the electrical transmission capacity of an overhead-line pylon system
WO2022099718A1 (zh) 挂线金具及具有挂线金具的t型复合绝缘横担
KR101560162B1 (ko) 배전선로용 조립식 전신주
KR100873519B1 (ko) 송배전용 케이블을 지지하는 라인포스트애자의 행거
CN205908090U (zh) 一种横担及耐张塔
KR20180134664A (ko) 전주 방호 커버 및 이를 전주에 설치하는 방법
KR100935939B1 (ko) 가공송전선용 송전선의 인입용 커넥터
CN201747107U (zh) 一种电网输电线用带斜拉杆的人字型绝缘塔
CN202405691U (zh) 导线绝缘支架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KR100968625B1 (ko) 배전용 전주 상부 지지대
KR200379386Y1 (ko) 송전선로 철탑용 현수 애자
CN106049959B (zh) 一种横担及耐张塔
CN221150904U (zh) 一种复合配电线路
CN2914427Y (zh) 特高压输电线路一字型耐张串
CN213905039U (zh) 一种支柱耐污绝缘子
RU2338282C1 (ru) Изолятор (вариант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