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334B1 -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334B1
KR101546334B1 KR1020080138205A KR20080138205A KR101546334B1 KR 101546334 B1 KR101546334 B1 KR 101546334B1 KR 1020080138205 A KR1020080138205 A KR 1020080138205A KR 20080138205 A KR20080138205 A KR 20080138205A KR 101546334 B1 KR101546334 B1 KR 101546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ing
portions
paper medium
medium
transfer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8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9668A (ko
Inventor
차진환
허성창
장현수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8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334B1/ko
Priority to RU2011130963/08A priority patent/RU2519391C2/ru
Priority to US13/142,270 priority patent/US8360427B2/en
Priority to PCT/KR2009/007698 priority patent/WO2010077003A2/ko
Publication of KR20100079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9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B65H29/125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between two set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12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means of the nip between two, or between two sets of, moving tapes or bands or roll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6Handling of valuable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30Supports; Subassemblies; Mounting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0Details of frames, housings or mountings of the whol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44Housings
    • B65H2402/441Housings movable for facilitating access to area inside the housing, e.g. pivoting or sli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60Coupling, adapter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10Ensuring correct operation
    • B65H2601/11Clearing faulty handling, e.g. j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30Facilitating or easing
    • B65H2601/32Facilitating or eas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321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매체 이송 장치의 일부분이 간단한 작업으로 개폐되어 매체 이송 장치가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잼(jam) 현상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소시킬 수 있다.
금융자동화기기, 입금장치, 매체 이송 장치, 매체 이송 경로, 제 2 이송부, 연동부, 록킹부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Apparatus for transferring paper medium of Automatic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체 이송 장치가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잼(jam) 현상을 간편하게 해소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자동화기기(ATM)는 은행이나 기타 금융기관 등에서 장소와 시간의 구애를 받지 않고 고객에게 편리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은행과 같은 금융기관뿐만 아니라 편의점 및 공공장소 등에서도 사용이 확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금융자동화기기는 지폐나 수표와 같은 종이매체를 입금 또는 출금시키거나, 잔액 확인 및 계좌 이체 등과 같은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금융자동화기기는 입금장치, 출금장치, 카드리더기, 통장정리기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듈이 독립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모듈들은 제어부와 연결되어 제어부에 의해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입금장치는 고객의 종이매체를 금융자동화기기의 내부로 입금하는 장치이고, 상기 출금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 내의 종이매체를 고객에게 출금하는 장치이다. 한편, 상기 입금장치와 상기 출금장치가 일체로 형성된 입출금장치가 금융자동화기기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입금장치, 출금장치, 및 입출금장치의 내부에는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매체 이송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입금장치의 매체 이송 장치를 중심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출금장치와 입출금장치의 매체 이송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매체 이송 장치가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잼(jam)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잼 현상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매체 이송 장치의 내부에 종이매체가 끼이거나 구겨지면서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종이매체에 의해 잼이 발생되면, 상기 매체 이송 장치의 부품들을 분해한 후 상기 잼 현상을 일으킨 종이매체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매체 이송 장치의 잼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매체 이송 장치는, 매체 이송 장치에 발생 잼 부위를 확인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매체 이송 장치의 부품들을 분해한 후 잼 현상을 해소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매체 이송 장치에 잼 현상이 발생되면, 숙련가의 도움없이 매체 이송 장치의 잼 현상을 해소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잼 현상을 해소할 때까지 금융자동화기기의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금융자동화기기의 효율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매체 이송 장치가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잼(jam) 현상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체 이송 장치로부터 잼을 제거하는 구조를 보다 단순하게 형성하고, 잼을 제거하는 작업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이매체의 일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종이매체의 타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고 적어도 두 개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송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매체 이송 경로의 일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제 2 이송부들, 상기 각각의 제 2 이송부들을 함께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송부들에 제공되는 연동부, 및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상기 제 2 이송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 2 이송부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록킹부를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 1 이송부와 상기 록킹부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제 2 이송부들을 동작시키면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일부를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고,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잼 현상을 일으킨 종이매체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2 이송부들이 상기 연동부에 의해 함께 동작되므로,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개폐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서로 가깝게 배치된 일단부들이 타단부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동부는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동부는 서로 가깝게 배치된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에 제공되므로, 보다 콤팩트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의 일측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된 제 2 이송부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동부의 타측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되지 않은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와 간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록킹부가 구비된 제 2 이송부의 일단부를 회전시켜 상기 매체 이송 경로를 개방 이전의 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록킹부가 구비되지 않은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는 상기 연동부의 타측과 간섭되어 상기 록킹부가 구비된 제 2 이송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연동부의 일측이 고정된 제 2 이송부에 단수개의 록킹부를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이송부들을 모두 고정시킬 수 있어 상기 록킹부의 설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연동부의 타측 및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 사이에는, 상기 매체 이송 경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 기 탄성부재로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탄성 소재의 패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상기 연동부의 타측과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에 간섭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상기 연동부의 타측과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 사이에 공극이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개폐시 상기 연동부의 타측과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가 파손되는 현상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송부 및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이송 벨트와 이송 롤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상기 이송 벨트의 장력에 의해 상기 매체 이송 경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이송부와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일정 크기의 장력으로 이송 벨트가 인장된 상태로 배치되므로,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상기 잠금장치의 걸림 상태가 해제됨에 따라 상기 이송 벨트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매체 이송 경로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의 일단은 상기 제 2 이송부들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록킹부의 타단은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상기 제 1,2 이송부들을 수용한 하우징 또는 상기 제 1 이송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 이송 경로가 비개방된 초기 상태로 상기 제 2 이송부들이 복귀됨에 따라 상기 록킹부가 일단을 중심으로 탄성적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걸림돌기에 상기 걸림후크가 자동적으로 걸림될 수 있다. 물론, 걸림돌기 대신에 걸림홀이나 걸림홈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는, 연동부에 의해 제 2 이송부들의 개폐 동작이 함께 수행되므로, 한 번의 작업으로 매체 이송 경로를 간단히 개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매체 이송 장치가 종이매체를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잼(jam) 현상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이송부들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에 연동부의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에 연동부의 타측이 간섭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제 2 이송부들과 연동부가 매우 단순한 구조로 제공되어 매체 이송 장치에 적은 비용과 부품수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연동부가 구비된 제 2 이송부에 록킹부를 배치시키면 제 2 이송부들의 작동을 단수개의 록킹부로 모두 잠글 수 있기 때문에, 제 2 이송부들의 개수만큼 록킹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부품수와 부품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매체 이송 경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와 연동부의 타측 사이에 탄성부재가 배치되므로,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제 2 이송부의 일단부와 연동부의 타측 사이에 공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고, 매체 이송 경로를 개폐시키는 과정에서 제 2 이송부와 연동부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이송 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이송부들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자동화기기의 입금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2), 하우징(102)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객의 종이매체를 입금받는 입금 기구(104), 입금 기구(104)로 투입된 종이매체의 정상 여부를 감별하는 감별 기구(106), 감별 기구(106)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감별된 종이매체를 회수하여 고객에게 반환하는 리젝트 기구(reject apparatus)(108), 감별 기구(106)에 의해 정상 상태로 감별된 종이매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에스크로 기구(escrow apparatus)(110), 및 에스크로 기구(110)에 일시 저장된 종이매체를 수납하는 저장 기구(112)를 포함한다.
상기 입금 기구(104)는 금융자동화기기의 전면에 입구가 배치될 수 있다. 입금 기구(104)는 고객의 종이매체를 번들(bundle) 단위로 입금받아 상기 감별 기구(106)에 낱장 단위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감별 기구(106)는 상기 입금 기구(104)로부터 전달된 종이매체의 정상 여부를 감별하기 위하여 각종 센서, 이미지 스캐너, 또는 자기잉크문자인식수단(MICR) 등이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감별 기구(106)는 찢어진 종이매 체, 복수매가 겹친 종이매체, 또는 일부가 접혀진 종이매체 등과 같은 비정상 상태의 종이매체를 감별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위조된 종이매체도 감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리젝트 기구(108)는 감별 기구(106)에 의해 비정상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입금 기구(104)로 반환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감별 기구(106)와 리젝트 기구(108)에 의하여 입금 기구(104)로 투입된 비정상 상태의 종이매체가 고객에게 다시 전달되므로, 금융자동화기기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에스크로 기구(110)는 감별 기구(106)에 의해 정상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저장 기구(112)로 전달하는 장치이다. 왜냐하면, 에스크로 기구(110)가 낱장 단위로 이송되는 종이매체를 모아서 번들 단위로 종이매체를 처리하면, 입금 처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에스크로 기구(110)는 종이매체를 쌓는 형태로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드럼(미도시)과 밴드(미도시)에 감기는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저장 기구(112)는 에스크로 기구(110)에 일시 저장된 종이매체를 전달받아 내부에 저장하는 카세트(112a)(112b)를 포함할 수 있다. 카세트(112a)(112b)는 하우징(102)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저장 기구(112)는 복수개의 카세트(112a)(112b)를 제공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입금장치(100)에 두 개의 카세트(112a)(112b)가 구비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입금장치(100)는 제 1 카세트(112a)에 종이매체를 먼저 채운 후, 제 1 카세 트(112a)에 종이매체가 가득 채워지면 제 2 카세트(112b)에 종이매체를 채워 넣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입금장치(100)는, 입금 기구(104)로 반환된 종이매체를 설정 시간 이상 고객이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종이매체를 회수하는 리트랙트 기구(retract apparatus)(114), 및 감별 기구(106)가 위조된 것으로 감별한 종이매체를 저장하는 위폐 저장 기구(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트랙트 기구(114)는 리젝트 기구(108)를 통해 입금 기구(104)로 반환된 종이매체가 장시간 미수취되면, 입금 기구(104) 내의 종이매체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장치이다.
즉, 입금 기구(104)에 종이매체를 투입한 후 고객이 별도의 처리 명령을 입력하지 않으면, 입금장치(100)의 작동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는 상태로 장시간 방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입금장치(100)는 에스크로 기구(110)에 저장된 종이매체를 리젝트 기구(108)를 통해 고객에게 반환한 후, 반환된 종이매체의 입금을 취소한다. 또한, 감별 기구(106)가 비정상 상태로 판정한 종이매체도 리젝트 기구(108)를 통해 고객에게 반환한 후, 반환된 종이매체의 입금을 취소한다.
상기와 같이 리젝트 기구(108)에서 입금 기구(104)로 반환된 종이매체를 고객이 설정 시간 이상으로 수취하지 않으면, 입금장치(100)의 작동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금 기구(104)로 반환된 종이매체를 분실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입금 기구(104)로 반환된 종이매체가 설정 시간 이상 방치되는 특수한 상황이 발생되면, 입금 기구(104)에서부터 리트랙트 기구(114)로 종이매체를 전달하 고, 리트랙트 기구(114)가 종이매체를 보관한다.
상기 위폐 저장 기구(116)는 감별 기구(106)에서 위조된 것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회수하여 위조된 종이매체의 유통을 방지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위조된 종이매체는 감별 기구(106)에서 판정된 다른 비정상 상태의 종이매체와 달리 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에게 반환하지 않고 그대로 회수하는 것이 국가 경제에 유익할 수 있다. 따라서, 입금장치(100)는 감별 기구(106)에서 종이매체가 위조된 것으로 감별되면 상기 종이매체를 위폐 저장 기구(116)로 강제 회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리트랙트 기구(114) 및 상기 위폐 저장 기구(116)에 종이매체를 저장하는 상황은 자주 발생되지 않고 특수한 상황에서 제한적으로 발생되므로, 카세트(112a)(112b)보다 매우 적은 용량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리트랙트 기구(114)와 위폐 저장 기구(116)를 하나의 박스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금융자동화기기의 입금장치(100)는 입금 기구(104), 감별 기구(106), 리젝트 기구(108), 에스크로 기구(110), 저장 기구(112), 리트랙트 기구(114), 및 위폐 저장 기구(116) 사이에 제공되어 종이매체가 이송되는 매체 이송 경로(121)(123)(125a)(125b)(127)를 형성하는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는, 입금 기구(104), 감별 기구(106), 및 리젝트 기구(108) 사이에 제공되어 종이매체가 입금 또는 반환되는 입 금 이송 경로(121)를 형성하는 입금 이송 기구(120), 입금 이송 기구(120) 및 에스크로 기구(110) 사이에 제공되어 종이매체가 일시 저장되는 에스크로 이송 경로(123)를 형성하는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 및 저장 기구(112) 사이에 제공되어 종이매체가 저장되는 저장 이송 경로(125a)(125b)를 형성하는 저장 이송 기구(124), 및 입금 이송 기구(120),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 리트랙트 기구(114), 및 위폐 저장 기구(116) 사이에 제공되어 종이매체가 회수되는 특수 이송 경로(127)를 형성하는 특수 이송 기구(126)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입금 이송 기구(120)는 입금 기구(104)로 입금된 종이매체를 감별 기구(106)로 이송하고, 감별 기구(106)에서 정상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로 이송하며, 감별 기구(106)에서 비정상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리젝트 기구(108)로 이송한다. 여기서, 입금 이송 기구(120)와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는 입금 이송 경로(121)와 에스크로 이송 경로(123)의 일부분을 서로 공유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입금 이송 기구(120)와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의 연결 부위에는 감별 기구(106)의 감별 결과에 따라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와 리젝트 기구(108)에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입금용 게이트(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는 입금 이송 기구(120)로부터 전달받은 정상 상태의 종이매체를 에스크로 기구(110)로 이송하고, 에스크로 기구(110)에 일시 저장된 종이매체를 저장 이송 기구(124)와 특수 이송 기구(126) 및 입금 이송 기구(120)로 이송한다.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와 에스크로 기구(110)의 연결 부위 에는 에스크로 기구(110)에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출입시키는 에스크로용 게이트(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이송 기구(124)는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로부터 전달받은 종이매체를 저장 기구(112)로 이송한다. 그런데, 저장 기구(112)는 제 1 카세트(112a)와 제 2 카세트(112b)를 포함하기 때문에, 저장 이송 기구(124)도 제 1 저장 이송 기구(124a)와 제 2 저장 이송 기구(124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저장 이송 기구(124a)와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는 제 1 저장 이송 경로(125a)와 에스크로 이송 경로(123)의 일부분을 서로 공유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 2 저장 이송 기구(124b)와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도 제 2 저장 이송 경로(125b)와 에스크로 이송 경로(123)의 일부분을 서로 공유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 1 저장 이송 기구(124a)와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의 연결 부위에는 제 1 카세트(112a)에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1 저장용 게이트(134a)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 2 저장 이송 기구(124b)와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의 연결 부위에도 제 2 카세트(112b)에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제 2 저장용 게이트(134b)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특수 이송 기구(126)는 감별 기구(106)에서 위조된 매체로 판정된 종이매체를 위폐 저장 기구(116)로 이송하고, 입금 기구(104)에서 고객이 미수취한 종이매체를 리트랙트 기구(114)로 이송한다. 여기서, 특수 이송 기구(126)와 입금 이송 기구(120)는 특수 이송 경로(127)와 입금 이송 경로(121)의 일부분을 서로 공유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특수 이송 기구(126)와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는 특수 이송 경로(127)와 에스크로 이송 경로(123)의 일부분을 서로 공유하는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특수 이송 기구(126)와 입금 이송 기구(120)의 연결 부위에는 감별 기구(106)의 감별 결과에 따라 위폐 저장 기구(116)에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위폐용 게이트(136)가 배치될 수 있고, 특수 이송 기구(126)와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의 연결 부위에는 리트랙트 기구(114)에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시키는 리트랙트용 게이트(138)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특수 이송 기구(126)와 위폐 저장 기구(116) 및 리트랙트 기구(114) 사이에는 위폐 저장 기구(116)와 리트랙트 기구(114)에 특수 이송 기구(126)의 종이매체를 선택적으로 이송하는 특수용 게이트(139)가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는, 종이매체의 일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이송부(140)들, 및 제 1 이송부(140)들과 대향되게 배치되어 종이매체의 타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고 제 1 이송부(140)들과의 사이에 매체 이송 경로(121)(123)(125a)(125b)(127)를 형성하는 제 2 이송부(15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송부(140)는, 하우징(102)에 배치되는 제 1 이송 프레임(142), 제 1 이송 프레임(142)에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종이매체의 일면에 밀착되는 제 1 이송 벨트(144), 및 제 1 이송 프레임(14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1 이송 벨트(144)를 지지 또는 구동시키는 제 1 이송 롤러(146)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이송부(150)는, 제 1 이송 프레임(142)과 대향되도록 하우징(102) 에 배치되는 제 2 이송 프레임(152), 제 2 이송 프레임(152)에 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종이매체의 타면에 밀착되는 제 2 이송 벨트(154), 및 제 2 이송 프레임(152)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제 2 이송 벨트(154)를 지지 또는 구동시키는 제 2 이송 롤러(15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이송 벨트(144)들과 제 2 이송 벨트(154)들의 협지력에 의해 종이매체가 고정되고, 제 1 이송 롤러(146)들과 제 2 이송 롤러(156)들의 구동력에 의해 제 1 이송 벨트(144)들과 제 2 이송 벨트(154)들이 회전되면 종이매체가 이송된다.
한편, 상기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는 잼 현상의 발생시 잼을 일으킨 종이매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 2 이송부(150)들 중 일부가 회동되면서 매체 이송 경로(121)(123)(125a)(125b)(127)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이송부(150)들은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에서 잼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은 부위에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에서 잼의 발생 가능성이 높은 부위는 입금 이송 기구(120),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 제 1 저장 이송 기구(124a), 제 2 저장 이송 기구(124b), 및 특수 이송 기구(126)가 연결되는 부위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와 제 1 저장 이송 기구(124a) 및 제 2 저장 이송 기구(124b) 사이에 제공된 제 2 이송부(150a)(150b)들만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상기 제 2 이송부(150a)(150b)들은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의 다른 부위에도 동일 유사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이송부(150a)(150b)들은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가깝게 배치된 일단부(150a′)(150b′)가 타단부(150a″)(150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두 개의 제 2 이송부(150)들로 제 2 이송부(150a)(150b)들이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세 개 이상의 제 2 이송부(150)들로 제 2 이송부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이송부(150a)(150b)들이 타단부(150a″)(150b″)를 중심으로 회전되면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일부분이 개방되기 때문에, 잼 현상을 일으킨 부위를 육안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잼 현상을 일으킨 종이매체를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는, 제 2 이송부(150a)(150b)들이 함께 개폐 작동될 수 있도록 제 2 이송부(150a)(150b)들에 연동 가능하게 제공된 연동부(160), 및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비개방시 하우징(102)에 걸려 고정되도록 제 2 이송부(150a)(150b)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록킹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160)는 제 2 이송부(150a)(150b)들의 일단부(150a′)(150b′)에 제공되는 바, 연동부(160)의 일단은 제 2 이송부(150)들 중 록킹부(170)가 구비된 제 2 이송부(150b)의 일단부(150b′)에 고정되고, 연동부(160)의 타단은 제 2 이송부(150)들 중 록킹부(170)가 구비되지 않은 제 2 이송부(150a)의 일단부(150a′)에 간섭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 1 이송부(1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제 2 이송부(150a)(150b)들의 일단부(150a′)(150b′)를 회전시키면, 연동부(160)의 타단이 제 2 이송부(150b)의 일단부(150b′)에 걸림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연동부(160)는 강성이 우수한 소재로 형성된 플레이트, 봉, 관, 또는 바 형상의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가 채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따라서, 록킹부(170)가 구비된 제 2 이송부(150b)의 일단부(150b′)가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개방된 부위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되면, 연동부(160)의 타단에 의해 록킹부(170)가 구비되지 않은 제 2 이송부(150a)의 일단부(150a′)도 동일한 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즉, 연동부(160)에 의하여 제 2 이송부(150a)(150b)들 중 하나만 개폐 작동되더라도 제 2 이송부(150a)(150b)의 다른 하나도 동시에 개폐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동부(160)의 타단은, 제 2 이송부(150b)의 일단부(150b′)에 안정적으로 면접촉되도록 중간이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즉, 연동부(160)의 타단에 형성된 절곡면들 중 어느 하나는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비개방시 제 2 이송부(150b)의 일단부(150b′)에 밀착되고, 연동부(160)의 타단에 형성된 절곡면들 중 다른 하나는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개방시 제 2 이송부(150b)의 일단부(150b′)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록킹부(170)가 구비되지 않은 제 2 이송부(150a)의 일단부(150a′) 및 상기 연동부(160)의 타단 사이에는, 제 2 이송부(150)들이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개방된 부위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 동작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탄성부재(16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62)로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탄성 소재의 패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이송부(150a)의 일단부(150a′)에 판스프링이 채용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탄성부재(162)는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를 개방시키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 2 이송부(150a)(150b)들을 회전시킬 경우, 연동부(160)의 타단과 제 2 이송부(150a)의 일단부(150a′)에 간섭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연동부(160)의 타단과 제 2 이송부(150a)의 일단부(150a′)는,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를 개폐시키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62)의 완충 작용으로 인하여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비개방시 탄성부재(162)에 의하여 공극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170)의 일단은 제 2 이송부(150a)(150b)들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록킹부(170)의 타단은 걸림돌기(174)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후크(1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74)는 상기 제 2 이송부(150a)(150b)들을 지지할 수 있는 입금장치(100)의 모든 부재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걸림돌기(174)는 제 2 이송부(150a)(150b)들과 대향되게 배치된 제 1 이송부(140a)(140b)에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록킹부(170)와 대응되는 하우징(102)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걸림후크(172)가 걸림되는 구조물로는 걸림돌기(174) 이외에 걸림홈 또는 걸림홀 등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에 걸림돌기(174)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한다.
즉, 상기 제 2 이송부(150a)(150b)들이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를 개방시키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후크(172)와 걸림돌기(174)가 간섭되면서 록킹부(170)가 탄성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제 2 이송부(150a)(150b)들이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가 완전히 회전되면 걸림후크(172)가 걸림돌기(174)에 걸리면서 록킹부(170)가 탄성적으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이송부(150a)(150b)들을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록킹부(170)의 걸림후크(172)가 걸림돌기(174)에 걸려 고정되므로, 록킹부(170)가 간편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에 반하여, 걸림후크(170)가 걸림돌기(174)에서 탈거되는 방향으로 록킹부(170)를 회전시키면, 제 1 이송부(140)들과 제 2 이송부(150)들에 구비된 이송 벨트(144)(154)의 장력 및 탄성부재(162)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제 2 이송부(150a)(150b)들은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한편, 상기 록킹부(170)는 전술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젬 제거용 제 2 이송부(150)들의 개폐 작동을 제한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채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의 작동 과정 및 잼 제거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이송 경로의 일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입금 기구(104)로 고객이 종이매체를 투입하면, 입금 이송 기구(120)가 낱장 단위로 종이매체를 감별 기구(106)로 이송하고, 감별 기구(106)에서 종이매체를 감별한다. 감별 기구(106)에서 위조된 것으로 판정된 종이매체는, 입금 이송 기구(120)에서 위폐용 게이트(136)를 거쳐 특수 이송 기구(126)로 이송된 후, 특수용 게이트(139)를 지나 위폐 저장 기구(116)에 수납된다.
감별 기구(106)에서 정상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는, 입금 이송 기구(120)에서 입금용 게이트(130)를 거쳐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로 이송되고,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에서 에스크로용 게이트(132)를 지나 에스크로 기구(110)에 일시 저장된다. 그리고, 에스크로 기구(110)에 일시 저장된 종이매체는 에스크로용 게이트(132)를 거쳐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로 이송되고,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에서 제 1 저장용 게이트(134a)를 거쳐 제 1 저장 이송 기구(124a)로 이송되며, 제 1 저장 이송 기구(124a)를 거쳐 제 1 카세트(112a)의 내부에 수납된다. 만약, 제 1 카세트(112a)의 최대 용량까지 종이매체가 채워지면,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의 종이매체는 제 2 저장용 게이트(134b)를 거쳐 제 2 저장 이송 기구(124)로 이송되며, 제 2 저장 이송 기구(124b)를 거쳐 제 2 카세트(112b)의 내부에 수납된다.
그러나, 에스크로 기구(110)에 일시 저장된 종이매체의 처리가 장시간 지연되면, 에스크로 기구(110)에 일시 저장된 종이매체는 에스크로용 게이트(132),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 입금용 게이트(130)를 거쳐 리젝트 기구(108)로 이송되고, 리젝트 기구(108)의 종이매체는 입금 기구(104)로 반환된다. 또한, 감별 기구(106)에서 비정상 상태로 판정된 종이매체는, 입금 이송 기구(120)에서 입금용 게이트(130)를 거쳐 리젝트 기구(108)로 이송되고, 리젝트 기구(108)의 종이매체는 입 금 기구(104)로 반환된다.
상기와 같이 입금 기구(104)로 반환된 종이매체를 고객이 설정 시간 이상 수취하지 않으면, 종이매체가 입금 이송 기구(120), 입금용 게이트(130),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 에스크로용 게이트(132)를 거쳐 에스크로 기구(110)로 회수되고, 에스크로 기구(110)에 회수된 종이매체는 에스크로용 게이트(132),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 리트랙트용 게이트(138), 특수 이송 기구(126), 특수용 게이트(139)를 거쳐 리트랙트 기구(114)로 수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를 따라 종이매체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잼이 발생되면,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의 작동이 정지되어 입금장치(100)의 입금 기능이 정지된다. 따라서,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에 발생된 잼을 신속히 제거하여 입금장치(100)의 기능을 빠르게 복원하는 것이 효율성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에 발생된 잼을 제거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에 구비된 제 2 이송부(150)들을 회전시켜 매체 이송 경로(121)(123)(125a)(125b)(127)를 개방하고, 매체 이송 경로(121)(123)(125a)(125b)(127) 상에 잼 발생 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한 다음, 잼을 일으킨 종이매체를 매체 이송 경로(121)(123)(125a)(125b)(127)에서 제거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에스크로 이송 기구(122), 제 1 저장 이송 기구(124a), 및 제 2 저장 이송 기구(124b)의 연결 부위에 구비된 제 2 이송 부(150a)(150b)들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록킹부(170)를 회전시켜 걸림돌기(174)에서 걸림후크(172)를 탈거한다. 그러면, 제 1 이송부(140)들과 제 2 이송부(150)들에 구비된 이송 벨트(144)(154)의 장력 및 탄성부재(162)의 반발력에 의하여 젬 제거용 제 2 이송부(150)들이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각각 회전된다.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 즉, 에스크로 이송 경로(123)와 제 1 저장 이송 경로(125a) 및 제 2 저장 이송 경로(125b)의 연결 부분이 개방되면,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 상에 잼이 발생되었는지를 육안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고,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 상에 잼이 발생된 경우에는 손을 넣어 잼을 일으킨 종이매체를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매체 이송 장치(120)(122)(124)(126)의 잼 현상이 해소되면, 제 2 이송부(150a)(150b)들 중에서 록킹부(170)가 구비된 제 2 이송부(150)를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개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다시 회전시킨다. 그렇게 하면, 제 2 이송부(150b)의 일단부(150b′)에 고정된 연동부(160)도 함께 회전되며, 연동부(160)의 단부에 의해 다른 제 2 이송부(150a)의 일단부(150a′)도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개방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연동부(160)가 고정된 제 2 이송부(150b)를 회전시키는 한 번의 동작만으로 다른 제 2 이송부(150a)도 함께 회전되므로, 제 2 이송부(150a)(150b)들을 회전시켜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를 개폐시키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연동부(160)의 단부는 제 2 이송부(150a)의 일단부(150a′)에 구비된 탄성부재(162)에 밀착되므로, 매체 이송 경로(123)(125a)(125b)의 개방 반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 2 이송부(150a)(150b)들이 회전되면 탄성부재(162)는 연동부(160)와 제 2 이송부(150a)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착된다. 따라서, 탄성부재(162)가 연동부(160)와 제 2 이송부(150a)의 충돌을 흡수하여 연동부(160)와 제 2 이송부(150a)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탄성부재(162)가 연동부(160)와 제 2 이송부(150a)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연동부(160)와 제 2 이송부(150a) 사이에 공극의 발생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 2 이송부(150a)(150b)들의 회전이 완료되면, 록킹부(170)가 탄성 회전되면서 걸림돌기(174)에 걸림후크(172)가 걸려 고정되고, 록킹부(170)에 의해 제 2 이송부(150a)(150b)들의 작동이 잠금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입금장치 뿐만 아니라 출금장치 또는 입출금장치의 매체 이송 장치에 채용될 수 있고, 매체 이송 장치의 잼 발생이 의심되는 복수의 부위에 제 2 이송부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이송 장치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경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융자동화기기의 주요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2 이송부들을 나타낸 측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체 이송 경로의 일부가 개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0: 입금장치 120: 입금 이송 기구
122: 에스크로 이송 기구 124: 저장 이송 기구
126: 특수 이송 기구 140: 제 1 이송부
150: 제 2 이송부 160: 연동부
170: 록킹부

Claims (6)

  1. 종이매체의 일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종이매체의 타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고, 적어도 두 개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송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매체 이송 경로의 일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제 2 이송부들;
    상기 각각의 제 2 이송부들을 함께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송부들에 제공되는 연동부; 및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상기 제 2 이송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 2 이송부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서로 가깝게 배치된 일단부들이 타단부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연동부의 일측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된 제 2 이송부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동부의 타측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되지 않은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의 타측 및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 사이에는, 상기 매체 이송 경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배치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5. 종이매체의 일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종이매체의 타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고, 적어도 두 개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송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매체 이송 경로의 일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제 2 이송부들;
    상기 각각의 제 2 이송부들을 함께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송부들에 제공되는 연동부;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상기 제 2 이송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 2 이송부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록킹부; 및
    상기 제 1 이송부 및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이송 벨트와 이송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상기 이송 벨트의 장력에 의해 상기 매체 이송 경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서로 가깝게 배치된 일단부들이 타단부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연동부의 일측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된 제 2 이송부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동부의 타측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되지 않은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6. 종이매체의 일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 1 이송부;
    상기 제 1 이송부와 대향되게 배치되어 종이매체의 타면을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고, 적어도 두 개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 1 이송부와의 사이에 형성된 매체 이송 경로의 일부를 개폐하는 복수의 제 2 이송부들;
    상기 각각의 제 2 이송부들을 함께 연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 이송부들에 제공되는 연동부; 및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상기 제 2 이송부들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제 2 이송부들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록킹부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의 일단은 상기 제 2 이송부들 중 어느 하나에 탄성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록킹부의 타단은 상기 매체 이송 경로의 비개방시 상기 제 1,2 이송부들을 수용한 하우징 또는 상기 제 1 이송부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걸림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이송부들은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고, 서로 가깝게 배치된 일단부들이 타단부들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에 제공되며,
    상기 연동부의 일측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된 제 2 이송부의 일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연동부의 타측은 상기 록킹부가 구비되지 않은 제 2 이송부들의 일단부와 간섭되게 형성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KR1020080138205A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KR101546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05A KR101546334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RU2011130963/08A RU2519391C2 (ru) 2008-12-31 2009-12-23 Устройство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осителей, применяемое в банкомате
US13/142,270 US8360427B2 (en) 2008-12-31 2009-12-23 Medium transfer apparatus for an automated teller machine
PCT/KR2009/007698 WO2010077003A2 (ko) 2008-12-31 2009-12-23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8205A KR101546334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9668A KR20100079668A (ko) 2010-07-08
KR101546334B1 true KR101546334B1 (ko) 2015-08-21

Family

ID=42310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8205A KR101546334B1 (ko) 2008-12-31 2008-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60427B2 (ko)
KR (1) KR101546334B1 (ko)
RU (1) RU2519391C2 (ko)
WO (1) WO201007700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8369B1 (ko) * 2019-12-20 2021-07-19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반송경로 절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1383A (en) * 1970-01-22 1972-05-09 Pitney Bowes Inc Document handling apparatus for photocopy machines
US5657846A (en) * 1995-07-13 1997-08-19 Cashcode Company Inc. Currency validator with split housing
RU2189283C2 (ru) * 1997-11-28 2002-09-20 Дайболд, Инкорпорейтед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елективного направления листов в электронном банковском автомате
DE19958017B4 (de) * 1999-12-02 2013-08-14 Giesecke & Devrient Gmbh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Banknoten
JP3863381B2 (ja) * 2000-04-28 2006-12-27 京セラミタ株式会社 原稿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機
AR038760A1 (es) * 2000-09-29 2005-01-26 Diebold Inc Metodo para la acumulacion y presentacion de hojas en una maquina automatica de transacciones
KR100429084B1 (ko) * 2001-04-12 2004-04-29 주식회사 에프엘테크놀로지 현금자동지급기
DE602004015615D1 (de) * 2003-08-01 2008-09-18 Cummins Allison Corp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arbeiten von banknoten
JP4411531B2 (ja) 2003-09-24 2010-02-10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給紙カセット
JP4400736B2 (ja) 2004-08-24 2010-0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給紙カセット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記録装置
US7255265B2 (en) * 2005-03-09 2007-08-14 Diebold Self-Service Systems Division Of Diebold, Incorporated Check accepting and cash dispensing automated bank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US7457586B1 (en) * 2005-03-15 2008-11-25 Rf Micro Devices, Inc. Method of in-device phase measurement and correlation to programmable factors
KR200411492Y1 (ko) 2005-12-27 2006-03-15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잼 방지 기능을 갖는 금융자동화기기
JP2007314258A (ja) 2006-05-23 2007-12-06 Ricoh Co Ltd 給紙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60427B2 (en) 2013-01-29
KR20100079668A (ko) 2010-07-08
RU2011130963A (ru) 2013-02-10
US20110254215A1 (en) 2011-10-20
WO2010077003A3 (ko) 2010-09-23
WO2010077003A2 (ko) 2010-07-08
RU2519391C2 (ru)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491B1 (ko) 지폐류 취급장치의 일시보관고
US6533261B2 (en) Bill receiving/dispensing box
JP4654268B2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12226494A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1250693B1 (ko) 매체 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016245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508339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KR101016460B1 (ko) 회수기능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
KR101546334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이송 장치
JP4845905B2 (ja) 紙幣入出金機
JP2007026014A (ja) 紙葉類搬送機構
KR101280658B1 (ko) 매체보관함 및 금융기기
KR10112133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1499736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매체 회수 장치
KR101247080B1 (ko) 금융기기 및 매체 보관함
KR200389004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672597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금융 기기
JP2013054772A (ja) 紙幣入出金装置
JP2002329230A (ja) 自動取引装置
JP2565722Y2 (ja) 紙幣自動支払い装置
JP2006190333A (ja) 紙幣入出金機
KR20170130174A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932190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1278842B1 (ko) 금융 기기
JP5147925B2 (ja) 紙幣入出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