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8367Y1 -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 Google Patents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8367Y1
KR930008367Y1 KR2019910013519U KR910013519U KR930008367Y1 KR 930008367 Y1 KR930008367 Y1 KR 930008367Y1 KR 2019910013519 U KR2019910013519 U KR 2019910013519U KR 910013519 U KR910013519 U KR 910013519U KR 930008367 Y1 KR930008367 Y1 KR 930008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umper
sleeve
line
wire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3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5688U (ko
Inventor
강인태
Original Assignee
강인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인태 filed Critical 강인태
Priority to KR2019910013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8367Y1/ko
Publication of KR9300056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56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8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83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2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using a crimping sleeve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제 1 도는 본 고안의 잠바홀딩에 대한 사시도.
제 2a, b 도는 본 고안의 잠바홀딩이 체결상태 실시예1의 장주도 및 요부 A에 대한 확대도.
제 3a, b 도는 본 고안의 잠바홀딩이 체결된 상태 실시예 2의 장주도 및 요부 B에 대한 확대도.
제 4a, b 도는 본 고안 잠바홀딩이 체결된 실시예 3의 장주도 및 요부 C에 대한 확대도.
제 5a, b 도는 본 고안 잠바홀딩이 체결된 실시예 4의 장주도 및 요부 D에 대한 확대도.
제 6a, b 도는 본 고안 잠바홀딩이 각종개폐기등의 밑으로 내려온 방향의 리이드선 연결압축 할때의 장주도 및 요부사시도.
제 7a, b 도는 기존에 전선이 슬리이브에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장주도 및 요부 확대도.
본 고안은 고압 및 특고압 배전선로의 구간을 양분할 수 있는 간선 잠바선, 분기 잠바선, 배전선로의 구간 개폐기 리이드선, 절분 연결시에 본선 및 잠바선 또는 리이드선에 취부되어 압축 연결하고자 하는 전력선을 잡아주어, 연결 압축되는 양쪽 전력선의 이탈을 방지하며, 정확히 슬리이브 압축되도록 편리하게 하고 절분하고자 할때 절분되는 잠바선 및 리이드선을 접지몰 또는 혼촉물로 부터 안전하게 이동시켜 활선작업자의 안전거리를 확보하여 주어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전력계통 선로사고를 사전방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 있는 활선장구 잠바홀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에서 한번 발전한 전기는 저장할 수 없는 전기특성으로 작은 구간의 고장 및 예고없는 정전이라도 국가적 전력에너지 이용에 많은 손실이 따르게 되며 가정, 공장의 경우 꼭 필요한 때 전기가 단전된다면 유형별 많은 지장 초래를 당할 것이다.
가정 또는 공장 등으로 보내지는 전력계통의 전력선로에서 전력을 원활히 공급할수 있게 하고 전력계통을 절분연결 구분할 수 있는 중요 설비개소로서 잠바선, 리이드선은 불가분 필요성이 있는 전력선로의 설비이다.
즉, 도시기능의 다변화로 직선도로가 될 수 없을때 전력선로의 굴곡, 각도주 및 전력선 간선으로 부터 좌 또는 우측으로 연장된 분기주, 또한 전선의 굵기와 선종, 재질 등 종류가 다른선과 연결 압축개소, 전선과 전기기기 연결개소, 배전선로 돌발사고때 사고개소 색출 구간절분 등, 도시나 농어촌의 많은 전주장주와 도시 밀접 지역지의 모든 전주 장주에서 잠바선 및 리이드선이 장주되어 있다.
그러나 잠바선과 리이드선 연결시 슬리이브에 삽입하여 압축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제 6a, 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잠바선(100) 연결시에 본선(120)과 잠바선(100)을 압축기구(Y-35)로 압축하는데, 한번의 동작에 의해 압축이 가능하지 못해 여러번에 걸쳐서 압축 하여야만 잠바선(100)이 압축 슬리이브에 완전하게 물림된다.
(압축기구로 압축할때 전선 및 슬리이브에 대략 고정은 7~8회 압축)
(완전히 슬리이브 압축은 20~30회 압축)
그러나 슬리이브(110)를 압축하는 동안에 잠바선(100)의 무게 및 위치에 의해 슬리이브(110)에 삽입되어진 잠바선(100)이 이탈되거나, 압축기구에 힘을 가하여 압축시에 압축기구 무게로 인하여 잠바선(100)을 같이 잡을 수 없고, 압축 기구만 잡고 압축해야 하기 때문에 잠바선(100)이 흔들려 슬리이브(110)에서 전선이 잘빠져 버린다.
이럴때 슬리이브(110)에서 이탈된 잠바선(100)은 선로사고 및 안전사고를 야기 산업재해 요인으로 발생되며 압축도중 잠바선 흔들림과 압축기구 무게로 인하여 슬리이브(110)에 잠바선(100)이 정확히 끼워지지 않고 압축된다.
그런 상태의 슬리이브(110) 압축개소는 언젠가는 발화히팅 되어 잠바불량 접속개소로 표출되고, 또한 한번 잘못 압축되었을 때에는 잠바선(100)까지 잘라내고 다시 재압축해야 하기 때문에 잠바선이 짧아 압축이 용이하지 않은 현장에도 사항으로 난이하여 작업자 역량 판단에 따라 방치하게 되어 잠바단선 및 배전선로의 광역구간 정전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잠바선 공사시 활선으로 인한 선로 근접이 불가능하여 잠바선을 대략적으로 절단하지만 공사하고자 하는 잠바선이 길게 절단되어 연결되었을 때는 시공후 타 계통 및 접지물에 접착하기 쉽고, 반대로 짧게 절단하면 잠바선 취부 압축시에 어려움이 뒤따르는 문제점 등이 발생하였다.
이와같이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잠바선, 리이드선)등의 절분, 연결, 압축시에 절단된 전선을 잡아주어 접지물과의 접촉을 방지하고, 전선을 슬리이브에 삽입 압축시에 전선이 슬리이브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확히 물림되어 압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전선의 발화, 히팅등의 선로사고 및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도록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간선 잠바선, 분기 잠바선, 리이드선 등의 전선을 슬리이브에 삽입 압축시에 상기의 양쪽 전선을 견고히 물어 고정해 줄수 있도록 몸체 부위가 서로 상반되게 맞붙어 전선을 물었을때 서로 어느 정도 이격되어 고정할 수 있는 취부홈을 좌·우에 형성하고, 상기 취부홈에 끼워진 전선을 고정해 주는 밑판과 이에 체결된 회전 고정대와, 맞붙어 있는 상기 몸체의 상측으로 위치 이동걸이가 형성된 잠바홀딩을 구성하여 슬리이브 압축시에 정확한 압축 및 타계통의 접지물과의 접착방지 및 슬리이브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잠바선, 리이드선, 인하선의 단선 등으로 송전되고 있던 전력선이 단선되어 흔들리고 있을때 현장발견 즉시 직접 활선작업으로 연결 긴급송전 할수 있어 시간적 인력적 손실을 막고 선로 계통사고를 발견 즉시 방지할 수 있으며, 변전소의 선로별 희다나 구간 절체없이 긴급조치를 할수 있어 양질의 전력 공급에 이바지 할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전기 공사로 인한 고압 및 특고압 신설, 증설, 설비변경 보수공사시 임시로 잠바선을 직접 연결할 수 있어 공사후 수용가 송전요청쇄도에 대처할 수 있고, 임시연결 송전후 시간과 인력의 손실을 막을 수 있으며, 활선 장비 준비후 완전 슬리이브 연결 압축시도 정전없이 무정전 전력공급하면서 압축연결 할수 있어 배전선로의 작업정전을 크게 감소시킬수 있으므로 지장 전력량 감소에 효과적이고, 잠바선 연결 압축시 직접 잠바홀딩 먼저 연결하여 긴급 송전 되므로서 복잡장주 및 난이도가 많은 전주 장주에서 신속송전을 꾀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기술한다.
간선 잠바 및 분기 잠바선, 리이드선 등의 전선을 절분하고 연결할때 슬리이브로 압축 하기전에 상기 전선에 취부되어 슬리이브에 정확히 물림고정토록 하는 것에 있어 몸체(2) 그 부위가 서로 맞붙어 전선을 물었을때 슬리이브의 크기와 같에 어느정도 양전선이 이격되도록 좌·우 양측에 형성된 취부홈(3)과, 상기 취부홈(3)에 거치된 전선이 물림 고정토록 하는 밀판(4)과, 상기 밀판에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회전고정대(5)와, 상기 몸체(2)의 상측으로 위치이동걸이(6)가 구비된 잠바홀딩(1)을 구성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간선 잠바선 및 분기 잠바선, Loop간선 잠바선 연결시에 제 2a, 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잠바선(7) 전선 끝단부에 잠바홀딩(1)의 취부홈(3) 거치한 후 회전 고정대(5)를 회전시켜 밀판(4)이 상향 이동하여 물림 고정한 후, 몸체(2)의 상측에 구비된 위치 이동걸이(6)에 안전스틱(도시않됨)으로 걸어서 나머지 취부홈(3)에 본선(8)을 거치시킨 후 회전 고정대(5)를 회전시켜 밀판(4)이 상향 이동하여 본선(8)을 물림 고정한다.
즉, 슬리이브(9)로 압축전에 양쪽의 본선(8)과 잠바선(7)을 잡아주어 슬리이브(9)내에서 빠져 이탈되지 않은 상태에서 슬리이브(9)내에 정확한 위치에 끼워져 있는 상태로 압축기구(Y-35)(도시않됨)에 의해 손쉽게 압축할 수 있다.
즉, 슬리이브(9)를 압축기구로 여러번 압축동작에도 슬리이브(9)로 접속되는 전선과 잠바선을 물어 고정한 상태이므로 슬리이브(9)에서 빠지지 않고 정확히 슬리이브 압축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2]
분기 잠바선의 슬리이브 보수 및 절분 연결시에 제 3a, 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간선(10)에서 슬리이브(11)에 의해 분기된 잠바선(7)을 간선(10)의 일측에 별도로 잠바홀딩(1)이 잡아줄 수 있도록 하여 슬리이브(11)의 보수 또는 잠바선 절분연결시 압축 체결된 잠바선(7)이 이탈되지 않도록 간선(10)에 잠바홀딩(1)의 취부홈(3)에 의해 거치된 상태로 분기된 잠바선(3)이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한다.
즉, 간선(10)과 잠바선(7)을 잠바홀딩의 취부홈(3)에 끼워 물림하여 회전 고정대(5)를 회전하여 밀판(4)를 상향 이동시켜 상기 잠바선(7)이 간선에 거치된 상태로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후 간선(10)과 분기 잠바선을 압축 고정한 슬리이브(11)를 보수 교환하면 되는 것으로 잠바홀딩(1)에 의해 분기선 잠바선(7)이 간선(10)에 거치된 상태이므로 잠바선의 교환 및 분리할 수 있으며, 간선(10)이 잠바홀딩(1)에 거치된 상태이므로 잠바선을 절단하여 슬리이브 교환시에도 절단된 분기 잠바선(7)이 떨어지지 않음에 따라 다른 접지물과 타계통 전력선로에 닿지 않아 안전사고와 선로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광범위 구간을 무정전 전력공급 하면서 잠바개소 보수를 할수 있어 전력의 효율적 사용으로 지장 전력량 감소에 이바지 할 수 있다.
[실시예 3]
제 4a, 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잠바선(7)이 단선되어 탈락된 상태에서도 탈락된 잠바선(7)을 잠바홀딩(1)의 2개의 취부홈 중 하나의 취부홈(3)에 끼워물림 고정하여 동일선상에 간선(10)으로 이동시켜서 다른 취부홈(3)에 간선(10)를 끼워물림 시켜 다른 접지물에 닿지않도록 하여 계통사고의 방지 및 긴급 사항을 신속히 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잠바선(7)뿐만 아니라 인하선, 피뢰기, 각종 개폐기(R/C I/S), 리이드선 등에도(실시예 1, 2. 3)과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한전 또는 전기공사 업체의 전기공사로 인한 고압 및 특고압 신설, 증설, 설비변경 등 전력공사시에 공사후 구간절체 및 휴전없이 즉시 잠바선을 연결하여 송전할 수 있다.
제 5a, 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미리 슬리이브 접속할 수 있게 조금 여유를 두고 잠바홀딩(1)을 이용하여 간선(10)에 잠바선(7)을 임시로 취부 송전이 되도록 한 후 차후에 슬리이브 접속 할 수 있는 장비 및 인력등 여건이 마련됐을때 무정전 상태에서 슬리이브로 잠바선(7)를 연결할 수 있어 전력의 효율적 이용할 수 있다.
각종 개폐기(R/C, I/S)등의 밑으로 내려온 방향의 잠바등 중요 전력기기 리이드선 연결 압축시에는 제 6a, 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리이브(11)로 압축시에 전선(A)의 무게 또는 흔들림에 의해 슬리이브(11) 압축하기 이전에 이탈되어 다른 접지물에 닿아 계통사고의 우려가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잠바홀딩(1)을 치부하여 슬리이브(11) 압축전에 양쪽의 전선을 안정되게 물림고정하여 이후에 슬리이브(11)를 압축기구(Y-35)로 간편히 압축하면 된다.
즉, 슬리이브 압축전에 상하측의 전선이 슬리이브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여 정확히 슬리이브 압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여러 실시예와 같이 잠바홀딩은 잠바선 및 리이드선 절분, 연결 및 슬리이브 압축개소 보수공사시 압축 연결 하고자 하는 전력선이 슬리이브 내에서 이탈되지 않고 정확히 압축되도록 보조하여 발화히팅, 단선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바켓트럭 사용작업시 보조자 없이도 혼자서 작업이 가능하여 인력손실 및 신속송전 등 전력공급에 이바지하고, 고압 및 특고압 전력선로의 잠바선 및 리이드선으로 인한 불량개소 보수공사와 신설증설등 전력설비 공사시에 무정전 전력공급 등 일련의 작업을 신속히 행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간선 잠바선, 분기 잠바선, 리이드선 등의 전선을 슬리이브 압축시에 상기의 전선을 견고히 물어 고정해줄수 있도록 몸체(2) 부위가 서로 맞붙어 전선을 물었을때 서로 어느 정도 슬리이브의 크기와 같에 이격되어 고정할 수 있는 취부홈(3)을 좌·우에 형성하고, 상기 취부홈(3)에 끼워진 전선을 고정해 주는 밀판(4)과 이에 체결된 회전 고정대(5)와, 맞붙어 있는 상기 몸체(2)의 상측으로 위치 이동걸이(6)가 형성된 잠바홀딩(1) 구성하여 슬리이브 압축시에 정확히 압축되게 하고 타계통 선로 및 접지물과의 접착 등 슬리이브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과 활선으로 인한 근접 위험 선로에서 직접 잠바선을 연결송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 수 있는 잠바홀딩.
KR2019910013519U 1991-08-23 1991-08-23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KR9300083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519U KR930008367Y1 (ko) 1991-08-23 1991-08-23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3519U KR930008367Y1 (ko) 1991-08-23 1991-08-23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88U KR930005688U (ko) 1993-03-22
KR930008367Y1 true KR930008367Y1 (ko) 1993-12-22

Family

ID=19318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3519U KR930008367Y1 (ko) 1991-08-23 1991-08-23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836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366A (ko) * 1997-11-18 1999-06-05 정몽규 차량의 패널 용접시 잔여물 제거용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278B1 (ko) * 2004-04-21 2006-06-14 한국전력공사 걸이형 스트랍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전선로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0366A (ko) * 1997-11-18 1999-06-05 정몽규 차량의 패널 용접시 잔여물 제거용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5688U (ko) 1993-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0819B1 (ko) 개폐 체결구조를 갖는 절연커버
KR930008367Y1 (ko) 무정전 상태에서 활선작업을 할수있는 잠바홀딩
KR100769583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지상 변압기 교체방법
CN208257232U (zh) 一种低压配电箱不停电作业系统
KR100991120B1 (ko) 배전선로의 분기 슬리브
CN106785503A (zh) 一种带电作业固定短路线夹
KR930011774B1 (ko) 무정전 전력공급할 수 있는 장치
KR101497340B1 (ko) 지중 배전선로 변압기의 무정전 연결 판넬 구조
KR100343034B1 (ko) 가공지선지지대커버
KR101282713B1 (ko) 3상의 퓨즈 동시개폐 시스템을 적용한 배전반
KR101499420B1 (ko) 변압기 고장발생시 간접활선공법을 통한 임시 전력 공급방법
CN212968814U (zh) 一种电工接电用理线工具
KR102179905B1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CN204258208U (zh) 大容量分体式母线分接箱
CN213025852U (zh) 一种不停电更换10kV柱上开关
KR200147818Y1 (ko) 무정전공사용 충전부 절연캡
Fu et al. Bypass operation combined with short-bar insulation bridge operation method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CN213520722U (zh) 一种最小停电区间的快速更换柱上开关
CN209626814U (zh) 一种10kV熔断器上端头引流线用的绝缘遮蔽罩
KR102563998B1 (ko) 지중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에 대한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이의 설치 및 철거 방법
KR102507995B1 (ko) 양방향 저압 랙크 구조체
CN213027204U (zh) 便携式引流线固定器
KR102639223B1 (ko) 간접활선 바이패스케이블의 단말장치
CN215527956U (zh) 一种线缆的接地保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6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