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154B1 -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 Google Patents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154B1
KR100960154B1 KR1020090077218A KR20090077218A KR100960154B1 KR 100960154 B1 KR100960154 B1 KR 100960154B1 KR 1020090077218 A KR1020090077218 A KR 1020090077218A KR 20090077218 A KR20090077218 A KR 20090077218A KR 100960154 B1 KR100960154 B1 KR 100960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 bar
bracket
fixed
slide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나이스기술단
Priority to KR102009007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5/00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 G01G5/04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with means for measuring the pressure imposed by the load on a liquid
    • G01G5/045Weighing apparatus wherein the balancing is effected by fluid action with means for measuring the pressure imposed by the load on a liquid combined with means for totalising the pressure imposed by several load-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철탑본체(F)와;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12)이 형성된 고정부(11)가 전면에 구비되며 철탑본체(F)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브라켓(10)의 결합공(12)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브라켓(10)의 고정부(11) 외부 하부로 노출되는 체결부(21a1)와,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측방으로 형성된 걸림홈(g)이 구비된 수용부(21a2)를 갖춘 본체(21a)와, 본체(21a)의 걸림홈(g)에 삽입되는 돌부(e)가 구비되어, 수용부(21a2)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1b1)를 갖춘 회전부(21b)와, 외부로 노출된 체결부(21a1)의 하단과 나사산결합되어 체결부(21a1)를 고정하는 너트(21c)로 구성된 나사부재(21)와, 측방으로 돌출되며 곡률반경과 깊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물림홈(22a1)이 둘레부에 형성된 돌출부(22a)를 갖추고서, 나사부재(21)의 회전부(21b)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지지대(2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지지바(20)와; 일단이 수용부(21a2)에 고정되고 타단이 삽입부(21b1)에 고정되어, 회전부(21b)를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S)과; 지지대(22)의 돌출부(22a)에 끼움결합되는 오목부(31)를 갖추고서, 지지바(20)의 지지대(22)에 직선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절연재질의 슬라이드블록(30)과; 슬라이드블록(3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푸쉬아암(41)과, 일단부가 푸쉬아암(4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대(22)에 힌지결합된 연결아암(42)과, 연결아암(42)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43a)를 갖추고서, 푸쉬아암(41)에 고정되는 핸들(43)로 구성된 절연재질인 고정 기구(40)와; 나사부재 본체(21a)의 수용부(21a2)에 설치되며, 토션스프링(S)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PS)와; 브라켓(10)의 고정부(11)에 설치되는 발광유닛(L)과; 압력감지센서(PS) 및 발광유닛(L)을 작동제어하며, 압력감지센서(PS)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토션스프링(S)이 기준값 이상 압력을 받고 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발광유닛(L)를 점등하는 제어유닛(C)을 포함하여, 철탑이 안정적으로 관리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Steel Tower}
본 발명은 접지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탑은 송전용 가공전선을 지지한다. 이때, 가공전선과 연결되는 접지선이 철탑을 따라 하방으로 인출되어, 지면에 접지된다.
한편, 이러한 접지선은, 강한 바람이 불면, 심하게 흔들려, 단선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로 인해 그 기능을 원활히 실시할 수 없었다.
따라서, 상기 송전용 가공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은 물론, 접지선이 안정적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철탑이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전용 가공전선을 안정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접지선이 안정적으로 기능하도록 하는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설치되는 철탑본체(F)와;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12)이 형성된 고정부(11)가 전면에 구비되며 철탑본체(F)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브라켓(10)의 결합공(12)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브라켓(10)의 고정부(11) 외부 하부로 노출되는 체결부(21a1)와,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측방으로 형성된 걸림홈(g)이 구비된 수용부(21a2)를 갖춘 본체(21a)와, 본체(21a)의 걸림홈(g)에 삽입되는 돌부(e)가 구비되어, 수용부(21a2)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1b1)를 갖춘 회전부(21b)와, 외부로 노출된 체결부(21a1)의 하단과 나사산결합되어 체결부(21a1)를 고정하는 너트(21c)로 구성된 나사부재(21)와, 측방으로 돌출되며 곡률반경과 깊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물림홈(22a1)이 둘레부에 형성된 돌출부(22a)를 갖추고서, 나사부재(21)의 회전부(21b)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지지대(2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지지바(20)와; 일단이 수용부(21a2)에 고정되고 타단이 삽입부(21b1)에 고정되어, 회전부(21b)를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S)과; 지지대(22)의 돌출부(22a)에 끼움결합 되는 오목부(31)를 갖추고서, 지지바(20)의 지지대(22)에 직선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절연재질의 슬라이드블록(30)과; 슬라이드블록(3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푸쉬아암(41)과, 일단부가 푸쉬아암(4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대(22)에 힌지결합된 연결아암(42)과, 연결아암(42)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43a)를 갖추고서, 푸쉬아암(41)에 고정되는 핸들(43)로 구성된 절연재질인 고정기구(40)와; 나사부재 본체(21a)의 수용부(21a2)에 설치되며, 토션스프링(S)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PS)와; 브라켓(10)의 고정부(11)에 설치되는 발광유닛(L)과; 압력감지센서(PS) 및 발광유닛(L)을 작동제어하며, 압력감지센서(PS)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토션스프링(S)이 기준값 이상 압력을 받고 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발광유닛(L)를 점등하는 제어유닛(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압력감지센서를 매개로 지지바의 작동상태를 즉시 확인할 수 있어, 철탑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관리자가 지지바의 고장에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은, 지면에 설치되며, 별도의 애자(미도시)를 매개로 가공전선을 지지하는 철탑본체(F)와; 철탑본체(F)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브라켓(10)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 전가능하면서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연재질의 지지바(20)와; 지지바(20)에 내설되는 토션스프링(S)과, 지지바(20)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는 절연재질의 슬라이드블록(30)과; 슬라이드블록(30)에 연결되어 슬라이드블록(30)을 전후진시키는 절연재질의 고정기구(40)와; 지지바(20)의 작동상태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PS)와; 지지바(20)의 이상을 나타내는 발광유닛(L)과; 압력감지센서(PS) 및 발광유닛(L)을 작동제어하는 제어유닛(C)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10)은 도시안된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주택의 철탑본체(F)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전면에는 고정부(11)가 돌출형성되고, 고정부(11)에는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1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20)는, 브라켓(10)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부재(21)와, 나사부재(21)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긴 막대형상의 지지대(22)로 구성된다.
상기 나사부재(21)는, 브라켓(10)의 결합공(12)에 삽입되는 본체(21a)와, 본체(21a)에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21b)와, 본체(21a)와 나사결합되는 너트(21c)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21a)는, 브라켓(10)의 결합공(12)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브라켓(10)의 고정부(11) 외부 하부로 노출되는 체결부(21a1)와,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측방으로 형성된 걸림홈(g)이 구비된 수용부(21a2)를 갖춘다.
상기 회전부(21b)는, 본체(21a)의 걸림홈(g)에 삽입되는 돌부(e)가 구비되어, 수용부(21a2)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1b1)를 갖춘다.
상기 너트(21c)는, 외부로 노출된 체결부(21a1)의 하단과 나사산결합되어 체결부(21a1)를 고정한다.
상기 지지대(22)는, 측방으로 돌출되며 접지선(1)이 걸리는 다수의 물림홈(22a1)이 둘레부에 형성된 돌출부(22a)를 갖추고서, 나사부재(21)의 회전부(21b)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다. 이때, 돌출부(22a)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부에 다수개의 물림홈(22a1)이 오목하게 형성된 것으로, 각 물림홈(22a1)은 곡률반경과 깊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물림홈(22a1)에 서로 다른 직경 또는 형태의 접지선(1)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토션스프링(S)은, 일단이 수용부(21a2)의 걸림홈(g)에 고정되고, 타단이 삽입부(21b1)의 돌부(e)에 고정되어, 회전부(21b)를 탄발지지한다. 따라서, 지지대(22)에 수평력이 작용하더라도 지지대(22)는 충분한 완충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은, 전후로 관통되어, 지지바(20)가 끼워지는 관통공(30a)이 형성되어, 지지대(22)에 직선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전방 일측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22a)의 둘레부에 끼움결합되는 오목부(31)가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때, 오목부(31)는 전방으로 개구되며, 내부 둘레면은 상기 돌출부(22a)의 둘레면과의 형태에 대응되게 오목하게 형성되어, 슬라이드블록(30)이 전진되면 오목부(31)의 내부에 돌출부(22a)가 끼워지므로써, 돌출부(22a)의 물림홈(22a1)에 걸려진 접지선(1)의 둘레면이 오목부(31)의 내측면에 의해 가압되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고정기구(40)는 선단부가 슬라이드블록(30)의 후방 상면에 상하방향으 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푸쉬아암(41)과, 일단부가 푸쉬아암(4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대(22)의 타단부 상면에 힌지결합된 연결아암(42)과, 푸쉬아암(41)의 후단에 구비된 핸들(43)로 이루어져, 작업자가 핸들(43)을 이용하여 푸쉬아암(41)을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도 1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쉬아암(41)과 연결아암(42)의 링크작용에 의해 슬라이드블록(30)이 전후진되며, 작업자가 핸들(43)을 완전히 눌러 상기 푸쉬아암(41)과 연결아암(42)이 일직선으로 펴지면 슬라이드블록(30)이 완전히 전진되어 돌출부(22a)의 외부에 결합된다. 이때, 핸들(43)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면에 연결아암(42)의 상부면이 삽입고정되는 결합홈(43a)이 형성되어, 핸들(43)을 눌려 푸쉬아암(41)과 연결아암(42)이 일직선으로 펴지면 연결아암(42)의 상면이 핸들(43)의 결합홈(43a)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바(20)와 슬라이드블록(30) 및 고정기구(40)는 절연체인 경질의 합성수지로 구성된다.
상기 압력감지센서(PS)는,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것으로, 제어유닛(C)에 의해 작동제어되며, 나사부재 본체(21a)의 수용부(21a2)에 배치되어, 토션스프링(S)의 압력변화를 감지한다. 이때, 압력감지센서(PS)에 기준값 이상의 압력이 작용하면 비정상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압력감지센서(PS)는, 통상의 로드셀이 사용될 수 있으며, 토션스프링(S)의 압력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하다.
상기 발광유닛(L)은, 빛을 발하는 통상의 것으로, 브라켓 고정부(11)의 전면 에 설치되며, 제어유닛(C)에 의해 작동제어 점등된다. 이때, 발광유닛(L)은 지지바(20)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점등 시 지지바(2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 제어유닛(C)은, 브라켓 고정부(11)의 전면에 설치되며, 압력감지센서(PS)로부터 비정상신호가 입력되면 발광유닛(L)을 점등시킨다.
이와같이 구성된 고정대를 이용하여 전봇대에서 분기된 가공전전을 철탑본체(F)에 고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핸들(43)을 상측으로 들어올려 상기 슬라이드블록(30)이 후퇴되도록 한 상태에서, 돌출부(22a)를 접지선(1)의 중간부에 걸고 핸들(43)을 하측으로 누르면,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블록(30)이 전진되면서 접지선(1)을 밀어 돌출부(22a)의 물림홈(22a1)에 접지선(1)이 감기며, 슬라이드블록(30)이 완전히 전진되어 오목부(31)가 돌출부(22a)의 외부에 끼워지면서 접지선(1)이 돌출부(22a)와 슬라이드블록(30)의 사이에 끼워 고정된다. 이때, 작업자는 접지선(1)의 지름이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물림홈(22a1)에 감기도록 한다.
그리고, 이와같이 상기 지지바(20)의 선단부에 접지선(1)이 고정되면, 작업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2)의 후단을 잡고, 지지바(20)의 나사부재(21)의 본체(21a)를 브라켓(10)의 고정부(11)에 형성된 결합공(12)에 끼워넣은 후, 너트(21c)를 본체(21a)의 체결부(21a)와 나사결합시키면, 도 10과 같이 접지 선(1)이 철탑본체(F)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접지선(1)이 브라켓(10)에 고정되면, 나사부재(21)의 회전부(21b)가 토션스프링(S)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되어, 나사부재(21)의 회전부(21b)와 연결되는 지지대(22)가 일방향으로 탄발지지된다.
이때, 상기 압력감지센서(PS)는 토션스프링(S)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토션스프링(S)에 가해지는 압력이 기준값을 벗어나면 비정상신호를 출력하고, 제어유닛(C)이 비정상신호를 수신하면, 발광유닛(L)을 점등시킨다. 따라서, 철탑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관리자가 발광유닛(L)의 점등을 보고 토션스프링(S)의 작동에 문제가 생긴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는, 지지바(20)를 분리한 상태로 지지바(20)의 돌출부(22a)에 접지선(1)을 걸고 핸들(43)을 누르면 슬라이드블록(30)이 전진되어 접지선(1)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접지선(1)을 고정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바(20)는, 브라켓(1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지지바(20)의 후단부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길게 늘어져 있는 접지선(1)의 중간부에 돌출부(22a)를 건 후 핸들(43)을 눌러 슬라이드블록(30)을 전진시켜 접지선(1)을 고정한 후, 지지바(20)의 후단부를 브라켓(10)의 결합공(12)에 고정하므로써, 접지선(1)의 고정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접지선(1)을 직접 만지지 않고도 지지바(20)와 핸들(43)만을 조작하여 접지선(1)을 고정할 수 있을 뿐 아니 라, 지지바(20)와 슬라이드블록(30) 및 고정기구(40)가 절연체로 이루어지므로, 활선상태에서 고정대를 교체하거나 고정대에 활선상태인 접지선(1)을 고정할 때 감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지지바(20)의 이상유무를 신속히 확인할 수 있어, 지지바(20)의 이상에 대해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지지바(20)의 작동상태를 항상 정상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바(20)가 브라켓(10)에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므로, 바람 등에 접지선(1)이 요동칠 때 지지바(20)가 이에 추종하여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지지바(20) 또는 브라켓(1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토션스프링(S)이, 지지바(20)가 수평으로 회전할 시 지지바(20)에 완충력을 제공해, 접지선(1)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접지선(1)이 단선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22a)에 형성된 물림홈(22a1)은 각각 곡률반경과 깊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상기 물림홈(22a1)에 서로 다른 직경 또는 형태의 접지선(1)을 걸어 고정할 수 있으므로, 접지선(1)의 직경이나 형태에 따라 다른 물림홈(22a1)에 접지선(1)을 걸어 고정하므로써, 접지선(1)이 물림홈(22a1)에 비해 두꺼워 접지선(1)이 돌출부(22a)의 외부로 돌출되므로 슬라이드블록(30)이 돌출부(22a)에 잘 끼워지지 않거나, 접지선(1)이 얇아 접지선(1)이 돌출부(22a)와 슬라이드블록(30)의 사이에 고정되지 못하고 빠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핸들(43)의 하측면에 연결아암(42)의 상부면이 삽입고정되는 결합홈(43a)이 형성된 반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푸쉬아암(41)과 연결아암(42)이 일직선으로 펴질 때 핸들(43)이 연결아암(42)의 상면에 결합되어 연결아암(42)과 푸쉬아암(41)의 연결부위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고정하므로,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연결아암(42)과 푸쉬아암(41)이 구부러져 슬라이드블록(30)이 후퇴되어, 접지선(1)의 고정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핸들(43)이 연결아암(42)의 외부면에 밀착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부위를 최소화하므로써, 작업중 측방향으로 핸들(43)이 돌출되어 작업자의 옷 등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개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바(20)를 브라켓(1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지지바(20)에 접지선(1)을 고정하고, 접지선(1)이 고정된 지지대(22)를 브라켓(10)에 결합하여 접지선(1)을 철탑본체(F)에 고정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지지바(22)를 브라켓(10)에 고정한 상태에서, 지지대(22)에 접지선(1)을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지지바(22)는 나사부재(21)를 중심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지지바(22)를 접지선(1)의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어서, 접지선(1)을 손쉽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접지선(1)을 적용대상으로 하였지만, 철탑본체(F)에 설치되는 전선이면 어떤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의 구성요소를 상세히 나타낸 상세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를 도시한 부분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단면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간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의 사용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Claims (1)

  1. 지면에 설치되는 철탑본체(F)와;
    상하로 관통된 결합공(12)이 형성된 고정부(11)가 전면에 구비되며 철탑본체(F)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브라켓(10)의 결합공(12)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이 브라켓(10)의 고정부(11) 외부 하부로 노출되는 체결부(21a1)와, 상부가 개구되며 하부에 측방으로 형성된 걸림홈(g)이 구비된 수용부(21a2)를 갖춘 본체(21a)와, 본체(21a)의 걸림홈(g)에 삽입되는 돌부(e)가 구비되어, 수용부(21a2)에 수평회전가능하게 삽입고정되는 삽입부(21b1)를 갖춘 회전부(21b)와, 외부로 노출된 체결부(21a1)의 하단과 나사산결합되어 체결부(21a1)를 고정하는 너트(21c)로 구성된 나사부재(21)와, 측방으로 돌출되며 곡률반경과 깊이가 서로 다른 다수의 물림홈(22a1)이 둘레부에 형성된 돌출부(22a)를 갖추고서, 나사부재(21)의 회전부(21b)에 상하로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지지대(22)로 구성된 절연재질의 지지바(20)와;
    일단이 수용부(21a2)에 고정되고 타단이 삽입부(21b1)에 고정되어, 회전부(21b)를 탄발지지하는 토션스프링(S)과;
    지지대(22)의 돌출부(22a)에 끼움결합되는 오목부(31)를 갖추고서, 지지바(20)의 지지대(22)에 직선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절연재질의 슬라이드블록(30)과;
    슬라이드블록(3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된 푸쉬아암(41)과, 일단부가 푸 쉬아암(41)에 힌지결합되고 타단부가 지지대(22)에 힌지결합된 연결아암(42)과, 연결아암(42)에 삽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43a)를 갖추고서, 푸쉬아암(41)에 고정되는 핸들(43)로 구성된 절연재질인 고정기구(40)와;
    나사부재 본체(21a)의 수용부(21a2)에 설치되며, 토션스프링(S)의 압력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센서(PS)와;
    브라켓(10)의 고정부(11)에 설치되는 발광유닛(L)과;
    압력감지센서(PS) 및 발광유닛(L)을 작동제어하며, 압력감지센서(PS)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토션스프링(S)이 기준값 이상 압력을 받고 있다는 신호가 입력되면, 발광유닛(L)를 점등하는 제어유닛(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KR1020090077218A 2009-08-20 2009-08-20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KR100960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18A KR100960154B1 (ko) 2009-08-20 2009-08-20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218A KR100960154B1 (ko) 2009-08-20 2009-08-20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0154B1 true KR100960154B1 (ko) 2010-05-28

Family

ID=42282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218A KR100960154B1 (ko) 2009-08-20 2009-08-20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01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581B1 (ko) * 2018-01-25 2018-10-11 (주)중앙기술단 특고압 배전철탑의 접지장치
KR102005850B1 (ko) 2019-01-22 2019-07-31 진종신 특고압 송배전선로의 지지철탑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9301A (ko) * 1991-08-28 1991-11-30 이의근 단자함 및 케이블 인입 벽철
JPH1023645A (ja) 1996-07-03 1998-01-23 Nippon Chikou Kk 電力供給低圧引込線用ブァッファ
JPH1042440A (ja) 1996-07-19 1998-02-13 Daido Denki Kogyo Kk 低圧引込線用絶縁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9301A (ko) * 1991-08-28 1991-11-30 이의근 단자함 및 케이블 인입 벽철
JPH1023645A (ja) 1996-07-03 1998-01-23 Nippon Chikou Kk 電力供給低圧引込線用ブァッファ
JPH1042440A (ja) 1996-07-19 1998-02-13 Daido Denki Kogyo Kk 低圧引込線用絶縁クランプ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6581B1 (ko) * 2018-01-25 2018-10-11 (주)중앙기술단 특고압 배전철탑의 접지장치
KR102005850B1 (ko) 2019-01-22 2019-07-31 진종신 특고압 송배전선로의 지지철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50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CN101562958A (zh) 理线装置
NO20111074A1 (no) Verktøy for håndtering av en beskyttelsesanordning for en subsea konnektor
KR101906581B1 (ko) 특고압 배전철탑의 접지장치
CN107591651A (zh) 一种新型切割设备
KR100960154B1 (ko) 송전용 가공전선 지지철탑
JP4959416B2 (ja) 引下線用コネクタ
KR100931710B1 (ko) 송전선의 배선위치 조정식 전선라인 고정대
KR100873746B1 (ko) 배전선의 절연형 지지애자
KR100865356B1 (ko) 배전선로 지지형 애자
KR101355102B1 (ko)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KR102005850B1 (ko) 특고압 송배전선로의 지지철탑
CN210296666U (zh) 一种带智能状态显示接地线
US11177716B2 (en) Brush holder for electrical contact brushes
CN103848367A (zh) 卷扬钢丝绳防过放方法、装置及卷扬机
CN103995085A (zh) 一种电力管道缺陷检测装置
KR200395697Y1 (ko) 산업용 로봇의 케이블 안내장치
CN104377589A (zh) 一种金具螺栓地电位装卸方法
CN206180542U (zh) 可调线路导线间隔棒
KR20110003503U (ko) 케이블 포설기구
KR102390667B1 (ko)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KR20070002229A (ko) 소화전 밸브용 개폐감지장치
CN104183980B (zh) 一种防插头脱落的插座结构
CN209016611U (zh) 一种配电柜电缆固定卡件
KR101232338B1 (ko) 지중배전케이블의 배전연결을 위한 배전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