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722B1 -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722B1
KR102070722B1 KR1020190068485A KR20190068485A KR102070722B1 KR 102070722 B1 KR102070722 B1 KR 102070722B1 KR 1020190068485 A KR1020190068485 A KR 1020190068485A KR 20190068485 A KR20190068485 A KR 20190068485A KR 102070722 B1 KR102070722 B1 KR 102070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e
insulator
jumper wire
distribu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욱춘
Original Assignee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현전력기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30/00Structural details of PV modules other than those related to light conversion
    • H02S30/20Collapsible or foldable PV modu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배전선 간을 연결하는 점퍼선이 주변 강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그 지지 구성의 지지 작용을 통해 별다른 유동을 하지 않으면서 가공배전선에 대한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연결 부분이 지지되는 동시에 처짐 방지되면서 해당 가공배전선의 현수애자에 대한 연결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해당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접속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는 완철, 현수애자, 라인포스트애자, 점퍼선 지지 유닛, 점퍼선 바람막이 유닛,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 플렉시블 태양전지판, 열화상 카메라, 조류 감지 센서, 저장부, 제어부, 스피커 및 전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Installation struvture of insulator on the electric pole for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배전 기술 분야 중 가공배전선 간을 연결하는 점퍼선이 주변 강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그 지지 구성의 지지 작용을 통해 별다른 유동을 하지 않으면서 가공배전선에 대한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연결 부분이 지지되는 동시에 처짐 방지되면서 해당 가공배전선의 현수애자에 대한 연결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해당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접속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발생된 대전력은 송전탑 등의 송전선로를 통해 각 변전소로 송전된 다음. 변전소에서 여러 단계의 변압 과정을 거쳐 각 가정 또는 건물 등의 수용가로 배전된다.
그리고 배전은 전신주에 지지되는 가공배전선 또는 지중에 설치되는 지중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진다.
가공배전선을 이용하는 배전 구조 및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일반 수용가를 대상으로 가공배전선에 의한 전력 공급은 전신주에 애자를 매개로 고정된 가공배전선을 통해 이루어지고, 각 가공배전선은 점퍼선으로 연결된다.
부연 설명하면, 가공배전을 위한 전신주의 상부에는 통상 장주(혹은 “장주물”, 이하 “장주”라 함)가 설치된다. 상기 장주는 수평을 이루는 완철 및 완철에 설치되는 애자로 구성됨이 일반적이며, 가공배전선은 이러한 장주의 현수애자를 매개로 완철 및 전신주 상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각 가공배전선이 점퍼선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점퍼선은 완철의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설치되는 라인포스트애자를 통해 지지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가공배전 구조의 경우, 강풍의 영향으로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이 각각 유동하면서 해당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접속 부분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강풍에 의한 가동배전선의 유동으로 인해 해당 가공배전선 및 현수애자 간 연결 부분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해당 가공배전 구조에 대한 보다 잦은 보수 작업의 원인이 되는 동시에 수용가에 대한 전력 공급의 차질이 보다 빈번하게 발생되는 원인이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69889호(2016.10.28.공고.), “가공 배전선로 고정용 절연애자” 한국 등록특허 제10-1626147호(2016.05.31.공고.),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한국 등록특허 제10-162540호(2016.05.27.공고.), “가공배전선로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한 애자”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공배전선 간을 연결하는 점퍼선이 주변 강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그 지지 구성의 지지 작용을 통해 별다른 유동을 하지 않으면서 가공배전선에 대한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연결 부분이 지지되는 동시에 처짐 방지되면서 해당 가공배전선의 현수애자에 대한 연결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해당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접속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연결 부분에 대한 열화상이 지속적으로 획득되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원거리의 통합관제센터에 전송되면서 그 과열 현상 등 이상 여부가 지속적으로 감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조류 감지 센서의 조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스피커를 통해 매번 다른 음향정보 내지 음성정보가 송출되면서 조류 퇴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는, 전신주(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결합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나사삽입홀(110)이 형성되는 완철(100);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완철(100)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연결되기 위한 가공배전선(20)이 개별 연결되는 한 쌍의 현수애자(200); 상기 완철(1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현수애자(200)들에 연결된 상기 가공배전선(20)들의 연결을 위한 점퍼선(30)이 지지되는 라인포스트애자(300); 상기 완철(100)의 제1 나사삽입홀(110)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삽입홀(410), 상기 라인포스트애자(300)가 상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애자 삽입홀(420), 상기 애자 삽입홀(420)과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애자 삽입홀(420)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날개 결합홈(430) 및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점퍼선(30)의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통과되기 위한 전선통과홀(440)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기 전선통과홀(440) 및 상기 날개 결합홈(430)의 사이 그리고 타측의 상기 전선통과홀(440) 및 상기 날개 결합홈(430)의 사이에는 각각 전선 지지 포스트(45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선 지지 포스트(450)들 각각에는 상기 점퍼선(30)의 길이방향 일단이 통과되는 전선지지홀(451)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 결합홈(430)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나사결합홀(431)들이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전선통과홀(440) 및 전선지지홀(451)에는 상기 점퍼선(3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링(441,452)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애자 삽입홀(420)에 상기 라인포스트애자(300)를 삽입시킨 상태로 상기 제1 나사삽입홀(110) 및 제2 나사삽입홀(410)을 통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통해 상기 완철(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점퍼선 지지 유닛(400); 상기 날개 결합홈(430)의 원둘레를 기준으로 상호 간에 10°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50°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날개 결합홈(43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6개의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 각각은 하단부의 양측에 상기 나사결합홀(431)과 대응되는 관통홀(511a)을 형성한 결합날개부(51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511a)을 통해 상기 나사결합홀(431)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통해서 상기 날개 결합홈(430)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점퍼선(30) 및 가공배전선(20)이 연결되는 궤적상에 위치한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에는 상기 점퍼선(30)의 통과를 위해 상호 대칭되는 반원형 홀(5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 각각은 상기 날개 결합홈(430)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라인포스트애자(300)에 상기 점퍼선(30)이 지지된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는 높이로써 형성되는 점퍼선 바람막이 유닛(500);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하면에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은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610) 및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지지봉(610)들 중 어느 하나의 지지봉(610)에 고정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이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봉(610)에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 지지밴드(620)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600);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의 바깥쪽 일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별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복수의 플렉시블 태양전지판(700);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에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방향에 위치한 상기 가공배전선(20) 및 점퍼선(30) 간 연결 부위의 열화상을 획득하는 한 쌍의 열화상 카메라(810);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조류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되, 사전에 설정되는 감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 기능을 하는 조류 감지 센서(820); 조류를 쫓기 위한 복수의 음성정보 및 음향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830); 상기 열화상 카메라(810)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을 접속된 무선통신모듈(841)을 통해 원거리의 통합관제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조류 감지 센서(820)의 조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830)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되, 상기 감시 주기를 기준으로 조류 감지 신호의 1회 입력 시마다 이전에 출력된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로부터 다음 순서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상기 음성정보 및 음향정보의 검출 및 출력을 진행하는 제어부(840); 상기 제어부(840)의 제어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저장부(830)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를 외부 송출하도록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에 설치되는 스피커(850); 및 상기 플랙시블 태양전지판(700)을 통해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861)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지(861)의 전원을 상기 열화상 카메라(810), 조류 감지 센서(820), 저장부(830), 제어부(840) 및 무선통신모듈(841) 그리고 스피커(85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6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가공배전선 간을 연결하는 점퍼선이 주변 강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그 지지 구성의 지지 작용을 통해 별다른 유동을 하지 않으면서 가공배전선에 대한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연결 부분이 지지되는 동시에 처짐 방지되면서 해당 가공배전선의 현수애자에 대한 연결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해당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접속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공배전선 및 점퍼선 간의 연결 부분에 대한 열화상이 지속적으로 획득되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원거리의 통합관제센터에 전송되면서 그 과열 현상 등 이상 여부가 지속적으로 감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류 감지 센서의 조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스피커를 통해 매번 다른 음향정보 내지 음성정보가 송출되면서 조류 퇴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를 단위 바람막이 커버의 분리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발명에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를 단위 바람막이 커버의 분리 상태로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의 전기적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는 완철(100), 현수애자(200), 라인포스트애자(300), 점퍼선 지지 유닛(400), 점퍼선 바람막이 유닛(500),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600), 플렉시블 태양전지판(700), 열화상 카메라(810), 조류 감지 센서(820), 저장부(830), 제어부(840), 스피커(850) 및 전원공급부(8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완철(100)은 전신주(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결합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나사삽입홀(110)이 형성된다.
현수애자(200)는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완철(100)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이러한 현수애자(200)들에는 서로 연결되기 위한 가공배전선(20)이 개별 연결된다.
라인포스트애자(300)는 완철(1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라인포스트애자(300)는 현수애자(200)들에 연결된 가공배전선(20)들의 연결을 위한 점퍼선(30)이 지지된다.
점퍼선 지지 유닛(400)은 완철(100)의 제1 나사삽입홀(110)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삽입홀(410), 라인포스트애자(300)가 상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애자 삽입홀(420), 애자 삽입홀(420)과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애자 삽입홀(420)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날개 결합홈(430) 및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점퍼선(30)의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통과되기 위한 전선통과홀(440)이 형성된다. 여기서, 날개 결합홈(430)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나사결합홀(431)들이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전선통과홀(440)에는 점퍼선(3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링(441)이 결합된다.
또한, 점퍼선 지지 유닛(400)은 일측의 전선통과홀(440) 및 날개 결합홈(430)의 사이 그리고 타측의 전선통과홀(440) 및 날개 결합홈(430)의 사이에 각각 전선 지지 포스트(45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전선 지지 포스트(450)들 각각에는 점퍼선(30)의 길이방향 일단이 통과되는 전선지지홀(451)이 형성되고, 전선지지홀(451)에는 점퍼선(3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링(452)이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점퍼선 지지 유닛(400)은 애자 삽입홀(420)에 라인포스트애자(300)를 삽입시킨 상태로 제1 나사삽입홀(110) 및 제2 나사삽입홀(410)을 통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통해 완철(100)의 상면에 결합된다.
점퍼선 바람막이 유닛(500)은 날개 결합홈(430)의 원둘레를 기준으로 상호 간에 10°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50°의 길이를 가지면서 날개 결합홈(43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6개의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 각각은 하단부의 양측에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나사결합홀(431)과 대응되는 관통홀(511a)을 형성한 결합날개부(511)가 각각 형성되어 관통홀(511a)을 통해 나사결합홀(431)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통해서 날개 결합홈(430)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 중 점퍼선(30) 및 가공배전선(20)이 연결되는 궤적상에 위치한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에는 점퍼선(30)의 통과를 위해 상호 대칭되는 반원형 홀(512)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 각각은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날개 결합홈(430)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라인포스트애자(300)에 점퍼선(30)이 지지된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는 높이로써 형성된다.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600)은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하면에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600)들은 각각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610) 및 이러한 지지봉(610)들 중 어느 하나의 지지봉(610)에 길이방향의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이 다른 하나의 지지봉(610)에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 지지밴드(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선 지지밴드(620)가 그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형태로 길이방향의 일단을 어느 하나의 지지봉(6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구성은 벨트 및 버클의 결합 내지 복수의 체결홀 및 체결돌기의 구성 등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통해 다양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는바, 본 실시 예에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한다.
플랙시블 태양전지판(700)은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의 바깥쪽 일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별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한다.
열화상 카메라(800)는 점퍼선 지지 유닛(400)에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열화상 카메라(800)들 각각은 해당 방향에 위치한 가공배전선(20) 및 점퍼선(30) 간 연결 부위의 열화상을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조류 감지 센서(810)는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조류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되, 사전에 설정되는 감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조류 감지 센서(810)는 열감지센서, 물체 감지를 위한 반사센서 내지 수·발광소자 등 공지된 기술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실시 예에서는 열감지센서가 사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저장부(830)는 조류를 쫓기 위한 복수의 음성정보 및 음향정보가 저장된다.
제어부(840)는 열화상 카메라(810)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을 접속된 무선통신모듈(841)을 통해 원거리의 통합관제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840)는 조류 감지 센서(810)의 조류 감지 신호에 따라 저장부(830)의 음성정보내지 음향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되, 상술한 감시 주기를 기준으로 조류 감지 신호의 1회 입력 시마다 이전에 출력된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로부터 다음 순서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상기 음성정보 및 음향정보의 검출 및 출력을 진행한다.
스피커(850)는 제어부(840)의 제어를 통해 출력되는 저장부(830)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를 외부 송출하도록 점퍼선 지지 유닛(400)에 설치된다.
전원공급부(860)는 플랙시블 태양전지판(700)을 통해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861)를 포함하며, 이러한 충전지(861)의 전원을 열화상 카메라(810), 조류 감지 센서(820), 저장부(830), 제어부(840) 및 무선통신모듈(841) 그리고 스피커(850)에 공급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가공배전선(20) 간을 연결하는 점퍼선(30)이 점퍼선 바람막이 유닛(500)을 통해 외부의 강한 바람으로부터 보호되는 동시에 점퍼선 지지 유닛(400)을 통해 지지되면서 가공배전선(20)들과의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점퍼선(30)이 주변 강풍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지지 작용을 통해 별다른 유동을 하지 않으면서 가공배전선(20)에 대한 안정적인 접속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600)을 통해 가공배전선(20) 및 점퍼선(30) 간의 연결 부분이 지지되는 동시에 처짐 방지됨에 따라, 해당 가공배전선(20)의 현수애자(200)에 대한 연결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고, 이는 해당 가공배전선(20) 및 점퍼선(30) 간의 접속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또한, 점퍼선 지지 유닛(400)에 설치되는 열화상 카메라(810)의 열화상 정보를 기반으로 가공배전선(20) 및 점퍼선(30) 간 연결 부분의 과열 현상 등 이상 여부가 원거리의 통합관제센터에서 지속적으로 감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류 감지 센서(820)의 조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스피커(850)를 통해 매번 다른 음향정보 내지 음성정보가 송출되면서 조류 퇴치 기능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하여 저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전신주 20 : 가공배전선
30 : 점퍼선 100 : 완철
110 : 제1 나사삽입홀 200 : 현수애자
300 : 라인포스트애자 400 : 점퍼선 지지 유닛
410 : 제2 나사삽입홀 420 : 애자 삽입홀
430 : 날개 결합홈 431 : 나사결합홀
440 : 전선통과홀 441 : 탄성링
450 : 전선 지지 포스트 451 : 전선지지홀
452 : 탄성링 500 : 점퍼선 바람막이 유닛
510 : 단위 바람막이 커버 511 : 결합날개부
511a : 관통홀 512 : 반원형 홀
600 :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 610 : 지지봉
620 : 전선 지지밴드 700 : 플랙시블 태양전지판
810 : 열화상 카메라 820 : 조류 감지 센서
830 : 저장부 840 : 제어부
841 : 무선통신모듈 850 : 스피커
860 : 전원공급부 861 : 충전지

Claims (1)

  1. 전신주(10)의 상부에 수평 방향으로 위치되면서 결합되고,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1 나사삽입홀(110)이 형성되는 완철(100);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완철(100)의 양면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연결되기 위한 가공배전선(20)이 개별 연결되는 한 쌍의 현수애자(200);
    상기 완철(1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현수애자(200)들에 연결된 상기 가공배전선(20)들의 연결을 위한 점퍼선(30)이 지지되는 라인포스트애자(300);
    상기 완철(100)의 제1 나사삽입홀(110)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삽입홀(410), 상기 라인포스트애자(300)가 상방향으로 삽입되기 위한 애자 삽입홀(420), 상기 애자 삽입홀(420)과 동심원을 이루는 형태로 상기 애자 삽입홀(420)의 바깥쪽에 형성되는 날개 결합홈(430) 및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상기 점퍼선(30)의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통과되기 위한 전선통과홀(440)이 형성되고, 일측의 상기 전선통과홀(440) 및 상기 날개 결합홈(430)의 사이 그리고 타측의 상기 전선통과홀(440) 및 상기 날개 결합홈(430)의 사이에는 각각 전선 지지 포스트(450)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전선 지지 포스트(450)들 각각에는 상기 점퍼선(30)의 길이방향 일단이 통과되는 전선지지홀(451)이 형성되며, 상기 날개 결합홈(430)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나사결합홀(431)들이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고, 상기 전선통과홀(440) 및 전선지지홀(451)에는 상기 점퍼선(3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링(441,452)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애자 삽입홀(420)에 상기 라인포스트애자(300)를 삽입시킨 상태로 상기 제1 나사삽입홀(110) 및 제2 나사삽입홀(410)을 통한 볼트와 너트의 결합을 통해 상기 완철(100)의 상면에 결합되는 점퍼선 지지 유닛(400);
    상기 날개 결합홈(430)의 원둘레를 기준으로 상호 간에 10°의 간격을 유지하는 동시에 50°의 길이를 가지면서 상기 날개 결합홈(430)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6개의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를 포함하되,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 각각은 하단부의 양측에 상기 나사결합홀(431)과 대응되는 관통홀(511a)을 형성한 결합날개부(51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관통홀(511a)을 통해 상기 나사결합홀(431)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를 통해서 상기 날개 결합홈(430)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점퍼선(30) 및 가공배전선(20)이 연결되는 궤적상에 위치한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에는 상기 점퍼선(30)의 통과를 위해 상호 대칭되는 반원형 홀(5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들 각각은 상기 날개 결합홈(430)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라인포스트애자(300)에 상기 점퍼선(30)이 지지된 위치보다 높게 위치되는 높이로써 형성되는 점퍼선 바람막이 유닛(500);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하면에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각각은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봉(610) 및 길이방향의 일단이 상기 지지봉(610)들 중 어느 하나의 지지봉(610)에 고정 결합되고 길이방향의 타단이 다른 하나의 상기 지지봉(610)에 전체 길이의 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전선 지지밴드(620)를 포함하는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600);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의 바깥쪽 일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상기 단위 바람막이 커버(510)별 설치되어 태양광 발전을 하는 복수의 플렉시블 태양전지판(700);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에 가공배전선로의 설치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해당 방향에 위치한 상기 가공배전선(20) 및 점퍼선(30) 간 연결 부위의 열화상을 획득하는 한 쌍의 열화상 카메라(810);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의 상면에 설치되어 조류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되, 사전에 설정되는 감시 주기에 따라 주기적으로 감지 기능을 하는 조류 감지 센서(820);
    조류를 쫓기 위한 복수의 음성정보 및 음향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830);
    상기 열화상 카메라(810)를 통해 획득되는 열화상을 접속된 무선통신모듈(841)을 통해 원거리의 통합관제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며, 상기 조류 감지 센서(820)의 조류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부(830)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를 검출하여 출력하되, 상기 감시 주기를 기준으로 조류 감지 신호의 1회 입력 시마다 이전에 출력된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로부터 다음 순서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가 출력되는 방식으로 상기 음성정보 및 음향정보의 검출 및 출력을 진행하는 제어부(840);
    상기 제어부(840)의 제어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저장부(830)의 음성정보 내지 음향정보를 외부 송출하도록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에 설치되는 스피커(850); 및
    상기 플랙시블 태양전지판(700)을 통해 발전된 전기를 충전하는 충전지(861)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지(861)의 전원을 상기 열화상 카메라(810), 조류 감지 센서(820), 저장부(830), 제어부(840) 및 무선통신모듈(841) 그리고 스피커(850)에 공급하는 전원공급부(860)를 포함하며,
    상기 점퍼선(30)이 상기 점퍼선 바람막이 유닛(500)을 통해 외부의 바람으로부터 보호되는 동시에 상기 점퍼선 지지 유닛(400)을 통해 지지되면서 상기 가공배전선(20)들과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상기 가공배전선 지지 유닛(600)을 통해 상기 가공배전선(20) 및 상기 점퍼선(30) 간의 연결 부분이 지지되는 동시에 처짐 방지되며,
    상기 조류 감지 센서(820)의 조류 감지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피커(850)를 통해 매번 다른 음향정보 내지 음성정보가 송출되면서 조류 퇴치 기능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KR1020190068485A 2019-06-11 2019-06-11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KR102070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485A KR102070722B1 (ko) 2019-06-11 2019-06-11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8485A KR102070722B1 (ko) 2019-06-11 2019-06-11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0722B1 true KR102070722B1 (ko) 2020-01-29

Family

ID=69322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8485A KR102070722B1 (ko) 2019-06-11 2019-06-11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7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8464A (zh) * 2020-08-10 2020-12-11 福建浩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主动探测及视觉识别的驱鸟装置及方法
CN112290498A (zh) * 2020-11-19 2021-01-29 王梦卓 一种基于无线电波通讯的高空配电箱及其使用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540B1 (ko) 1994-08-19 1998-12-01 기다오까 다까시 P-mos 트랜지스터의 핫 캐리어 열화의 시뮬레이션 방법
KR20130023526A (ko) * 2011-08-29 2013-03-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로등 겸용 조류 퇴치기
KR20130046859A (ko) * 2011-10-28 2013-05-08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KR101625042B1 (ko) *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626147B1 (ko) 2016-03-15 2016-05-31 주식회사 해밀씨엠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101669889B1 (ko) 2016-06-20 2016-10-28 유성전기감리설계(주) 가공 배전선로 고정용 절연애자
KR101974485B1 (ko) * 2018-10-12 2019-05-03 성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2540B1 (ko) 1994-08-19 1998-12-01 기다오까 다까시 P-mos 트랜지스터의 핫 캐리어 열화의 시뮬레이션 방법
KR20130023526A (ko) * 2011-08-29 2013-03-0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가로등 겸용 조류 퇴치기
KR20130046859A (ko) * 2011-10-28 2013-05-08 한국전력공사 가공송전 선로용 점퍼선 횡진 제한 장치
KR101626147B1 (ko) 2016-03-15 2016-05-31 주식회사 해밀씨엠건축사사무소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101625042B1 (ko) * 2016-03-22 2016-05-27 김순자 가공배전을 위한 애자장치
KR101669889B1 (ko) 2016-06-20 2016-10-28 유성전기감리설계(주) 가공 배전선로 고정용 절연애자
KR101974485B1 (ko) * 2018-10-12 2019-05-03 성림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68464A (zh) * 2020-08-10 2020-12-11 福建浩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主动探测及视觉识别的驱鸟装置及方法
CN112290498A (zh) * 2020-11-19 2021-01-29 王梦卓 一种基于无线电波通讯的高空配电箱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0722B1 (ko) 배전선로의 전신주 애자 설치 구조
KR101303402B1 (ko) 부스바를 포함하는 풍력 에너지 시스템
KR101906564B1 (ko) 배전선 전주케이블 지지장치
KR102160999B1 (ko)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 시스템
KR101602369B1 (ko) 배전선로 전압 감시 시스템
CN101563818A (zh) 电气化吊顶框架
JP2009299689A (ja) バスバーを備えた風力発電システム
US9379550B2 (en) Methods, systems and apparatus for natural power collection and distribution
KR100892595B1 (ko) 건축단지 배전용 전주의 현수애자 지지대
US20120280570A1 (en)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installation
KR101842669B1 (ko) 배전선로 자동화 시스템
KR102213565B1 (ko) 배전선로 무인 통합관리시스템
KR101344927B1 (ko) 태양광을 이용한 장력조절식 배전선로 고정대
KR102013238B1 (ko) 전선케이블 연결이 용이한 레일식 경완금 연결구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CN107372456A (zh) 一种主机与电击极分体布置的太阳能电击型驱鸟装置
KR20150145426A (ko) 압전소자를 이용한 송전선로, 광복합가공지선 또는 선로용 구조물 감시 장치 및 그 감시 장치용 전원공급기
KR101974485B1 (ko) 감전의 위험성을 낮춘 가공배전선 고정용 지지완철
KR100788048B1 (ko) 송배전의 점퍼선 지지용 애자
KR102029360B1 (ko) 배전용 전신주와 전신주 간의 장력 유지 장치
CN207136060U (zh) 一种主机与电击极分体布置的太阳能电击型驱鸟装置
CN208299375U (zh) 一种室内电缆桥架
KR101150437B1 (ko) 전주 상부 지지대
AU2010221729A1 (en) Wire-based hanging wire-way for photovoltaic modules or module groups
KR20120088433A (ko) 이도 조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