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8924B1 -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 Google Patents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8924B1
KR102148924B1 KR1020130169180A KR20130169180A KR102148924B1 KR 102148924 B1 KR102148924 B1 KR 102148924B1 KR 1020130169180 A KR1020130169180 A KR 1020130169180A KR 20130169180 A KR20130169180 A KR 20130169180A KR 102148924 B1 KR102148924 B1 KR 102148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rinter
transfer
unit
print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9140A (ko
Inventor
문성진
이정환
이상현
이명우
Original Assignee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69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8924B1/ko
Publication of KR20150079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9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8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8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02/00Electronic funds transfer
    • Y10S902/08Terminal* with means permitting deposit or withdrawal, e.g. AT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모듈 내부에 구비된 리본 카트리지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과 아울러 프린터모듈의 내부와 제1반송로 및 제2반송로에서 장애 발생시 그 제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는 수표저장부(100); 상기 수표저장부(1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수표저장부(100)로부터 방출되는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로(200')가 구비된 반송부(200a)와, 상기 제1반송로(200')를 통과하는 수표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부(200b)를 포함하는 프린터모듈(200); 및 상기 프린터모듈(2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반송로(200')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을 경유한 수표가 반송되는 제2반송로(300')가 구비된 반송모듈(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은, 상기 수표저장부(100)와 지폐저장부(170)가 수납되는 카세트수납부(16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61)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모듈(200)은, 상기 반송모듈(300)과 대면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2반송로(300')를 따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 제1힌지축(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 시,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a structure capable of maintenance easily}
본 발명은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융자동화기기의 프린터모듈에 구비되는 리본 카트리지의 교체 및 매체의 잼 제거를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구성된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자동화기기는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장소 및 시간에 구애 받지 않고, 은행 직원 없이도 입금 또는 출금과 같은 기본적인 금융 서비스를 보조할 수 있는 자동화 장치로서, 고객이 카드나 통장 등을 사용하여 자동적으로 지폐나 수표를 출금하거나, 입금 등의 거래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지폐의 입출금을 처리하는 금융자동화기기 이외에도 지폐와 수표를 동시에 입출금 처리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가 등장하고 있으며, 수표가 입출금되는 반송 경로에는 수표의 표면에 입금확인정보 또는 출금확인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부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저장부와 프린터모듈 및 반송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수표를 취급하는 금융자동화기기에는,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고 수표의 분리부가 구비된 수표저장부(10)와, 상기 수표저장부(10)로부터 방출되는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로(41)와 수표에 출금확인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부가 구비된 프린터모듈(20)과, 상기 제1반송로(41)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을 경유한 수표의 반송을 위한 제2반송로(42)를 포함하는 반송모듈(30)이 구비되고, 상기 수표저장부(10)의 상측으로 프린터모듈(20)과 반송모듈(30)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린터모듈(20)의 프린터부에는, 제1반송로(41)를 통과하는 수표의 표면에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잉크물질을 포함하는 카트리지(미도시됨)가 설치되는데, 일례로 도트 방식의 리본 카트리지(ribbon cartridge)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리본 카트리지는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리본에 함유된 잉크가 건조되어 인쇄품질이 떨어지게 되므로 교체가 요구된다. 상기 프린터모듈(20)은, 반송모듈(30)의 하부에 결합되고, 프린터모듈(20)의 일측면에는 힌지부(51)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반송로(4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도어부(50)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의 (a)는 도어부(50)가 닫힌 상태, 도 1의 (b)는 도어부(50)가 회전되어 프린터모듈(20)의 일측면이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금융자동화기기에서 수표의 출금시 잼(jam)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도어부(50)를 외측으로 회전시켜 제1반송로(41)를 개방시켜 유지보수 작업을 실시하게 되는데, 도어부(50)를 개방하더라도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이 협소할 뿐만 아니라, 제1반송로(41)가 위치하는 프린터모듈(20)의 일측면만이 개방되므로 프린터모듈(20)의 내부는 유지보수작업을 위한 공간이 마련되지 않아 프린터모듈(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카트리지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프린터모듈(20)과 반송모듈(30) 간에 체결되어 있는 체결수단을 모두 해체한 후에야 교체 작업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카트리지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분야의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1-0069961호에는, 반송로모듈이 리사이클박스가 내부에 수납되는 몸체하우징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어 개방 가능하게 결합되되, 반송로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적은 힘으로도 반송로모듈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는 지폐입출금모듈의 개방구조가 나타나 있다.
관련분야의 다른 선행기술로, 공개특허 제10-2011-0056992호에는, 통장이나 영수증 등과 같은 피인쇄물을 인쇄하는 인쇄장치에 잼이 발생된 경우, 금융자동화기기의 외측으로 인쇄장치를 인출한 후에 인쇄장치의 이송 경로를 개방하여 잼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가 나타나 있다.
그러나, 수표저장부 상에 프린터모듈과 반송모듈이 적층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에서 프린터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는 카트리지의 교체 및 잼 제거를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구조와 관련된 선행기술은 부재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린터모듈 내부에 구비된 리본 카트리지의 교체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함과 아울러 프린터모듈의 내부와 제1반송로 및 제2반송로에서 장애 발생시 그 제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는,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는 수표저장부(100); 상기 수표저장부(1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수표저장부(100)로부터 방출되는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로(200')가 구비된 반송부(200a)와, 상기 제1반송로(200')를 통과하는 수표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부(200b)를 포함하는 프린터모듈(200); 및 상기 프린터모듈(2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반송로(200')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을 경유한 수표가 반송되는 제2반송로(300')가 구비된 반송모듈(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은, 상기 수표저장부(100)와 지폐저장부(170)가 수납되는 카세트수납부(16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61)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모듈(200)은, 상기 반송모듈(300)과 대면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2반송로(300')를 따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 제1힌지축(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 시,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린터모듈(200)은, 상기 반송부(200a)의 일측과 상기 프린터부(200b)의 일측이 제2힌지축(220)으로 연결되어,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가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축(320)은, 상기 반송모듈(300)의 하단에서 상기 프린터모듈(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지지부재(310)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 시,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만큼 더욱 확대된 이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에는, 상기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제1걸림부재(210)와, 상기 제1걸림부재(210)에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회전되는 제1후크(330)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반송부(200a)는, 상기 제1반송로(200')를 구성하며 상기 제2힌지축(220)에 각각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제1반송가이드(200a-1)와 제2반송가이드(200a-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송가이드(200a-1)와 제2반송가이드(200a-2)는,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이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에는,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제2걸림부재(240)와, 상기 제2걸림부재(240)에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회전되는 제2후크(230)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힌지축(320)의 일측에는 자성체(340)가 구비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이 상기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자성체(340)는 그 자력에 의해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재(310)에 부착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모듈(200)에는, 상기 반송모듈(300)과 대면하는 프린터부(200b)의 일측면에 탈착되는 카트리지 커버(250)가 구비되고, 상기 프린터부(200b)의 내측에는 리본 카트리지(290)가 구비되며, 상기 프린터모듈(200)이 상기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상기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카트리지 커버(250)가 상기 프린터부(200b)에서 분리된 후,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가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리본 카트리지(290)는 외부로 노출되어 교체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모듈과 반송모듈이 카세트수납부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됨과 아울러, 프린터모듈이 제1힌지축을 중심으로 반송모듈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프린터모듈의 반송부와 프린터부가 제2힌지축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프린터모듈의 내부에 구비되는 리본 카트리지의 교체 및 잼 발생 등의 장애 제거 시 필요한 작업 공간을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수표저장부와 프린터모듈 및 반송모듈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수표저장부 상에 프린터모듈과 반송모듈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카세트수납부의 상측으로 프린터모듈과 반송모듈이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프린터모듈이 반송모듈의 일측으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평면도,
도 7은 프린터모듈에서 카트리지 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프린터모듈의 반송부가 프린터부의 일측으로 회전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트 헤드에서 마스크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프린터부에서 리본 카트리지가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는, 입금될 매체(지폐 및/또는 수표)를 투입받거나 출금된 매체를 반출하는 입출금부(110), 입금 또는 출금되는 매체의 권종 및 이상 유무를 판별하는 감별부(120), 입금된 수표가 일시 수납되는 수표전용 일시수납부(130), 입금 수표에 대해 입금확인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부(131), 입금된 지폐가 일시 수납되는 지폐전용 일시수납부(140), 입금되는 수표를 수납하는 수표입금부(150), 지폐를 권종별로 수납하는 복수의 지폐저장부(170), 출금 수표를 저장하는 수표저장부(100)와, 상기 지폐저장부(170)와 수표저장부(100)가 수납되는 카세트수납부(160), 출금 수표에 대해 출금확인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모듈(200), 상기 지폐저장부(170) 및 수표저장부(100)로부터 출금되는 지폐와 수표 중 이상이 있는 매체가 회수되는 리젝트권저장부(1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표저장부(100)에는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고, 수표의 분리를 위한 다수의 롤러로 구성된 분리부(미도시됨)가 구비된다. 수표저장부(100)로부터 방출되는 수표는 제1반송로(200')를 따라 프린터모듈(200)로 반송되고, 프린터모듈(200)에 구비된 프린터부(200b)에 의해 출금확인정보가 인쇄된 후에 반송모듈(300)의 내부에 구비된 제2반송로(300')를 따라 반송되어 출금된다. 상기 반송모듈(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2반송로(300')는 수표저장부(100)로부터 방출되는 수표와 지폐저장부(170)로부터 방출되는 지폐의 반송경로를 제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표저장부(100) 상에는 프린터모듈(200)이 적층되고, 프린터모듈(200) 상에는 반송모듈(300)의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세트수납부(16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61)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전되어 수표저장부(100)와 지폐저장부(170)의 상부가 개방되는 동시에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이 외부로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이 힌지부(161)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으로 회전된 상태를 기준으로, 프린터모듈(200)의 일측단은 반송모듈(300)과 대면하는 일측면에 구비된 제1힌지축(3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힌지축(320)은 반송모듈(300)에 구비되는 제2반송로(300')를 따르는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프린터모듈(200)은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대략 수평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프린터모듈(200)이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 사이에는 외부에서 접근이 용이하도록 작업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반송모듈(300)의 하단에는 프린터모듈(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지지부재(310)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310)의 연장된 단부에는 상기 제1힌지축(320)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프린터모듈(200)이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만큼 더욱 확대된 이격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린터모듈(200)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1힌지축(320)의 일측에는 자성체(340)가 구비되어, 프린터모듈(200)이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자성체(340)는 그 자력에 의해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재(310)에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자성체(340)와 지지부재(310) 중 어느 하나를 자성을 갖는 소재로 구성하고, 나머지 하나를 금속소재로 구성하거나, 두 부재 모두 자성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프린터모듈(200)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 사이에 별도의 고정링크(미도시됨)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린터모듈(200)의 일측부에는 제1걸림부재(210)가 구비되고, 반송모듈(300)의 저면에는 상기 제1걸림부재(210)에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회전축(33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1후크(3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기의 정상 작동 중에는 상기 제1걸림부재(210)에 제1후크(330)가 걸림되도록 하여 프린터모듈(200)이 반송모듈(300)에 밀착되어 제1반송로(200')와 제2반송로(300')가 연결되도록 하고, 기기의 유지보수 시에는 상기 제1걸림부재(210)와 제1후크(330) 간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프린터모듈(20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프린터모듈(200)은, 제1반송로(200')가 내부에 마련된 반송부(200a)와, 상기 제1반송로(200')를 통과하는 수표에 정보를 인쇄하는 프린터부(200b)로 구성되며,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는 각각의 일측부가 제2힌지축(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모듈(200)이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반송부(200a)가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프린터부(200b)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어,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 내부의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 간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구성으로, 프린터부(200b)의 일측부에는 제2걸림부재(240)가 구비되고, 반송부(200a)에는 상기 제2걸림부재(240)에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회전축(231)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제2후크(2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기기의 정상 작동 중에는 상기 제2걸림부재(240)에 제2후크(230)가 걸림되어 제1반송로(200')를 통과하는 수표에 정보를 인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고, 기기의 유지보수시에는 상기 제2걸림부재(240)와 제2후크(230) 간의 걸림상태를 해제시켜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 사이에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공간이 확보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반송부(200a)는, 상기 제1반송로(200')를 구성하며 수표의 반송을 안내하고 상기 제2힌지축(220)에 각각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제1반송가이드(200a-1)와 제2반송가이드(200a-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송가이드(200a-1)와 제2반송가이드(200a-2)는,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이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반송가이드(200a-1)와 제2반송가이드(200a-2) 사이를 통과하여 반송되는 매체의 잼이 발생된 경우에는 제1반송가이드(200a-1)와 제2반송가이드(200a-2) 간에 이격된 공간을 통하여 잼 제거를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프린터부(200b) 내부의 구성 및 리본 카트리지(280)의 교체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프린터부(200b)에는 반송모듈(300)과 대면하는 일측면에 카트리지 커버(250)가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프린터부(200b)의 내부에는 헤드 이송부(260), 도트 헤드(270), 리본 카트리지(280) 및 마스크(290)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 이송부(260)는, 인쇄작업 시에 도트 헤드(270)가 설정된 위치로 이동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구동모터(261)와, 그 회전축에 연결되어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나선홈(262a)이 형성된 구동축(2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트 헤드(270)는 그 단부에 부착된 금속핀이 잉크가 함유된 리본(281)을 때려서 수표의 표면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도트 헤드(270)는 헤드 고정부재(271)에 장착되고, 상기 헤드 고정부재(271)의 일측에는 프린터부(200b)의 프레임에 양단이 고정된 가이드봉(272)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헤드 고정부(271)에는 구동축(262)에 형성된 나선홈(262a)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미도시됨)가 형성되어, 구동모터(261)의 구동에 따라 구동축(262)이 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헤드 고정부재(271)가 가이드봉(272)을 타고 설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리본 카트리지(280)는, 잉크가 함유된 리본(281)과, 리본(281)의 양단이 고정되며 프린터부(200b)의 내측에 탈착되는 카트리지 케이스(282)와, 리본(281)의 장력 조정을 위한 장력조정부(2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마스크(290)는 도트 헤드(27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리본(281)을 도트 헤드(270)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리본 카트리지(280)의 교체 작업 시,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모듈(200)을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 위치를 고정시킨 후에, 반송부(200b)의 일측면에 부착된 카트리지 커버(250)를 분리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부재(240)에서 제2후크(230)를 걸림해제시키고 반송부(200a)를 프린터부(200b)의 일측으로 이격되도록 회전시킨다.
다음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가 이격되어 마련되는 공간을 통하여 도트 헤드(270)로부터 마스크(290)를 분리한다.
마지막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부(200b)에서 리본 카트리지(280)의 카트리지 케이스(282)를 분리시키고, 이에 연결된 리본(281)과 함께 프린터부(200b)의 외측으로 인출한다.
리본 카트리지(280)의 장착순서는 상기한 분리순서의 역순으로 진행되며, 리본 카트리지(280)를 교체하여 프린터부(200b)에 장착한 후에는 장력조절부(283)를 조정하여 리본(291)이 적정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조정하게 된다.
10 : 수표저장부 20 : 프린터모듈
30 : 반송모듈 41 : 제1반송로
42 : 제2반송로 50 : 도어부
51 : 힌지부 100 : 수표저장부
110 : 입출금부 120 : 감별부
130 : 수표전용 일시저장부 140 : 지폐전용 일시저장부
150 : 수표입금부 151 : 리젝트권저장부
160 : 카세트수납부 161 : 힌지부
170 : 지폐저장부 200 : 프린터모듈
200' : 제1반송로 200a : 반송부
200a-1 : 제1반송가이드 200a-2 : 제2반송가이드
200b : 프린터부 210 : 제1걸림부재
220 : 제2힌지축 230 : 제2후크
240 : 제2걸림부재 250 : 카트리지 커버
260 : 헤드 이송부 261 : 구동모터
262 : 구동축 262a : 나선홈
270 : 도트 헤드 271 : 헤드 고정부재
280 : 리본 카트리지 281 : 리본
282 : 카트리지 케이스 283 : 장력조정부
290 : 마스크 300 : 반송모듈
300' : 제2반송로 310 : 지지부재
320 : 제1힌지축 330 : 제1후크
340 : 자성체

Claims (8)

  1. 출금될 수표가 적재되는 수표저장부(100);
    상기 수표저장부(1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수표저장부(100)로부터 방출되는 수표를 반송하기 위한 제1반송로(200')가 구비된 반송부(200a)와, 상기 제1반송로(200')를 통과하는 수표에 인쇄를 수행하는 프린터부(200b)를 포함하는 프린터모듈(200); 및
    상기 프린터모듈(200)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1반송로(200')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을 경유한 수표가 반송되는 제2반송로(300')가 구비된 반송모듈(300);을 포함하되,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은, 상기 수표저장부(100)와 지폐저장부(170)가 수납되는 카세트수납부(160)의 상부 일측에 구비된 힌지부(161)에 상하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프린터모듈(200)은, 상기 반송모듈(300)과 대면하는 일측면에 상기 제2반송로(300')를 따르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 제1힌지축(3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 시,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모듈(200)은, 상기 반송부(200a)의 일측과 상기 프린터부(200b)의 일측이 제2힌지축(220)으로 연결되어,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가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320)은, 상기 반송모듈(300)의 하단에서 상기 프린터모듈(2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지지부재(310)에 연결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 시,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310)의 길이만큼 더욱 확대된 이격 공간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모듈(200)과 반송모듈(300)에는, 상기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제1걸림부재(210)와, 상기 제1걸림부재(210)에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회전되는 제1후크(330)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200a)는, 상기 제1반송로(200')를 구성하며 상기 제2힌지축(220)에 각각의 일측단이 연결되는 제1반송가이드(200a-1)와 제2반송가이드(200a-2)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반송가이드(200a-1)와 제2반송가이드(200a-2)는,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서로 이격 가능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에는,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하는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의 회전을 단속하기 위한 제2걸림부재(240)와, 상기 제2걸림부재(240)에 걸림되거나 걸림해제되도록 회전되는 제2후크(230)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320)의 일측에는 자성체(340)가 구비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이 상기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 시, 상기 자성체(340)는 그 자력에 의해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상기 지지부재(310)에 부착되어 상기 프린터모듈(200)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모듈(200)에는, 상기 반송모듈(300)과 대면하는 프린터부(200b)의 일측면에 탈착되는 카트리지 커버(250)가 구비되고, 상기 프린터부(200b)의 내측에는 리본 카트리지(290)가 구비되며,
    상기 프린터모듈(200)이 상기 제1힌지축(320)을 중심으로 상기 반송모듈(3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카트리지 커버(250)가 상기 프린터부(200b)에서 분리된 후, 상기 반송부(200a)와 프린터부(200b)가 상기 제2힌지축(220)을 중심으로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리본 카트리지(290)는 외부로 노출되어 교체 가능한 상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0130169180A 2013-12-31 2013-12-31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2148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180A KR102148924B1 (ko) 2013-12-31 2013-12-31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9180A KR102148924B1 (ko) 2013-12-31 2013-12-31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40A KR20150079140A (ko) 2015-07-08
KR102148924B1 true KR102148924B1 (ko) 2020-08-27

Family

ID=537915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9180A KR102148924B1 (ko) 2013-12-31 2013-12-31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89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154B1 (ko) * 2015-03-13 2016-07-14 아주하이텍(주) Ldi 노광장치의 레이저모듈박스
KR102012406B1 (ko) * 2017-08-28 2019-10-21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금융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11774B1 (ko) * 1991-08-05 1993-12-20 강인태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JPH0922478A (ja) * 1995-07-06 1997-01-21 Hitachi Ltd 紙幣還流装置
KR20080062861A (ko) * 2006-12-29 2008-07-03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리젝트박스의 잠금구조
KR101637570B1 (ko) * 2009-12-18 2016-07-0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입출금모듈의 개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9140A (ko) 2015-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2559B2 (ja) 紙葉類取扱装置
EP2549448B1 (en) BIll and cheque acceptor
EP3392845B1 (en) Paper sheet handling apparatus
JP5010241B2 (ja) 紙葉類処理装置及び集積装置の電磁ロック方式
KR101665609B1 (ko) 금융 자동화기기용 회수매체 저장 카세트
KR20140088946A (ko) 수표 입출금용 카세트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KR102148924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CN102218906A (zh) 记录设备
WO2016136029A1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扱装置
KR20120078770A (ko) 지폐저장장치
JP5615391B2 (ja) 紙葉還流庫
KR101456367B1 (ko) 매체 처리 장치
US10643437B2 (en) Protector, medium storage device, and medium processing device
KR20160139764A (ko) 매체 처리 장치
KR101988058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KR10112133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49973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회수 장치
KR101901405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2323433B1 (ko) 매체 수납 방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매체 처리 장치
KR20160077908A (ko) 계원용 금융자동화기기
KR101419427B1 (ko) 매체입금장치
KR1007732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모듈 탈착구조
KR200389669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봉투입금장치
KR101120867B1 (ko) 금융자동화기기
JP6455031B2 (ja) 媒体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