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774B1 -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 Google Patents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774B1
KR930011774B1 KR1019910013513A KR910013513A KR930011774B1 KR 930011774 B1 KR930011774 B1 KR 930011774B1 KR 1019910013513 A KR1019910013513 A KR 1019910013513A KR 910013513 A KR910013513 A KR 910013513A KR 930011774 B1 KR930011774 B1 KR 930011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holder
bypass
connector
inser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3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292A (ko
Inventor
강인태
Original Assignee
강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태 filed Critical 강인태
Priority to KR1019910013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11774B1/ko
Publication of KR930005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774B1/ko

Link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제1a, b도는 본 발명 라인홀더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라인 콘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헤드 콘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
제4a도는 본 발명에 바이패스선의 체결상태를 보인 일반적인 예를 나타낸 사시도.
b도는 부하용량에 따라 2회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의 사시도.
c도는 라인홀더의 걸림고리핀에 바이패스선을 감아 사용하는 상태 사시도.
제5a, b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1를 나타낸 장주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2를 나타낸 장주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4를 나타낸 장주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다른 헤드 콘넥터를 나타낸 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5를 나타낸 장주도.
제10a, b, c도는 제5도, 제6도, 제7도, 제9도에 도시된 D1, D2, D3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11도는 일반 장주도에 COS, 인하선이 설치된 장주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라인홀더 B : 라인 콘넥터
C : 헤드 콘넥터 1 : 취부홈
2 : 중심 고리핀 3 : 걸림 고리핀
3a : 삽입공 4 : 삽입공
5 : 회전 고정대 6 : 밀판
본 발명의 전주장주에 설치된 COS(Cut Out Swich) 교체 및 보수 변압기로 연결되는 인하선 교체 및 보수, 고압 및 특고압 전력선의 잠바선 보수, 긴급전기사고 대처복구, 이동성 산업현장의 완금장주와 COS없이 간편히 임시송전, 인입선 및 전력선, 조영물과 이격해소로 안전사고 방지에 사용하는 것으로 전력설비 유지, 보수 및 교환공사때 접지사고 또는 감전사고 될 수 있는 전력선을 인체로부터 이격시켜 작업 공간을 확보하여 주고 무정전 상태로 전력설비를 보수 및 교환하며,도체로 부터 전력선을 이격시켜 안전하게 활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한 활선작업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입선, 저압선, 고압선, 특고압선 등 모든 전력선로의 설비, 유지보수시 무정전 전력 공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주장주에 설치된 COS(100), 인하선(200)이 기후, 온도에 의한 점진적인 노후화로 부식되고 먼지에 의한 플래스 오버(flash over)로 균열되며, 접촉불량, 재질불량 등으로 많은 문제점이 발생되어 정전이 야기되고 그로인해 보수 및 교환을 해야만 하였다. 즉,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활선작업(보수 및 교환)을 할때에는 부득이 변대단위(변압기가 있는 전주) 정전을 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가정, 사무실, 은행, 공장 등 전력을 공급받는 여러 지역에 전력이 차단되고 이로인해 몇 달동안 작성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지워지고, 가정에서는 모든 가전제품을 사용할 수 없을뿐 더러 사무실, 은행에서는 업무가 마비되고 공장 등의 제조업체에서는 생산라인이 올스톱 되어 제품생산에 막대한 차질이 빚어지는 등 수없이 많은 여러 형태의 문제점이 대두되었다.
또한 활선작업을 행할 때 편출, 창출, 장주 등 복잡한 형태의 전주장주에서는 바켓트럭의 이용해야 하는데 교통의 혼잡 및 밀집주택의 좁은골목으로 바켓트럭 근접이 어려원 보수 공사에 신속히 대처하지 못하였고 활선장구 미비, 활성 인력부족으로 즉시 적지에 신속복구 할 수 없는 현장애로 사항이 표출되며 그로인한 정전시간은 길어지고 또한 넓은 구간 정전후(개폐기 조작 구간 개폐) 작업(보수 및 고체)을 행할 때가 많았으며 농어촌, 산간벽지 등의 출장소에서는 활선 장비 및 활선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즉시 적지에 보수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전주장주에 설치된 COS와 인하선 보수 및 교환, 긴급전기사고 즉시 적지 대처복구, 이동성 산업현장 간편히 임시송전, 인입선 및 전력선 조영물과 이격해소로 인축 감전사고 방지와 누설 전류방지, 또한 잠바선과 리이드선의 압축연결 개소에서 보수 공사를 무정전 상태로 활선작업을 행할때 바이패스선을 잡아주어 본선에 거치시켜 전력선을 인체로 접지물로 부터 이격시켜주어 작업공간을 확보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라인홀더와, 상기 라인홀더에 끼워물림된 바이패스선의 일측단부에 체결되어 본선에 취부된 분기고리 및 전력선 등 금구류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라인 콘넥터와, 상기 라인홀더의 바이패스선 타측단부에 체결되어 변압기의 붓싱헤드에 취부토록 하는 기능을 갖는 헤드콘넥터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무정전 상태로 활선작업을 하기 위해 본선에 구비된 분기 고리(절연전선 일때만 연결하고 절연 전선 아니면 전력선에 직접취부, 전국 배전선로 약 80% 절연화 되어 있다)에 체결되는 바이패스(Bypass)선을 적절한 위치에 고정토록 하는 기능을 갖는 라인홀더(A)로 전면이 개방되고 상측 가운데 부위에 중심 고리핀(2)과 그 좌·우측으로 삽입링(3a)이 구비된 걸림 고리핀(3)을 입설하고, 전면이 개방된 내측 위쪽에 본선이 끼워지도록 한 취부홈(1)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취부홈(1)에 대칭되는 하측의 좌·우방향으로 바이패스선이 삽입되는 삽입공(4)과, 상기 삽입공(4)의 중심부에 상기 취부홈(1)에 끼워지는 본선을 물어 고정해주는 밀판(6)과 이 밀판(6)에 일체로 나사가 구비된 회전 고정대(5)가 구성된다.
제2도는 상기 라인홀더(A)에 취부된 바이패스선 일측단부가 체결되어 분기고리에 결착되는 것으로, 몸체(7)의 직각방향으로 삽입공(8)이 구비되고, 이와 일체로 나서봉(9)이 구비됨과, 상기 나사봉(9)의 삽입공(8)에 끼워지는 바이패스선을 결착하기 위한 누름구(10)와 이를 고정해 주는 와셔(11) 및 조임너트(12)로 구성된다.
제3도는 도시된 헤드콘넥터 c도은 상기 라인홀더(A)에 취부된 바이패스선의 타측을 체결하여 변압기의 붓싱헤드에 체결토록 하는 것으로 몸체(15)의 일측으로 90°보다 큰 방향으로 삽입공(16)과, 상기 삽입공(16)에서 입설된 나사봉(17)을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부(18), 와셔(19)와 조임너트(20)로 각각 체결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라인홀더(A)에 바이패스선(23)을 취부하는 일반적인 첫번째 방법으로 제4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홀더(A)의 삽입공(4)에 바이패스선(23)을 끼운다.
끼워진 바이패스선(23)의 양측단부에 라인콘넥터 b도와 헤드콘넥터 c도을 각각 체결한다.
즉, 라인콘넥터(A)의 몸체에 일체로 형성된 삽입공(8)에 바이패스선(23)의 끝단을 끼우고 너트(12)를 조이게 되면 와셔(11) 및 누름구(10)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된다.
또한 타측 바이패스선의 끝단도 역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헤드콘넥터 c도을 체결하면 된다.
또한 본선의 분기고리에서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만큼 바이패스선(23)이 길어야 한다. 이렇게 길이가 긴 바이패스선(23)을 라인홀더(A)에 취부하는 또다른 두번째 방법으로는 제4c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라인홀더(A)의 상측 좌·우에 구비된 걸림고리핀(3)에 감아본선에 라인홀더(A)를 거치시킨 후 회전 고정대(5)를 어느 정도 조여 라인홀더(A)의 상측 취부홈(1)에 밀판(6)이 살짝 물림 상태로 되게 한다. 이후 걸림고리핀(3)에 권취된 바이패스선(23)을 풀어 적정한 위치의 본선에 라인홀더(A)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하여 여러 형태의 편출·창출장주 등, 어떠한 복잡한 전주장주라도 같은 동일선상(φ)에 취부하여 적절하게 인하선 및 잠바선등 이격상태를 달리하여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라인홀더(A)에 바이패스선(23)을 취부하기 위한 또 다른 세번째 방법으로 제4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잠바선, 개폐기, 리이드선 등 보수공사 시에 부하가 많은 곳에서는 바이패스선(23)을 2회선으로 사용해야 할 때에는 1회선의 바이패스선(23)을 상기 첫 번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고, 2회선의 바이패스선(23a)은 걸림고리핀(3)의 삽입링(3a)에 바이패스선(23a)을 삽입하여 바이패스선(23a)의 양 끝단부에 라인콘넥터 b도와 헤드콘넥터 c도를 체결하면 된다.
[실시예1]
제5a, b도에 도시된 장주도에 있어서 COS의 재질불량 및 먼지등에 대한 플래쉬 오버로 인한 균열, 접촉불량 등에 따라 COS를 교환해야 할 경우에 무정전 상태에서 전력을 공급하면서 활선작업을 할 수 있도록 앞에 기술한 제4a도와 같은 방법으로 라인홀더(A)의 삽입공(4)에 바이패스선(23)을 끼우고, 이 바이패스선(23)의 일측단부를 라인콘넥터 b도의 삽입공(8)에 끼워 너트(12)를 조이면 누름구(10)에 의해 안정되게 체결된다(제10a도참조).
또한 바이패스선(23)의 타측은 헤드콘넥터 c도의 몸체(15)부위에 구비된 삽입공(16)에 끼우고 너트(20)를 조이면 누름구(18)에 와셔(19)에 의해 안정되게 체결된다(제10c도참조).
즉, COS(24)를 교환하기 앞서 무정전 상태로 활선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수요자의 불만을 해소할 수 있고, 작업공간을 학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양측단부에 라인콘넥터 b도에 헤드콘넥터 c도이 체결된 바이패스선(23)이 취부된 라인홀더(A)를 적합한 위치의 본선(25)에 절연스틱이나 바켓트럭을 이용하여 라인홀더(A)의 상측 취부홈(1)에 걸리게 한다.
이후, 라인홀더(A)의 회전고정대(5)를 회전시키면 취부홈(1)의 하측에 위치하는 밀판(6)이 상향 이동하여 라인홀더(A)의 취부홈(1)에 본선(25)이 끼워물림 되어 고정된다.
다음 바이패스선(23)의 끝단부에 체결된 헤드콘넥터 c도을 변압기의 붓싱헤드(26)에 끼워 물리도록 한 후 회전고정대(22)를 회전시켜 체결토록 한다(제10b도도 참조).
또한 제8도에 도시된 헤드콘넥터(C´)은 현장여건에 따라 변압기의 붓싱헤드(26)에 몸체에 끼워물림하여 체결할 수도 있다. 이와같이 바이패스선의 일측이 헤드콘넥터 c도에 의해 변압기의 붓싱헤드(26)에 체결된 상태에서 바이패스선(23) 타측에 체결된 라인콘넥너 b도를 본선 (25)이 구비된 분기 고리(27)에 걸러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체결한다.
즉, 이상태는 라인홀더(A)에 의해 바이패스선(23)의 중간 부위가 본선(25) 같은 동일선상(φ)에 취부되어 본선(25)의 분기고리(27)에 체결된 라인콘넥터 b도를 통해 변압기 붓싱헤드(26)에 체결된 헤드콘넥터 c도으로 전기가 통하여 변압기(28)에 전달되어 수요자에 공급된다. 이런 상태에서 변압기 붓싱헤드(26)나 COS(24)의 2차측에 연결된 인하선(29)을 분리한 후 라인홀더(A)에 거치되어 변압기 붓싱헤드(26)에 연결된 바이패스선(23)과 동일선상에 취부시킨다.
이후 COS(24) 및 인하선(29)은 교환 및 보수를 하면 되는 것으로 보수작업 동안에 도 전력이 공급되고 또한 활선작업은 라인홀더(A)에 의해 작업공간이 충분히 확보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업자의 작업반경이 넓어져 작업의 효율성을 얻을 수 있으며, 무정전 전력공급으로 국가산업체인 한국전력에 대한 신뢰도의 향상과, 전력 에너지의 효율적 이용 등 양질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기존의 COS, 인하선, 교환 및 보수시에 구간정전이 필히 뒤따르는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실시예 2]
전력고압 및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잠바선 절분, 연결, 압축개소 보수 및 중요전력기기(I/S, G/S, R/C 등) 개패기 리이드선 보수 및 교환시 넓은 광역구간의 전력이 정전되었다.
본 발명은 전력선로의 신설 및 증설공사시 편의 따라 (활선할 수 없는 전기공사업체 시공) 잠바 일시연결 송전되고 있는 것을 압축완전 시공하여야 하고 잠바선 연결부분 슬리이브 압축개소 불량, 발화 등 보수해야 할때 넓은 구간 정전이 되었다.
제6도는 장주도는 잠바선(31)이 단락된 상태이다. 이때에는 본선(25)이 라인홀더(A)의 취부홈(1) 끼워물림된 상태에서 라인홀더(A)의 삽입공(4)에 끼워진 바이패스(23)의 양 끝단에 라인콘넥터 b도를 고압의 본선(25)에 체결한다.
이후 라인홀더(A)를 본선(25)에 거치시켜 고정한 후에 바이패스선(23)이 체결된 라인콘넥터 b도는 본선(25)에 연결하고 타측의 라인콘넥터 b도는 분기잠바선(30)에 체결한다. 즉, 라인홀터×1, 라인콘넥터×2 사용으로 무정전 전력공급 교체 등 보수공사 할 수 있고 부하용량에 따라 라인홀더×1 라인콘넥터×4로 용량이 많은 부하의 잠바 및 리이드선 보수공사때도 광역구간 정전방지를 할 수 있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배전선로에서 변대단위(변압기가 있는 전주) 정전사고를 야기하게 되는 원인으로 COS파손, 불량, 발화 고장사고가 많이 발생한다.
(실시예 1)과 같이 무정전 교체해야 하지만 즉시 적지대처 긴급 복구할 수 없는 복잡한 전주장주가 많이 있다.
도시기능 다변화에 따라 편출, 창출장주 등 사람손이 닿지 않는 전주장주가 많이 있어 신속송전 복구에 현장애로 사항이 많이 발생되며 바켓트럭 진입불가능 개소도 많으며 그럴때는 넓은 구강정전(구간 개패기 절분이나 변전소에서 전희다(D/L)을 FOFF)후 정전작업 교체하지만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라인홀더×1, 라인콘넥터×1, 헤드콘넥숀×1로서 즉시 적지 넓은 구강 정전없이 임시복구 송전 후 차후 인력과 장비 시간적 여유 있을때 완전 무정전 보수할 수 있어 광역구간 정전방지 및 즉시 긴급 송전복구로 봉사신뢰도 향상 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제7도는 도시된 바와같이 배전선로의 전주에서 가정 및 공장으로 보내지는 인입선(32)이 있다.
전주(33)에서 가정의 지지물(34)에 직접 연결되어 전기가 보내지지만 건축물 신축, 증축, 철거로 인입선(32) 지지할 곳이 없어져서 상대적으로 전기는 공급되어야 하기에 인입선(32)을 땅으로 깔아 전기가 공급되거나 신축, 증축 건물을 감아서 전력이 보내지는 경우는 도시 어느곳이나 흔히 볼 수 있다. 그러면 누전사고 및 인축 감전사고 발생 등 우려되지만 달리 방법이 없고 인입선(32) 때문에 골목 등 개소마다 전주를 신설할 수 는 없는 현실이다.
이런 경우 인입선(32)이 취부된 라인홀더(A)를 저압간선(35)에 취부 즉, 라인홀더(A)의 취부홈(1)에 저압간선(35)를 끼워물림한 상태에서 신축·증축 건물을 벗어난 위치에 가정으로 전력이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즉, 라인홀더(A)가 저압간선(35)에 인입선(32)를 지지하여 주고 신축, 증축, 철거되는 가정집의 위치를 벗어나서 인입선(32)이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기존의 방법에 의해 발생되는 누전, 감전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신·증축 건축물 공사장에서는 전기줄로 인한 공사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
[실시예 5]
전력이 필요한 이동식 산업현장에서는 단기적으로 전력을 임시공급 받고 변대 위치가 자주이동 되므로 변대주에 완금 장주나 COS, 인하선 등 설치할 필요없이 생략하여 간편히 임시설치 사용할 수 있다.
제9도나 도시된 바와같이, 본선(25)에 바이패스선(23)이 취부된 라인홀더(A)의 취부홈(1)에 거치시켜 고정하고 바이패스선(23)의 양끝단부에 체결된 라인콘넥터 b도, 헤드콘넥터 c도을 본선(25)과, 변압기(28)에 각각 간편히 송전(임시전력)한다.
즉, 본선(25)에 실시예1과 같은 동일방법으로 라인홀더(A)를 거치하여 고정하고 라인홀더(A)의 삽입공에 끼워진 바이패스선(23)의 일측 단부에 체결된 라인 콘넥터 b도를 본선(25)에 체결하고, 바이패스선(23) 타측단부에 체결된 헤드콘넥터 c도을 변압기의 붓싱헤드(25)에 체결하는 것이다.
또한 긴급사항 발생 차량전주 충돌(전주 절손때) 완전 복구때까지 임시 COS 및 완금장주 없이 즉시 송전할 수 있다. 이와같이 앞서 기술한 실시예와 같은 여러형태의 문제점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 무정전 상태의 보다 안전한 활선작업을 통해 안전사고로 인해 인명피해를 해소할 수 있으며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여러형태의 장주에 설치된 COS와 인하선 보수 및 교환 또는 잠바선, 리이드선의 압축개소에서 보수공사를 무정전 상태로 활선작업을 할수 있도록 바이패스선을 취부하여 본선에 거치시켜 전력선을 인체로부터 이격시켜주어 작업공간을 확보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라인홀더(A)와, 상기 라인홀더에 끼워물림된 바이패스선의 일측단부에 체결되어 본선이 구비된 분기고리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라인 콘넥터 b도와, 상기 라인홀더의 바이패스선 타측단부에 체결되어 변압기의 붓싱헤드에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헤드콘넥터를c도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공급 할 수 있는 활선작업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라인홀더(A)는, 전면이 개방되고 상측 가운데 부위에 중심고리핀(2)과 그 좌, 우측으로 삽입공(3a)이 구비된 걸림고리핀(3)이 입설되고 개방된 저면 내측위쪽에 본선이 끼워지도록하는 취부홈(2)과, 상기 취부홈(1)과 대칭되는 하측의 좌, 우방향으로 삽입공(4)과, 상기 삽입공(4)의 중심부에 상기 취부홈(1)에 끼워지는 본선을 물어 고정해주는 밀판(6)과 이 밀판에 일체로 회전고정대(5)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활성작업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라인콘넥터 b도는, 라인홀더에 취부된 바이패스선 일측단부가 체결되어 분기고리에 결착되는 것으로, 몸체(17)의 직각방향으로 삽입공(8)과 이와 일체로 나사봉(9)이 입설되고, 상기 나사봉(9)에 끼워져 바이패스선을 결착하기 위한 누름구(10)와 이를 고정해 주기 위한 와셔(11) 및 너트(1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공급 할 수 있는 활선작업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헤드콘넥터 c도은, 라인홀더와 취부된 바이패스선의 타측을 체결하고 변압기의 붓싱헤드에 결합되도록 몸체(15)의 일측으로 90。보다 큰 방향으로 삽입공(16)이 형성된 나사봉(17)을 입설하고 이에 바이패스선 단부를 끼워물도록 하는 누름구(18)와 와셔(19) 및 조임너트(2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전력공급 할 수 있는 활선작업용 장치.
KR1019910013513A 1991-08-05 1991-08-05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KR930011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513A KR930011774B1 (ko) 1991-08-05 1991-08-05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10013513A KR930011774B1 (ko) 1991-08-05 1991-08-05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292A KR930005292A (ko) 1993-03-23
KR930011774B1 true KR930011774B1 (ko) 1993-12-20

Family

ID=1931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3513A KR930011774B1 (ko) 1991-08-05 1991-08-05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1177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18A (ko)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평일 활선작업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924B1 (ko) * 2013-12-31 2020-08-27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18A (ko) 2016-10-07 2018-04-17 주식회사 평일 활선작업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292A (ko) 1993-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948A (ko)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KR100769583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지상 변압기 교체방법
KR102598786B1 (ko)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2631021B1 (ko) 선로 작업 방법
KR930011774B1 (ko)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2179905B1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KR102507995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KR930008367Y1 (ko)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KR101499420B1 (ko) 변압기 고장발생시 간접활선공법을 통한 임시 전력 공급방법
KR200147818Y1 (ko)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
CN219086874U (zh) 一种便于备用蓄电池组接入变电站直流系统的装置
CN210838949U (zh) 低压快速接入联络装置及供电网络
JP2592399Y2 (ja) 工事用変圧器
CN212161672U (zh) 户内高压负荷开关用接地线挂接装置及户内高压负荷开关
CN215579307U (zh) 配电箱与发电机快速连接装置
KR102565258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용 어댑터
KR100894881B1 (ko) 고압수용가용 지상개폐기의 무정전 교체방법과 그 바이패스접속장치
KR20220168885A (ko) 지중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에 대한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이의 설치 및 철거 방법
KR20210145429A (ko)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KR20230109488A (ko) 지상개폐기용 지중케이블 임시 지지장치 및 그 방법
CN112366600A (zh) 一种用于高压线路防倒供电的装置
KR930006394Y1 (ko) 임시전력 송전에 사용되는 써비스 휴즈링
JP3038073U (ja) 移動用電力ケーブルの支持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