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997B1 -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 Google Patents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997B1
KR102507997B1 KR1020230021465A KR20230021465A KR102507997B1 KR 102507997 B1 KR102507997 B1 KR 102507997B1 KR 1020230021465 A KR1020230021465 A KR 1020230021465A KR 20230021465 A KR20230021465 A KR 20230021465A KR 102507997 B1 KR102507997 B1 KR 1025079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rack
voltage
low
rack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29733A (ko
Inventor
소병춘
이창열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3002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9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2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9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4Arrangements for interchanging inductances, transformers or co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6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변압기의 교체 시 종래에 활용되었던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와 바이패스케이블을 배제한 상태에서 전주의 일측에 거치대(10)를 매개로 설치되는 다수의 양방향 저압랙크(30)에 의해 A, B, C, N상의 저압 케이블(1)과 임시 케이블(3)을 연결하여 무정전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압작업의 간소화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시공시간 단축은 물론 노무비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STRUCTURE OF BI-DIRECTIONAL LOW-VOLTAGE RACK}
본 발명은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변압기 교체 시 양방향 저압 랙크에 의해 A, B, C, N상의 저압 케이블과 임시 케이블을 연결하여 무정전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 배전선로에는 가정용이나 산업용의 각종 설비에 전력을 공급할 때 발전소로부터 송전선을 통해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1차 측)을 가정용이나 산업용의 각종 설비에 적합한 220V/380V의 저압(2차 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 지상변압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지상변압기 중 특고압이 공급되는 1차측 특고압 케이블의 단부에 엘보접속재가 연결되고, 이 엘보접속재는 1차측 부싱에 연결된다. 또한, 저압이 공급되는 2차 케이블의 단부에 연결단자가 연결되고, 이 연결단자는 2차측 부싱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저압케이블이 연결되는 2차측 연결단자는 부싱과 일체로 결합한 형태의 일체형과 부싱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구분된다.
또한, 이렇게 설치된 지상변압기는 노후화나 과부하에 의하여 변압기에 이상(고장)이 발생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변압기로 교체하여야 하는데, 이때 1, 2차 측 부싱에서 특고압 케이블과 저압 케이블을 각각 분리한 형태로 지상 변압기를 교환하게 된다.
특히 지상변압기의 분리 시 변압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일시 정전상태에서 변압기를 교환하거나 변압기의 전원을 활선 상태로 계속 접속 연결하여 수용가로 전원을 계속 공급하는 상태에서 변압기를 교환한다.
이때, 아파트, 빌딩 등의 단체 수용가에서는 특고압 수전설비를 갖추고 개별적으로 전기를 공급하고 있지만, 전기설비 고장 시 전체 또는 일부 동이 정전이 발생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장시간 정전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장시간 정전 시 임시전력공급을 위하여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를 동원하게 되고,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의 2차 케이블과 정전중인 건물의 저압 분전반과의 사이에 저압케이블을 설치하게 된다.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는 운전 중인 변압기를 교체 및 이설할 경우에, 저압 수용가에 전력을 공급하는 무정전 작업을 수행하거나, 소손 또는 불량 변압기 발생 시 임시 긴급 복구용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된 무정전 공법 전용 차량이다.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의 2차 케이블의 헤드와 정전중인 건물의 저압 분전반까지 설치된 저압케이블 연결 시 별도의 연결단자대가 없을 경우에 전주 1본 및 저압 랙크 등과 같은 임시 전력공급설비를 공사하여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전주와 같은 임시 전력공급설비 공사는 많은 장비와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많은 공사비가 소요되어 신속한 전력공급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의 2차 케이블의 헤드가 외부 충격에 의해 체결상태가 쉽게 풀리는 경우가 있어 정전이 재발생되는 사례가 발생하여 더 큰 민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를 활용할 때 바이패스케이블 간접활선작업 등 시공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복잡한 공정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있고, 노무비가 과다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9-0030585호(1999.05.06.)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변압기의 교체 시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와 바이패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는 고압작업의 간소화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시공시간 단축은 물론 노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는, 전주에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랙크케이스; 상기 랙크케이스 내의 중앙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는 좌측 및 우측 연결단자; 상기 랙크케이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와 우측 연결단자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스위치부; 저압케이블의 충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랙크케이스의 좌측에 개방된 관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와 접속되는 금속제의 좌측 접속단자; 및 임시케이블의 충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랙크케이스의 우측에 개방된 관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우측 연결단자와 접속되는 금속제의 우측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수의 랙크케이스의 내경에는 암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수의 랙크케이스는 후방 중앙이 브래킷을 매개로 상기 거치대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다수의 랙크케이스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는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스위치부는, 상기 랙크케이스의 정면 중앙을 관통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노브; 및 상기 랙크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노브의 끝단과 고정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와 우측 연결단자를 동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측 연결단자는, 상기 랙크케이스의 한쪽 끝단을 통해 상기 랙크케이스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는 제1 나사봉; 및 상기 제1 나사봉의 안쪽단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우측 연결단자는, 상기 랙크케이스의 한쪽 끝단을 통해 상기 랙크케이스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는 제1 나사봉; 및 상기 제1 나사봉의 안쪽단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좌측 접속단자는, 상기 랙크케이스의 한쪽 끝단을 통해 상기 랙크케이스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의 상기 제1 나사봉과 접속되는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2 나사봉의 바깥단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저압케이블의 충전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압축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우측 접속단자는, 상기 랙크케이스의 한쪽 끝단을 통해 상기 랙크케이스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의 상기 제1 나사봉과 접속되는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2 나사봉의 바깥단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임시케이블의 충전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압축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변압기의 교체 시 종래에 활용되었던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와 바이패스케이블을 배제한 상태에서 전주의 일측에 거치대를 매개로 설치되는 다수의 양방향 저압랙크에 의해 A, B, C, N상의 저압 케이블과 임시 케이블을 연결하여 무정전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압작업의 간소화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시공시간 단축은 물론 노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와 바이패스케이블 간접활선작업을 활용한 변압기 교체 작업상태의 현장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저압 랙크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저압 랙크에 저압 케이블 및 임시 케이블을 연결할 때 사용되는 접속슬리브의 사용 전과 사용 후를 각각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저압 랙크에 저압 케이블과 임시 케이블이 임시 연결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저압 랙크에 저압 케이블과 임시 케이블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저압 랙크에 저압 케이블과 임시 케이블이 연결된 전체 시공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는, 전주에 설치되는 절연체의 거치대(10); 상기 거치대(10)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어 좌측 끝단을 통해 삽입되는 저압케이블(1)의 충전부와 우측 끝단을 통해 삽입되는 임시케이블(3)의 충전부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다수의 양방향 저압랙크(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다수의 양방향 저압랙크(30)는, 다수의 절연체의 랙크케이스(32); 상기 랙크케이스(32) 내의 중앙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는 금속제의 좌측 및 우측 연결단자(50a)(50b);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50a)와 우측 연결단자(50b)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스위치부(40); 저압케이블(1)의 충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좌측에 개방된 관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50a)와 접속되는 금속제의 좌측 접속단자(60a); 및 임시케이블(3)의 충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우측에 개방된 관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우측 연결단자(50b)와 접속되는 금속제의 우측 접속단자(60b)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랙크케이스(32)의 내경에는 상기 좌측 및 우측 연결단자(50a)(50b)와 상기 좌측 및 우측 접속단자(60a)(60b)가 나사 결합에 의해 상기 랙크케이스(32)의 내부 일정 깊이까지 이동되어 결합되도록 암나사면(32a)이 형성된 절연체의 파이프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다수의 랙크케이스(32)는 후방 중앙이 절연체의 브래킷(20)을 매개로 상기 거치대(10)의 정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다수의 랙크케이스(32)의 좌측 및 우측 끝단에는 절연체의 덮개(34)가 설치되고, 상기 덮개(34)는 여닫이식으로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좌측 및 우측 끝단측 내경을 각각 개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부(40)는,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정면 중앙을 관통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절연체의 노브(42); 및 상기 랙크케이스(32) 내부에서 상기 노브(42)의 끝단과 고정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50a)와 우측 연결단자(50b)를 동시 연결 또는 분리하는 금속제의 회전판(44)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판(44)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노브(42)를 일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판(44)의 가장자리 일부가 상기 좌측 연결단자(50a)의 돌기부(54a)와 우측 연결단자(50b)의 돌기부(54b)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전원공급을 차단하도록 180도 간격을 두고 대칭되는 오목형상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및 우측 연결단자(50a)(50b)와 좌측 및 우측 접속단자(60a)(60b)는 전도성은 좋은 구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연결단자(50a)는, 상기 랙크케이스(32)의 한쪽 끝단을 통해 상기 암나사면(32a)을 타고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는 제1 나사봉(52a); 및 상기 제1 나사봉(52a)의 안쪽단 중앙에 상기 제1 나사봉(5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40)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돌기부(54a)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 연결단자(50b)는, 상기 랙크케이스(32)의 다른쪽 끝단을 통해 상기 암나사면(32a)을 타고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일정 깊이까지 각각 삽입되는 제1 나사봉(52b); 및 상기 제1 나사봉(52b)의 안쪽단 중앙에 상기 제1 나사봉(5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40)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돌기부(54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나사봉(52a)과 제1 나사봉(52b)은 직경 및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면(32a)을 타고 이동되도록 수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기부(54a)(54b)는 상기 스위치부(40)의 회전판(44)과 접촉면적을 높이도록 둘레를 사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접속단자(60a)는, 상기 랙크케이스(32)의 한쪽 끝단을 통해 상기 암나사면(32a)을 타고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50a)의 상기 제1 나사봉(52a)과 접속되는 제2 나사봉(62a); 및 상기 제2 나사봉(62a)의 바깥단 중앙에 상기 제2 나사봉(6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저압케이블(1)의 충전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압축하는 슬리브(64a)를 포함한다.
상기 우측 접속단자(60b)는, 상기 랙크케이스(32)의 다른쪽 끝단을 통해 상기 암나사면(32a)을 타고 상기 랙크케이스(32)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상기 우측 연결단자(50b)의 상기 제1 나사봉(52b)과 접속되는 제2 나사봉(62b); 및 상기 제2 나사봉(62b)의 바깥단 중앙에 상기 제2 나사봉(6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임시케이블(3)의 충전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압축되는 슬리브(64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나사봉(62a)과 제2 나사봉(62b)은 직경 및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암나사면(32a)을 타고 이동되도록 수나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리브(64a)(64b)는 직경 및 길이가 동일한 캡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수의 양방향 저압 랙크(30)를 이용하여 A, B, C, N상의 저압 케이블(1)과 임시 케이블(3)을 연결하여 무정전 전력공급 상태에서 변압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3과 같이 좌측 및 우측 접속단자(60a)(60b)의 일측으로 돌출된 슬리브(64a)(64b)에 저압케이블(1)의 충전부와 임시케이블(3)의 충전부를 각각 삽입하여 압축공구에 의해 도 4와 같이 연결한 후, 좌측 및 우측 접속단자(60a)(60b)의 타측으로 돌출된 제2 나사봉(62a)(62b)을 도 5와 같은 랙크케이스(32)의 양 좌측과 우측을 통해 각각 삽입함과 동시에 일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제2 나사봉(62a)(62b)들은 도 6과 같이 각각 랙크케이스(32)의 내경에 형성된 암나사면(32a)과 맞물린 상태에서 암나사면(32a)을 타고 랙크케이스(32)의 내부 중앙으로 이동되도록 체결되면서 랙크케이스(32)의 내부 중앙에 이미 체결된 좌측 및 우측 연결단자(50a)(50b)의 제1 나사봉(52a)(52b)들에 밀착되어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하고 정지함으로써 제2 나사봉(62a)(62b)과 제1 나사봉(52a)(52b)은 전원공급이 가능한 상태로 접속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저압케이블(1)의 충전부와 임시케이블(3)의 충전부에 각각 연결된 슬리브(64a)(64b)는 상기 제2 나사봉(62a)(62b)이 랙크케이스(32)의 내부를 통해 제1 나사봉(52a)(52b)에 접속되는 이동 거리 만큼 랙크케이스(32)의 내부 좌측과 우측에 위치하도록 견인되어 방호됨으로써 혼촉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랙크케이스(32)의 외부 중앙에 설치된 스위치부(40)의 노브(42)를 일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도 6과 같이 랙크케이스(32)의 내부 중앙에서 상기 노브(42)와 연결된 회전판(44)이 회전되면서 좌측 연결단자(50a)의 제1 나사봉(52a)에 돌출된 돌기부(54a)와 우측 연결단자(50b)의 제1 나사봉(52b)에 돌출된 돌기부(54b)에 접촉됨으로써 도 7과 같이 임시케이블(3)을 통해 양 측의 저압케이블(1)이 연결되고, 이에 따라 양방향 저압 랙크(30)에 의한 무정전 전력공급 상태에서 교체대상의 변압기를 분리한 후 새로운 변압기로 안전하게 교체작업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처럼, 본 발명은 변압기의 교체 시 종래에 활용되었던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차와 바이패스케이블을 배제한 상태에서 전주의 일측에 거치대(10)를 매개로 설치되는 다수의 양방향 저압랙크(30)에 의해 A, B, C, N상의 저압 케이블(1)과 임시 케이블(3)을 연결하여 무정전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압작업의 간소화로 인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시공시간 단축은 물론 노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저압케이블 3 : 임시케이블
10 : 거치대 20 : 브래킷
30 : 양방향 저압랙크 32 : 랙크케이스
32a : 암나사면 34 : 덮개
40 : 스위치부 42 : 노브
44 : 회전판 50a : 좌측 연결단자
52a : 제1 나사봉 54a : 돌기부
50b : 우측 연결단자 52b : 제1 나사봉
54b : 돌기부 60a : 좌측 접속단자
62a : 제2 나사봉 64a : 슬리브
60b : 우측 접속단자 62b : 제2 나사봉
64b : 슬리브

Claims (1)

  1. 전주에 설치되는 거치대;
    상기 거치대에 상하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는 다수의 랙크케이스;
    상기 랙크케이스 내의 중앙에 좌우 일정 간격을 두고 각각 고정되는 좌측 및 우측 연결단자;
    상기 랙크케이스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와 우측 연결단자를 연결 또는 분리하는 스위치부;
    저압케이블의 충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랙크케이스의 좌측에 개방된 관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와 접속되는 금속제의 좌측 접속단자; 및
    임시케이블의 충전부에 결합되어 상기 랙크케이스의 우측에 개방된 관로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우측 연결단자와 접속되는 금속제의 우측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좌측 접속단자는,
    상기 랙크케이스의 한쪽 끝단을 통해 상기 랙크케이스의 일정 깊이까지 삽입되어 상기 좌측 연결단자의 제1 나사봉과 접속되는 제2 나사봉; 및
    상기 제2 나사봉의 바깥단 중앙에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저압케이블의 충전부가 삽입 고정되도록 압축되는 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0230021465A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507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1465A KR102507997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698A KR102502728B1 (ko) 2021-05-11 2021-05-11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0230021465A KR102507997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98A Division KR102502728B1 (ko) 2021-05-11 2021-05-11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733A KR20230029733A (ko) 2023-03-03
KR102507997B1 true KR102507997B1 (ko) 2023-03-10

Family

ID=84234814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98A KR102502728B1 (ko) 2021-05-11 2021-05-11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0230021462A KR102507994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0230021465A KR102507997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0230021463A KR102507995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0230021464A KR102507996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698A KR102502728B1 (ko) 2021-05-11 2021-05-11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0230021462A KR102507994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1463A KR102507995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20230021464A KR102507996B1 (ko) 2021-05-11 2023-02-17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1025027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196A (ja) 2001-06-11 2007-08-16 Daewon Electric Co Ltd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を利用した無停電配電工法
KR100999492B1 (ko) 2010-05-24 2010-12-09 김동자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JP2017121142A (ja)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エネルギア・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ケーブル架設作業用金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3315B1 (ko) 1997-10-02 2001-09-17 이종훈 활선가공지선설치기구및설치공법
KR102249164B1 (ko) * 2021-02-08 2021-05-10 대원전기 주식회사 간접활선용 절연 애자클립 및 이를 이용한 lp애자, 현수애자, cos, la 교체 간접 활선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9196A (ja) 2001-06-11 2007-08-16 Daewon Electric Co Ltd 電柱内の電線移線機構を利用した無停電配電工法
KR100999492B1 (ko) 2010-05-24 2010-12-09 김동자 전주에 수직 배선되는 가공배전선 고정 랙
JP2017121142A (ja) 2015-12-28 2017-07-06 株式会社エネルギア・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ケーブル架設作業用金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9731A (ko) 2023-03-03
KR102507995B1 (ko) 2023-03-10
KR20220153296A (ko) 2022-11-18
KR20230029733A (ko) 2023-03-03
KR20230029730A (ko) 2023-03-03
KR102502728B1 (ko) 2023-02-23
KR102507996B1 (ko) 2023-03-10
KR102507994B1 (ko) 2023-03-10
KR20230029732A (ko)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87364A1 (en) 7-Way Crab Joint
WO2017024931A1 (zh) 快速插拔电缆分支箱
KR102507997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101573004B1 (ko) 가공 배전선로의 지지형 애자
KR100343034B1 (ko) 가공지선지지대커버
KR102332571B1 (ko) 지상 개폐기 및 차단기의 제어회로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방법
US5315475A (en) Electrician's free power cord
CN201910386U (zh) 用于跌落式熔断器带电更换熔丝管的临时连接装置
CN110707652B (zh) 一种电缆终端转接装置及快速转接供电方法
KR20190034785A (ko) 바이패스 케이블
KR930011774B1 (ko)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KR100861915B1 (ko) 계기용 변성기가 외부 설치된 수전반을 구비한 수변전 장치
CN205863425U (zh) 一种可调节方向的接地线
CN114039319B (zh) 一种gis式带保护远跳功能的高压电缆临时跳通装置
CN103337761B (zh) 用于电流端子短接的短接装置
KR20230009741A (ko) 이동용 변압기 접속 장치
CN210838949U (zh) 低压快速接入联络装置及供电网络
US10424924B2 (en) Utility grid generator connection
CN215579307U (zh) 配电箱与发电机快速连接装置
CN201336385Y (zh) 套管型便携式接地线
KR100894881B1 (ko) 고압수용가용 지상개폐기의 무정전 교체방법과 그 바이패스접속장치
CN102088172B (zh) 全封闭屏顶小母线组合装置
CN115411536A (zh) 一种基于端子排的直流电源带电并接装置及方法
CN206657776U (zh) 一种铜鼻子及继电器
CN205543303U (zh) 变电站直流110v蓄电池组新型接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